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유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주관적 태도연구

        한민경(Han, Min-Kyung),손지향(Son, Ji-Hyang),김인서(Kim, In-Se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를 알기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Q-방법론의 절차에 따라서 첫째, G시, D시, K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유아교사 양성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유아에 대한 Q-모집단(151개)을 추출한 후 Q-표본(44개)을 선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4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Q-표본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는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1유형(31.75%)은 “잠재적 발달성을 가진 존재로서의 장애유아 인식형”, 제 2유형(10.36%)은 “손상된 특성으로서 장애유아 인식형” 제 3유형(5.97%)은 “가족체계 및 기능의 방해요인으로서 장애유아 인식형”으로 범주화되었다. 장애유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태도가 통합교육 실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Q-methodology was applied as a research method for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the participants. To put it more precisely, first, the Q-population was developed from the individual responses of 140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questions regarding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and idea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40 Q-samples of 40 Q-populations were selected through the discussion with the professors and teachers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and special education. And then, 40 pre-service teachers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P-sample of the study. In the Q-methodology analysis, three distinctive types regarding the attitude on the inclusive education were extracted: In Type I, the pre-service teachers agreed to the inclusive education as an worthy teaching practice for social justice and a right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ype Ⅱ, the pre-service teachers primarily believed that the accounta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belonged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ype Ⅲ,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 passive support-centered type believing inclusive education could be implemented effectively only if the policy/law and physical preparation were available. Moreover, the types of the attitude on inclusive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eir experiences through observing in their practicum classes, volunteering in inclusive classes, or taking speci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 및 보육학을 전공하는 성인학습자와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간 관계 비교 연구

        한민경(Han, Min 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최근 사이버대학, 학점은행제, 및 방송통신대 같은 원격교육의 확산과 더불어 급증하고 있는 성인 학습자로tj 예비유아교사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전반적 성향과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및 보육을 전공하는 성인학습자와 일반 대학생간 차이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인 예비유아교사와 일반 학부생 예비유아교사간에 성취목표지향성의 특성과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의 특성과 상대적 영향력이 성인학습자인 예비유아교사와 일반대학생인 예비유아교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일반대학생과 차별화되는 성인학습자인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특징을 논의하고, 성인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특성에 대해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교육계속학습자인 예비유아교사들의 특성을 고려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환경 조성에 대한 시사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goal of adult learners who are studying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specially focusing on the compar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campus. The first, for the adult learners on continuous teaching profession course, the highest goal orientation was master-approach goal, and the scores of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were lower than undergraduates meaningfully. But for the undergraduates,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highest. In terms of the way of how and what kind of 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fluence each of adult learners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Evidence from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to develop strategies for supporting self-regulated learning of adult leaners who are taking early childhood teaching profession courses.

      • KCI등재
      • KCI등재

        선별적 교정의료처우 체계와 스티그마

        한민경(Han, Min Kyung) 한국교정복지학회 2018 교정복지연구 Vol.0 No.55

        본 연구는 교정의료처우에 대한 보건학 중심의 접근이 환자로서 치료받을 권리를 적극 주장하기 어려운 교정시설 수용자들의 상황을 구체화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기간 중 의료 처우를 경험한 수용자 8명의 구술을 Goffman(1963)의 스티그마 논의를 연결지어선별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교정의료처우 체계와 크게 낙인, 고정관념, 구분, 지위상실, 차별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 수용자들의 스티그마 경험을 드러내 고자 했다. ‘환자’와 ‘수용자’에 대한 고정관념에 기반하여 의료과 직원은 ‘치료할 가치 있는 수용자’를 구분하게 되는데, 이는 감시하는 ‘우리’와 감시하는 ‘그들’간의 위계적 역학관계 및 구별짓기와도 깊이 연결되어 있다. ‘치료할 가치 있는 수용자’에 대한 감독자들의 고정관념은 수용자들에게 전이되어 수용자들 간에도 한정된 의료자원 배분을 둘러싸고 아픔의 경중을 구분하는 ‘걸러내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용자들에게 외부진료로 발생한 비용을 전액 또는 일부 부담토록 하는 현 교정의료처우 체계는 이러한 걸러내기를 정당화하고 합리화하며, 그 결과 수용자들에게 교정시설 내 의료과는 아픔과 고통을 치유하는 공간이라기보다는 원하는 진 료를 받기 위해 거쳐야 하는 ‘창구’로 인식되고 있다. 교정의료처우 체계가 사회적 자원이 제한된 구금 환경의 수용자에게 건강을 회복하고 존엄성을 유지하는 마지막 수단으로 재인식되기 위해서는 교정의료처우와 관련하여 스티그마를 경 험한 수용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를 공유하는 작업의 지속과 확산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starts with the critical review on the perspectives of public health regarding healthcare in correctional settings that fail to describe situations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claiming actively their rights to healthcare. In respond to the criticism, the study links Goffman (1963)’s discourse on stigma to the verbal presentations of 8 inmates for interpreting a selective character of correctional healthcare system and their stigma experiences that can be largely defined by 5 components —labeling, stereotyping, separation, status loss,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 stereotype on ‘patient’ and ‘inmate’, the personnel of healthcare department in the facilities sort ‘inmates worthy of care’ out,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hierarchical dynamic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us/the watcher and them/the watched. The stereotype of the personnel on ‘inmates worthy of care’ shifts to the inmates, resulting in ‘filtering’ among inmates to win limited medical resources in the facilities and weigh the relative seriousness of an illness. The current healthcare system in correctional facilities that makes inmates to bear all/some expenses of outpatient healthcare justifies and rationalizes this filtering. The healthcare department in the facilities, as a result, is regarded to the inmates as a ‘counter’ to pass over for a desired healthcare service, rather than a place for healing illness and pain. A continuance and proliferation of the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voice’ of stigmatized inmates is a prerequisite to reappraise the correctional healthcare system as a last resort that maintain health and dignity for incarcerated inmates.

      • KCI등재

        ‘절대적 집회금지장소’ 규정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인식

        한민경(Han, Min Kyung),박원규(Park, Wonkyu)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8 경찰학연구 Vol.18 No.3

        1962년 집시법 제정 이래 국회의사당, 법원, 헌법재판소 등의 경계 지점으로부터 100 미터 이내 장소에서의 집회시위는 해당 기관의 기능수행 보장을 위해 금지되어 왔다. 최근 헌법재판소에서 이러한 절대적 집회금지장소 규정에 대해 연이어 헌법불합치결정을 내린 가운데, 본 연구는 절대적 집회금지장소 규정의 필요성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인식 정도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완화된 순서형 로짓 회귀모형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집회시위와 관련된 개인적 차원의 경험, 그 중에서도 집회시위로 인한 피해, 집회시위에서의 경찰 대응에 관한 경험은 장소적 금지 규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 enactment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n 1962, an assembly in places where within a 100-meter radius from the boundary of the important buildings or residence of special interest ― such as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all level of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 has been prohibited. While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decided the relevant provision as unconstitutional, the study seeks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citizens on the necessity of the provision and to find factors on the civi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the partial proportional odds model, experiences regarding assembly at the individual-level, particularly damage due to an assembly, and police reaction during an assembly proces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the provision.

      • KCI등재

        공무집행방해로 인한 경찰관 공상 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한민경(Han, Min Kyu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3

        공무집행방해로 인해 공상 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적 특성과 맥락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 공무원연금공단으로부터 공무집행방해로 인한 공상이 인정된 경찰관 3,240명에 대한 자료를 음이항회귀모형(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요양일수의 크기로 파악되는 경찰관들의 공상 정도가 매년 심화되고 있는 경향이 확인되는 가운데, 특히 인신구속 또는 교통단속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는지 여부는 중한 공상 피해를 강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인 인식과는 달리 가해자가 여러 명인지 여부, 가해자의 음주 여부, 피해 경찰관 및 가해자의 성별, 공무집행방해 행위가 실외에서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공무집행방해로 인한 중한 공상 피해 위험성과는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무집행방해가 체포면탈이나 단속회피와 같이 강제력 행사를 벗어나고자 하는 가해자의 상황과 결부되었을 때 중한 공상 피해가 야기될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순찰 등 일상적인 경찰활동에 존재하는 공무집행방해와 중한 공상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공무집행방해를 구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Using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this study analyzed data on 3,240 police officers assaulted in the execution of official duties collected by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ervice for six years from 2010 to 2015. While the level of official injuries for police officers, estimated as the days of convalescence, has been more serious every year, whether they were using force for the purpose of arrest/detention or traffic control at the time of assault is identified as a strong predictor for serious official injuries. Besides gender of victimized police officer and perpetrator, factors on whether there were multiple perpetrators, whether the perpetrator was drunk with alcohol, and whether the obstruction of justice was committed outdoors are not related to the risk of serious official injuries, which is contrary to common expect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at there is an increased risk of official injuries when an obstruction of justice is associated with an assailant’s attempt to escape from a situation that the use of force relating to arrest or control is neede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obstructions of justice existing in routine police activities - such as patrols - and those with high probability of causing serious official injuries.

      • KCI등재후보

        수사절차에서의 시민참여

        한민경(Han, Min-Kyung)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0 법률실무연구 Vol.8 No.1

        수사절차는 개인 또는 사건이 형사사법절차에 최초 진입하게 되는 단계라는 점에서 시민참여를 통해 책임성과 투명성을 두텁게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점에서 이 글은 형사사법절차 중에서도 경찰 수사단계에서의 시민참여 제도 운영 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지향점을 설정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2018년 이후에 경찰 수사단계에 확대 적용되었거나 도입을 검토 중인 시민참여 제도 가운데 제척·기피·회피제도, 자기변호노트, 형사공공변호제도는 수사절차의 ‘당사자’인 시민이 수사절차에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다루고 있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된다. 향후 수사절차에서의 시민참여 제도가 실효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일반’ 시민의 수사절차 참여 확대, 제도 운영에 대한 지속적·주기적 평가와 정보공개, 제도 도입․확대 관련 수사현장의 적극적인 의견 수렴, 제도 인지도 및 이해도 제고가 긴요함을 제언하였다. Given that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first begins with the police investigation, there is a great need to secur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In this regard, the article focuses on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in the Korean criminal investigation. Citizen participation schemes that has been recently expanded or under discussion for introducing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phase since 2018 - exclusion/recusation of a police investigator and/or avoidance to a investigator, using self-advocacy note during investigation, and criminal public defender in particular - are considered positive in that they lead citizens to be active and autonomous as ‘parties’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s and proceedings. For ensuring that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has an effective meaning, it is recommended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ordinary’ citizens into those schemes, to assess continuously and regularly the schemes implementation, to gather opinions from the investigation field, and to rais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schemes among both police investigators and citizens.

      • KCI등재

        경찰활동에 대한 외부기구의 통제: 평가 및 제언

        한민경(Han, Min Kyung) 한국형사정책학회 2020 刑事政策 Vol.32 No.1

        이 글은 경찰활동에 대한 외부기구의 통제 필요성을 역설한 국내 선행연구들을 개관하고, 우리나라에서 경찰력 행사에 대한 외부적 통제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국가인권위원회 및 국민권익위원회 백서에 나타난 경찰관련 진정 및 민원처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민권익위원회는 2006년부터 경찰옴부즈만 기능을 수행해 왔음에도 장기간 운영에 따른 노하우가 축적되었다거나 경찰에 대한 외부적 통제기구로서의상이 강화되었다고는 해석할 수 없는 상황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의 상담 및 진정 통계 분석결과는 경찰 외에도 검찰·교정 등 외부적 통제를 요하는 형사사법기관이 더 있음을 보인다. 아울러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35개국의 경찰활동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과 경향성을 살펴보면, 영국의 ‘독립 경찰민원 조사위원회’(Independent Office of Police Conduct), 그리고 OECD 국가 중 이를 각국의 상황에 맞게 받아들인 호주·노르웨이·스웨덴 등은 기관명에 ‘경찰’을 포함하고 있지만 통제 기능의 범위를 경찰만으로 한정하고 있지 않으며 기관의 역할과 권한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왔다는 점이 확인된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경찰과 수사 영역을 중심으로 하되, 검찰·교정·특사경·사법기관까지 형사사법기관을 아우르고 국가인권위원회와 동등한 위상을 가지는 가칭 ‘형사사법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제언하였다. In 2017, the National Police Reform Commission proposed the creation of a new civilian oversight institution as a way to prevent excessive use of coercive power by police. The article provides literature review that has stressed the need for independent oversight mechanism to control police activities; and an analysis of police-related petitions and appeals in the white paper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to assess empirically how external control over abuse of police force has been achieved in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has little know-how for police oversight accumulated in the Commission; furthermore, its status as an external oversight mechanism of police has not been established, even though the Commission has been performing the function as police ombudsman since 2006. The analysis results on consultations and appeals review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indicate that there are more criminal judicial institutions that require democratic and independent oversight besides the police. The article, in addition, looks at institutional efforts and trends to ensur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in police activities in 35 OECD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Some OECD countries, such as Australia, Norway and Sweden, which have adopted the British police oversight mechanism, e.g. the Independent Office of Police Conduct, have not focused on the police solely, but have been expanding it to the complete context of the law enforcement system within a country. In this regard,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tentatively named ‘Criminal Justice Commission’ should be considered in priority whose position is equivalent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whose jurisdiction covers the whole criminal justice proceeding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prosecution and correction authoriti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해 사고양식이 미치는 영향 연구

        한민경(Min Kyung Ha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을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인 특성을 이해하고,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한 사고양식의 상대적 예측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한 사고양식을 관련변인으로 상정하여 사고양식과 비판적 사고성향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3개 대학 유아교육과에서 2, 3, 4학년 학생 247명(2학년 88명, 3학년 79명, 4학년 8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여 사고양식 검사와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를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정준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사고양식과 비판적 사고성향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정준상관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 중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사고양식은 입법적, 사법적, 군주적, 과두적, 전체적, 외부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이었다. 둘째로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결과에서는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요인에 따라 각 사고양식의 설명량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요인들은 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키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styl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in order to understand whether their thinking styles significantly predict thei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For this research, 82 college students (39 in their junior year and 43 in their senior year)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ponded to the Thinking Style Inventory (TSI) and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 Data were analyzed using internal consistency, canonical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canonical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between thinking styl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all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particular thinking styles. However, each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was influenced differently by the thinking styles.

      • KCI등재

        스토킹 신고에 대한 경찰의 대응: 112 신고자료 분석

        한민경 ( Han¸ Min Kyung ) 한국형사정책학회 2021 刑事政策 Vol.33 No.1

        이 연구는 201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6개월간 112 신고처리시스템에 입력된 스토킹 관련 신고자료 2,836건 중 현장조치 및 계속조사·검거로 종결된 1,701건을 활용하여 즉결심판·체포·통고처분 등 스토킹 신고에 대해 경찰이 형사적으로 대응하는 데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따른 분석결과,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관계, 과거 신고이력,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 등이 현장 경찰관의 스토킹 신고처리 방식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이 계속조사나 검거와 같이 형사적인 방식으로 스토킹 신고를 처리할 가능성은 과거 신고 이력이 있는 경우에 2배가량 높아졌으며,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의 0.2배 수준으로 낮아졌다.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관계가 친밀한 관계에 있었거나 그러한 경우 경찰이 현장조치와 같은 비형사적인 방식으로 신고를 처리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스토킹은 가해자 중에는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피해자 중에서는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성별화된(gendered) 범죄이지만, 가해자 및 피해자 성별은 현장 경찰관이 종결처리 방식을 결정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무성화된(gender-blinded) 반의사불벌죄로 스토킹을 바라보는 현장 경찰관들의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스토킹처벌법 개정 논의가 전개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Using data derived from the nationwide 112 Call Processing System collected from July 1 to December 31, 2019,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police response to stalking reports relating to criminal procedure such as claim for summary judgments, notification disposition, and/or arres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stalker and victim, the past report history, and the victim’s unwillingness to punish the stalker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police officer’s decision to handle stalking reports. The probability that police handle stalking incidents in a criminal manner, such as ongoing investigation or arrest, has doubled if there are call records of the victim; and 0.2 times lower if the victim is not willing to punish the perpetrator. If there has been a previous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stalker and victim, it is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t the police would handle the stalking incident in a non-criminal manner. The sex of the stalker and victim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how the field police officers handle the stalking report, even though stalking is a gendered crime with a high proportion of men among perpetrators and women among victims. In sum,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cheduled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need to be revised and developed in a way that can change the perception of police officers regarding stalking as gender-blinded and a type of crime that should not be punished against the victim’s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