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여름 밤의 꿈』에 나타난 순환구조 연구

        한상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irculation structure - departure, initiation and return - in A Midsummer Night's Dream. A Midsummer Night's Dream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based on the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s' spatial movement. First, the palace in Athens is a confusing world filled with serious conflict and discord between the old generation and the youth. The elders insist that the youth obey the traditional laws of Athens, but the young lovers refuse to submit themselves to the principles of cold reason and law. Instead they require a natural world of love. The young lovers confronting the opposing forces of parents and established traditions depart from Athens and escape into the forest to achieve their love. Second, the forest can be explained as the space where playfulness, festivity and freedom are realized. Shakespeare establishes the forest as "a green world" where conflicts are to be resolved. The forest is the world of fairies and dream. Four lovers come to reveal their nature by the play of Puck, and the complications between purity and passion within themselves. Bottom, who's head is transformed into that of an ass, falls in love with Titania, queen of the fairies. In the forest the characters go through a developmental transition in which they mature through their difficulties, gain wisdom through folly, order through chaos, and concord through discords. They finally return to the palace which has become more harmonious. They overcome their ordeal to find true love and get married. The wedding ceremony and 'play-within-a-play' at the end of the play is not only the fulfillment of individual love, but also the incorporation of the individual into society. The process of love and the movement of place can be expressed by a formula, which consists of an initial stage of separation, a transitional stage, and the stage of incorporation. The characters depart Athens (departure), gain something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a forest (initiation) and then return to Athens after being awoken from a dream (return). They are then reintegrated into society with their new perspectives. Through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three stages, we can sketch the outline of Shakespearean comic strategies. Shakespeare's play moves from separation to reunion for the goal of social harmony, and from self-ignorance to knowledge for the goal of individual harmony, namely, recognition. Shakespeare presents his comic vision of harmony and reconciliation, dramatizing the universal aspects of human life through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A Midsummer Night's Dream.

      •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따른 환경·에너지편익에 관한 연구

        한상미 광운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녹색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는 교통수요관리방안(TDM,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측면에 있어 승용차통행과 대중교통수요의 일부를 전환시킬 수 있으며, 탄소배출량을 줄여 쾌적한 도시환경을 유지할 수 있어서 자전거교통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의 이용행태에 따른 자전거이용 확대 가능성을 진단해보고 국내외 우수사례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진단, 자전거의 수단분담률 향상을 위한 목표와 대책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전거 교통수단분담률의 증가에 따른 환경·에너지편익을 추정함으로서 실질적인 경제적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자전거 이용 편익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이용의 편익을 대기오염 예방 및 기후변화 완화로 보고 일산화탄소(CO), 미세먼지(PM),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외에 이산화탄소(CO2) 저감효과 편익을 추정하였다. 또한 자전거가 이용되면 승용차 이용을 대체하기 때문에 이때 절약되는 에너지 역시 편익으로 포함시켰다. 추정결과 2014년 수도권 각 지역이 자전거 수단분담률 목표를 달성할 경우 연간 서울은 3천 157억, 경기도는 1천 845억, 인천의 경우 784억 원의 편익이 발생하며, 수도권 연간 총 편익은 5천786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자전거이용활성화에 중앙정부, 지자체, 국민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우수한 도시공간과 교통 환경을 만들어 최소 자전거 수단분담률 5%의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 전국적으로 환경·기후변화 관련 편익과 에너지 절감 편익의 합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편익의 결과는 도시, 교통, 환경 등 여러 분야에 가치를 반영할 것이다. 적극적인 자전거이용 활성화 시책 추진으로 자전거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에너지 소비적인 경제구조와 삶의 방식을 저탄소 친환경적인 사회구조로 전환할 수 있다는 긍정적 기대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As bicycles, as a green vehicle, can affect car and public transportation needs in terms of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TDM), public support for bicycle utilization with the associated decrease in carbon emissions and ensuing pleasant urban environment is recently formed. Hereupon, this study analyzes expandability of bicycle utilization through behavior of bicycle utilization and suggests goals for increasing bicycle utilization as well as for associated measures through study of best practice cases in Korea and overseas. Also, it examines the potential economic effects by presuming environmental and energy benefits from increased bicycle utilization. Although the benefits of bicycle utilization appear various in this study, it is presumed that bicycle utilization prevents air pollution and reduces climatic change. The benefits of decreased carbon monoxide (CO), particulate matter (PM), nitrogen oxide (NOx), sulfur oxide (SOx),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re also presumed. In addition, because bicycle utilization replaces car utilization, reduced energy consumption is also included in the energy benefits.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annual benefits in Seoul, Gyunggi province, Incheon and metropolitan area were 315.7, 184.5, 78.4 and 578.6 billion won, respectively. When 5% bicycle utilization as a minimum goal is achiev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the public as well as formation of an excellent urban space and traffic environment are realized through activation of bicycle utilization, the expected sum of these benefits and energy savings will be considerable. As a result, such benefits will be applied to several areas such as city, traffic and environment. Through activation policy of bicycle utilization, interesting for bicycle usage is expanded and generates positive expectations. Accordingly, it has the positive effect of converting lifestyles from an energy-consuming economic structure to low-carbon environmentally friendly social structure.

      • 주식 거래에 대한 이사의 배임죄에 관한 연구

        한상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거나 자기주식을 취득·처분하는 행위에 있어서는 기존 주주들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그 상대방이나 가격을 결정하면서 매우 신중하여야 한다. 특히 자신에게 유리한 세력에게 신주를 발행하거나 회사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처분함으로써 회사의 주식거래가 회사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위한 방편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회사가 주식거래를 하면서 현저히 불공정한 가격으로 거래하거나 임의로 거래 상대방을 선택하여 회사에 손해를 가한 경우 배임죄가 성립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배임죄의 규정 자체가 매우 포괄적으로 규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 한계를 규정짓기가 모호하기 때문이다. 회사의 이사 등 행위자로서는 단순한 절차 위반이나 손해가 발생하였다는 사정만으로는 배임죄에 해당하는지를 쉽게 예측하기 어렵고 결국 법원이 모든 행위의 적법성을 판단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행위자에게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기업경영에 소극적으로 임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배임죄 행위 유형별로 위반사례를 축적하여 유형화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막연한 배임죄 규정을 현재 판례상 운영되고 있는 사례에 좀 더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계를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배임죄가 인정되기 위하여는 주관적 구성요건으로서 배임의 고의와 불법영득의 의사가 필요한데, 불법영득의 의사는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꾀할 목적으로’ 업무상 임무를 위배하여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하여금 취득하게 하여 회사에 손해를 가한 경우로 해석하여 배임죄의 한계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한편 자기주식처분의 경우 신주발행의 경우와 같이 상대방 선택의 공정성이 문제됨에도 주주가 가진 주식 수에 비례하여 주식을 취득하도록 하는 상법 제418조와 같은 규정이 없다. 회사의 지배구조 변경 등 지배주주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라도 자기주식처분에도 신주발행절차를 준용하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하여 양자 사이의 균형을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죄형법정주의와 유추해석 금지의 원칙이 적용되는 형사 사법 원칙상 불공정한 자기주식처분에 대하여 배임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기주식처분 절차에 신주발행 절차 준용규정 혹은 주주평등의 원칙에 따라 처분하는 규정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Where a company issues new shares or acquiresždisposes of its treasury shares, its impact on the existing shareholders would be immense; therefore, the company shall be very meticulous in determining the other party or the price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stock trading is used for the advantage of individuals rather than the company by issuing new shares to those people who are advantageous to oneself or disposing the treasury shares possessed by the company has continuously increased. Where the company inflicts damage to itself by trading stocks at remarkably unfair prices or arbitrarily selecting the other party of the trading,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set up the standards whether such actions constitute the breach of trust. It is because the standards of the breach of trust are too broadly defined and it is vague to define the limit thereof. In fact, it is not easy to for an actor, including the directors of the company, to predict whether he or she would commit the breach of trust only with the condition that simple violation of a process or damage occurs. Thus, the court currently determines the legality of every action. This is unlikely to provide an actor with predictability and be led to a conclusion that he or she is inevitably passive in the company management. To resolve such problems, first, it is required to accumulate the cases of violation depending each type of the breach of trust and categorize them. Next, it is deemed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ly vague definition of the breach of trust into the more limited one so as to make it easier to approach the cases managed following the judicial precedents. For the breach of trust to be acknowledged, the willfulness for the breach of trust and the intention of illegal taking of possession are required as objective components of the breach of trust. The intention of illegal taking of possession shall be interpreted as a case in which “in pursuit the of interest of oneself of the third person,” professional duties are violated as making oneself or the third party acquire the interest of property, resulting in damage on the company, and thereby the definition of the breach of trust shall be clea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isposing of treasury shares, no regulation like Article 418 of the Commercial Act, which stipulates that where new shares are issued, each shareholder shall be entitled to the allotment of new shar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hares which he or she holds does not exist, although a question on fairness of the other’s selection could be raised. For the purpose of avoiding the abuse of dominant stockholders including a change of the corporate governance, a regulation which stipulates that a process of issuing new shares shall be complied with when disposing of treasury shares shall be newly established so as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two. Especially, to constitute the breach of trust with respect to unfair disposing of treasury shares under the principle of the criminal justice that adopts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and the prohibition of analogical interpretation, it is imperative to add the regulations that stipulate the compliance of the process of issuing new shares or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shareholders shall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disposing of treasury stocks

      • 독서치료 집단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한상미 한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독서치료를 활용한 집단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의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독서치료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군포시에 소재한 J와 K 지역아동센터 두 곳의 4∼6학년 아동 중 참여 동의를 얻은 아동을 실험집단에 5명, 통제집단 5명을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아동용 탄력성(주소영, 이양희 2007)과 대인관계 조화척도(최성식, 김성회 2007) 검사를 두 집단에 모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7년 7월 25일부터 2017년 8월 30일까지 주2회, 총 10회기의 독서치료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결 후 마찬가지로 두 집단에 아동용 탄력성과 대인관계 조화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의 자료 처리 및 분석은 SPSS (version 18.0)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비모수 통계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방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아동용 탄력성 검사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독서치료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대인관계 조화척도 검사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독서치료를 활용한 집단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 진로장벽탐색 프로그램이 경도장애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상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로장벽탐색 프로그램이 경도장애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탐색 프로그램이 경도장애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진로장벽탐색 프로그램이 경도장애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중학교에서 경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총 13명의 동질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진로장벽탐색프로그램의 구성은 주 1회씩 45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2명의 교사가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검사 도구는 진로의사결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발달장애가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Osipow이 개발한 Career Decision Scale(CDS)를 기초로 하여 이상진(2003)이 개발한 연구도구를 사용 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 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fficacy Short Form; CDMSE-SF)를 장애학생 대상으로 이설희 (2015)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 및 선행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고찰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탐색 프로그램이 경도장애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킨다. 구성적 측면에서 진로장벽탐색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여 경도장애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둘째, 진로장벽탐색 프로그램이 경도장애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 진로장벽탐색 프로그램이 경도장애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영역 (직업목표 수집, 목표 설정, 계획 수립, 문제 해결, 자기 평가)을 향상시킨다. 결론적으로 진로 장벽 탐색 프로그램은 경도장애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를 통해 장애학생의 일반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search program on career decision making ability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roblem of study, I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First, does the career barriers exploration program affect the career decision making ability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Second, does the career barriers exploration program affe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O city O junior high school, A total of 13 people were composed of homogeneous groups. The career barrier search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and 45 minutes per session. There are two teachers who operate the career barrier search program. In the test tool, career decision making ability was used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scale.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short farm; CDMSE-SF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barrier search program improves the career decision making ability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second. Career barrier search program improv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Third, the career barriers exploration program improves the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sub - domain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job goal collection, goal setting, planning, problem solving, self – assessment). In conclusion, the career barrier detection program influences career decision making abil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t is also expected that career barrier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generalization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말 연구 : 상호작용 기능에 따른 유형을 중심으로

        한상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실에서 발화되는 교사말(teacher talk)의 유형과 발화 양상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교사말이란 제2언어나 외국어 교육에서 목표어를 학습자들에게 보다 이해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언어적, 상호작용적 변형(modification)을 가하여 만든 특별한 말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사 연수 및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효율적인 언어 교실을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언어 교사를 양성하는데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수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효율적인 발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소개했다. 우선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들의 발화 양상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교실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말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한 이 연구의 목적은 조작되거나 유도된 상황이 아닌 자연스러운 교실 환경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교사말의 일반적인 유형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그 발화 양상에 나타난 특징을 찾아내는 것임을 밝혔다. 2장에서는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했다. 우선 교사말이 교수 행위와 학습자의 이해의 측면에서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까지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교사말에 대한 주요 연구 경향 변화를 개괄한 후 주요 선행 연구들을 본 연구의 주제인 교사말 유형과 관계되는 내용별로 묶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사용되는 수업 대화 자료를 수집, 전사 및 분석하는 과정에 적용된 연구 방법론인 상호작용 분석(interaction analysis)에 대하여 설명했다. 또한 연구 대상과 연구 절차 및 자료의 전사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밝혔다. 4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유도 발화 범주의 교사말 유형을 제시하였다. 유도 발화의 유형은 '끌어내기'와 '절차 언급'으로 나뉠 수 있는데, '끌어내기'의 하위 유형으로는 '나열형 질문', '참조형 질문', '연습 끌어내기', '문장 완성 끌어내기', '화제 제시'가 있었고, '절차 언급'의 하위 유형으로는 '절차형 질문', '절차 제시', 그리고 '지시'가 있었다. 5장에서는 피드백 범주의 교사말 유형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실에서 피드백 범주를 구성하는 교사말 유형은 그 기능에 따라 '평가', '바로잡기', '다지기', '확인', '설명', '대화 맥락 잇기', 그리고 '비언어적 반응' 등 일곱 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이 일곱 가지 유형들은 다시 그 세부적인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뉘어지는데, '평가'는 '수용', '칭찬', '이견표시', '비판', 그리고 '의사표현'으로, '바로잡기'는 '명시적 바로잡기', '암시적 바로잡기', 그리고 '보완'으로 분류되었다. '다지기'는 '강조'와 '강화'로, '확인'은 '명료화 요구', '학생 이해 점검', 그리고 '교사 이해 점검'으로 분류되었다. '설명'은 '구조화', '바꿔 말하기', '되돌아가기', '비교', '확장', '번역', '예시', '시각 자료 제시', 그리고 '몸동작'의 아홉 가지 하위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대화 맥락 잇기'는 '받아넘기기', '오류 무시', 그리고 '여담'으로 나뉘어졌고, '비언어적 행동'은 '웃음'과 '침묵'으로 하위 분류되었다. 6장에서는 교사말 유형 분석의 과정 및 결과에서 나타난 한국어 교사말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그 특징으로는 첫째, 유도 발화 범주의 '끌어내기'에 속하는 질문중 '나열형 질문'의 발화 빈도가 '참조형 질문'의 발화 빈도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둘째, 피드백 범주의 교사말 유형 중 '설명'의 하위 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매우 발달되어 있고, 교실에서 수행되는 발화 빈도와 발화 비율 면에서도 다른 유형들과 비교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발화량이 학습자의 발화량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소수의 교사들을 제외하고는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발화 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결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상호작용의 기회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한국어 교실의 문제점은 무엇보다도 교사가 학습자에게 충분히 말할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임을 진단할 수 있었다. 7장은 맺음말로서 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발견된 교사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This paper, comprising 7 chapters, presents a study on teacher talk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TKFL). 'Teacher talk' means the linguistic and interactive adjustments that teachers make to both language forms and language functions in ord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There are two main functions of effective teacher talk in these settings. The first permits teachers to organize the classroom process effectively by using the appropriate teacher talk. The second enables teachers to make the learning process more effective through the use of linguistic and interactional modifications in their pedagogy. The first chapter focuses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to present an analysis of types of teacher talk based on interactional functions and then to ident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talk spoken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The second chapter reviews both the theoretical basis used by previous researchers and recent tendencies in studies on teacher talk in ESL.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experimental method and procedures employed in this study. 20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classrooms in 10 different programs in 6 language institutes are video and audio taped in uncontrolled, natural classroom situations. There are 20 male and female Korean teachers having various degrees of teaching experience and of different ages, as well as 165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recordings. All of the video tapes are transcribed 3 times according to dramaturgical notation. The fourth chapter contains an analysis and taxonomic classification of types of teacher talk according to the interactional function in the initiation category, which is the first category of the general classroom interaction cycle: the I(initiation)-R(response)-F(feedback) cycle. In the initiation category of classroom interaction, two types of teacher talk are listed: 'elicitation', and 'procedural statement'. 'Elicitation' has sub-types such as display questions, referential questions, practice elicitation, completion elicitation, and topic presentation. 'Procedural statement' contains procedural questions, procedure presentation, and direction as sub-types. The fifth chapter comprises an analysis and taxonomy of types of teacher talk in the feedback category which are classified as 'evaluation', 'correction', 'strengthening', 'confirmation', 'explanation', 'interactive encouragement', or 'nonverbal response'. Each of these 7 types has its own sub-types based on the latter's unique function in the classroom interaction. 'Evaluation' contains sub-types such as acceptance, praise, signaling disagreement, constructive criticism and expressing attitudes. 'Correction' comprises explicit correction, implicit correction, and complement. 'Strengthening' includes emphasis and input reinforcement. 'Confirmation' deals with clarification requests, comprehension checks, and confirmation checks. 'Explanation' includes structuring, paraphrasing, backtracking, comparisons, extensions, translations, giving examples, presenting visual aids, and body language. 'Interactive encouragement' comprises repartee, ignoring errors, and digression. Finally, 'non-verbal response' includes laughter and silence. Chapter 6 presents thre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alk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based on the results shown in the previous 2 chapters and on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Korean teachers' pedagogical methods: the first is the fact that explanation in the feedback category, which contains the most variety in its sub-types, occurs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type of teacher talk in Korean language instructors' classroom speech. The second is these teachers' general tendency to ignore the specific functions of each type of teacher talk, especially when they elicit students' responses and consequently use display questions in almost every case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the interaction. The third is that the amount of teachers' speech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students', and that there are in reality very few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ractice target language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All three characteristics discussed in this chapter lead us to conclude that the main proble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is the fact that teachers need to learn how to speak more effectively, both to give proper language input to the students and to manage their classrooms efficiently. In the last chapter a brief summariz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ade and some suggestions are offered to overcome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such a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learn teacher talk skills through inservice training.

      • 가족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정체감

        한상미 숙명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the reality of adolescents who attend family voluntary service and to measure their realized level of family health and self-identity, then it attempts to understand how differs between family health and self-identity according to family voluntary service variable and sociology of population variable. Also, this study tries to see what are the variables which affect to adolescents' family health and self-identity, who attended family voluntary service.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did a survey targeting 225 students, who lived 6 Gus such as Jung-gu, Yongsan-gu, Seongdong-gu, Mapo-gu, Dongjak-gu, Jongno-gu among 25 Gus in Seoul, from a first grader in middle school to 3rd grader in high school students. For analysis, this study di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 attended family voluntary service could be expected to realized high level of family health as their school record are high, as they attend family voluntary service regularly, as their volunteer duration are not long and as their satisfaction after they attended family voluntary service. Second, it could be expected that adolescents who attended family voluntary service realized high level of self-identity, as their school record are high and as their satisfaction after they attended family voluntary service. Based on these result of an actual analysis, to improve level of family health and self-identity for adolescents who attend family voluntary service, this thesis suggested as follows; Above all, it requires to award high points to family voluntary service than common voluntary service, to design program which consider families' specialties and various demands and to promote about effect of family voluntary service. Also, it needs to reinvigorate family voluntary program that allows to resolve problems of family and adolescent and to achieve a goal as nature education through continuous voluntary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revitalize family voluntary service from now on and contribute to improve family health and self-identity to adolescents who attend family voluntary service. 본 연구는 가족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의 실태를 알아보고, 가족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정도와 자아정체감 수준을 측정하고, 가족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가족자원봉사활동과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가족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에게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내 25개 구 중에서 중구, 용산구, 성동구, 마포구, 동작구, 종로구 등 6개구에 거주하며 공공기관 및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가족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2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족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은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가족자원봉사활동을 정기적으로 할수록, 봉사활동을 시작한 기간이 길지 않을수록, 가족자원봉사활동에 참여 후 만족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족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지각한 자아정체감은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가족자원봉사활동에 참여 후 만족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정체감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족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에게 가족건강성과 자아정체감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일반자원봉사활동보다 가족자원봉사활동에 더 많은 가산점을 부여하고, 가족의 특성과 다양한 욕구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가족자원봉사의 효과에 대하여 적극적인 홍보하여야 한다. 또한 가족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시킴으로서 가족과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고 단순히 기준시간을 채우기 위한 자원봉사가 아닌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인성교육의 목적을 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가족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하고 가족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에게 가족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패션브랜드와 아티스트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콜레보레이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상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mid the fashion trend of being expanded now into lifestyle and cultural code, the collaboration in ‘fashion and art' is being especially accelerated. However, a research relevant to this itself is in the real situation of being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was progressed in order to examine about which influence the difference in image similarity between two individuals has upon collaboration performance, in the collaboration of centering on fashion brand and artist. According to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some of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The first research problem was established as saying of ‘exa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n image similarity between fashion brand and artist has influence upon brand image before and after collaboration’, The second research problem was established as saying of ‘exa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n image similarity between fashion brand and artist has influence upon br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collaboration’.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carried out documentary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side by side. The documentary research was arranged a concept of collaboration, and was analyzed type and case. Also, to circumstantiate these research problems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the helpful theories, namely, image,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brand preference were also examined. And then, the empirical research examined which influence the difference in image similarity between two individuals has upon brand image before and after collaboration given the collaboration in fashion brand and artist based on items relevant to image and preference, which were extracted through the documentary research. In addition to this, it examined which influence it has upon brand attitude. Summarizing the findings, they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n image similarity between fashion brand and artist has influence upon brand image before and after collaboration, it was indicated significantly. First of all, when the brand in classic image collaborates with artist in similar image, the image moved to the opposite direction, not the partially classic direction. Given the collaboration with artist in contrary image, it moved largely to the direction of partner image. And, when the brand in avant-garde image collaborates with artist in contrary image and in similar image, all moved to the direction of partner's image. This could be known that when the fashion brand collaborates with artist, the partner image is transferred to brand image, thus partner image has very important influence upon brand image. However, in the collaboration of classic brand with artist in similar image, the brand image didn't move to the classic direction any more. This could be known that the image positioning can be indicated differently in multi-dimensional space after collaboration even if being same in the image combination between two individuals before collaboration. Research problem 2: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n image similarity between fashion brand and artist has influence upon br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collaboration, the result could be obtained that all get lower than the existing brand preference.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relatively a case of each collaboration, the mutually different result was shown in case of classic brand and avant-garde image. First of all, given the collaboration in classic brand, the consumers could be known to feel interested in the collaboration with partner in contrary image more than partner in similar image. This result can be said that consumers expect novelty and interest within the range of not damaging traditional and luxury image that the existing brand has, as for collaboration in classic bran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collaboration in avant-garde brand, the consumers could be known to have relatively higher preference for the collaboration with partner in similar image than partner in contrary image. This can be said that avant-garde image can be felt a great change in its difference in the collaboration with the stronger individual and innovative image because of being larger in the range of accepting image compared to classic image. This result can be said that the consumers expect the more uniqueness and novelty than individual and innovative image that the existing brand has, as for collaboration in avant-garde brand. Through the above findings, given the collaboration with artist in fashion brand, the difference in image similarity between two individuals could be known to have influence upon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collaboration. Accordingly, there will be a need of grasping the current consumers' own company's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before progressing collaboration in fashion brand, of definitely establishing with which aim it will be executed by having the main target as which consumer brackets, of considering partner and design proper for this, and of deciding on collaboration type. Accordingly,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basic data of suggesting strategic direction on with which collaboration a fashion company or brand will proceed with developing given establishing collaboration strategy. Given applying it to business by synthesizing academic research performances in diverse fields relevant to this, it is expected to be likely to possibly contribute greatly even to improvement in management performance of a company as well as possibly offering a help to the more systematic decision-making in the process of deciding on and progressing collaboration. 현재 라이프스타일과 문화코드로 확장되어지고 있는 패션의 경향 속에서 특히 ‘패션과 예술’의 콜레보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연구 자체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브랜드와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한 콜레보레이션에서, 두 개체간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콜레보레이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몇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패션 브랜드와 아티스트간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협업 전과 후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패션 브랜드와 아티스트간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협업 전과 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는 콜레보레이션의 개념을 정리하고, 유형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 연구를 통해 본 연구문제를 실증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이론들 즉 이미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선호도 등도 살펴보았다. 이후의 실증적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추출한 이미지와 선호도 관련 문항을 기준으로 패션브랜드가 아티스트와 콜레보레이션 시, 두 개체간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협업 전과 후의 브랜드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이와 함께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패션 브랜드와 아티스트간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협업 전과 후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먼저 클래식한 이미지의 브랜드에서 유사한 이미지의 아티스트와의 협업 시,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클래식한 방향이 아닌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였고, 상반된 이미지의 아티스트와의 협업 시에는 파트너 이미지의 방향으로 크게 이동하였다. 그리고 아방가르드한 이미지의 브랜드에서는, 상반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의 아티스트와의 협업 시, 모두 파트너의 이미지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이는 패션 브랜드에서 아티스트와의 콜레보레이션 시, 파트너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에 전이되므로 파트너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클래식한 브랜드에서 유사한 이미지의 아티스트와의 협업에서는 브랜드 이미지가 더 이상 클래식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았는데 이는 협업 전, 두 개체간의 이미지 조합이 같을지라도 협업 후, 다차원 공간에서의 이미지 포지셔닝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 2: 패션 브랜드와 아티스트간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협업 전과 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기존의 브랜드 선호도보다 모두 낮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콜레보레이션의 경우를 상대적으로 비교 분석해 본 결과, 클래식한 브랜드와 아방가르드한 브랜드의 경우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먼저 클래식한 브랜드에서 콜레보레이션을 할 경우에, 소비자들은 유사한 이미지의 파트너보다 상반된 이미지의 파트너와의 협업에서 흥미로움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클래식한 브랜드의 콜레보레이션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기존의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전통 있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새로움이나 흥미로움을 기대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아방가르드한 브랜드에서 콜레보레이션을 할 경우에 소비자들은 상반된 이미지의 파트너보다 유사한 이미지의 파트너와의 협업에서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방가르드한 이미지는 클래식한 이미지에 비해 이미지의 수용 범위가 커서 더욱 더 개성이 강하고 혁신적인 이미지와의 협업에서 그 차이 변화를 크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방가르드한 브랜드의 콜레보레이션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기존의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개성 있고 혁신적인 이미지보다 더 독특함과 새로움을 기대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패션 브랜드에서 아티스트와의 콜레보레이션 시, 두 개체간의 이미지 유사성의 차이가 협업 전과 후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패션 브랜드에서 콜레보레이션의 진행에 앞서, 현 소비자들의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태도를 파악하고, 어떠한 소비자층을 주 타깃으로 하여 어떠한 목적으로 실행할 것인지를 명확히 설정하여 이에 적합한 파트너와 디자인을 고려하고 콜레보레이션 유형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 기업이나 브랜드에서 콜레보레이션 전략 수립 시, 어떠한 콜레보레이션으로 전개해나가야 할 것인가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학문적 연구 성과를 종합, 실무에 적용한다면 콜레보레이션을 결정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보다 체계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영 성과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