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빈문고의 中國飜刻本과 그 가치-「近思錄」과 「韻府群玉」을 중심으로-

        영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is paper that is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Book Culture of East Asia deals with value and meaning of Geunsarok and Unbugunok belonging to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and printed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n other words, I proceeded to study focusing on Geunsarok and Unbugunok belonging to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which had been reprinted in Joseon in the process of importing Chinese edition printed in Song-Yuan Dynasty. Examining the real books, I inquired into pattern and circulation of the book exchange and found out new materials. Also I think this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origin and early form of Korean old books. In case of reprinting Chinese books imported in Joseon, they were reprinted as original forms or printed in new style maintaining original format. Also at first having reprinted as original forms, later they were printed in new layout making use of movable type. Based on Chinese books, Geunsarok and Unbugunok were reprinted as original forms. I consider that the comparison between reprinting of Song-Yuan books and original books remaining in Korea, based on the physical bibliography of Song-Yuan edition, will be helpful in clarifying influence and contents of Chinese books in East Asian Book Culture. 이 연구는 동아시아 서적문화에 관한 서지학적 고찰로 영남대 동빈문고 소장의 중국 번각본 중 고려말과 조선전기에 간행된 「근사록」과 「운부군옥」에 대하여 그 가치와 의의를 다루었다. 송・원시기 중국에서 간행된 서적이 조선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조선에서 간행된 번각본인 「근사록」과 「운부군옥」을 중심으로 영남대 동빈문고의 두 책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실물자료에 의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서적 교류의 유형과 유통 및 새로운 자료에 대한 발굴이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국내 고문헌의 원류와 초기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조선에 유입된 중국간본은 간본을 저본으로 하여 그대로 번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래의 판형을 유지하되 새롭게 중간하는 경우가 있다. 또 처음에는 간본을 그대로 번각하였다가 새로운 활자가 제작되면 해당 활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판식으로 간행하기도 하였다. 「근사록」과 「운부군옥」은 저본을 바탕으로 그대로 번각하는 경우의 예로서 그 방식을 잘 보여준다. 송・원간본의 형태서지적 속성을 바탕으로 고려・조선에서 간행된 송・원간본의 번각본들 중에서 현존하는 자료를 파악하여 한국에 남아있는 송・원간본과의 실증적인 예를 통한 확인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동아시아의 서적문화에서 중국 간행서적의 영향과 그 내용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16세기 퇴계학파의 서당 경영

        이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9 No.-

        Like the image in Kim Hongdo's paintings drawn in the 18th century, the Seodang is generally known as an elementary education space. It was not that there was not a Dongmong Seodang(童蒙書堂) which teacher teaches young children.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odang showed various forms of existence. In the 16th century Andong(安東) area, the Seodang, which was influenced by Yi Hwang(李滉)'s aspect of Seodang, was erected since he built the Gyesang Seodong(溪上書堂) and Dosan Seodang(陶山書堂). The Toegye school basically settled in a quiet and scenic place, away from the world, and used it as space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Yi Hwang, Kim Seongil(金誠一), and Ryu Seongryong(柳成龍), who had been in office, withdrew from the mediation and used the Seodang as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By the way, while Yi Hwang and Kim Seongil used the Seodang as a place to teach their disciples, Ryu Seongryong built the Seodang as the main purpose of his discipline. Accordingly, Kim Seongil erected the Seokmun Jeongsa(石門精舍) and the Okbyeong Seojae(玉屛書齋), and Ryu Seongryong ran the Wonji Jeongsa(遠志精舍) and the Okyeon Seodang(玉淵書堂). On the other hand, Jo Mok(趙穆) expanded the Wolcheon Seodang(月川書堂), which was the traditional Jo's family school, and used it as a space for students to learn the basics of their studies. They basically managed the Seodang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However, they managed to run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academic tendency and personal preference. 18세기 그려진 김홍도의 풍속화 속 이미지처럼 일반적으로 서당은 훈장에 의한 초등교육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훈장이 어린아이들을 가르치는 동몽서당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조선후기 서당은 이보다 다양한 존재 양상을 보인다. 이황이 계상서당과 도산서당을 건립하여 강학한 이래로 16세기 안동 지역에서는 그의 서당관에 영향을 받은 서당이 건립되었다. 퇴계학파는 기본적으로 세속으로부터 떨어져 조용하고 풍광 좋은 곳에 서당을 세워 藏修講學處로 활용하였다. 관직 생활을 한 이황ㆍ김성일ㆍ류성룡은 모두 조정에서 물러나 강학처로 서당을 활용하였는데, 이황과 김성일이 문인에게 학문을 전수하는 공간으로 서당을 활용한 반면, 류성룡은 자신의 수양을 주요 목적으로 서당을 건립하였다. 이에 따라 김성일은 석문정사와 옥병서재를, 류성룡은 원지정사와 옥연서당을 경영하였다. 한편, 조목은 기존의 가숙서당인 월천서당을 확장하여 문인들에게 학문의 기본을 다지는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도학형 서당을 경영하였으나, 각자의 상황과 학문적 성향 및 개인적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서당을 경영하였다.

      • KCI등재

        아버지 애착의 세대간 전이 : 탐색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옥정,방희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ternal attachment and mediation effect of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i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7 pairs of fathers and 24-month toddlers from dual-earner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dult Attachment Interview (AAI) and Stranger Situation Procedure (SSP) were administrated to classify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Also, ten-minute play session was included to assess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to their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s through AAI, autonomous type(F)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by 63.2%, followed by 19.3% with dismissing type(D), 12.2% with preoccupied type(E), and 5.3% with unresolved type(U/d). Conducting SSP to fi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father, results showed that 64.9% were classified as secure type(B), 15.8% as anxious-avoidant type(A), 15.8% as anxious-resistant type(C), and 3.5% as disorganized type(D). Second, the concordance of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of four-way classification was 58%, not significant in χ2test. But the concordance of three-way classification and two-way classification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χ2test (64.9%, 66.7% respectively). Third, the direct effect of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on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was not significant when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was controlled. This proved that paternal exploratory sensitivity fully mediated between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 애착표상이 유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안정성으로 세대간 전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아버지 탐색민감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맞벌이 가정의 아버지와 24개월 유아 57쌍을 대상으로, 성인애착면접(AAI), 낯선상황절차(SSP)를 실시하여 아버지 애착표상과 유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안정성 유형을 분류하였고, 아버지의 탐색민감성 평정을 위해 10분의 놀이회기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애착표상은 자율형이 63.2%로 가장 많았으며, 무시형 19.3%, 몰입형 12.2%, 미해결형 5.3%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안정성은 안정형이 64.9%, 불안-회피형 15.8%, 불안-저항형이 15.8%, 비조직형이 3.5%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애착표상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유형을 4범주 분류시 유형간 일치율은 58%로 χ2검증 결과 유의하지 않았으나, 3범주와 2범주 분류시 일치율은 64.9%, 66.7%로 모두 χ2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이는 아버지 애착의 세대간 전이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세째, 아버지 탐색민감성을 통제했을 때 유아의 애착안정성에 대한 아버지 애착표상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아버지 탐색민감성이 아버지 애착표상과 유아의 애착안정성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담배 다중사용과 우울감, 외로움, 불안과의 연관성

        옥정,임정선 대한금연학회 2023 대한금연학회지 Vol.14 No.4

        연구배경: 최근 국내에서 담배제품을 이중, 삼중 사용하는 청소년이 늘고 있다. 청소년에서 일반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의 단독 혹은 다중 사용과 정신건강지표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2022년도 제18차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담배사용 행태와 정신건강 지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총 51,850명의 청소년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으며, 교차분석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참여자 중 28.8%, 12.7%, 17.6%가 각각 우울감, 불안, 외로움을 보고하였다. 비흡연자 대비 일반담배 혹은 액상형 전자담배를 단독사용하는 경우 높은 우울감(adjusted OR, AOR 1.65, 95% CI 1.41-1.93 or adjusted OR, AOR 1.86, 95% CI 1.44-2.41), 불안(adjusted OR, AOR 1.38, 95% CI 1.12-1.69 or adjusted OR, AOR 1.40, 95% CI 1.01-1.93), 외로움(adjusted OR, AOR 1.75, 95% CI 1.47-2.08 or adjusted OR, AOR 1.78, 95% CI 1.35-2.35) 수준을 보였다. 일반담배와 액상형 전자담배 이중사용자와 삼중사용자 또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궐련형 전자담배 단독사용자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과거 흡연자는 비흡연자 대비 우울, 외로움, 불안 세 가지 정신건강지표가 모두 불량하였다(adjusted OR, AOR 1.64, 95% CI 1.50-.1.79 for depressive mood, adjusted OR, AOR 1.40, 95% CI 1.25-1.58 for anxiety, and adjusted OR, AOR 1.53, 95% CI 1.38-1.69 for loneliness). 삼중사용자 역시 세 가지 지표 모두 불량하였다. 결론: 국내 청소년 담배사용자에서 정신건강지표가 전반적으로 불량하였다. 국내 청소년에서 증가하고 있는 담배제품 사용행태와 전반적인 정신건강상태를 고려할 때 적절한 중재가 시행되어야 한다. Background: The associations between multiple tobacco products, such as combustible cigarettes (CCs), heated tobacco products (HTPs), and electronic cigarettes (EC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have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or multiple uses of tobacco products and mental health indices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from the 2022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re analyzed, and participants included 51,850 individuals aged 13-18 year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Of the total participants, 28.8%, 12.7%, and 17.6% reported depressive mood, anxiety, and loneliness, respectively.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the CC or EC single users showed a greater likelihood of having depressive mood (odds ratio [OR], 1.65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1.93] or 1.86 [95% CI, 1.44-2.41]), anxiety (OR, 1.38 [95% CI, 1.12-1.69] or 1.40 [95% CI, 1.01-1.93]), and loneliness (OR, 1.75 [95% CI, 1.47-2.08] or 1.78 [95% CI, 1.35-2.35]) than never users. The dual (i.e., CC and EC) and triple (i.e., CC, EC, and HTP) users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status, whereas HTP-only users were not. Depressive mood, anxiety, and loneliness were associated with former users. Triple use was associated with a poor mental health status. Conclusion: Considering the poor mental health status and increasing trend of using multiple tobacco products among Korean adolescents, tobacco control policies should monitor the effects of different products.

      • 고구려금석문에 보이는 조선어적특성

        명심(玉明心)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5 중국조선어문 Vol.2015 No.4

        광개토왕릉비를 비롯하여 고구려시기에 이루어진 금석문에 나타나는 조선어적특성을 어휘, 토, 어순으로 나누어 설명하면서 그것이 한어와 명백히 구별되는 조선어의 고유한 특성이라는것을 해설하였다.

      • KCI등재

        정지용의 「옥류동(玉流洞)」과 이백의 「망노산폭포(望盧山瀑布)」비교연구

        박명 ( Park Myongok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7 No.-

        Jung Jiyong seems to have agonized over the kind of poetry he wanted to cultivate in colonized Chosun which, having lost its unique Oriental aesthetics amid th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was now pursuing a new, Western version of aesthetics. Thus in 1938 he presented "A Note on Jo Taekwon, A Fresh Oriental Dancer" as if it was meant to reflect his agony. "Poetry exists in the Orient," he said, carefully revealing in it the type of poetry that he had intended to explore with references to Oriental art and poetics. In the choreography of Jo Taekwon who studied Aesthetic of the Orient and Courtesy of Chosun, Jiyong wanted to find some cues for his poetry. Jo Taekwon was a choreographer who, together with Choe Seunghee, took tutorial lessons from their Japanese teacher Yisiyi Baku (石井漠) and studied in Paris. He and Jiyong were close friends. Having landed in Paris to major in Western choreography and learn about the West, Jo realized that what he had to do in Paris, the center of Western choreography, was to pursue Oriental traditions. Jiyong took notice of Oriental aesthetics because he created a method to show the realistic and historical aspects of colonized Chosun in an indirect, circuitous manner. What he created was a form of poetry in which the self and the thing completely merge with one another while the writer remains totally hidden behind his poems. However, he actually exists inside his poetry in a latent form instead of completely disappearing therefrom. Jiyong borrows, rather than quoting, from Oriental classics in order to broaden his world of art. He was fond of reciting the Shih Ching and T'ang Poem while creating (石井漠) wherein classics and modernism blended. Yi Baek lived his life as a wanderer under adverse circumstances. And yet he contemplated on the mundane world, wherein he sought beauty and solace while transcending secular interests and gains and losses. One may thus conclude that, though set apart in time and space, Jiyong and Yi Baek pursued a similar kind of poetry in which the self and object fused into one amid the beauty and permanence of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