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정의 상담 관점에서 취약계층 학생 공부방 지원 사업 사례 분석

        송순열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 상담의 관점에서 취약계층 학생의 공부방 지원 사업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부방 지원 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취약계층 학생 공부방 지원 사업은 어떤 배경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둘째, 취약계층 학생들은 공부방 지원 사업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 셋째, 사회정의 상담의 관점에서 취약계층 학생 공부방 만들기 지원 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가? 연구의 목적이 취약계층 학생의 공부방 지원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과 해석 및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므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부방 지원 사업 대상자인 학생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20년 4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지역사회단체 담당자 2인과 교육복지사 2인을 추가로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취약계층 학생들의 공부방 지원 사업 경험을 통해 공부방이 없는 현실, 공부방 사업의 공과, 지속 가능한 공부방 사업의 조건이라는 경험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공부방이 없는 현실에서 자신의 생활공간을 수용하면서도 불편해하는 양가적 태도를 보였다. 공부방이 만들어진 이후의 공부방에서의 긍정적인 유의미한 변화로 공부방이 가져 온 기쁨, 사적 공간 누리기, 공부방 마련으로 가족 간 불편함의 해소, 지역사회 기부 단체에 대한 고마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다른 공간과의 부조화와 공부방 자체의 한계, 참여 없이 만들어진 공부방에 대해 기대에 어긋난다는 변화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후 대응 전략으로 공부방 바꾸기와 공부방 내 가구의 선별과 재배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부방 연계 사업에 대한 바람으로 공부방에 앞서 필요한 것, 공부방 이후에 필요한 것을 들며 대응 전략과 함께 지속 가능한 공부방 사업의 조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 이루어진 교육복지 사업의 효과성 연구는 활동 지원 부분에 대한 내용이 다수였다. 학생이 학교를 떠나 머무르는 가정의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방 지원 사업이 시작되었지만 보도 자료 이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없었다. 이에 이 연구는 학생들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환경적인 문제를 변화시키려고 했던 교육복지사의 지원 활동에 의미가 있다. 하지만 대상자를 수혜자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이루어지는 대상자를 위한 사업이 아니라 대상자와 함께하는 사업이 되도록 상담과 참여의 과정이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공부방에서 더더욱 유의미한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계 사업에 대한 바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공부방 지원 사업 대상자와 사업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탐색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회정의 상담 관점에서 분석한 공부방 지원 사업 경험에 대한 결과는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기초 자료가 됨으로써 기존에 이루어지던 사업 방향에 대해 고찰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개인의 문제를 환경과의 상호 작용으로 보고 개인의 변화를 위해 환경의 변화까지 도모하려는 교육복지에 사회정의 상담을 적용시킴으로써 교육복지의 새로운 방향을 탐색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주요어: 공부방 지원 사업, 교육복지, 사회정의 상담, 취약계층 학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ject experience of supporting study room project for the vulnerable students in perspective of social justice counseling and to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study room project.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established: First, how was the project to support vulnerable students' study rooms under what background? Second, what experience did vulnerable students have in the study room project? Third, what is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roject to support the creation of study rooms for vulnerable students in perspective of social justice counseling? A case study was conducted becau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the specific experience,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the study room support project for vulnerable students. Three students who were eligible for the study room project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2020 to September 2020. In addition, two more people in charge of community service and two more education and welfare workers were interview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project. A summary of the findings is presented as follows. Through the experience of supporting study rooms for vulnerable students, we could confirm the process of experience that there is no study room, the merits of the study room project, and the conditions of the sustainable study room project. Participants showed a ambivalent attitude of accepting their living space in the absence of study rooms, while studying room. A positive significant change in the study room after the study room was created has enabled us to confirm the joy brought by the study room, enjoy private space, ease family discomfort by setting up study rooms, and appreciate community donation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we could also see that the study room itself was in dissonance with other spac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room itself, and the changes in the study room, which was created without participation, were contrary to expectations. Since then, the government has been able to check the change of study rooms and the selection and relocation of households in the study room. With the wish of the study room linkage project, we could look at the conditions of the sustainable study room project along with the response strategy, citing what we ne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room.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s as follows.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was conducted in many areas. A study room project was launched with interest in the environment of families where students leave school, but there was no specific study on it other than the press release. Therefo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supporting education and welfare workers who tried to chang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students cannot solve on their ow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consultation and participation was essential so that it would be a business with the target rather than a project for the beneficiar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wishes for the linkage project so that more meaningful learning activities could be carried out in the study room.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search material for future directions by being used as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target and business experie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ence of the study room project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unseling on social justice will be th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and the existing project direction will be considered. Through this, we believ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explore new directions for educational welfare by applying social justice counseling to educational welfare, which aims to see individual problems as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promote changes in the environment for individual change. Key words: educational welfare, social justice counseling, study room project, vulnerable students

      • 제주해녀 생애사 연구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場)' 개념을 적용하여

        양인실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는 해녀에 대한 유산 가치와 세대전승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해녀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단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그 동안 해녀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해녀들의 생애와 사유구조에 주목하여 보았다. 해녀의 삶은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해녀 이해에 대한 스펙트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에 의하면, 제주해녀의 수가 급속히 줄어들고 고령화도 현실화되고 있다. 이것은 해녀담론에서는 일종의 위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위기감 속에서 제주해녀 관련 양적 연구는 꾸준히 축적되어 왔지만, 해녀 개인의 삶에 집중한 생애사로서의 질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제주해녀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해녀들의 생애와 삶, 그녀들의 사유를 통해 접근할 때 가능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場)’ 개념을 적용하여 두 해녀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삶, 삶에 대한 태도, 사유구조와 가치관 등을 분석하였다. 현대 사회학계를 대표하는 부르디외는 개인과 사회와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이론과 실천은 구분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무의식의 소산인 아비투스와 장의 개념을 처음으로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회학적 이론과 개념은 인간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위치에 따라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깨닫게 하는 중요한 키워드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와 장 개념은 사회의 구조적 요인을 간파하여 연구자들에게 사회학적 사유와 분석을 위한 실용적인 지침이 되고 있다. 아비투스란 인간 행위를 상징하는 무의식적 성향을 뜻하는 말로, 개인의 성향이 환경이나 배경, 가치관과 종교 등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용어이다. 그리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아비투스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또한 장이란 개념은 복잡한 사회에 대한 부르디외 모델의 핵심 개념으로서, 사회생활의 시·공간적 영역을 의미한다. 부르디외는 아비투스와 장의 조응이 하나의 구속이자 억압이지만, 개인의 주관적 의식과 사회적 조건을 연관의 맥락에서 상황을 바라보게 하였다. ‘생애사(life history)’는 개인의 지나온 삶을 자신의 말로 이야기한 것을 기록하는, 대표적 질적 연구 방법이다. 연구자는 두 명의 해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고 텍스트로 만들어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해녀들의 무의식적인 아비투스를 네 가지로 구조화하였다. 해녀들의 집단적 아비투스로는 첫째, “물에 놀레 가게” 라는 놀이와 학습의 아비투스이고, 둘째, “바당은 공거여”라는 감사와 무욕의 아비투스이다. 셋째, “살암시민 살아진다”라는 초월적 사고가 드러난 언어로서 순응과 경외의 사유방식, 넷째, “벗이영 둘이 해삽쥬”라는 협동의 공동체 의식이다. 또한 두 해녀의 생애를 통해 나타난 해녀들만의 ‘아비투스’와 ‘장(場)’의 축소와 확장, 그리고 다시 재생산되는 장에 대한 사례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해녀에 대한 접근방법이 많을수록 활용과 보전의 가능성도 커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해녀 공동체 영역의 확장과 변화의 모습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녀들의 삶을 대하는 태도와 아비투스가 체화되어 전승되어 왔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그녀들의 삶에 녹아 있는 아비투스와 삶의 영역인 장에 대한 고찰로 해녀연구의 장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녀 생애사에 대한 다양한 방법적 접근이 지속가능한 해녀의 전승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eople still has not understood or empathized with the life of Haenyeo while they have recognized the value and necessity of generation inheriting of Haenyeo. So,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life and structure of thought on Haenyeo,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the study of Haenyeo in general. Because how you understand the life of Haenyeo will bring different spectrum on that. According to statistics, Jeju Haenyeo are rapidly decreasing and getting old. This is a crisis in Haenyeo culture. Amid this sense of crisis, quantitative research on Jeju Haenyeo has been steadily accumulated, but qualitative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private life of Haenyeo have not been practiced much so fa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Jeju Haenyeo will be possible when approaching through the lives and their thoughts. I have analyzed life, private structure, and attitude toward the life focusing on the ‘life history’ of the two Haenyeos by applying French sociologist Bourdieu’s concepts of ‘Habitus’ and ‘Champ’. Bourdieu, who represents modern sociology, tried to comprehend the problem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s theory and practice are indistinguishable, he first argued for the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the product of unconsciousness. This concept provides an important keyword that allows humans to reflect on being influenced by their social context and position. Therefo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and ‘Champ’ with giving an insight through the social structural factors could be practical guidelines for sociological thinking and analysis for researchers. ‘Life history’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records an individual's past life in his/her own words. I interviewed two Haenyeos and analyzed the data which was made from the record-written texts. Then, I have structured the unconscious Habitus of Haenyeo into four types. There are collective Habitus of Haenyeo cases. First, the Habitus of play and learning called “Let’s go play in the water.” Second, the Habitus of appreciation and freedom from avarice, “Badang is for free.” Third, as the language exposed on the transcendental thinking, “Just let it be as you live.” It is the way of thinking of obeying and awe. Fourth, the sense of community of cooperation called “Have to do with friends.” It also presented examples of the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Habitus’ and ‘Champ’ of the Haenyeo, which appeared throughout the lives of the two Haenyeo, and the reproduction of the stage. Since I believe that the more approaches to Haenyeo, the more we obtain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I haven’t limited the area but paid attention to expansion and change of the community of Haenyeo. Through the process, I was able to grasp the attitude toward their lives and Habitus that has been embodied and passed down. I intend to expand the field of Haenyeo research by considering the ‘Habitus’ and ‘Champ’ in their lives. In this process, various methodical approaches to the life history of Haenyeo will help find a sustainable transmission plan for Haenyeo.

      •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이 있는 CPSQ 관심군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명숙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에 어 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참여아동은 CPSQ에서 관심군으로 선별된 초등학교 4학년 여아 1명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인은 미술치료, 종속변인은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이었다. 참여아동에게 2015년 10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주 2회 회기 당 50분, 총30회기 의 미술치료를 중재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미술치료 활동내용과 작품을 기록하였다. 미술치료의 효과가 미술치료중재 장면에서와 함께 아동의 주 요생활 장면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 아동의 모, 상담교사, 지역 아동센터 사회복지사 4명의 관찰자가 정서·행동관찰 평가지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유지기간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KHTP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로서 정서·행동관찰 평가는 그래프로 나타내 분석하여 각 기간별 평균과 변화율을 산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KHTP의 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분석 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활동내용과 작품을 질적 분석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 다. 회기별 활동모습과 작품내용에서 초기에는 원하는 대로 되지 않거나 힘들게 느껴지면 바로 그만두고 싶어 하였고 연구자에게 의존하였으나 후기에는 자신의 의도대로 되지 않았을 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방법을 찾아 해결하려는 등 타 인을 배려하는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 KHTP검사에서 도 사회적 미성숙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질적 분석과 함께 객관적 검사로서 정서·행동관찰 평가에서도 기초선에 비 해 유지기간이 82%낮게 변화되어 사회적 미성숙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주요생활 장면에서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에 대한 관찰자 별 변화 양상은 4명의 관찰자와 기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기초선에 비해 유지기간의 변화가 연구자는 93.2%, 아동의 모는 76%, 사회복지 사는 84%, 상담교사는 76%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4명의 관찰자마다 사회적 미성숙의 변화양상은 다르지만 76%이상의 변화를 기록하여 아동의 주요생활 장 면에서도 미술치료의 효과로 인해 사회적 미성숙이 감소되고 그 효과가 안정적 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위축/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회기별 활동모습과 작품내용에서 초기에는 자신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부담스 러워하는 위축되고 회피적인 모습에서 후기에는 적극적이며 자신있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KHTP검사에서도 위축/우울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긍 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정서·행동관찰 평가에서도 기초선에 비해 유지기간 이 78%낮게 변화되어 위축/우울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넷째, 주요생활 장면에서 CPSQ 관심군 아동의 위축/우울에 대한 관찰자별 변 화 양상은 4명의 관찰자와 기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기초선 에 비해 유지기간의 변화가 연구자는 79%, 아동의 모는 81%, 사회복지사는 69%, 상담교사는 84%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4명의 관찰자마다 위축/우울의 변화양상은 다르지만 69%이상의 변화를 기록하여 아동의 주요생활 장면에서도 미술치료의 효과로 인해 위축/우울이 감소되고 그 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 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정서·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으며, 그에 따른 후속연구가 요구 된다. 우선 이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 다. 또한 아동의 주요생활 장면에서의 4명의 관찰자가 실시한 정서·행동 관찰은 미술치료 장면과 동일한 환경이 아니므로 관찰자 신뢰도를 구할 수 없으며 다양 한 변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치 료의 효과를 다양한 장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연구 설계가 필요하 다. This research’s propos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hy on emotion and behavior of the childeren identified as demanding attention on their emotion, behavior problem by CPSQ. Participating child is a 4th grade girl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used ABA design of single subject research,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rt therapy, the dependent variable was emtion and behavior ;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Researcher had conducted art therapy to participating child 30times, twice a week for 50minute from 2015. 10. to 2016. 2. To testify its effect, researcher had recorded activity contents from therapy and work,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main living scene of subject, researcher not just conducted a KHTP preliminary post inspection, but also gathered data from the period of baseline, treatment, maintaining using emotion and behavior observation checklist which had done by a researcher, a mother of subject, a school counselor, and a social worker from local children center. The test of emotion and behavior observation as collected data was represent as graph and analyzed, effectively verifying its effect by calculating average and improvem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KHTP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Furthermore, researcher verified its effect by quality analysis of contents and works from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by CPSQ. In early art therapy session, The subject child had wanted to give up and relied to researcher when she feel tired or things aren’t turned out as her wanting. But by the advanced stage in art therapy her active, positive social behaviors were increased like trying for solution and not relying anymore when her intention was not realized. She showed positive change at post-KHTP inspection than a preliminary one in social immaturity sector. Not only in qualitative analysis, but also in emotion and behavior test as objective inspection, social immaturity in maintenance period marked 82% drop than base line, showing considerable decrease. Second, each observer’s aspects of transition on social immaturity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s by CPSQ were showing subtle difference by observer and period. Researcher recorded 93.2% change on maintenance period comparing with base line, her mother recorded 76%, social worker recoded 84%, and school counselor recoded 76% change. Aspects of transition in social immaturity are showing a little difference by each 4 observers, but all 4 recorded not fewer than 76% changes in commo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due to art therapy and maintaining its effect stably in main livelihood scene. Third, art therapy was effective on decrease in withdrawal/depression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she has changed from intimidated, evasive attitude like feeling uncomfortable on being exposed herself to confident, active attitude in Art therapy session. Also in emotion and behavior test, withdrawal/depression in maintenance period marked 78% drop than base line, showing considerable decrease. Therefore, consider for above research result, art therapy influence positive effect on emotion and behavior of child who identified as demanding attention on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by CPSQ showing effect o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However,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so following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irst place, this research has limitation to generalize as single subjective research. Also, this research can’t find observer confidence degree because it can’t exclude effects from various variables which may be able to influence emotion and behavior as 4 observers had observed emotion and behavior of the child in respectively different scene. Therefore, more detailed research design which can observe the effect of treatment in various scene.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강수선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ego-resilien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y(CSC), as well as mediating rel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23 students(5-6 grade) were selected from 2 elementary schools in Jeju.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Scale, Ego-resiliency Scale, and Social Competency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 The summary of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ego-resiliency, and CSC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Secon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ther’s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mother’s person-oriented contro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SC, especially on children’s sociability. Children’s ego-resiliency had significant effect on every sub-factors of CSC. Third, children’s ego-resilienc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and SCS. Especially, it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 with father’s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full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 with father’s person-oriented control, mother’s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mother’s person-oriented control.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유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부모를 위한 심리치료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 자아탄력성, 사회적 유능감 세 변인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을 측정하기 위해 Bernstein (1971)의 이론에 근거한 이종헌(2000), 김민옥(2012)의 질문지를 참고하여 척도를 재구성하였다.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금옥(1998)이 개발한 청소년용 사회적능력 검사를 초등학생들에게 맞도록 수정․보완한 왕정희(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Atsushi, Hitoshi, Shinji 및 Motoyuki가 제작한 탄력성척도를 민동일(2007)이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제주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323명(남학생 169명, 여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간에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부와 모가 지위지향적 및 인성지향적 언어통제 경향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유능감이 높아졌다. 또한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 및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와 모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하위요인 중 사교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 및 모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 경향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교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및 감정조절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흥미와 관심이 다양하거나 감정조절을 잘 하는 아동일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인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와 모의 지위지향적 및 인성지향적 언어통제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이 중요하고, 부모의 언어통제 양식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치료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위축아동의 위축행동 감소에 미치는 집단미술치료의 효과

        홍희림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집단미술치료가 위축아동의 위축행동 감소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위축아동의 위축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의 단계별 회기진행에 따라 위축아동의 위축과 친사회적 행동 패턴은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위축 및 친사회적 행동 간에 미치는 효과는 참여한 위축아동의 특성에 따라 어떤 다른 양상을 보이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제주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3명이며, 지역아동센터장과 아동의 생활을 지도하는 사회복지사의 관찰에 의해 위축된 아동으로 추천된 아동들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방법의 하나인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아동의 위축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집단미술치료가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평가도구는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위축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척도 검사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미술 활동 상황에서 보이는 위축과 관련된 아동의 행동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동적 집-나무 사람(KHTP) 검사와 위축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 평정 척도, 단계별 대상자의 반응 및 행동관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 평가지를 사용 하였다. 연구절차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시는 2014년 1월 21일부터 2014년 3월 14일까지 총 12회기, 주 2회, 1회기 당 50분간 실시하였으며 대상아동의 미술치료 활동 상황에 위축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 평정 척도 기록지를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위축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위축아동의 위축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한국판 아동․행동평가척도(K-CBCL)의 위축척도 점수에서 사전․사후 T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에 T점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적 집-나무-사람(KHTP) 검사의 사전․사후 그림을 비교하여 본 결과, 위축과 관련된 표현이 사전에 비해 사후 그림에서 긍정적으로 표현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의 단계별 회기진행에 따라 위축 및 친사회적 행동 평정 척도 점수에서 위축아동의 위축행동은 감소하였고 친사회적 행동은 증가하는 변화패턴을 보였다. 셋째, 위축아동의 위축 및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일으킨 결정적 요인으로 회기별 참여 대상자의 반응과 행동관찰, 프로그램 활동 후 평가지 분석을 참고하여 살펴 본 결과, 집단원간 상호작용과 미술작품을 통한 자기표현 등이 향상되고 성취감을 통한 자존감 향상과 의존적이고 소극적, 수줍은 행동 등 위축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집단미술치료가 위축아동의 위축행동 감소와 친사회적 행동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crease in withdrawn behaviors of children who are withdrawn. Approach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group art therapy have any positive effect on the decrease in withdrawn children's withdrawal behaviors? Second, what change does take place in withdrawn children's withdrawal and pro-social pattern of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epwise process in group art therapy? Third, what different pattern does appear in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withdrawals and pro-soci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participated children's characteristic? The Participants were three children who are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and participating local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Jeju city. They were observed and thought to be those with withdrawn behaviors by the center chief and a social worker specialist. This study takes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in decreasing children's withdrawal behaviors. Measures were the Children's Behavior Check List -Korean version (K-CBCL), KHTP test and the checklists for withdrawal and pro-social behavior test. Observation of followed with a checklist withdrawal and pro-social behavior during the experiment the therapy. The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of 5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rom January 21 through March 14,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 it show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lessening the withdrawal behavior in withdrawn children. Comparison of T scores was mad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ith regard to the withdrawing score in the Korean version of K-CBCL, which implied that T score in post-test became smaller than that in pre-test. In comparative results from pre-post-checklist of withdrawal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 the post-score indicated a higher outcome than the pre-score, also. The same was true in KHTP picture test, showing a positive change regarding the expression about withdrawal status. Secondly, as stepwise procedures proceeded in group art therapy in relation to withdrawal and pro-social behavior pattern in withdrawn children, the frequency of withdrawn behavior decreased whereas the frequency of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Thirdly, the decisive reason that caused the withdrawn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 change was assess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participated children's action and feedback and the teacher's statement on behavior afterwards. It was indicated that the self-exploration and self-expression were improved via interaction among group members and artwork activity and that the self-esteem was enhanced through a sense of achievement, which makes children's reliance, passivity, and shyness gradually dwindle. This study suggested that group art therapy in children who were withdrawn was effective. The program could be properly used to decrease withdrawal behaviors in withdrawn children.

      • 생태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제주형 '마을만들기사업'탐구 : '저지리'를 중심으로

        김도현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ary to cultivate the awareness of ecological community in order to make village project which is currently on going in a village. Furthermore, I am suggesting it as one of the ways of the project to cultivate awareness of ecological community through the exploration. The communities in Korea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history, ideology, religion, and the state. The forming of community in village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cooperation with villagers in life of agriculture. later, through industrialization, the way of life and work have changed, and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became smaller. Since. there has been various community appears. Recently the form of community of village has been settled through making village project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economical development utilizing the resources of village. For that reason, the village-making project is a community-building activity,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type of village community should be formed. The necessary of discussion on the forming the community of village increases as the sense of crisis on the community increases. Since industrialization, humanity has developed by adapting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Due to this industrialization, humanity has gained convenienc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whil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have occurred. As a result, natural disasters and ecosystem changes have caused negative emotions such as conflict and anxiety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worldwide social problems have increased the sense of crisis in community of local society. In this situation, humanity has seen limitations in forming a community and realized the necessity a community that can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hrough this study, an ecological community perspective in the current society in which environmental problems continue to appear the village community conducting village-making projects, and it is suggested that this could be a solution. The ecological community defined in this study means the community viewed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When the villagers who are members of the village form a village community, the human and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it was called community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the village community is formed, members of the village formed a community. The village community continued to change on the various disasters and developments. Currently, villagers are a way to form a village community and increase the capacity of villagers. For the development of villages and towns, the village-making project is operated with the support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Through village-making projects, villagers searched for resources of villages themselves, and got the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sciousness of the ecological community and the village-building project.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is project centered on Jeojiri, a village that is carrying out a making project and found a positive impact. On this study, proposition and direction which various villages have in common such as population escaping, economic problems, and changes in the tourism industry were proposed. As the necessity for the village-making project grew, the residents of the village are putting effort and attention. that needs to proceed with the village project. Villagers and local communities are trying to solv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o carry out a village-building project with ecological collective awareness. So that the Jeju-type village making project that humans and nature can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will be an example as a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마을에서 진행되는 마을만들기사업을 위한 마을주민들의 생태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것에 필요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나아가 탐구한 내용을 통해 추후 진행되는 마을만들기사업에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은 역사, 사상, 종교, 국가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그 안에서 한국의 공동체의 형성은 마을에서 농업 생활을 기반으로 품앗이, 향약 등 마을공동체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전통적 공동체는 산업화를 거치면서 생활양식과 노동의 방식이 바뀌게 되었고 축소되었다. 이로 인해 대안적공동체의 모습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마을주민들이 마을의 자원을 활용한 사회적·경제적 발전을 위해 마을만들기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마을만들기사업은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마을만들기사업은 공동체를 형성하는 활동으로 어떠한 형태의 마을공동체가 형성되어야 하는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마을공동체에 형태에 따른 담론은 공동체에 대한 위기의식이 증가할수록 그 필요 성이 증대된다. 산업화 이후 인류는 급변한 사회에 적응하며 발전하였다. 이러한 산 업화로 인하여 인류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편리함을 얻었지만 반면에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등 자연재해와 같은 피해를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자연재해 및 생태계 변화 등으로 다양한 자연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변화로 공동체의 구성원 간에 갈등,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적 사회문제는 지역 사회의 공동체에 위기감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인류는 인간만을 위한 공동체 형성에 한계를 보았고, 인간과 자연이 공생적 관계로 형성할 수 있는 공동 체가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현재 사회에서 생태공동체적 관 점에서 마을만들기사업을 진행하는 마을공동체가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 사회적 문제 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생태공동체란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공동체를 의미한다. 생태공동체에 소속된 마을의 구성원인 마을주민들은 마을공동체를 형성할 때 인간과 인간 의 생활환경 모두 공생적인 관계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러한 노력을 하기 위해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생태공동체에 대한 견해를 가지는 상태를 생태공동체의식이라 한다. 마을공동체는 마을이 형성됨과 동시에 마을의 구성원들은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마을만들기사업은 마을주민들이 마을공동체를 구성하는 방 안 중 하나로 만들어진다. 본 사업은 마을주민들의 역량 증진과 마을의 발전을 위해 국가 또는 지자체의 지원을 받고 운영되고 있다. 마을만들기사업을 통해 마을주민들은 스스로 마을의 자원을 찾고 마을에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본 논문은 생태공동체의식과 마을만들기사업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현재 마 을만들기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마을인 ‘저지리’를 중심으로 본 사업에 대한 문제점 과긍정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마을들이 공통적으로 가지 고 있는 인구유출, 경제적 문제, 관광산업의 변화 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을 만들기사업이 필요성과 이에 따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마을만들기사업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마을주민들은 마을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노력과 관심을 쏟고 있다. 마을주민들과 지역사회는 다양한 환경문제 해결하기 위해 생태공동체적의식을 가지고 마을만들기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렇게 함으 로 제주에서 진행되는 마을만들기사업이 인간과 자연이 공생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제주형 마을만들기사업이 하나의 모델로서 모범이 될 것이다.

      • 자기 표현력 신장을 위한 연극놀이 적용효과분석 : 초등(3-6)학년을 대상으로

        정민자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창의적인 자기 표현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연극놀이’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극놀이’는 교육연극의 한 방법으로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극적인 상황을 만들고 연기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공감과 치유, 창의적인 공동체 형성을 도와주는 활동이다. 교육연극은 1900년대 초 영국에서 ‘비형식적 교육(Informal Education)’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버려진 거리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피터 팬’을 연극으로 꾸미는 활동이 그 시초이다. 교육연극은 과정 중심의 연극교육으로 즉흥 활동을 강조하고 상상의 세계를 경험하게 하는 학습 방법이다. 또한 교육연극은 연극의 요소들 가운데 교육적 필요에 따라 그중 일부나 전체요소를 재구성해서 활용하기도 한다. 교육연극으로서 ‘연극놀이’는 이야기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실제상황을 가정하고 참여자들과 함께 상황을 재연하거나 극적 상황을 꾸며보는 활동이다. 그러므로 ‘연극놀이’는 참여자들이 서로에 대한 배려심과 함께 활동하는 과정에서 협동심이 요구되며, 학생들의 상호 교감을 할 수 있는 통합적인 활동이다. 한민희 (2012), 「자기 표현력 신장을 위한 교육연극의 활용 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 이러한 측면에서 ‘연극놀이’는 국어교육에서 추구하는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도 자기 의사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자기 표현력이란 몸짓을 통한 비언어적 요소와 언어요소를 활용해 자기의 감정이나 의사를 잘 전달하는 능력을 말한다. 학생들이 자기 표현력을 기를 수 있으려면 학생들이 어떤 상황에서, 누구와(에게), 무엇을,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학습상황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즐겁고 자기 주도적인 분위기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한 학습의 상황과 수업방법, 분위기가 가능한 것이 ‘연극놀이’이다. ‘연극놀이’는 학생들이 연극적 활동에 자발적으로 직접 참여하는 활동이다. 연극적 활동이란 연극예술이 포함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연극예술이 포함하는 모든 과정이란 인물, 사건, 배경, 시점, 갈등 관계와 그 요소, 의사 표현, 장면묘사, 무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연극적인 활동은 이야기의 상상과 변형, 창조, 체험과 표현, 소통과 공감의 과정이다. 참여자들은 상상을 통해 실재하지 않은 상상의 세계를 창조해내며 그 세계에서 몸과 언어로 다른 사람들과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소통한다. 김선, 한정혜, 제인현, 이송은 (2007), 「유아를 위한 연극놀이」, 창지사, 12-13. 이때 이야기의 상상과 변형, 창조, 체험과 표현, 소통과 공감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를 취사․선택․배열․표현하는 과정이 스토리텔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극놀이’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능력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연극놀이’는 자기표현력의 비언어적인 표현력에 효과가 있는가? 1-1. ‘연극놀이’가 몸짓 변화에 효과가 있는가? 1-2. ‘연극놀이’가 표정 변화에 효과가 있는가? 2. ‘연극놀이’가 자기표현력의 음성 언어적인 표현력에 효과가 있는가? 2-1. ‘연극놀이’가 말소리 변화에 효과가 있는가? 2-2. ‘연극놀이’가 내용의 변화가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운영하는 공연장에서 운영하는 ‘톡톡연극학교’ 참가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업 전 사전검사를 하고, 16차시로 진행한 후 사후검사를 하였으며, 연구자의 수업 참여자인 학생들을 매 차시 관찰한 일지를 통해 ‘연극놀이’가 자기 표현력의 비언어적인 표현력과 음성 언어적 표현력에 미친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6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톡톡연극학교’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연극놀이’를 한 결과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밝히려고 한다. Ⅱ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연극놀이’의 이론적 배경인 교육연극의 개념과 유형, 교육연극으로서 ‘연극놀이’의 교육적 목표와 자기 표현력과의 상관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연극놀이’ 활용방안으로 수업에서 활용되는 ‘연극놀이’ 기법과 워밍업 활동, 초등학교에서 활용되는 ‘연극놀이’를 소개하고 자기 표현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지도안을 제시한다. Ⅴ장에서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자기 표현력 신장 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검사를 적용하여 정리하여 제시한다. Ⅵ장에서는 본 논문을 통해 얻은 결론과 제언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pplication effects of ‘Creative Drama’ employing storytelling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e self-express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ater Play’ is one of the methods for theater in education, and it is an activity that enables the learners to involve in creating dramatic situations initiatively and to express such situations through acting, thereby helping them empathize, heal, and form a creative community. Theater in education started in the early 1900s in the UK as part of the ‘Informal Education’. Its first activity was to make the ‘Peter Pan’ as a play for the emotional cultivation of children who were abandoned on streets during World War II. The educational theater is an education for plays process-oriented, which emphasizes the impromptu activities and enables the learners to experience an imaginary world. Moreover, it sometimes reconstructs to utilize some or all of the elements of the play depending on educational demand. ‘Creative Drama’as a theater in education is an activity that, together with participants, reenacts a certain situation or concocts a dramatic situation under the assumption of either stories or real situations, which occur in daily life. ‘Creative Drama’ requires collaboration and consideration among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activities, therefore,, it is an integrated activity that enables student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is context, ‘Creative Drama’ not only can be an effective option to cultivate the competence of using a creative Korean language pursu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it also raises the ability of learners to appropriately express their intentions or emotions in daily life. Self-expression refers to the ability to prominently convey own emotions or intentions to others by simultaneously using both non-verbal elements through gestures and verbal elements. In order for students to foster their self-expres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learning environments so that they can analyze and assess the relevant factors, for instance, in which situation, with (or to) whom, what, and how they express. And, it also requires preparing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methods in a pleasant and self-directed atmosphere. It is the very ‘Creative Drama’ that can provide such learning environments, class operation methods, and atmosphere. ‘Creative Drama’ is an activity that students directly take part in theatrical activities. The theatrical activity refers to the entire process that is covered by theatrical art. The theatrical activity entails characters, events, backgrounds, time points, conflicting relationships and elements, expressions of intentions, descriptions of scenes, and stages. In addition, the theatrical activity is also a process about a certain story in terms of imagination and transformation, experience and expression, as well as communication and empathy. Participants create a fantasy world that doesn’t exist through their imagination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about their thoughts and feelings using gestures and languages.53) At this time, storytelling refers to a process of adoption or rejection, selection, arrangement, and expression about the elements that are required for imagination, transformation, creation, experience,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empathy of a certain story. In this regard, this study established the research topics as follows for the self-express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 Is the ‘Creative Drama’ effective in the non-verbal expression of self-expression? 1.1 Is the ‘Creative Drama’ effective in the changes of gesture? 1.2 Is the ‘Creative Drama’ effective in the changes of facial expression? 1. Is the ‘Creative Drama’ effective in a phonetic-linguistic expression of self-expression? 2-1 Is the ‘Creative Drama’ effective in the changes of speech sound? 2-2 Is the ‘Creative Drama’ effective in the changes of contents? 53) 1) Sun Kim, Jeong-hye Han, Jane Hyun, Song-eun Lee (2007), 「Theater play for infants」, Chansisa, 12. To address the research topics above, this study recruited the participants who attend the ‘Tok Tok Theater School’ in the theater that is run by this author as the study targets. Pre-examination was conducted before class, then a post-examination was conducted after proceeding with the 16 session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s of ‘Creative Drama’ on the non-verbal and phonetic-linguistic expressions through a daily log that observed the students attended the classes of this author in every session. This study conducted ‘Creative Drama’ employing a storytelling with 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3 rd ~ 6 th grade in the ‘Tok Tok Theater School’, an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expression of the stud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chapter II,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storytelling are examined and chapter III explores a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xpression and the concept and types of educational play that is a background of ‘Creative Drama’ as well a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Creative Drama’ as an educational play. Chapter IV not only briefs the techniques in ‘Creative Drama’ that is employed as the utilization measure of ‘Creative Drama’, warming up activities, and ‘Creative Drama’ that is used in elementary schools but also suggests the teaching-learning course guidance for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Chapter V presents a summary of the pre- and post-examinations applied to validate the effects of ‘Creative Drama’ on the education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Finally, in chapter VI,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cquired from this study are described.

      •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 : 선천성 거대결장증 사례를 중심으로

        현정희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거대결장증 사례를 중심으로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심리․사회적 중재가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생물․심리․사회적 중재에 따른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 참여자는 현재 S시의 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12세) 남자아동이며, 주 호소문제는 변 지림, 배변조절 실패 등과 같은 변실금이다. 대상아동과 배변문제로 상담을 시작하게 된 것은 2017년 4월부터이며 그 후 그 해 10월까지 약 7개월 동안 생물․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첫째는 생물학적 접근으로써 필라테스를 통해 항문괄약근 강화이며, 두 번째는 긍정행동지원과 이야기 치료의 외재화를 통한 심리적 접근이고, 세 번째는 가정 차원과 학교 차원에서의 사회적 접근이다. 변실금 아동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면담, 참여관찰, 일화기록으로 자료를 수집했으며, 사전·사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아동용 항문직장기형 삶의 질 질문지, 부모용 아동 정서․행동발달 검사지(CPSQ), 교사용 강점 난점 설문지(SDQ)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생물․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이 아동의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 및 그 변화 양상을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세 가지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생물학적 중재는 변실금 아동의 건강 관련 삶의 질 개선에 효과가 있다. 둘째, 심리적 중재는 아동으로 하여금 정서․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변실금 치료 의지를 높여줌으로써 삶의 질 개선에 효과가 있다. 셋째, 사회적 중재는 가정과 학교의 지지로써, 아동의 삶의 경험을 넓혀주고 재구성해간다는 점에서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가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는 서로의 효과를 극대화시켜가며 아동의 삶의 질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 연구는 소규모 학교의 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선천성 거대결장증 질환으로 인한 변실금 사례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가 일시적인지 장기적인지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효과성 검증을 위해 다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계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focusing on a case of Hirschsprung’s disease. First, what is the effect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on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Second, what is the change in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ho are affected by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It was in April, 2017, that the counseling was started with children on the subject of fecal incontinence, and after that, a biosoci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about 7 months until October of that year. The first is the enhancement of the anal sphincter through pilates as a biological approach, the second is the psychological approach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externalization of narrative therapy, and the third is the social approach at home and school level.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process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data were gathered from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ecdotal records, and Hirschsrung's disease/anorectal malformation quality-of-life questionaire (HAQL), Child Problem-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CPSQ),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DQ) were conducted as a pre- and post-test. The researcher analyzed data on the effects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 programs on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their changing patterns in three categories: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ological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Seco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by reducing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increasing their willingness to treat incontinence. Third, social intervention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by expanding the experience of children's life and reorganizing as support of home and school. This suggests that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In addition, biological,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maximized the effects of each other.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student in a small school and it is a case of incontinence due to Hirschsprung’s disease. There is also a limit to whether the effects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are temporary or long term. Therefore, a follow-up study designed for various students will be conducted to verify effectiveness.

      • 제주해녀 노동요를 활용한 동화 스토리텔링

        신임순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문화콘텐츠에 원천 소재를 제공하는 문화원형은 그 자체가 인간의 삶에 대한 모든 것을 담고 있으며, 그 문화원형이 유형이든 무형이든 간에 인간 삶의 이야기와 정서‧지식‧교양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담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창조적 상상력은 인문학적 지식 토대 위에서 가능한 상상력이며, 그 대표적인 방법이 ‘스토리텔링’이다. 제주해녀 문화는 2016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는 해녀 문화가 지역적 한계를 넘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문화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의 민속‧산업‧신앙‧풍토‧기후를 반영하여 다양하게 구연되는 해녀 노동요는 해녀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세계 인식을 독특하게 반영하고 있다. 제주해녀들의 정서와 가치관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해녀 노동요에는 제주 해녀들의 역사와 정서가 고스란히 들어있다. 현재는 시대의 흐름과 환경이 바뀌고 해녀의 수가 급속히 감소해감에 따라 노동요는 작업현장에서 분리되어 사설과 가락만이 전승되고 있으며, 따라서 해녀 노동요를 물질하는 현장에서 듣기는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해녀들이 불렀던 노동요의 가치를 살펴보고, 적극적으로 바다를 개척하며 불렀던 노동요를 통해 제주 해녀들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고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동화로 스토리텔링 하는데 의의를 둔다. Ⅱ장에서는 제주해녀의 노동요의 특성을 개괄하고 해녀노동요의 교육적 가치와 Ⅲ장에서는 제주해녀 노동요의 사례와 여성 의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제주해녀 노동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의 창작으로 동화의 창작배경, 동화의 구성과 스토리를 구상하였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그에 따른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 본 내용을 서술하였다. 동화 ‘진주의 바당’은 어린이들에게 제주해녀들의 역사와 문화를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어줄 것이며 교육, 문화산업으로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후에 진행 될 연구에서는 해녀문화 교재활용 등을 통해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해녀들의 정체성을 이끌어갈 인재양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며, 교육대상의 발달 단계에 따라 연령과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과 지역적 특색을 살리는 안목으로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The culture of Jeju Haenyos has been registered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2016. Generally, songs which people chant are inclined to describe, preserve,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ife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lluminate and re-evaluat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meaning of labor-songs that have been handed down by Haenyo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is study, I will also create a children story by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songs and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story. The songs have been chanted for Haenyos to express and represent their hardworking pains and distresses of their life on the one hand, and to reduce and alleviate them on the other hand. So they are involved in Jeju Haenyos’ social and cultural viewpoints and their perceptions of life and social environment. For the purpose, in chapter Ⅱ, I will look into the traits of Jeju Haenyos’ labor-songs and their implications of education. In chapter Ⅲ, the social and cultural consciousness of Jeju’s women will be examined by way of analyzing the songs. In chapter Ⅳ, first of all, the necessary compositional elements of fairy-tale are confirmed and looked over them. Then I design the concrete plan and contents for a creative children story reflecting the characters of the songs. After all, I write a creative fairy-tale, titled “ The sea of pearl.” In chapter Ⅴ, the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made-up story to the growing generation will be discussed and arranged. In conclusion, geneally, the children story will be of great help to the new generation’s understanding Jeju Haenyos’ way of life and thought including their history and culture. Besides the story is able to be a good example with which Haenyos’ songs can be appropriately utilized socially, culturally, and educationally for the new generations growing in Jeju in order to enhance their sense of identity and their consciousness of Jeju’s history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