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반 및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한 자궁내막암 병기설정 수술에서 수술적 접근 방법 비교

        한호섭 ( Ho Suap Hahn ),윤석근 ( Seok Geun Yoon ),김우철 ( Woo Chul Kim ),최홍준 ( Hong Jun Choi ),이인호 ( In Ho Lee ),권용순 ( Yong Soon Kwon ),김태진 ( Tae Jin Kim ),임경택 ( Kyung Taek Lim ),이기헌 ( Ki Heon Lee ),심재욱 ( Ja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9

        목적: 자궁내막암의 병기설정 수술 시 복강경식 병기설정술 (이하 복강경식)과 복식 병기설정술 (이하 복식)을 비교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골반 및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한 자궁내막암의 병기설정 수술을 시행한 272명 (복강경식: 90명, 복식: 182명)을 대상으로 양군 간의 수술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결과: 양군 간에 평균나이, 체질량 지수, 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차이가 없었으나 암의 분화도와 수술적 병기는 복식이 더 높았다. 절제된 골반 림프절과 대동맥 주위 림프절수는 복강경식에서 각각 33.1±13.2, 16.1±11.6, 복식에서 각각 32.5±14.5, 19.0±12.7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강경식이 복식에 비하여 수술시간과 수술 후 입원기간이 짧았으며, 수술 전후 혈색소 변화도 더 적었다. 수술 후 합병증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양성 림프절 전이나 수술 후 항암 보조요법 시행은 복식이 더 많았다. 교란요인 교정 후 수술 방법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골반 및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한 자궁내막암의 병기설정 수술 시, 절제된 림프절수는 비슷하나 복강경식이 복식에 비하여 수술시간, 입원기간, 출혈량에서 우수하므로 우선적 수술 방법으로 고려해볼 수 있겠다. Objective: To compare laparoscopic surgery with laparotomy in comprehensive surgical staging of endometrial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272 patients with endometrial adenocarcinoma treated by staging operation including pelvic and paraaortic lymphadenectomy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7.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age, body mass index, or histologic type, but in the laparotomy group, grade and surgical st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All the patients, 182 in the laparotomy and 90 in the laparoscopy group, had lymphadenectomy, and the mean number of pelvic and paraaortic lymph nodes (LNs) obtained were 33.1±13.2 and 16.1±11.6 in the laparoscopy group, and 32.5±14.5 and 19.0±12.7 in the laparotomy group, respectively;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aparoscopy group, the operating time and postoperative hospital length of stay were shorter than in the laparotomy group, as were the pre- and post-operative hemoglobin chang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intra-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ut positive lymph nodal metastasis and conducting of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were highter in the laparotomy group. The operative technique did not influence overall or disease-free survival after adjusting for several confounding factors. Conclusion: Laparoscopic-assisted surgical staging for endometrial cancer required a shorter operating time, shorter postoperative hospital stay, and lower blood loss compared to traditional laparotomy staging, and can be a good therapeutic option for staging operation including lymphadenectomy of endometrial cancer.

      • KCI등재

        자궁내막 생검에서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진단 시 향후 임상적 접근 방법

        한호섭 ( Ho Suap Hahn ),윤석근 ( Seok Geun Yoon ),김우철 ( Woo Chul Kim ),최홍준 ( Hong Jun Choi ),이인호 ( In Ho Lee ),권용순 ( Yong Soon Kwon ),김태진 ( Tae Jin Kim ),임경택 ( Kyung Taek Lim ),이기헌 ( Ki Heon Lee ),심재욱 ( Ja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2

        목적: 자궁내막 생검 시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진단받은 환자군에서 향후 적절한 임상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자궁내막 생검에서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진단받고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10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재검토하여 임상병리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은 87건에서 자궁내막 소파술로, 17건에서는 Z-sampler를 이용한 자궁내막 생검으로 진단되었고, 나머지 4건에서는 자궁내시경을 이용한 용종제거술 시행 후 진단되었다. 이들 환자에서 자궁적출술 시행 결과, 33.3%에서 단순성 또는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을 보였고, 52.8%에서 비정형 단순성 또는 비정형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을 보였다. 3.7%에서는 정상 내막 소견을 보였으나, 나머지 10.2% (11/108)에서는 자궁내막암이 비정형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과 동반되어 있었다. 자궁내막암이 동반된 11건 모두에서 암조직은 자궁내막에 국한되어 있었고 자궁근층 침범은 없었다. 결론: 자궁내막 조직생검에서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진단 시 자궁내막암과 동반되어 있을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환자의 임상적 접근 방법에 있어서도 자궁내막암의 가능성과, 수술 전 자궁내막 조직생검과 자궁적출술 후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proper approach in women diagnosed with atypical endometrial hyperplasia (AEH) by endometrial biopsy.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108 patients who underwent hysterectomies for AEH diagnosed by endometrial biopsy from 2000 to 2007. The results of the endometrial biopsies were graded on an ordinal scale and were compared with pathologic features obtained at the hysterectomy. Results: AEH was initially diagnosed by dilatation and curettage (87 cases) or endometrial biopsy with a Z-sampler (17 cases). The remaining four cases were diagnosed by hysteroscopic polypectomy. In patients preoperatively diagnosed with AEH by biopsy, hysterectomy specimens revealed a rate of simple or complex endometrial hyperplasia without atypia of 33.3% with AEH and normal endometrium found in 52.8 and 3.7% of specimen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carcinoma was considerably high (11/108, 10.2%). All cases were confined to the endometrium and two of those were located at the adenomyosis without myometrial invasion. All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displayed coexisting atypical complex hyperplasia following hysterectomy. Conclusion: Biopsy specimens showing AEH, particularly atypical complex hyperplasia,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oexisting endometrial carcinoma. When consider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women with a biopsy diagnosis of AEH, clinician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onsiderable rate of concurrent endometrial cancer and the discrepancy with pathologic diagnosis.

      • KCI등재

        양성 자궁병변에 대한 세 가지 다른 자궁적출술 접근 방법

        한호섭 ( Ho Suap Hahn ),최규홍 ( Kyu Hong Choi ),김주명 ( Joo Myung Kim ),이현주 ( Hyun Joo Lee ),최노미 ( No Mi Choi ),유원식 ( Won Sik Yoo ),김경연 ( Kyung Yeon Kim ),김남숙 ( Nam Sook Kim ),조수희 ( Soo Hee Jo ),홍준식 ( Jun S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5

        목적: 자궁의 양성병변으로 자궁적출술시에 세 가지 다른 수술방법인 복식 자궁적출술, 복강경식 자궁적출술, 질식 자궁적출술의 시행비율과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세 가지 수술에 익숙한 한명의 집도의에 의하여 시행된 236예의 자궁적출술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적인 결과로 각 수술의 시행비율을 알아보았고 이차적인 결과로서 수술전후의 결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세 연구군 간에 평균나이, 체중, 신장, 체질량 지수, 분만력에 차이는 없었다. 연구대상에 합당한 222건의 자궁적출술은 복식이 13.5%, 복강경식 34.2%, 질식이 52.3%의 비율로 시행되었다. 복식, 복강경식, 질식 자궁적출술의 수술전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수술시간 (83.2±27.1 min, 94.2±25.2 min, 50.8±15.5 min), 수술전후 혈색소 변화 (2.3±1.5 g/dL, 2.0±0.9 g/dL, 1.3±1.1 g/dL), 방광 도뇨관 유치일 (2.0±0.2 days, 1.0±0.0 days, 1.0±0.4 days), 수술 후 입원기간 (5.7±1.2 days, 4.7±0.9 days, 4.3±1.0 days), 자궁 무게 (733±665 g, 340±213 g, 300±156 g). 자궁의 무게는 복식이 복강경식이나 질식에 비하여 의미 있게 무거웠다 (p<0.05). 복강경식은 복식에 비하여 수술 후 입원기간과 도뇨관 유치기간에서 유리하였다 (p<0.05). 질식은 복식에 비하여 수술시간, 낮은 혈색소변화, 도뇨관 유치기간, 수술 후 입원기간에서 유리하였다 (p<0.05). 복식, 복강경식, 질식 자궁적출술의 합병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3.3%, 10.5%, 9.5%, p=0.825). 결론: 질식이나 복강경식 자궁적출술은 86.5%에서 가능하였다. 질식과 복강경식 수술 방법을 적절히 사용하면 합병증의 증가 없이 복식 자궁적출술을 줄일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rates and clinical outcomes between abdominal hysterectomy (AH), laparoscopic hysterectomy (LH) and vaginal hysterectomy (VH). Methods: Medical records of 236 patients who underwent hysterectomy (by one surgeon) for benign uterine pathology between march 2004 and april 2006 were reviewed. Primary outcome measure was the rate of each method of hysterectomy. Secondary outcome measures included perioperative and postoperative outcomes between groups. Results: The mean age,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and parity in three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two hundred and twenty two cases of hysterectomies, the rate of AH was 13.5%, LH 34.2%, and VH 52.3%. Perioperative outcomes of AH, LH and VH were as follows : operative time (83.2±27.1 min, 94.2±25.2 min, and 50.8±15.5 min, respectively), change in hemoglobin (2.3±1.5 g/dL, 2.0±0.9 g/dL, and 1.3±1.1 g/dL, respectively), duration of urinary catheterization (2.0±0.2 days, 1.0±0.0 days, and 1.0±0.4 days, respectively),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5.7±1.2 days, 4.7±0.9 days, and 4.3±1.0 days, respectively), uterine weight (733±665 g, 340±213 g, and 300±156 g, respectively). Uterine weight in the AH group was significantly heavier than in the LH and VH. The benefits of LH versus AH were shorter duration of urinary catheterization and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p<0.05). The benefits of VH versus AH were shorter operative time, a smaller drop in hemoglobin, shorter duration of urinary catheterization and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p<0.05). The benefits of VH versus LH were shorter operative time, a smaller drop in hemoglobin, and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lications of AH, LH and VH (13.3%, 10.5%, and 9.5%, respectively p=0.825). Conclusions: Eighty six point five percent of hysterectomy can be done vaginal or laparoscopic approach. When there is a concerted effort to increase laparoscopic or vaginal hysterectomy, abdominal hysterectomy can decrease without increasing complication rate.

      • SCOPUSKCI등재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불임 환자에서 체외수정시술의 유용성

        이현주,안가영,한호섭,박찬우,양광문,이인호,김태진,임경택,이기헌,강인수,Lee, Hyun-Joo,Ahn, Ka-Yougng,Hahn, Ho-Suap,Park, Chan-Woo,Yang, Kwang-Moon,Lee, In-Ho,Kim, Tae-Jin,Lim, Kyung-Taek,Lee, Ki-Heon,Kang, Inn-Soo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2

        목 적: 경계성 난소 종양 환자에 있어서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았으며,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체외수정시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았다. 연구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경계성 난소 종양으로 보존적 술을 시행 받은 가임 여성 가운데 임신에 성공한 군 (14명)과 비임신 군 (30명)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았으며, 비임신 군 가운데 불임을 주소로 내원하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5명의 10주기를 대상으로 체외수정시술 결과 및 체외수정시술 후 난소 종양의 재발 유무를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평균 나이는 25.9세와 27.0세이었으며 혈청 CA-125 수치는 59.7 U/m와 72.0 IU/ml로 비임신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불임을 주소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5명의 10주기 (attempt IVF cycle) 가운데 취소된 2주기를 제외하고 (attempt cycle cancellation rate, 20.0%) 채취된 난자 수는 평균 5.6개 (2$\sim$16개)이었으며 수정율은 14.5% (50.0$\sim$100.0%)이었다. 평균 2.4개 (1$\sim$4개)의 배아를 이식하였으며 배아이식 주기당 임신율과 착상율 및 출생율은 각각 50.0% (4/8 cycle), 31.6% 및 50.0% (4/8 cycle)이었다. 체외수정시술 후 평균 29.6개윌 (14$\sim$61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난소 종양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임신에 성공한 군과 비임신 군간 환자의 특성에 차이가 없으며, 보존적 수술 후 체외수정시술의 결과는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체외수정시술은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후 고려될 수 있으나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필요로 한다. Objective: To examine determinants of successful pregnancy and evaluate COH-IVF outcomes of infertile patients after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borderline ovarian tumor (BOT). Methods: In women of BOT (n=93),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9, 44 of 93 women underwent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From theses 44 women, patients characteristics, surgical and histolog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14 women who conceived and 30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For 5 infertile women of 30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10 attempt IVF cycles were analysed; clinical pregnancy rate (CPR), implantation rate (IR) and live birth rate (LBR). Results: Women who conceived tend to be younger (25.9 vs 27.0 years) and lower serum CA-125 level (59.7 vs 72.9) compared to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For 8 cycles out of 10 attempt IVF cycles, except for 2 cancellation cycles,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trieved was 5.6 (range 2$\sim$16) with a mean fertilization rate of 74.4%. The CPR, IR and LBR per embryo transfer were 50.0% (4/8 cycles), 31.6% (6/19) and 50.0% (4/8 cycles) respectively.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after COH-IVF initiation, 29.6 (range 14$\sim$61) months, no recurrence was found. Conclusion: No determinant of successful pregnancy was foun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for BOT. COH-IVF may be considered for infertile patient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of BOT. However, larger clinical studies with longer follow-up are necessary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H-IVF. All patients should be informed of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close follow-up is necessary after COH-IVF.

      • KCI등재

        난소의 과립막세포종양의 임상병리학적 연구

        이인호 ( In Ho Lee ),권용순 ( Yong Soon Kwon ),한호섭 ( Ho Suap Hahn ),윤석근 ( Seok Geun Yoon ),홍재식 ( Jae Shik Hong ),김태진 ( Tae Jin Kim ),이기헌 ( Ki Heon Lee ),심재욱 ( Jae Uk Shim ),목정은 ( Jung Eun Mok ),임경택 ( Kyu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4

        목적: 난소에 발생하는 과립막세포종양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난소의 과립막세포종양으로 치료받은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는 평균 48.3세 (24~70)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56.7개월이었다 (12~102). 가장 흔한 증상은 질출혈이었고, 평균 종양의 크기는 9.9 cm이었다 (3~21). 수술 후 병기는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granulosa cell tumor of the ovary (OGC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7 patients with OGCT at our hospitals from January 1995 to Dece

      • KCI등재

        남성 불임 환자에서 Y 염색체 미세 결손이 체외 수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

        최노미,양광문,강인수,서주태,송인옥,박찬우,이형송,이현주,안가영,한호섭,이희정,김나영,유승연,Choi, Noh-Mi,Yang, Kwang-Moon,Kang, Inn-Soo,Seo, Ju-Tae,Song, In-Ok,Park, Chan-Woo,Lee, Hyoung-Song,Lee, Hyun-Joo,Ahn, Ka-Young,Hahn, Ho-Suap,Lee, H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1

        목 적: 무정자증이나 심한 희소정자증이 있는 남성 불임 환자에서 Y 염색체 미세 결손을 동반하는 경우 체외 수정 및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과 배아 이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후향적 실험군 -대조군 연구로, Y 염색체 미세 결손이 동반된 무정자증이나 심한 희소정자증이 있는 남성 불임 부부 14 쌍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대조군으로는 남성 배우자가 무정자증이나 심한 희소정자증이 있지만 Y 염색체는 정상인 12 쌍의 불임 부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두 군을 다시 정자 채취 방법에 따라 사정된 정자를 이용한 군과 고환 내 정자 추출술을 통해 정자를 채취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수정률, 등급이 우수한 배아 수, 착상률, 융모막성 성선자극호르몬 양성률, 초기 임신 소실률, 출생률을 비교하였다. 결 과: 등급이 우수한 배아 수, 착상률, 융모막성 성선자극호르몬 양성률, 초기 임신 소실률, 출생률은 Y 염색체 미세 결손이 있는 군과 정상 Y 염색체를 갖는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수정률은 Y 염색체 미세 결손이 있는 불임 부부 (61.1%) 에서 정상 Y 염색체를 갖는 불임 부부 (79.8%, p=0.003) 보다 낮았다. 정자 채취의 방법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고환 내 정자 추출술을 통해 정자를 채취한 경우 실험군 (52.9%) 에서 대조군 (79.5%, p=0.008) 보다 유의하게 수정률이 낮게 나타났으나 사정된 정자를 이용한 경우에는 실험군에서 대조군 보다 수정률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나머지 결과들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Y 염색체 미세 결손이 동반된 무정자증이나 심한 희소정자증이 있는 불임 부부에서 고환 내 정자 추출술을 통해 정자를 채취할 경우 체외 수정 및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 결과 정상 Y 염색체를 갖는 불임 부부에서 보다 수정률이 더 낮게 나타났으나, 사정된 정자를 이용하는 경우나 고환 내 정자 추출술을 통해 정자를 채취하여 수정이 된 후에는 Y 염색체의 미세 결손이 체외 수정 및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과 배아 이식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향후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nce of Y-chromosome microdeletion affects the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program. Methods: Fourteen couples with microdeletion in azoospermic factor (AZF)c region who attempted IVF/ICSI or cryopreserved and thawed embryo transfer cycles were enrolled. All of the men showed severe oligoasthenoteratoazoospermia (OATS) or azoospermia. As a control, 12 couples with OATS or azoospermia and having normal Y-chromosome were included. Both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by sperm source used in ICSI such as those who underwent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and those used ejaculate sperm. We retrospectively analyzed our database in respect to the IVF outcomes. The outcome measures were mean number of good quality embryos, fertilization rates, implantation rates, $\beta$-hCG positive rates, early pregnancy loss and live birth rates. Results: Mean number of good quality embryos, implantation rates, $\beta$-hCG positive rates, early pregnancy loss rates and live birth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Y-chromosome microdeletion and control groups. But, fertilization rates in the Y-chromosome microdeletion group (61.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79.8%, p=0.003). Also, the subgroup underwent TESE and having AZFc microdele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fertilization rates (52.9%) than the subgroup underwent TESE and having normal Y-chromosome (79.5%, p=0.008). Otherwise, in the subgroups used ejaculate sperm, fertilization rates were showed tendency toward lower in couples having Y-chromosome microdeletion than couples with normal Y-chromosome. (65.5% versus 79.9%, p=0.082).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statistically. Conclusions: In IVF/ICSI cycles using TESE sperm, presence of V-chromosome microdeletion may adversely affect to fertilization ability of injected sperm. But, in cases of ejaculate sperm available for ICSI, IVF outcome was not affected by presence of Y-chromosome AZFc microdeletion. However, more larger scaled prospective study was needed to support our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