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시가문학 -『대한매일신보』를 대상으로-

        문선영 ( Sun Young Moon ),한태문 ( Tae Moon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신문인 『대한매일신보』에 수록된 시가 자료들을 통해 한국 근대 이행기 시가의 정체성을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한 것이다. 이 때 중심되는 화두는 `문화`이다. 근대 이행기를 배경으로 한 시가문학을 대상으로 당대 문화 풍속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1904년 7월 18일 창간되어 경술국치 직전인 1910년 8월 28일까지 간행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대한매일신보』 국문판(國文版) <시사평론>란에 실린 `계몽 가사(歌辭)`들을 중심으로 민요, 창가(唱歌), 시조 이외 기타 시가들을 다루었다.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문화의식>은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 시가의 정체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이다. 문화의 범주로는 일상문화와 기저문화에 주목했다. 여기서 당대 풍속의 동선과 민족주의 그리고 계몽주의를 통해 당대 문화의식을 도출하였다. 이때 전근대와 근현대 사회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이 전제된다. 『대한매일신보』의 시가문학이 한글을 주된 표현 문자로 선택한 것도 당대 문화풍속 담론을 읽어내는 데 이바지한다. 이는 『대한매일신보』 편집진들이 시가문학의 독자를 전통적 지식인층보다는 한글 사용의 일반대중 또는 여성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사회 변화가 대중들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이상의 생각들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근대 이행기의 문화 풍속 담론으로 우리 근대문학사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데 바쳐져 있다. This paper is planned and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examining the identity of Korean poetry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from the poetic works appearing in The Korea Daily News. The subject of this discussion of ours is `culture`. It tries to consider the picture of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times having as the object the poetic works depicting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The Korea Daily News was first published in 18 July 1904, and had been published until 28 August 1910, just before Gyeongsul Gukchi. This paper also deals with minyos, changgas, sijos, and other poetic works, centering on `Enlightenment Gasas` appearing in the column of `The critical comments on the current issues,` the poetic works appearing in the Korean edition of The Korea Daily News, which are the object of our study. `The Cultural Consciousness Appearing in The Korea Daily News` focused on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Korean poetic works in modern ages. It paid attention to ordinary culture and subculture as the categories of culture. It deduced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the times from the movement track in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times, nationalism, and illumine. It also witnesses the thinking that social changes are brought out from the public. Centering on the considerations delineated above this paper devotes itself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modern ages by the discourses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 -『년한반도(年韓半島)』를 대상으로-

        문선영 ( Tae Moon Han ),한태문 ( Sun Young M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이 논문은 한국의 근대 매체인 『少年韓半島』를 통해 한국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의 정체성을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된 것이다. 이 때 중심되는 화두는 `문화`이다. 근대 이행기를 배경으로 한 매체문학을 대상으로 당대 문화 풍속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少年韓半島』는 1906년 11월 1일 창간되었고, 1907년 4월 통권 6호로 종간되었다. 『年韓半島』는 국민정신을 함양하고 신지식을 선도하는 데 발간 목적을 두었다. `민주 정체(民主 政體)`를 새로운 국가상으로 삼고 있으며, 국민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서 무엇보다 `지식`의 습득이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少年韓半島』와 문화의식>은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 매체의 정체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이다. 연구 대상이 『少年韓半島』인만큼, 문화의 범주로는 아이 또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 일상문화와 기저문화에 주목했다. 여기서 당대 소년들의 삶의 동선과 민족주의 그리고 계몽주의를 통해 당대 문화의식을 도출하였다. 무엇보다 `교육`에 방점을 둔 문화적 풍속도가 두드러진다. 『少年韓半島』는 근대 학지(學知)를 다양하게 소개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삶의 좌표 설정과 문화적 판도를 깨우치게 하고, 나아가 이후 발간되는 『소년』, 『청춘』 등 본격적인 아동 또는 청소년 잡지의 시대를 연 종합지로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이제껏 『少年韓半島』의 원본이 공개되지 않아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학계의 사정을 감안할 때, 본고는 되도록 그 낱낱을 헤아리려 했다. `신대한(新大韓)` 또는 `신대한을 건설할 주체`의 표상으로 `소년`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만큼, 이를 중심으로 근대이행기의 문화 풍속 담론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데 바쳐져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media litera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in Korea by The Boy Han Peninsula. The topic of discussion is "culture." This paper tries to reflect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in those days making the media literature which are based o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as the object. The Boy Han Peninsula was launched on 1 Nov 1906 and ceased to be published in April of 1907, totally making 6 volumes. It was published in order to cultivate the spirit of the nation and lead the new set of knowledge. It takes the `political body of democracy` as the new portrait of the country, and emphasized that the learning of `knowledge` must be preced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capabilities of the nation. `The Cultural Consciousness Appearing in The Boy Han Peninsula` focusedly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media in modern Korea, mainly by the code of `culture`. As its title suggests, its cultural category directs its attention to the culture of ordinary lives of children and juveniles and their subculture. It induces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those days by those predicates of the lives of the boys of those days, nationalism and illumine.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ose days is especially marked by its drive toward education. The Boy Han Peninsula introduced various academic knowledge of modern times to awaken the children to the problem of setting proper coordinates in their lives and to the cultural territory of those days, and performed its role of pioneers who opened up the era of child or juvenile magazines which successively followed up like Boy, Youth and others. As its research object is The Boy Han Peninsula, before anything else, this paper is dedicated to explain the identity of the literary history of the modern ages in Korea as a discourse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by reflecting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of that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ages, mainly by children that `Purpose` in the first volume makes `boyhood` stand for, or the symbol of the leader who will establish, the New Great H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