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한천우 ( Han Cheon-wo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2

        최근 다양한 비인지적 요인이 학습자의 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탐구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성취목표를 매개로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그릿의 영향을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설 모형을 설정하고, D 광역시 소재의 한 사립대학 재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과 Mplus 8.2를 사용한 기초 분석, Pearson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가 가설 모형에 적합한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그릿 수준은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숙달-접근 목표는 대학생의 해당 학기 평점과 누적 평균 평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숙달-회피 목표는 모든 평점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그릿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숙달-접근 목표를 매개하여 대학 평점에 긍정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닌 시사점이 제시되었으며, 제한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Non-cognitive factors in learning have received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attention becaus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diverse non-cognitive factors, the current research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grit, achievement goals, and GPA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e current study is that individual achievement goal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preliminary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SPSS 25.0 and Mplus 8.2 were applied to data from 269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grit positively predicted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Second, whereas mastery-approach goals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term GPA and cumulative GPA, mastery-avoidance goals negatively affected both GPAs. Third, grit did not directly impact college students’ GPA, but mastery-approach goal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both GPAs. Based on tho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an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성장신념, 그릿, 메타인지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한천우(Cheon-woo H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전문대 재학생의 성장신념이 그릿과 메타인지를 매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 광역시 소재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228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사전 기초 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8.2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방법을 통하여 가설 모형을 검증하였다. 측정모형은 모형수정을 통하여 좋은 수준의 적합도를 갖췄으며, 이를 바탕으로 잠재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추가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자의 그릿과 메타인지는 그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전문대 재학생의 성장신념 수준이 직접적으로 그들의 진로준비행동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했지만, 그릿과 메타인지를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릿 수준 및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재(intervention)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대 재학생의 성장신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rowth mindset, grit and metacognition for Junior College students. 238 Junior College students in D city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but 10 of them were excluded for the final analyses. SPSS 25.0 was used to perform preliminary analyses and th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 were conducted with Mplus 8.2 program to check a hypothesized model. Measurement model had good fit with two minor modifications and its structural model had acceptable fit indices.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Junior College students’ grit and metacognition positively predicte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participants’ growth mindset could not directly impact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girt and metacognition could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findings, we could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intervention programs and instructional design to the fields of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enhancing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후보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을 위한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의 효과: 감정노동, 직무만족, 소진을 중심으로

        이수진 ( So Jin Lee ),한천우 ( Cheon Woo Han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이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소진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주 소재요양원 직원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14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5시간씩 5회기로 총 25시간을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 사전, 사후 및 실험과 통제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에서 직무만족을 제외한 모든 종속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이 감정노동자의 개인적 심리자원을 향상시키고, 조직의 효과성을 증대하는 중재방법으로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감정노동으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다양한 변인의 적용이 가능한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을 감정노동으로 인한 문재해결 및 예방 차원의 중재방법으로 활용하고 확대 가능성을 재고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 sociodrama program for emotional workers is effective in reduci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To this purpose, 14 experimental groups and 14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from nursing home employees in Jinju to conduct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five-session program (25 hours in total) once a week for five hour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tested for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re- and post-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verified through SPSS 27.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job satisfaction in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ime point and th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ociodrama program is effective as an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emotional workers' personal psychological resources and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solving problems caused by emotional labor, the sociodrama program, which can be applied with various variables,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solving problems and preventing problems caused by emotional labor, an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can be reconsidered.

      • KCI우수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성장신념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연기(Youn, Yen-gi),한천우(Han, Cheon-woo)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최근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비인지적 요인에 대한 다양한 탐색이 시도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학업상황에서 흔히 관찰되는 역기능적 태도인 학업지연행동의 내‧외적 선행요인으로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성장신념, 그릿을 선정하여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의 3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재학생 521명(남학생 268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Mplus 8.2와 SPSS 25.0 프로그램으로 사전 기초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은 부모양육태도, 성장신념, 그릿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장신념과 그릿은 학업지연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쳤지만, 부모양육태도는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그릿은 성장신념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고,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였다. 이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 예방에는 학습자가 스스로에 대해 갖는 긍정적 인식과 믿음이 중요하며, 아동기부터 그릿 등의 비인지적 요인을 통해 긍정적 신념을 가질 수 있게 돕는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학습자가 긍정적 신념을 갖도록 돕는 중재방법 및 교육환경의 마련과 함께 부모가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적절한 부모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Recently, non-cognitive factors in learning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predict academic outcome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growth mindset, gri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well-studied maladaptive learning attitudes. To do so, data of 521 elementary students(268 males) in D city was collected and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Mplus 8.2 and SPSS 25.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academic procrastin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ental attitudes, growth mindset and grit. Second,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whereas both growth mindset and grit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procrastination. Third, the grit could mediate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fu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helping elementary students have positive beliefs and attitudes towards themselves could prevent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In additi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dequate intervention programs is required to inspire elementary students’ non-cognitive factors such as grit.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parental training program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고정신념의 매개효과

        하정혜 ( Ha¸ Jeong-hye ),한천우 ( Han¸ Cheon-wo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고정신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512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3일부터 6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19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plus 8.2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기초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방법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측정모형은 모형수정을 통하여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를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좋은 수준의 적합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고정신념, 자아존중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고정신념은 각각 정적, 부적으로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고정신념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함이 확인되었다.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증진 시키기 위하여 부모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적 신념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fixed mindset and self-esteem.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e study is that high school students’ fixed mindset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self-esteem. To test hypothesized model, 512 students in Seoul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and 419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es. Mplus 8.2 and SPSS 25.0 were employed to do descriptive analyses an 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 Both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had acceptable fit for this study.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fixed mindset, and self-esteem. Second,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positively affect students’ self-esteem whereas fixed mindset was negatively associated. Third, fixed mindset c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self-esteem. Based on tho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이혜주(Hye ju Lee),한천우(Cheon-woo Ha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전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이 학습참여와 도움요청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를 위해 D 광역시 소재 전문대학의 재학생 44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42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21을 사용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과 Amos 21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화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문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도움요청 각각은 성장 마인드셋, 그릿과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전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은 도움요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습 참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연구 참여 학생들의 그릿은 성장 마인드셋과 학습참여 그리고 성장 마인드셋과 도움요청을 각각 성공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학습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참여와 도움요청 행동 촉진에 있어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참여와 도움요청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개입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Given that a number of studies have documented the wide-ranging benefi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help-seeking, how they can be improved is an important issue in college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mindset,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help-seeking of community college students. To do so, we conducted online surveys and analyzed data from 423 out of 441 community college students. We used SPSS 21 to perform pre-analyses and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1 to verify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the pre-analyses show that all of the variables in this study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growth mindset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lp-seeking, whereas it did not directly correlate with academic engagement. Second, gri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cademic engagement, and between their growth mindset and help-seeking. These findings help us understand how growth mindset and grit can work as noncognitiv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help-seeking, which leads to a path of academic succes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이수진 ( Lee Soo-jin ),한천우 ( Han Cheon-wo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 참여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D시의 지역아동센터 아동 20명을 실험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은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두 달간 주 1회 2시간씩 총 5회기 10시간에 걸쳐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 분석은 SPSS 25를 활용하였으며 먼저 집단 간 동질성검증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아동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자기표현력의 사전·사후 점수 비교 및 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변인에서 실험집단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특히 공감능력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시점과 상호작용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며 특히 자기표현력의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이 부정적 정서인식 및 발달이 우려되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기정서 인식과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고 타인에 대한 인지·정서적 공감능력을 향상하도록 도우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행동 및 정서표현을 하도록 도와 또래관계 및 사회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ociodrama program on empathy, self-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of children at a local children's cent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20 children from the local children's center in D city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or 10 each. The 2 hour program has been performed at every week from May to July of 2021.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SPSS 25 was used, and first,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checked, and pre- and post-comparisons of children's empathy, self-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were compar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Finally, a series of the interaction effect analyses between time and group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variables,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empathy ability. Both the viewpoint and interaction showed significant changes, and it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enhancing self-ex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at sociodrama programs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to recognize and express their emotions, improve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for others, and improve peer relationships and sociability.

      • KCI등재

        고등학생의 성장신념,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하정혜(Ha, Jeong hye),한천우(Han, Cheo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장신념과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그릿이 그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 3일부터 6월 12일까지 서울시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Mplus 8.2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기초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방법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측정모형은 모형수정을 통하여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를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구조방정 모형은 좋은 수준의 적합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장신념, 부모양육태도, 그릿, 자아존중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장신념과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그릿은 모두 참가자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셋째, 그릿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성장신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함이 확인되었다.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부모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신념과 그릿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growth mindset, grit,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self-esteem. To do so, 419 high school students (184 males) in Seoul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and their growth mindset,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grit, and self-esteem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In order to perform preliminary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Mplus 8.2 and SPSS 25.0 Measurement model had acceptable fit with a couple of minor modifications and its structural model had good fit indices. First of all,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growth mindset,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grit, and self-esteem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direct effects on students’ self-esteem of growth mindset,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grit were significant. Third, grit c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both perceived parental attitudes-self-esteem and growth mindset-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not only relations with parents but also high school students’ growth mindset and grit could enhance their self-esteem.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그릿과 도움요청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김유선 ( Kim¸ You-sun ),한천우 ( Han¸ Cheon-wo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릿과 성취목표, 도움요청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성취 목표의 매개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K대학 4년제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251명의 설문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와 Mplus 8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과 성취목표, 도움요청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릿은 도움회피만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성취목표 중 숙달목표는 대학생의 도움요청 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 중 도구적 도움만을 긍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숙달목표만이 그릿과 도움요청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또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그릿과 도움요청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도움요청행동을 끌어낼 수 있는 변인으로 그릿의 역할과 숙달목표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grit, achievement goals, help-seeking behaviors for university students. To do so, 269 university students in D city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but 19 of them were excluded for the final analyses. SPSS 25 and Mplus 8 were used to perform preliminary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of all, gri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voidant help-seeking behaviors. Second, direct effects of the mastery goals on college students’ help-seek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association with instrumental help-seeking was only positive. Third, mastery goals could partially or fully mediate between grit and help-seeking behaviors. This research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help-seeking behaviors which has not been directly tested,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