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역버스 차내혼잡도 완화의 경제적 편익측정에 관한 연구

        류시균,한시원,유재상 대한교통학회 2016 大韓交通學會誌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method for measuring social benefit by mitigating in-vehicle congestion level in intercity buses.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Tobit model are adopted for social benefit evaluation method. One thousand passengers were interviewed with 992 obtained valid samples. Tobit models with age, income level, and bus boarding times as explanatory variables are selected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mitigation of intercity bus in-vehicle congestion. Statistically and logically, two models with age or income level as explanatory variables are turned out to be valid. The intercity bus service supply status and usage are examined and the bus users who have willingness-to-pay for the intercity bus in-vehicle congestion mitigation have been identified. In case of the ‘no standing’ rules implemented to the intercity bus, the annual economic benefit from the service is estimated to be 14.7 billion won.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을 운행하는 광역버스를 대상으로 차내혼잡도 완화의 편익측정방법론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비시장재의 편익측정방법론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서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조사기법으로, Tobit모형을 측정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992개의 유효표본이 얻어졌으며 연령, 소득수준, 버스탑승시간, 통행목적, 혼잡도 등을 설명변수로, 광역버스 차내혼잡도 완화에 대한 추가지불의사액을 종속변수로 하는 Tobit모형을 추정하였다. 통계적 검정과 논리적 검정을 통해서 모형의 적합도가 검정되었으며 모형으로부터 산출된 광역버스 차내혼잡도 완화에 대한 추가지불의사액을 경기도가 인가한 광역버스 이용실태에 적용한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 광역버스 좌석제를 시행할 경우 일평균 약 61백만 원, 연간 약 147억 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 광역버스 차내혼잡도 완화의 경제적 편익측정에 관한 연구

        류시균,한시원,유재상 경기연구원 2015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경기도는 ‘바로타고 앉아가는 굿모닝 버스’의 도입을 민선6기 핵심교통정책으로 선정,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의 굿모닝버스와 국토교통부의 광역버스 좌석제 모두 광역버스의 입석해소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광역버스 입석문제 해소정책은 타당성여부를 물어서 시행여부를 결정할 대상이 아닌 당위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이라 할 수도 있지만 효과 대비 비용이 터무니 없이 크다면 당위적 정책으로서의 추진동력도 약화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타당성 진단은 재정의 효율적 활용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반드시 거쳐야 할 절차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굿모닝버스시스템 구축 또는 국토교통부의 광역버스 좌석제 정책의 편익측정방법론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광역버스 좌석제의 경제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 개발의 첫 번째 단계로서, 본 연구에서는 비시장재의 편익측정방법론을 조사, 비교하였다. 다양한 방법론 중에서 환경경제학 분야에서 비시장재의 가치측정방법론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을 광역버스 좌석제의 경제적 편익측정방법론으로 선정하였다. 파일럿 조사를 통해서 조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토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본조사에서는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에서는 연령, 소득수준 등의 개인속성변수, 버스탑승시간, 통행목적 등의 통행속성변수 그리고 차내혼잡도 완화에 대한 추가지불의사 여부와 추가지불의사액 등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연령, 소득수준, 버스탑승시간을 설명변수로 하고 추가지불의사액을 종속변수로 하는 17개의 Tobit모형이 추정되었다. 연령 또는 소득수준을 설명변수로 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면서 합리적 추론에 부합되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탑승시간을 설명변수로 한 모형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고 논리적으로도 해석이 쉽지 않은 모형이 도출되었다. 광역버스 좌석제의 경제적 편익을 산정하기 위해서 연령 또는 소득수준을 설명변수로 한 모형으로부터 입석상태의 버스와 좌석상태의 버스간 요금격차를 산출하였고, 첨두/비첨두를 구분하지 않았을 때 그 값은 대략 330원 수준이었다. 첨두/비첨두를 구분한 경우에는 첨두시가 약 367원으로 비첨두시에 비해 약 55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좌석상태의 버스에 대한 추가지불의사액을 경기도가 인가한 광역버스 이용실태에 적용해서 광역버스 좌석제의 경제적 편익을 산출하였다. 첨두/비첨두 통합모형을 적용하여 산출한 경제적 편익은 평일 평균 약 55백만 원(오전첨두 약 21백만 원, 오후첨두 약 14백만 원, 비첨두 약 20백만 원), 연간 약 133억 원(오전첨두 약 51억 원, 오후첨두 약 33억 원, 비첨두 약 49억 원)으로 산출되었다. 첨두/비첨두를 구분한 모형을 적용하여 산출한 광역버스 좌석제의 경제적 편익은 연간 약 139억 원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성과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광역버스 좌석제의 경제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론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경제학에서는 교통계획분야의 로짓모형을 조건부가치측정법의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다. 향후 로짓모형을 활용한 광역버스 좌석제의 경제적 가치측정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성과는 광역버스 좌석제를 위한 재정투자의 타당성 검증에서 어느 정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학술적 측면에서 보다는 실용적 측면에서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n evaluation method for social benefit by mitigating the metropolitan bus in-vehicle congestion level.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Tobit model are adopted for social benefit evaluation method. One thousand passengers were interviewed and 992 valid samples were obtained. Tobit models with age, income level, and bus boarding times as explanatory variables are selected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mitigation of metropolitan bus in-vehicle congestion. Statistically and logically two models with age or income level as explanatory variables are turned out to be valid. The metropolitan bus service supply status and usage are examined and the bus users who have willingness-to-pay for the metropolitan bus in-vehicle congestion mitigation have been identified. In case the metropolitan seat bus system implemented, the annual economic benefit from the service is estimated to be 13.3 billion w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