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협 생산자 조직의 생산-소비관계 변화

        허남혁(Nam Hyuk Hur) 한국농촌사회학회 2009 農村社會 Vol.19 No.1

        전세계적으로 산업화된 글로벌 먹거리 체제에 대해 대안적인 먹거리를 추구하는 운동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고 학문적으로 90년대 후반부터 대안농식품네트워크(AFN)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지난 20여년간 급속하게 성장해온, 농촌 생산자 기반의 생산자 생협인 홍성 풀무생협을 사례로, AFN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생산-소비 관계에 대한 초점을 중심에 두면서 생산자 생협의 생산-소비관계가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 그리고 최근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를 생산-소비관계의 표상(representation)과 실제(practice)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1990년대 중반까지 서울 수도권 단위생협과의 1대1 직거래 배송방식이었던 것이 1990년대 후반부터 생협 물류연합체들과의 거래로 바뀌면서 생산-소비관계에 일대 변화가 발생하였다. 둘째, 그와 함께 풀무생협의 조직성격 역시 생산자조직이면서도 지역생산-지역소비지향의 종합적 생협조직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던 것이, 2000년대 들어 본격적인 유기농 산지생산자 조직의 성격으로 바뀌게 되었고 2000년대 들어 국내의 선도적인 유기순환적 지역농업모델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게 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셋째, 생협 물류연합체와의 거래를 통해 점차 과거의 독과점적 생산지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고 거래조건이 점차 악화되면서, 생협 유통 이외에 일반 시장유통 및 가공업체로의 판로 다각화와 1차생산물 판매수익의 하락에 따른 가공·축산부문의 확대 전략을 취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전처리-위탁가공까지도 참여하면서 친환경 유기농산물을 산지에서 유통하는 `산지유통조직`으로서의 정체성이 점차 커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아직까지 풀무생협의 생산-소비관계는 지역의 중소농에 기반한 친환경 유기농산물의 지역순환적 생산과 생협운동방식의 직거래 소비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AFN의 성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친환경 유기농 시장의 급성장으로 인하여 생협유통 자체가 규모화, 관행화되고 그로 인한 리스크를 축소하기 위해 풀무생협이 적극적으로 일반 시장유통에 뛰어들고 있다는 점에서 관행적 생산-소비관계와 서로 혼종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food production-consumption relationship (PCR)-the main focus of alternative food networks (AFN) literature-through the case study of Pulmoo food co-op, which has its foundation on the rural organic farmers, and showing how the PCR of the producers` co-ops have been changed through times around the representations and practices of the PC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CR of Pulmoo had changed so much from the 1:1 direct distribution for the consumers` co-op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ntil mid 1990s to the distribution for the logistics association centers of consumers` co-ops since late 1990s. Second, the nature of the Pulmoo organization also had changed from as the organic food producers` group as well as the local consumers` co-op to the mainly organic producers` organization since 2000 of which trend have been strengthened as the Pulmoo have got the role of the leading regional organic farming system model. Third, as the Pulmoo gradually have lost the monopolistic supplier status for organic products as well as the worsened trade terms such as price and price·quantity decisions to the logistics association centers of consumers` co-ops, it has been diversifying i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rategy: distributing general market outside the co-op distribution and food processing companies, and focusing the self-processing and livestock production sector. As such, Pulmoo has get an identity mainly as a `on-site distribution organization` which distributes organic products directly to the general markets as well as consumers co-ops participating in the preprocessing and processing on commission. In conclusion, although the PCR of Pulmoo has retained the nature of AFN in terms of the organic production system based on the local small farmers as well as the direct distribution to the consumers co-ops, it is revealing the hybrid nature with the conventional PCR as Pulmoo is actively engaged in the general organic market distribution to reduce its risks from the rapid growth of its organization and investments in the age of the conventionalization of organic food market.

      • KCI등재

        텃밭 공간을 통해 본 여성과 장소의 정치

        정은정(Eun Jeong Chong),허남혁(Nam Hyuk Hur),김흥주(Heung Ju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2

        이 연구는 지역공동체지원농업(CSA)의 여러 방식 중에서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의 "언니네텃밭" 사업을 사례로 하여 이의 특성과 정치사회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 사업은 여성농민들이 주체적으로 나서서 여성들 간의 연대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여성농민운동사 뿐만 아니라 여성운동사에서도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식량주권"의 논의를 확장시키고 이를 실현하려는 중요한 방법으로 꾸러미 사업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강한 운동성과 지역성을 가지고 있는 사업이다. 이 논문의 분석 장치는 Escobar와 Harcourt가 제안한 여성과 장소의 정치(Women and the Politics of Place:WPP) 프레임이다. 이를 통해 "언니네텃밭" 사업의 주체인 여성농민들의 몸, 환경, 경제 영역의 차이와 다양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여성 농민들은 이런 일련의 경험을 통해 몸의 재체화(reembodying), 환경의 재배태화(reembedding), 경제의 재지역화(relocalizing)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글로벌 차원의 지적·정치적 활동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무엇보다 "언니네텃밭" 사업은 "텃밭"이라는 가장 작은 장소에 기반을 둔 운동이지만, 이 작은 장소에서 도시의 여성소비자와의 연대를 바탕으로 식량주권을 실현함으로써 현재의 세계화된 먹거리체계를 생태적으로 재지역화하고자 하는 초국적 농민운동의 비전을 보여주었으며, 일상적으로 실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언니네텃밭" 사업은 지금까지 사회적 배태성과 운동성, 시장성과 도구성을 적절히 조화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추후 과제는 과연 "언니네텃밭" 사업이 지금의 약한 형태의 CSA로 남아 있을 것인지, 아니면 보다 강한 형태의 CSA로 발전할 것인지 여부이다. 그리고 이는 참여 주체들의 강한 동기부여와 역량강화(empowerment)에 의해 결정되는 매우 유동적인 주제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anings of the "sisters" kitchen garden` project of the Korean Women Peasant Association(KWPA), which is a kind of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s(CSAs). Unlike other CSAs or box schemes in Korea, this project can be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case in terms of the history of the women peasant movement as well as feminist movement in Korea, in that women peasants have been successful of this solidarity project as the main subjects. Most of all, this project is based on the strong social movement as KWPA approaches are based on food sovereignty concept. This article theoretically borrows the WPP(Women and the Politics of Place) frame suggested by Escobar and Harcourt, through which the differences and diversities of the body, environment, and economy sphere of the women peasants are analysed. Thay are performing the processes of reembodying of the bodies, reembedding of the environment, and relocalizing of the economy by their project experiences, which are connected to global intellectual·political activities, as the WPP frame suggests. This project is based on "kitchen garden" which is a small private place, but they envision and perform the global peasants movement everyday which is ecologically relocalizing the current global food system by realizing food sovereignty in terms of solidarity with urban women consumers from the small "kitchen garden". It could be extended because of the good balance between social embeddedness and progressiveness, marketness and instrumentalism. The next step is whether it remains to be a weak type of CSAs or it develops as an strong type of CSAs. That must be an highly fluid theme depending on the strong motivation and empowerment of the participating subjects.

      • KCI등재

        농촌지역 환경갈등과 농촌주민 환경운동의 역할과 의미

        이영민(Young Min Lee),허남혁(Nam Hyuk Hur) 한국지역지리학회 200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7 No.4

        최근 우리 사회에서 빈번하게 목격되는 환경이념과 개발이념 간의 갈등은 대체로 지역의 문제로써 표출되는데, 팔당 상수원 보호구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자연자원의 개발을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지역주민들과 수도권 전체의 공익을 위한 맑은 물 확보 차원의 정보의 노력이 상충되고 있는 현장인 것이다. 더욱이 환경보호가 핵심키워드로 인식되고 있는 작금의 상황은 중앙의 환경단체들이 정부 편에 서서 지배담론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생존권 확보를 위한 지역주민들의 저항담론을 약화시키고 있고, 따라서 극한 대립의 상황에까지 이르게 하였다. 이러한 갈등의 구도 속에서 매우 인상적인 중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바로 유기농업운동이다. 이는 정부와 지역의 첨예한 대립을 완화시키고, 소위 윈-윈(win-win) 전략의 수립이 가능한 방향으로 지역주민들을 설득해가고 있다. 이는 또한 "지속가능한 발전", 혹은 "지탱가능성" 이념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써 이 지역에서 뿌리를 내려가고 있다. 환경규제에 맞서서 싸우고 있는 지역에서 오히려 혁명적인 친환경적 지역발전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는 본 지역에서의 상황이 다소는 역설적으로 들릴 수 있으나, 이는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서 앞으로도 계속 겪게 될 환경보존과 지역발전의 대립 구도 해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방향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society has frequently seen the conflicts between environmentally oriented ideology and development ideology which generally take shape as regional problems. An interesting example is the case of Paldang water resource protection area in Yangpyung-kun, Kyunggi Province. At the area, the rural residents are trying to take regional development by utilizing as much as natural resource in the region, and the central government is trying to make clean water sustained for the public interest of the whole people living within the supplying area of the water resource. Accordingly, the conflict is inevitable. It is the role of environmental movement group that makes us pay attention to this region. Under the present situation regard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s a core keywor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groups tend to stand on the side of the central government. That is, those groups let the government consolidate its dominance discourse, which help the resistance discourse of the residents weakened. This basic structure of relationship sometimes touches off the situations of antagonistic confrontation. It is the group for organic farming movement on the region that is playing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It has eased severe confrontation, and has persuaded the residents, expecially the farmers, to accept so-called win-win strategies which are related with various kind of organic farming. The agriculture can be regarded as a win-win action because it is a way of farming adapted to the protected natural environment. It is taking firm hold in this region as an alternative which can satisfy the ideology of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It could give us a kind of paradoxical confusion that the strategies of regional development of pro-environment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region where the residents are fighting against the government`s strict control of natural environment. The example of this region, however, could show a significant direction for solving the continuous problem of conflict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글래컨의 지리환경사상사 연구와 그 함의

        최병두(Byung Doo Choi),허남혁(Nam Hyuk Hur),심승희(Seung Hee Shim),진종헌(Jong Heon Jin)추선영(Sun Young Choo)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2

        본 연구는 사우어학파의 일원인 글래컨이 1967년에 출판한 『로도스 섬 해변의 흔적』이라는 방대한 지리환경사상사 연구가 나오게 된 개인적·사회적 배경과 구성체계 및 특성, 그리고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이 책은 고대부터 18세기말까지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서구의 사고를, 설계된 지구(설계론), 환경의 영향론, 환경에 대한 인간의 영향이라는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 시대별로 이 3가지 사고가 어떻게 전개 되어 왔는지를 수많은 원전을 포함한 방대한 문헌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는 이전까지는 이렇게 방대한 작업의 선행연구가 지리학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시도된 적이 없었다는 점에서 매우 독창적인 연구이며, 특히 세번째 사고인 환경에 대한 인간의 영향 문제를 성찰하게 함으로써 1960년대와 70년대에 촉발된 환경·생태 운동의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 속에서 지리환경사상에 대한 관심은 ‘생태학적 전환’을 겪는 등 날로 확대·발전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은 이 책이 가지는 시대적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해 인간-자연 관계에 대한 사고를 담론분석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또 기본적 전제로 인간-자연 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를 지양하면서 대안적인 자연에 대한 상상력을 지향하는 다양한 흐름들이 출현하고 있다. 1967 by Glacken who was a member of Sauerians. This book was a wide ranging one which traced three notions on nature and culture in western thoughts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 th century. These three notions included designed earth, environmental influence on humans, human influence on environment. And this book was very creative that there was never an attempt to study this theme in other disciplines as well as in geography previously. Especially, this book’s emphasis on the human influence on environment encouraged ideologically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ovement in 1960’s and 70’s. Currently to overcome the limits of this book, new trends of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ideas are the analysis on the discourses in man-nature ideas, and the avoidance binary thoughts on man-nature.

      • KCI등재

        농업보조금의 정책구조와 함의

        이관률(Kwan Ryul Lee),허남혁(Nam Hyuk Hur),강마야(Ma Ya Ka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4 農村社會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보조금의 재정사업과 조세사업을 모두 포함하여 농업보 조금의 정책구조를 분석하는것이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일반정책이론의 정책구조분석모형을 응용.채택하여서 2013년 기준 정부의 공식보고서들을 토대로 농 업보조금의 정책구조를 제도 및 환경ㆍ투입ㆍ집행ㆍ성과ㆍ환류측면에 따라 분석변수 를 직접 코딩하였고 검증방법으로 ANOVA와 X2-test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보조금을 기존 재정사업 중심에서 탈피해 조세사업까지 포함해야 한다. 둘째, 농업보조금은 사업목적(투입, 혁신, 소득)과 집행방식 (재정, 조세)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셋째, 농업보조금은 제도 및 환경, 투입, 집행, 성과, 환류측면에서 구조적 문제를 갖고 있다. ① 제도 및 환경측 면에서는 WTO 규정 상 감축보조에 해당하는 농업보조금 비중이 높고 다수의 유 사한 목적을 가진 사업 존재, ② 투입측면에서는 융복합형 사업비중이 낮은 점, ③ 집행측면에서는 정책영역이 생산요소 투입지원과 경영소득 지원으로 국한되어 장 기간 추진되고 있지만 지원기간은 1년이라는 집행구조, ④ 성과측면에서는 대부분성과지표가 없고 사업목표와 수단 간 불일치하고 있다는 점, ⑤ 환류측면에서는 통제수단과 사후평가제도가 미약하고 일몰제가 대부분 적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 다. 그러므로 향후 농업보조금의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함의로서 첫째, 재정사업과 조세사업을 포괄한 통합적 논의구조를 만들고, 둘째, 사업목적과 사업내용에 따라 재정사업과 조세사업의 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해서 추진해야 하고, 셋째, 농업보조금의 유형별로 차별화하여 추진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그간 농업보조금의 비효율적 운영 원인을 정책대상의 문제로 접근하던 시각보다는 합리적인 제도설계ㆍ집 행 등 정책개선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nalyzing the policy structure of agricultural subsidy programmes including both public finance and tax programmes. It adopts the policy structure analysis model from the general policy theory as the main research method, and it coded the analysis variables in terms of five stages by author . institution and environment, input, implementation, performance, and feedback based on formal 2013 reports of the government, and it did ANOVA and -test as verification. The main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agricultural subsidy programmes has to include tax related programmes beyond public finance-oriented focus. Second, agricultural subsidy programmes can be classified as six types in terms of the aim of the programmes(input, innovation, income)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type(finance, taxing). Third, current agricultural subsidy programmes has structural problems in terms of all the five stages . institution and environment, input, implementation, performance, and feedback. (1) On the institution and environment stage, the ratio of WTO amber box type subsidies is high, and many programmes has similar policy goals. (2) On the input stage, the raio of the fusionized-combined type programmes is low. (3) On the implementation stage,policy coverage is limited to input subsidies and farm income subsidies. And although policy implementation period is long, the subsidy term is segmented by one year. (4) On the performance stage, most of the programmes has no performance indicators, and policy goals are mismatching with policy instruments. (5) On the feedback stage, there is the weakness of instrument and assessment mechanism, and in most cases sunset system is not applied. In conclusion, it suggests four poi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subsidy programmes. First, the integrated discussion structure including both the public finance and tax programmes is needed. Second, the functions of the public finance and tax programmes should be organically connected. Third, the programmes should be differentially implemented as the types of the agricultural subsidy. Finally, the efforts to improve policies such as more rational institu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should be done first rather than the perspective that the objects of the policy is the main cause of the inefficient management of the agricultural subsidies.

      • KCI등재

        우리나라 로컬푸드 원칙의 인식구조와 준수실태

        이관률(Kwan Ryul Lee),송주연(Ju Youn Song),허남혁(Nam Hyuk Hur)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적으로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는 로컬푸드 원칙에 대한 인식도와 준수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푸드 인식도에서는 신뢰관계, 지역 생산·지역소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성의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와 전문가에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로컬푸드 개념에서는 공간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구성요소가 모두 중요하다. 둘째, 로컬푸드 준수도에서는 신뢰관계와 유통단계의 축소는 비교적 잘 지켜지는 반면, 친환경성과 이동거리는 상대적으로 잘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수도의 경우 종사자와 전문가의 인식차이는 이동거리 축소에서만 나타나지 않고, 그 외 4개 요소에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로컬푸드의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친환경성과 신뢰관계, 그리고 유통단계 축소 등의 사회적 측면은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가 크지 않는 반면, 공간적 측면의 이동거리 축소와 지역생산·지역소비는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lluminating positively the perception and compliance rate of local food principle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erception rate, social trust and local production/consumption a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rather than eco-friendliness. This means the importance of both spatial and social aspects of local food concept. Second, in terms of the compliance rate, social trust and shortened food chain are well complied, rather than eco-friendliness and shortened food miles. Third,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compliance rate, the social aspects such as eco-friendliness, social trust, and shortened food chain has shown relatively smaller difference than the spatial aspects such as shortened food miles and local production/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