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통령 후보의 은유적 메시지에서의 판타시아(시각성)와 에나르게이아(생동감) -- 한국 19대 대통령선거의 주요 후보를 중심으로 -한국 19대 대통령선거의 주요 후보를 중심으로 -

        허만섭 한국수사학회 2019 수사학 Vol.0 No.35

        이 연구는 “감탄을 자아내는 은유의 힘이 판타시아(시각성)와에나르게이아(생동감)에서 나온다”라는 수사학 논의가 현대 대통령 후보의 은유적 메시지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실증한다. 한국 19대 대선에 출마한 문재인·홍준표 후보의 발언에 대한 분석결과는 대선후보들이 관념적인 선거 메시지를 시각성과 생동감이 있는 새로운 이미지에 자주 비유하는 점을 보여준다.추격하는 후보는 선두 후보를 공격하기 위해 이런 새 은유를 더적극적으로 개발했다. 또, 후보들은 문어체의 어휘를 익숙한 이미지의 사은유로 대체해 시각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통령 후보들이 특정 수사적 상황에 대처하는 새 은유나 사은유를 반복해 대형 선거 메시지로 만드는 점이 발견됐다. 이 소수 은유는 판타시아나 에나르게이아 같은 시각적 감탄요소와 반복적 진술로 인한 프레이밍 작용으로 인해 대선의중심 메시지가 되는 것으로 설명됐다. The present study contends that metaphor is a visual device, and its power of persuasion comes from the phantasia (visibility) and enargeia (liveliness) that it lends to the messages conveyed by contemporary presidential candidates. The paper applies this insight to an analysis of the public speeches of South Korean presidential candidates Moon Jae-in and Hong Jun-pyo, which demonstrates that presidential candidates frequently create new metaphors that create visual cognates of their personality, agenda, or policies (or those of their competitors), in this way using the power of phantasia and enargeia.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presidential candidates often utilize hackneyed or 'dead' metaphors when referring to clichéd issues. One hypothesis that may explain the use of such dead metaphors is that they are very familiar to people and in this sense have a type of visibility, so presidential candidates enjoy using them despite their lack of liveliness. Moreover, the paper's findings indicate that compared to the candidate who is winning, the candidate who is losing is more prone to develop new metaphors and to repeatedly use them to attack the candidate who is in the lead. However, with regard to the use of dead metaphors, there is less difference between the candidates. Finally, the study demonstrates that presidential candidates strengthen their campaign messages by reiterating new and dead metaphors which have phantasia or enargeia. Moon and Hong had to deal with issues which required rhetorical responses, which I call “rhetorical situations”, such as impeachment, the left-right ideological conflict, and Hong's improving approval rating. As rhetorical responses, between them they used the political metaphors “candlelight,” “aristocratic union,” and “southeastern storm” 22 times, 24 times, and 12 times, respectively.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at do not recommend the repetition of metaphors,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when the use of metaphors is involved in an election, message-framing through repetition becomes more critical.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political metaphors play an essential role through their employment of the visual elements of phantasia and enargeia, which inspire admiration for the user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aphors repeatedly used by presidential candidates are not mere decorative phrases, but instead mark the distillation of the many messages which emerge during a presidential election.

      • KCI등재

        취업용 자기소개서에 관한 내용분석과 제언: 기자직 지원자를 중심으로

        허만섭,박재영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언론사 기자직은 대학 문·이과 계열의 여러 전공 출신자가 지원하는 인기 직종이어서 기자직 자기소개서들은 젊은 구직자의 일반적인 자기소개서 작성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기자직 희망자 394명의 인적 특성과 자기소개서 내용을 35개 유목으로 코딩해 교차분석과 빈도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기자직 희망자는 자기소개서에 성실함 등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일반적 자질을 가장 많이 서술했다. 이어 직업윤리와 사회봉사 관련 내용을 자주 썼다. 그러나 지원 분야의 전문적 실무, 디지털 실무, 상업적 성격과 관련된 직무역량과 협업을 위한 인성을 덜 중요하게 취급했다. 자기소개서의 자기 서사는 글쓴이의 역량·인성의 탁월성 및 지원 분야와의 유관성을 입증해야 하는데, 검토된 자기소개서들은 역량·인성 관련 자기 서사가 빈약했다. 반면, 구인자인 언론사들은 언론 실무경험을 기록한 지원자들을 우선 선발했다. 이렇게, 자기소개서 작성자 대부분은 상위권 대학 출신임에도 자기소개서의 속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또, 국내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들의 이론·실무 융합 교육이 학생들에게 자기소개서의 소재로 쓸만한 실무경험과 역량을 제공하지 못하는 점이 확인된다.

      • KCI등재

        문화자본론 관점에서 본 영화 <기생충> -현대적 아비투스 계급의 발견-

        허만섭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9 No.-

        This study analyzes the eight main scenes from the film “Parasite” (2019, Bong Joon-ho) through the prism of Bourdieu’s discussion of cultural capital. The results show that “Parasite” vividly visualizes the idea that, in the modern society, the boundaries between the lower and upper classes are blurred, and that discrimination is perceived culturally and intermittently. The family of a capitalist (Park Dong-ik) is only vaguely distinct from that of a worker (Kim Ki-taek, Park’s chauffeur); the superior cultural capital of Park’s family in fields such as language and education is created through the habitus shared by wealthy families. The disgust of the upper class to the habitus of the poor, which i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class structure in the cultural capital framework, appears in the film in the form of the sneaky contempt of Park’s family towards Kim family’s semi-basement odor. Kim notices the class distinctions through perceiving this contempt, and this recognition triggers bloodshed that results in Park’s death. Symbolic violence as a mechanism to force obedience to the class distinctions soon regains its control over the working family’s consciousness. Becoming an underground hermit in Park’s mansion, Kim loses his dignity, freedom, relationships, and habitus for the sake of getting the minimum nutrients for his survival. “Parasite” is based on the discussion of cultural capital, but goes beyond the obedience to the class distinctions and suggests the extreme of symbolic violence, which is considered parasitism. 이 연구는 영화 <기생충>(2019·봉준호)의 8개 주요 장면을 문화자본론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현대사회에서 계급 간 경계는 희미하게 나타나며 계급 차별은 간헐적으로만 지각된다’는 문화자본론이 이 영화에서 재현되는 점이 발견됐다. 이에 따르면, 자본가(박동익) 가족은 ‘가족 아비투스(취향)’에 따라 의식주 등 각 ‘장’에서 노동자(김기택) 가족과 ‘경계’를 만들고 ‘우월적 문화자본’을 생산한다. 빈곤층이 상류층의 문화자본을 존경하며 닮는 ‘계열체’ 양상을 보이면서 계급 차별은 ‘존재하지만 없는 듯한 양상’을 보인다. ‘무산계급의 취향에 대한 부르주아의 혐오’는 ‘김기택 가족의 반지하 냄새에 대한 박동익 가족의 은근한 멸시’로 나타난다. 이 차별에 대한 김기택의 인지는 분노와 유혈 참사로 이어진다. 그러나 지배계급에 대한 자발적 복종을 유도하는 ‘상징폭력’ 기제는 다시 노동자 가족의 의식을 지배한다. 박동익 저택 지하에 은거하게 된 김기택은 ‘숙주’로부터 생존에 필요한 최소 영양소를 얻는 대신 존엄, 자유, 관계, 아비투스를 모두 잃는다. <기생충>은 ‘계급구조로의 복종’이라는 문화자본의 기존 상상력을 뛰어넘어 ‘이 구조로의 기생’이라는 ‘상징폭력의 극단’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기생충>에서 ‘문화적으로 그리고 점멸식으로 나타나지만 거의 영속적으로 지속하는 현대적 아비투스 계급’을 찾아낸다. 이 과정에서 계급 관계의 주요 요소와 기생(parasitism)이라는 새 장치는 명료하게 분석된다. 이렇게 이 연구는 <기생충>에서의 발견을 토대로 ‘현대에도 계급은 존재하는가?’라는 보편적 물음에 답하고 있다.

      • KCI등재

        디지털시대 언론 전문직주의의 위기와 변화

        허만섭,박재영 한국지역언론학회 2019 언론과학연구 Vol.19 No.4

        In recent years, under the influence of YouTube, social media, and mobile devices, the status and function of a journalistic profession have been rapidly chang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that have emerged due to digitization by analyzing relevant research trend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recent tendency not to include journalists in the professional group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main reasons are the de-boundedness of media jobs and open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due to digitiz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digital platforms (e.g., Google, Facebook, Apple, and Kakao), which combine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have spread nationally and globally. These platforms facilitate news collection and access to information, providing channels to transfer this information to the public. Accordingly, the amount of audience- generated content has exploded. Journalists, on the other hand, have lost the jurisdiction of exclusively holding and controlling press work,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professional boundaries. Furthermore, the crisis of journalism has been exacerbated by the dilution of journalist identity, increased multimedia chores, and weakened public services in news reporting. The results also highlight the merits of audience content, such as vividness, immediate sharing with other users, social influence, public service, and convenience of production. In this context, journalists have sought to transform journalistic occupations into digital environments by accepting the audience’s content to the new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arguing that it is ‘technology,’ not ‘content,’ that shocks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and resets journalists’ fate. 유튜브, 소셜미디어, 모바일 기기의 영향으로 저널리즘의 주체인 언론 전문직의위상과 기능이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다. 이 논문은 관련된 국내외 연구 동향을분석하는 방법으로 디지털화 이후 언론 전문직주의의 위기와 변화상을 추적했다. 분석결과는 최근 한국, 미국, 유럽 등에서 언론직을 전문직에 포함하지 않으려는 경향성이 나타나는 점을 보여준다. 이어. 그 핵심원인으로 디지털화에 따른 언론직의 탈경계(de-boundedness)와 수용자의 열린 참여(open participation)를 제시한다. 이에 따르면, 정보의 생산․유통․소비를 융합하는 디지털 플랫폼(digital platform, 예: 구글, 페이스북, 애플, 카카오)은 지구적으로 혹은 국가적으로 확산했다. 이로 말미암아 ‘정보를 수집하는 일’과 ‘이를 다수에게 전송할 미디어를 확보하는 일’이 수월해지자 수용자가 뉴스나 공공정보의 생산에 직접 참여하는 길이 열렸고이에 따라 수용자 창작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반면, 언론인들은 보도업무를배타적으로 보유하고 통제하는 관할권을 점차 잃어 직업적 경계를 유지하지 어렵게됐다. 나아가, 기자 정체성의 희석, 멀티미디어 잡무의 증가, 보도의 공공성 약화로언론직의 위기가 더 심각해진 것으로 파악됐다. 분석결과, 수용자 콘텐츠가 경쟁력 을 갖게 된 요인은 현장성과 시각성, 공유의 즉시성, 사회적 반향, 공공성, 제작 편이성으로 제시된다. 위기에 대응하는 반동도 관찰됐는데, 기자들은 수용자 콘텐츠를뉴스에 포섭하는 방식 등으로 언론직을 디지털 환경에 맞게 변형하려고 했다. ‘콘텐츠’가 아닌 ‘기술’이 언론 전문직주의에 충격을 주고 언론인의 운명을 재설정하는 양상을 세밀하게 규명한 점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통령에 관한 부정적 뉴스콘텐츠의 흐름과 추세: 코멘테이터와 코멘터리 문제를 중심으로

        허만섭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4

        The present study explored streams and trends of negative news content about the president and which commentators have constructed the content with their commentary. A keyword trend analysis on big data indicates that 404,375 negative news articles about South Korean presidents have been reported in 13 nationwide newspapers and terrestrial television channels over the past 32 years. In 2022, the number of related articles reached an annual record, an increase of 20.83 times compared to 1990 and more than in 2016 and 2017, when a Korean president was impeached. The keyword network and word cloud show that commentaries from commentators in the opposition party have commonly filled the negative articles about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resident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criticism, offensiveness, controversy, and suspicion of the president’ and ‘the opposition party’ have appeared in the news in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xpansion of negative news articles about the president in the 24-hour news era. In addition, it argues that these reports could cause some issues due to the bias of sources.

      • KCI등재

        국내 언론의 출입처 의존과 뉴스의 심층성 문제: <한겨레>와 <뉴욕타임스> 교육기사 비교

        허만섭,박재영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1

        이 연구는 면대면 취재 제약을 받는 팬데믹 기간 한국·미국 신문의 출입처 의존과 뉴스의 심층성을 비교했다. <한겨레>와 <뉴욕타임스> 교육기사 150건을 분석한 결과, 기사 내 출입처 비중에서, <한겨레>는 <뉴욕타임스>보다 평균 2.9배 컸다. 학생, 학부 모, 시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비중에서, <뉴욕타임스>는 <한겨레>보다 6.7배 컸다. 심층 성에서, <뉴욕타임스>는 <한겨레>보다 7.5배 많은 투명취재원, 2.3배 많은 관점, 2.6배 많은 이해당사자를 제공했다. 독창성에서도 두 신문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적 분 석에서, <한겨레>는 등록금 반환 소식을 전하면서 당사자인 대학생 취재원을 두지 않았 다. <뉴욕타임스>는 ‘뉴스의 주인은 행정기관이 아니라 코로나19로 달라진 삶을 사는 보통사람들’이라는 점을 드러냈다. 이 연구는 국내 언론이 과도한 출입처 의존 관행에 서 탈피해 기사에 다른 목소리와 이야기를 대폭 반영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품질경영 레토릭과 시청자 반응: 삼성 회장의 ‘초일류’ 발언을 중심으로

        허만섭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5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the quality management rhetoric commonly used by Korean CEOs tends to be composed and perceived by the public. To this end, articles of the remarks of Lee Kun-hee, the second founder of Samsung, are analyzed. The results show a rhetorical structure of quality management where the CEO offers a persuasive theme (quality management for a super-class enterprise) and practical measures (innovation and performance-based promotion) while coping with a rhetorical situation (an economic cris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sponse of 308 Korean college students who watched a video of Lee's remarks indicates that the more conservative the viewers are and the more they perceive the CEO’s charm and expertis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support the CEO’s quality management rhetoric. The conservative viewers favorably responded to the entrepreneurship in the quality management rhetoric, while the progressives recognized the rhetoric as part of Korean-style neoliberalism that alienates ordinary workers.

      • KCI등재

        넷플릭스 킬러콘텐츠 <오징어 게임>의 해외 연구 동향: 체계적 문헌 고찰

        허만섭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4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Squid Game, the most-watched content on Netflix, which is the world’s largest digital OTT media service. In this study, 148 non-Korean literature related to this series formed a mainstream discourse in society, video, digital media, and Hallyu research areas. Concepts of games, imperialism, language, ethics, religion, and education expanded research diversity. Although the series is “Netflix platform content” and “creative K-drama,” literature has focused on “creative K-drama.” Keywords typically linked “universal aspects” such as social inequality, “indigenous elements of Korean society” such as temps/debt and North Korean defectors, and “unique flourishes” such as game activities in huge sets. The results revealed that Hallyu, unlike capitalism-friendly Hollywood, seeks local-based, hybrid, and alternative globalization. Furthermore, this review proposed some strategies to deepen K-drama discourse, such as digital popular culture, social media virality, new underdog, and culture-specific concepts. 본 연구는 세계 최대 디지털 OTT 미디어 서비스인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된 콘텐츠인 <오징어 게임>의 해외 연구 동향을 체계적 문헌 고찰로 파악했다. 148편의 이 시리즈 관련 비한국어 문헌은 사회, 영상, 디지털 미디어, 한류 연구 영역에서 주류 담론을 형성했다. 게임, 제국주의, 언어, 윤리, 종교, 교육 영역은 보완적으로 연구 다양성을 확대했다. 이 시리즈가 넷플릭스 콘텐츠라는 점에 주목한 문헌은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제국주의, 영상의 관점으로 이 시리즈를 주로 탐구했다. 그러나 다수 문헌은 플랫폼의 종속변수가 아닌 독립된 K-드라마로 이 시리즈를 인식했다. 연구 키워드들은 이 시리즈에 내재한 사회적 불평등 같은 ‘보편성’, 비정규직/개인채무, 탈북자 같은 ‘한국 사회의 토속성’, 거대한 세트장에서의 게임 활동 같은 ‘독특한 볼거리’를 자주 연결했다. 이는 한류가, 자본주의 친화적 할리우드와 달리, 지역 기반의 혼성적 대안적 세계화를 모색해온 점을 반영한다. 또, 이번 고찰은 디지털 대중문화, 소셜미디어 바이럴리티, 뉴언더독, 문화권별 개념 등 K-드라마 담론을 심화시킬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KCI등재

        20대 대선 후보 TV토론에서의 오류 사용에 관한 질적 연구

        허만섭,Heo, Man-Sup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how fallacies, arguments that seem valid but are not, appear in 2022 South Korean presidential debates. It qualitatively analyzes the candidates' remarks in the first and last presidential debates (240 minutes) using 20 formal and informal fallacy concepts as a theoretical framework. Results show that the three candidates used 23 informal fallacies from 15 categories, including the straw man, red herring, begging the question, complex question, hasty generalization, appeal to the masses, and you too. The candidates relied on fallacies to defend their image and electoral agenda from adversary attacks and to contaminate their opponent's image and agenda. The arguers, who struggled with tough questions, frequently made fallacies as pseudo-arguments to avoid the situation without lying and violating election law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fallacy system can be a framework for analyzing crucial political content. Moreover, it warns against the abuse of fallacies in TV deb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