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19 위기와 방역국가 : 인권과 인간·생태안보를 중심으로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4

        This paper is to discuss characteristics of epidemiological state, and its concern about human rights and human-ecological security as major issues in the COVID-19 crisis to search for measures of coronavirus control balancing with economy and with human rights. In doing so, it is emphasized that even though overall returning of the state responding to the crisis would be inevitable, its roles should not merely be remained in epidemic control, but be more concerned about human-ecological rights and security without alienating civil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examines theoretically and historically the situation in which the state has returned in the COVID-19 crisis, and then describes what kinds of influence the crisis and the state’s measures to it have made domestically on basic rights of citizens, providing some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restriction of human rights in a situation of epidemic crisis and suggesting further a concept of ‘ecological right’. Finally this paper considers a transformation process from national security to human security especially in the international responding to the COVID-19 pandemic, emphasizing ‘ecological security’ as an alternative one to overcome fundamentally the crisis. 이 논문은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국가의 방역 대책과 인권 및 안보 간 딜레마의 균형을이루는 방안을 모색하면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주요 고려 사항으로 방역국가의 특성과인권 및 인간-생태안보의 개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코로나19 위기로 국가의 역할이 전면에 부각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할지라도, 단순히 전염병 관리를 위한 방역국가에서 나아가 지구적 생태위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시민사회가 소외되지 않는 대책을추진해 나가는 생태민주국가, 그리고 이러한 국가의 대책에서 생태권과 생태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첫째, 코로나19 위기와 더불어 전면에등장한 국가의 귀환 상황을 이론적 및 현실적으로 재검토하고, 둘째, 코로나19 위기에 대한 대책이 국내적으로 시민들의 기본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논의하면서 위기상황에서 권리 제한의 원칙과 지침들을 설정하고 나아가 대안적 권리 유형으로 ‘생태적 권리’ 개념을 제시하며, 셋째, 국제적으로 코로나19 펜데믹 대책과 관련하여 국가안보에서 인간안보로 전환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생태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국적 노동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아상블라주

        최병두(Choi Byung D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1

        이 논문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을 원용하여 초국적 노동이주과정에서 형성된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네트워크들과 이들로 구성된 다중적 결합체로서 아상블라주를 고찰하고자 한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바탕을 둔 초국적 노동이주 연구는 두 가지 핵심 사항에 대한 관심, 즉 초국적 노동이주과정에서 다른 인간 및비인간 행위자들을 만나 구성하게 되는 행위자-네트워크에 대한 관심, 그리고 이과정에서 형성ㆍ변화하는 다양한 유형의 위상학적 공간들(즉 지역적 공간, 네트워크 공간, 유동적 공간, 그리고 화염의 공간)에 대한 관심을 강조한다. 이러한 위상학적 공간성들을 가지는 행위자-네트워크들에 의해 만들어진 아상블라주의 개념은 초국적 노동이주 연구에서 존재론적, 분석적, 방법론적 유의성을 가진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초국적 노동이주과정에서 형성되는 세 가지 주요 아상블라주, 즉 일자리, 가정, 그리고 국가 아상블라주를 개념적으로 고찰하고,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Applying actor-network theory(ANT), this paper considers human and non-human actor-networks and their assemblages in multiple form which are emerged, maintained, and disintegrated in transnational labor migration. It is argued that studies on transnational labor migration on the basis of ANT emphasize two central concerns, that is, the concern with actor-networks continuously produced and reproduced by human and material objects encountering in processes of transnational labour migration; and the concern with diverse types of typological spaces (that is, regional, network, fluid and fire space) which are also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repeatedly in these processes. The concept of assembles as multiple associations of heterogeneous actors and their networks with typological spaces provides a significant (ontologically, analytically, and methodologically) tool to grasp central aspects of transnational labor migration. On the basis of this conceptual consideration,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 materials collected through deep interviews with foreign migrant workers living around Daegu in Korea, focusing on three major assemblages arranged and rearranged in processes of transnational labor migration, that is, job, home, and state assemblages.

      • KCI등재

        닐 스미스의 불균등발전론과 자본주의의 지리학

        최병두(Byung-Doo Cho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4

        닐 스미스의 불균등발전론은 1984년 출간된 『불균등발전』에서 처음을 제시된이후 도시적 규모에서 젠트리피케이션 이론과 지구적 규모에서 ‘아메리카 제국’ 또는 ‘신자유주의의 세계화’ 과정에 관한 논의로 확장되었다. 『불균등발전』에서 스미스는 이러한 불균등발전론을 정형화하기 위하여 자연과 공간의 생산, 차별화와 균등화의 경향, 공간적 규모의 생산과 시소운동 등 세부 개념들을 매우 독창적이고 통찰력 있게 제시했다. 이 개념들은 최근 지리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지만, 스미스는 이미 30년 전에 이 개념들을 이론화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불균등발전󰡕은 오늘날 인문지리학의 고전으로 인정된다. 불균등발전론을 도시적 규모에서 체계화한 그의 젠트리피케이션 이론과 ‘지대격차’ 개념은 내부 도시와 교외 개발 과정에서 작동하는 자본의 시소운동을 포착하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출판된 그의 두 권의 책, 보먼의 지리학이 어떻게 아메리카 제국주의에 기여했는가를 서술한 󰡔아메리카 제국󰡕,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과정이 1990년대 이후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탐구한 󰡔지구화의 종반󰡕은 그 중심축에 자본의 지리학적 프로젝트가 위치한 지구적 규모의 불균등발전을 규명하기 위한 그의 노력으로 이해된다. 스미스의 불균등발전론과 그 후 일련의 연구들은 결함이 없다고 할 수는없지만, 지리학과 마르크스주의를 결합시킨 자본주의의 지리학과 그 대안을 정립하기 위한 그의 위대한 이론적 실천적 프로젝트였다고 인정된다. Neil Smith’s theory of uneven development, proposed at first in his early masterpiece, Uneven Development, has been developed and extended to his theory of gentrification on the urban scale and his consideration on ‘American empire’ and neoliberal globalization on the global scale. In Uneven Development, he suggested with highly originative and in-depth insight concepts of production of nature and of space, tendency towards differentiation and equalization, production of geographical scale and see-saw movement and others in detail in order to formulate his theory of uneven development. Although it is only recently that those concepts have attracted many geographers’ attention, Smith tried already before three decades ago to theorize them. And hence the text is now recognized as a classics in human geography. His theory of urban gentrification and concept of ‘rent-gap’ which grasp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 sea-saw movement of capital between inner city and suburbs can be seen as an application and further elaboration of his theory of uneven development on the urban scale. His two books, American Empire which describes how the geography of Bowman contributed to American imperialism, and The Endgame fo Globalization which explains how the process of neoliberalism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1990s until recently, can be seen as his great endeavours to explore uneven development on the global scale at the heart of which lies a geographical project of capital. Even though it cannot be said that there is no flaw in Smith’s theory of uneven development and a series of his research, these would be recognized as his great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ject to formulate geography of capitalism and its alternative which integrate geography with Marxism.

      • KCI등재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기업주의 도시 프로젝트

        최병두 ( Byung Doo Choi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4 No.3

        신자유주의화 과정이 우리 사회 전반에 영항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이를 추동하는 도시 전략, 즉 기업주의 도시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기업주의 도시의 개념을 매개로 신자유주의화 과정과 최근 도시화 및 도시 정책들의 특성 간 관련성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에서 이와 관련된 주요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업주의 도시는 신자유주의화 과정을 특징지우는 민영화와 상품화, 금융화, 국가의 재분배. 위기의 관리 조직에 조응하여 재개념화될 수 있으며, 특히 2가지 주요 특징으로 ``창조적 파괴``와 ``기업주의적 거버넌스``를 지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기업주의 도시 프로젝트의 사례로 수도권의 주택 및 토지 가격 변동성과 이를 촉발했던 도시재개발 (특히 뉴타운)사업, 인천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건설 사업, 대구를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의존한 민자투자 사회간접시설 건설 사업, 그리고 도시의 이미지를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암묵적으로 이를 통해 역외 자본의 투입을 촉진하고자 하는 부산과 광주의 비엔날레와 같은 도시 문화판촉 사업 등이 분석되었다. Despite the process of neoliberalization has made a decisive influence on our society as a whole, there seems little interests in neoliberal urbanization and entrepreneurial urban projects promoting it. This study is to see relationships between neolibealization process and recent urbanization and urban policies in terms of entrepreneurial city mediating them. In particular, this paper tries to reconceptualize entrepreneurial city as corresponding to privatization and commodification, financialization, state redistribution, and management and manipulation of crises which Harvey(2005) suggests as four main features of neoliberalization process in general and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in particular, and to characterize it in terms of ``creative destruction`` and of ``entrepreneurial governance``. As examined in the later part of this paper, recent cases of these entrepreneurial urban projects in S. Korea include volatility of land and housing price in the Capital region and urban regeneration and newtown projects, project for free economic zones construction in Incheon and other 5 regions, project for SOC construction heavily relying on private investment, in particular project financing pursued nationwidely including Daegu, and project of urban cultural marketing to promote capital inflow tacitly as well as to enhance urban imagine explicitly.

      • KCI등재후보

        지구공동체 윤리로서 환경정의와 환경교육

        최병두(Byung-Doo Choi) 한국공간환경학회 2007 공간과 사회 Vol.27 No.-

        이 글은 지구공동체의 새로운 윤리로서 환경정의에 관한 실천적 이론적 관심을 고양하고 이를 환경교육의 핵심에 놓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근대 자본주의의 발전은 환경불평등을 초래했으며, 특히 최근 시장메커니즘에 기초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과정은 이를 심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환경불평등을 심화하는 시장의 논리에서 환경정의의 윤리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환경정의의 윤리는 이러한 환경불평등으로 고통받는 다양한 계층 및 인종들에 의한 실천운동에서 제기되었다. 환경정의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환경불평등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와 더불어 철학적·사회이론적 전통들 ― 자유주의, 공리주의, 마르크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 ― 에 기초해 환경정의를 개념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환경정의에 대한 실천적 이론적 관심 증대는 환경정의를 중심으로 한 환경교육에 대한 강조로도 이어지고 있다. 환경정의교육은 전통적 환경교육과는 달리 도시사회에 심화되고 있는 계층, 인종, 지역 간 환경불평등의 문제들을 부각시키고 여기에 윤리적·실천적으로 접근해 환경정의에 기초한 생태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paper contributes to promote practical and theoretical interests in environmental justice and to place it to the center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odern capitalism has brought about environmental inequalities, and in particular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process operating on the basis of market mechanism tends to have accelerated them.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logic of market which has generated and deepened environmental inequalities should be replaced with the ethics of environmental justice. The ethics of environmental justice has emerged from practical movements of peoples of diverse classes and ethnic groups who have suffered from environmental inequalities. As the concerns on environmental justice have increased, there have been both various empirical researches on environmental inequalit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o conceptualize environmental justice under several kinds of philosophical and social theoretical traditions(e.g. liberalism, utilitarianism, Marxism, postmodernism, etc.). What is more, such increasing concerns with environmental justice has been reflected on education for environmental justice. Environmental justice education, unlike tradi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gives the main focus to environmental inequalities between classes, ethnic groups and regions and tries to construct ecological communities in which humans and other members of ecology can share their environments and hence co-evolve each other.

      • KCI등재

        대구의 도시 발달과 물의 사회적 순환

        최병두(Byung Doo C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1

        물은 단순히 자연 자체라기보다 사회적 구성물이다. 따라서 물에 관한 연구는 자연/사회를 이분법적으로 구분 하는 근대 과학적 접근에서 ‘사회적 자연’으로 이해하는 구성주의적 및 정치생태학적 접근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특 히 도시의 물은 자연적 순환과는 다른 인위적 생산-유통-소비-배출-처리 과정, 즉 사회적 순환과정을 통해 흐른다. 도시에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는 도시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발전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자연의 사회적 구성주의에 바탕을 두고 도시 물의 사회적 순환을 개념화하고, 대구시를 사례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 즉 물의 근대화 과 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구시의 물의 근대화 과정에 따른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은 4 단계, 물의 근대 화 도입 시기, 물의 본격적 근대화 시기, 물의 성찰적 근대화 시기, 물의 신자유주의화 시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대구 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은 도시의 공간적 팽창과 도시적 생활양식을 뒷받침하면서 도시 인구의 증가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현재 대구의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는 취수장 이전, 정수시설의 과잉, 수돗물에 대한 불신, 물 이용의 불평등, 물 요금의 현실화, 도시 내 공단 폐수, 물 환경의 창조적 파괴, 물의 민영화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This paper is to conceptualize the urban social circulation of water from the social constructivism and political ecology and to analyze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of water that is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water in Daegu. The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can be divided into 4 stages that is the beginning stage of modernization of water mainl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e take-off stage from the 1960s to the mid-1980s the stage of reflexive modernization from the late 1980s to the 1990s and that of neoliberalization of water since the 2000s.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has contributed the increasing urban popul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supporting the spatial expansion of the city and the way of modern way of urban life. But the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seems to meet with a lot of problems such as relocation of the water intake station over-equipment of filtration plants distrust on tap water inequality of water use readjustment of water charge liquid waste from industrial complexes within the urban area creative destruction of waterfront environment and privatization of water.

      • KCI등재

        영국의 탄소규제와 환경정책

        최병두(Byung Doo Choi),신혜란(Hae Ran Sh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2

        영국은 1990년대, 특히 신노동당 정부 이후 지속가능발전 또는 탄소규제를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해왔다. ‘정부를 녹색화’하고자 하는 이러한 영국 환경정책과 더불어 실제 에너지환경지표의 가시적 성과는 ‘저탄소 녹 색성장’을 추구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정책 입안가 및 연구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영국의 탄소규제 전략과 환경정책의 특성을 단순히 정책적 통합화 또는 주류화를 넘어서 새로운 국가발전 전략, 즉 ‘생태적으로 근대화 된’ 국가, ‘생태국가’ 또는 ‘녹색국가’ 전략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즉 최근 영국은 탄소규제를 국가 정책의 통합적 원칙으로 설정하는 한편 주로 시장-의존적 신자유주의에 바탕을 두고 국가 전체를 동원하는 녹색국가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영국의 탄소규제 관련 환경정책의 전개과정을 서술한 후, 탄소규제를 녹색국가 발전을 위한 새로운 원칙이며, 실제 중앙정부 부처들과 지자체들을 통합하기 위한 거버넌스 구축의 바탕이 지만, 신자유주의에 포섭된 것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영국의 이러한 녹색국가 전략의 직·간접적 성과라고 할 수 있는 최근 에너지.환경지표의 동향을 분석하고, 경험적 재평가로서 영국의 에너지 수입의존도 증대, 에너지 혼합에서 석탄 비중의 증가, 전력 생산의 민영화, 재생가능에너지 생산의 한계, 그리고 에너지 이용 및 온실가스 배출의 공간적 불평등 등을 지적하고자 한다. The government of the UK since the 1990, especial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has pursued sustainable development or carbon control as a core strategy for its national development. The seemingly prominent environmental policy for ‘greening the government`` of the UK as well as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energy and environment indic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s of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see the character of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in the UK not merely as the integrating or mainstreaming policy but a new strategy for national development, that is, for the ``ecologically modernized`` state, eco-state, or green state. It defines the environmental policy for carbon control in the UK as the strategy for the green state which has provided it as a principal guide for integrating national policies as a whole, and which has pursued it through market-dependent neoliberal measur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main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government in the UK, and gives a reappraisal of both its policy and of energy-environment indices.

      • KCI등재
      • KCI등재

        네트워크도시 이론과 영남권 지역의 발전 전망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1

        이 논문은 네트워크도시 이론의 정책적 함의와 분석적 유용성을 고찰하면서 그 한계를 보완하고, 이를 영남권 지역에 적용하여 지역 발전을 위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네트워크도시는 상대적 자립성을 가진 중소도시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보완성과 시너지를 확보함으로써 개별 도시와 권역의 발전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지구 지방화 과정에 대한 도시 및 지역의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도시 이론과 이를 응용한 경험 적 연구가 가지는 한계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도시의 연계성을 경험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분석기법의 체계화, 연계성 지표의 확장, 네트워크도시에 내재된 규범성의 재확인, 네트워크도시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네트워크도시와 연계된 도시 내부 공동체의 발전 방안의 모색 등이 요구된다. 이 이론을 활용한 영남권 도시지역에 관한 예비적 분석에서 이 지역은 네트워크도시에 근접하고 있지만, 명확히 네트워크도시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러 나 규범적, 정책적 측면에서 영남권 도시지역이 네트워크도시를 지향하기 위하여, 권역 내 도시 및 지역들 간 교통통신 인프라의 확충, 경제적 상호연계성의 강화,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권역 차원의 기능적 연계성의 국지적 착근화 가 필요하다는 점이 제시된다. This paper i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complement and extend theory of network city, and to consider preliminarily its applicability for development of the Yeongnam region, exploring its normative implications for urban and regional policy and its significance of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resolve som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network city theory and of empirical research, we need to reconsider systematically analysis methods, to extend indices of connectivity, to reconfirm normative characters inherent in network city theory, to suggest the constitution of cooperative governance, and to develop policies for embedding functional connectivity into internal community. In a preliminary analysis of Yeongnam region on the basis of network city theory, it is not clear whether the urban system of the region is entirely a type of network city, even though it seems to be close to network city. However, in order for the Yeongnam region to orient towards network city, we can point out importance of policy issues such as expansion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strengthening of economic connectivity, constitution of cooperative governance, and local embeddedness of functional network within the region.

      • KCI등재

        창조도시와 창조계급

        최병두(Byung Doo C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창조도시 이론은 기본적으로 탈산업화 과정 속에서 ``문화적 전환``에 따른 경제환경의 변화와 사회공간적 재구성간 관계를 반영한 이론이다. 이 논문은 우선 창조도시 이론의 발달 배경으로서 지식기반경제 또는 문화경제의 접근방 법들을 고찰하고, 창조도시의 개념화에서 구분되는 유형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이러한 창조도시 이론을 직 접 논의한 국내외 연구 동향에서 비판적 관점들을 정리하고, 이의 함의를 신자유주의와 관련시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 논문은 창조성 또는 창조경제의 사회적 구성으로서 창조계급과 공간적 구성으로서 창조도시에 관한 개념적 논제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창조계급의 개념은 ``계급`` 개념과 범위의 모호성, 계급-편향성과 경제 특 권적 사고, 상품화 또는 시장 가치화의 촉진, 탈공동체적 개체화, 유연적 노동시장의 규범화, 도시 경제의 성공 여부 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문제 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된다. 창조도시의 개념은 (대)도시에 한정된 관심, 국가 적 및 지구적 차원 무시, 탈맥락적 규범적 전망, 신자유주의적 도시의 정당화, 창조계급 유치 및 경제 발전과의 인과 성 입증 부족, 도시 및 국토 공간의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 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된다. The theory of creative city can be seen as one that reflects a relationship between recent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and socio-spatial reconstruction in the so-called ``cultural turn`` to deindustrialization. This paper considers approaching methods to knowledge-based economy or cultural economy as a context of development of theory of creative city, and suggests types of conceptualization of creative city. Then it reviews creative perspectives which can be found in recent domestic and oversea research trends on creative city, especially relating its nature with neoliberalism.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critically the concept of creative class as a social constitution of creativity or creative economy, and that of creative city as its spatial constitution. The concept of creative class can be criticized in terms of ambiguity of the concept of class, class-biased and economy-privileged idea, market valorization of culture, individualization against community, normalization of flexible labor market, and uncertainty of economic success of creative city. The concept of creative city can be criticized in terms of limitation of interests to city, ignorance of national and global dimensions, decontextual normative vision, legitimation of neoliberal city, lack of proof of causality between creative class and economic success, polarization of within and between 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