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암 김정의 선비적 삶과 정신

        한기범(Han, Gi-beom)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6 충청문화연구 Vol.17 No.-

        Chungam Kim Jeong, the Sarim of the Commissioner, was Confucian officer at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as a winner at the age of 22. And he was the best elite to pass the Second test. The Period he acted as an official at 22-34 is the same time with the decade since Jung Jong Banjeong(1506). At this time Chungam led to reformation with Bak Sang, Jo Kwang-jo to correct the Hungu parties. But in the end, he became a victim in Gimyosawha(1519), finished his short life in 36 years old. Chungam"s reformations ares usually summed up in two. One was the common political reformation of Salim, the other is the reinstatement movement of deposed queen Sin. By the way the appeal of reinstatement was written by Chungam even though Bak Sang and Kim Jeong appeal to the King together. This is the clue to prove that Kim Jeong is the central status in reinstatement of Sin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general reformations are summed up in Hyangyak publication, expelling of Sokyeokseo and Naesusa Jangri, performing Hyeonryanggwa, deriving from contributor merits of Banjeong. It was promoted to keep the pace with Jo Gwangjo"s reformation. Chungam entered into the high position in government 12 years earlier than Jeongam so he supported jengam"s political growth. However, Chungam is not focused enough than Jeonam. That is the why we reform Chungam"s reform movement and his status. The reformation promoted by wise scholars of Gimyo and Chungam in16th century was the action indeed. It is worth in opening the door of moral philosophy and expelling old politics historical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수사법을 활용한 그래픽 발상툴 연구

        한기범(Ki-Beom Han),김맹호(Maeng-H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발상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적합한 발상법의 필요성 제시하고 이에 맞는 그래픽 발상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많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활용하고 있는 발상법(연상자극법이나 발상전환법, 정보조합법)은 발상과정에서 초기 키워드를 제시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컨셉까지 도출해내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 컨셉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핵심 키워드 도출도 중요하지만 키워드의 연결 분리, 결합 등의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며 대부분의 발상법이 과정에 대한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아이디어 발상법이 영어권에서 개발되어 전파되었기 때문에 단어위주의 사고를 하는 영어권 문화에는 적합하지만 서술 위주로 사고하는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언어 사고의 차이점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단계 별 발상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발상법에 의하여 도출된 키워드를 보다 쉽게 연결, 분리, 결합 등을 위한 과정을 만들기 위해 4가지 가설을 제시하고 논증하는 방식으로 본 발상법의 가치를 증명하고 이러한 가설에 입각하여 발상법설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에 적합한 발상법을 도출하였다. 본 발상법은 서술 표현에 강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사법을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cessity of idea expression method suitable for people in our country and deduct Graphic Ideation method by grasping problems of existing idea expression method. The idea expression method (association stimulating method, conceptual shifting method, information combination method) used by many graphic designers is effective in suggesting initial keyword, but has difficulty in the course of deducting the concept. Though deduction of core keyword is important to develop as a concept, the course of separation, combination in keyword connection play an important role, and most of idea expression methods are unavailable for suggesting concrete method for the course. Also as most of idea expression methods were developed and delivered in English-speaking world, it is suitable in English-speaking world culture which has thinking focused on words, but people in our country, which have thinking focusing on narration, cannot consider difference in language thinking due to limitation in idea for each stage. This study deducted idea expression method suitable for emotion of people in our country by proving the value of this idea expression method with style of suggesting and demonstrating 4 hypotheses in order to make the course for easy connection, separation, combination of keyword deducted by existing idea expression method, as well as suggesting idea expression method design based on these hypotheses. This idea expression method used rhetoric so that it is suitable for people our country who are strong for narration express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대전의 효문화 전통과 효문화 인프라

        한기범 ( Ki Bum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전통시대 대전인의 효행 중에서 특징적인 것은 은진송씨 3세효자, 여흥민씨 3세7효, 해주오씨 4세9효와 같이 3세 이상 대를 잇는 효가 여러 가문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대전이 효문화 전통이 출중한 선비의 고장이었음을 알게 하는 하나의 단서가 된다. 대전인의 효행의 유형은 대개 다음과 같았다. (1)전란 중 평생의 병을 얻기까지 헌신적으로 부모를 봉양한 민평의 효행, (2)미음으로 여묘살이를 계속하다가 상중에 35세로 죽은 민환의 헌신적인 효행, (3)비가 오나 눈이오나 고기낚시로 부모를 공양하였던 강운상과 오국환의 낚시 효도, (4)한글소설을 지어 어머니를 기쁘게 해 드린 김만중의 재능효도, (5)돌아가신 부모의 어려웠던 때를 생각하여 평생 요를 깔지 않고 잠자고, 또 아버지의 유모를 위해 묘비를 세워 아버지의 은혜를 대신 갚고자 했던 송시열의 의리적 효행, (6) 여성으로서 3년 여묘살이를 해낸 성씨부인의 효행 등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오늘의 우리에게 가장 큰 울림이 되는 것은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다. 그것은 공경하는 마음으로 부모를 봉양하고, 부모의 마음을 기쁘게 하는 데에 최고의 가치를 두는 효행들이다. 대전 선비 송기수가 ‘효도는 어버이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 것‘이라 한 것은 효가 마음으로 소통되어야 할 것을 말한 것이다. 그것은 또한 위의 대전인들의 모범적인 효행들에서도 공감될 수 있는 바이다. 이렇게 부모와 자식간에 마음과 마음으로 통하는 효가 참된 효이다. 그것이 ‘소통의 효’이고 ‘지기(知己)의 효’이다. 옛 것을 모범으로 삼아 새 것을 창출한다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볼 때, 그것은 21세기에 요청되는 새로운 유형의 효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전은 현대적으로도 효문화 인프라가 출중한 고장이다. 136개의 성관유래비가 서있는 뿌리공원과 효를 주제로 하는 효문화 뿌리축제, 그리고 500년 역사의 이사동 문중묘역 등은 세계 어디서도 찾기 어려운 훌륭한 효문화 자산이다. 대전의 풍부한 효문화전통을 응용하여 효문화콘텐츠를 개발하면서 그 효행의 연고지와 함께 뿌리공원과 문중묘역 등을 효문화 체험의 장으로 적극 활용한다면 대전은 효심을 진작하고 효문화를 선도하는 효의 성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출중한 효문화인프라는 대전인 만의 것이 아니라 전 국민적이고 세계시민적인 효의 체험장으로 육성되고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Daejeon is the town of scholars with a prominent tradition of filial piety culture. It is noteworthy that filial piety had been performed over three generations or more at many different families including 3 Se Hyo(3세효) of the Eunjin Song family, 3 Se 7 Hyo(3세7효) of the Yeoheung Min family, and 4 Se 9 Hyo(4세9효) of the Haeju Oh family among the filial behavior of Daejeon people during the traditional era. The filial acts unique to Daejeon include the followings: (1) Minpyeong(민평) devotedly supported his parents until he contracted a lifelong disease during the war; (2) Minhwan(민환) ended his devoted filial piety at the age of 35 when he passed away in mourning after keeping the grave on the thin rice gruel; (3) Kang Woonsang(강운상) and Oh Gukhwan(오국환) demonstrated their filial piety through fishing by supporting their parents with the fish they caught whether it rained or snowed; (4) Kim Manjung(김만중) used his talent to perform his filial duties by making his mother happy with his novels in Korean; (5) Song Shiyeol(송시열) demonstrated loyal filial piety by sleeping on no Korean-style mattress for life, thinking of the difficult times that his late parents went through, and repaying the kindness of his father`s nanny for him by setting up her tombstone; and (6) Lady Seong(성씨부인) kept the grave of her parent as a woman for three years. There is no doubt that excessive or irrational filial acts should be excluded such as Jakjijinhyeol(斫指進血), which involves feeding one`s finger blood in a sick parent, Bunsang(糞嘗), which involves the diagnosis of a parent`s illness with feces, and Jongsa(從死), which involves a child choosing death after the death of his or her parent. The most prominent filial acts performed by Daejeon people placed the utmost value on supporting parents with respect and making them happy. The mindset of performing filial duties is important. Song Gisu(송기수), a scholar from Daejeon, said, "Performing filial piety is to stand in the shoes of parent," which suggests that filial piety should be communicated from mind to mind. When parents and children communicate from mind to mind, children can perform true filial piety. That is the "filial piety of communication" and "filial piety of self-knowledge." Given the spirit of "Beopgochangshin(法古創新)," which means creating something new on the model of something old, it can be a new type of filial piety proper for the 21st century. Daejeon also boasts its outstanding infrastructure of filial piety culture in a modern sense. Its remarkable assets of filial piety culture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world include the Roots Park with 136 Seonggwanyuraebis(성관유래비), the Festival of Filial Piety Culture Roots on the topic of filial duties, and the family graveyard of 500-year history in Isadong(이사동). If Daejeon actively develops the content of filial piety culture by applying its rich tradition of filial piety culture and utilizes those places as the venues for the experiences of filial piety culture, it will be able to emerge as a world-renowned destination to promote filial affection and lead the filial piety culture.

      • KCI등재후보

        사학(史學) : 우암 송시열에 대한 후대인의 추숭과 평가

        한기범 ( Kee Beom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2 No.-

        우암 송시열에 대한 『實錄』의 ``卒記``는 두 가지로, 그 평가가 서로 상반된다. 노론이 주도한 졸기는 그의 學德과 義理와 事業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데 반하여, 소론이 주도한 졸기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송시열에 대한 追崇은 文廟從祀와 院祠享祀에서 잘 나타난다. 그는 1756년 문묘에 종사됨으로써 유현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국가적 추숭을 받기에 이른다. 또한 그를 제향하는 院祠는 전국적 분포를 보이면서 영조 말에 이미 70여개(사액서원 37개)에 이르렀는데, 이것은 원사배향의 인물 순위에서 조선 최고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문묘배향과 함께 이러한 원사배향의 실제는 그에 대한 후대인의 추숭이 거의 절대적이었음을 입증한다. 송시열에 대한 국가적 평가는 문묘종사 외에 正祖가 그를 위해 『兩賢傳心錄』과 『宋子大全』을 간행했으며, 또 大老祠, 御製 懸板과 碑銘을 내린 데에서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그에 대한 사림의 평가는 ``理學의 嫡傳``, ``北伐義理의 상징`` 등으로 평해진 긍정적 평가와, 그의 學德과 事業을 부정하면서 ``空言은 실천하지 못했고, 高論은 이룬 것이 없었다.``는 부정적 평가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현대학계의 우암인식도 양면적이다. 그 쟁점은 송시열의 사대성과 북벌사업의 空論 문제, 노소분당의 책임과 闢異端의 문제, 노론정치세력의 문제 등으로서, 아직 공방이 팽팽히 맞서 있다. 따라서 이후의 우암연구는 이러한 쟁점들을 고려하면서 연구기초자료인 『연보』와 『송자대전』의 이해를 보다 확실하게 하고, 우암연구를 당파와 개인의 차원을 넘어 朝鮮史의 전체 구도에서 재검토할 것이 요청되며, 또한 尤庵學에 대한 연구를 一國史를 넘어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더불어 그 現代性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하는 새로운 시도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There are two short ``reviews of the life``(卒記) of Song, Shi-Yeol(송시열) in 『Shil-Rohk』(實錄). However, the fact that the two records are contrary to each other makes the evaluation of him seen in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record that Noh-Rhon(老論) wrote is positive and praises about him being conversant with scholarship, his morality and political influence. On the contrary, Soh-Rhon(少論) states comments that are extremely pessimistic and critical. Park, Sae-Chae(박세채) noted that the keyword to the evaluation of Song, Shi-Yeol is ``morality``(義理). The Choo-Soong(追崇) about Song, Shi-Yeol is recorded in Muhn-Myo-Jong-Sa(文廟從祀) and Won-Sa-Hyang-Sa(院祠享祀). The Muhn-Myo-Jong-Sa was done along with Song, Jun-Kil in the year of 1756. Muhn-Myo-Jong-Sa was the most honorable acknowledgement of a scholar. It was regarded as a symbol of political influence that the nation recognizes by his learning and virtue. There were about 70 Won-Sas of Song, Shi-Yeol and 37 Sa-Aek-Seo-Won(賜額書院) in the end of King Young-Joh(英祖). These are the highest numbers in the history of Won-Sa in Korea. The Won-Sas are found all over the country, 44% are in Choong-Chung region concentrated around his hometown and shrines.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Hap-Sas(合祀) with Joo-Ja(朱子) in Song, Shi-Yeol`s Won-Sa is characteristic. This proves the contrary of cognizance of the scholarship in the era of King Jung-Joh(正祖). The Won-Sas of Song, Shi-Yeol in Late Chosen Korea proves that his aspect loyal to the king and opposing the foreign has acted as the foundation to protect the national sovereignty. The national evaluation of Song, Shi-Yeol after his death is confirmed by the nation redressing his grievance and granting a posthumous epithet, and offering incense at a Confucian shrine. It comes to a climax when King Jung-Joh wrote 『Yang-Hyun-Jeon-Shim-Rhok』(兩賢傳心錄), published 『Sohng-Jah-Dae-Jeon』(宋子大全), building Dae-Roh-Sa(大老祠) and granting an Uh-Jae-Hyun-Pahn(御製懸板) and Bi-Myung(碑銘). The school of Sa-Rim`s(士林) positive evaluation is represented by Song, Shi-Yeol`s Shin-Hoo-Moon-Ja(身後文字) and Hwa-Sang-Chan(畵像讚), and the negative assessment is done by denying his Buk-Buhl(北伐) and morality. The recent studies of the recognition of Woo-Ahm are also double-sided. The points of the debate were Song, Shi-Yeol`s subjectivity of his Jon-Joo-Sa-Sahng(尊周思想), confirmation of Buk-Beol, and the bias and autonomy of the academic traditions. The focus of the studies should not be confined to research on Song, Shi-Yeol alone, but in the aspect of reexamining the overall perspectives in the history of the end of Chosen dynasty.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 사학(韓國思想 史學) : 유교적 전통과 세대간의 소통

        한기범 ( Ki Bum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6 No.-

        본고는 유교적 전통과 현대와의 소통의 지름길은 무엇이며, 그것을 통해서 우리가 이 시대의 ‘세대간의 소통’의 비결을 배우고자 할 때 얻을 수 있는 대답은 무엇인지를 검토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전통유교의 대표적 덕목과 그 소통적 요소를 살피고, 나아가서 이에 관련된 조선 선비들의 몇 가지 실천사례를 개관적으로 검토하였다. 유교의 최고 덕목인 인(仁)은 인간의 자각적 윤리이다. 따라서 인(仁)의 구현에는 인욕을 극복하고 예로 돌아가려는 자신과의 소통 노력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는 큰 손님을 만난 듯한 공손함과, 큰 제사를 모시는 듯한 공경함, 그리고 자기가 싫은 것을 남에게 베풀지 않는 배려의 마음으로 타인과의 소통에 임해야 한다. 또한 말을 삼가는 것과 남을 사랑하는 정신도 인의 기본정신으로 요청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仁)은 대개 효제(孝悌)로써 구현되고, 또 벗과의 사귐을 통하여 보인(輔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또 효(孝)는 생사간에 예로써 부모를 섬기는 것이 기본이고, 여기에 추가하여 부모의 마음을 헤아리고, 부모를 마음으로 공경하고, 또한 부모를 가지런한 얼굴빛으로 섬기는 색난(色難)이 요청되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실생활에 드러난 소통의 실제는 효행으로 영의정에 증직된 강운상의 ‘효행’을 비롯한 몇 가지 사례와, 김장생-김집의 출중한 부자관계를 모범 사례로 선정하여 검토하였다. 강운상과 여흥민씨3세7효 등은 ‘공경(恭敬)과 색난(色難)의 효’로 먼저 부모의 마음을 헤아린 효자였고, 김만중은 소설을 좋아하시는 어머니를 위하여 한글 소설을 지어서 어머니를 기쁘게 한 ‘재능의 효’의 실천자였다. 그리고 송시열은 돌아가신 어버이의 가난할 때를 생각하여 평생토록 요를 깔지 않고 잠을 잤던 ‘사후의 효’가 출중하였다. 한편 김장생-김집의 출중한 부자관계는 상장지익(相長之益)의 보인(輔仁)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마침내는 지기(知己)의 관계로까지 발전하였다. 이것은 부자간 소통의 극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지기의 소통은 결국 부자 모두에게 윈윈(win-win)의 결과를 가져왔다. 김장생 · 김집 부자는 대를 이어 산림의 종장이 되었고, 조선예학을 형성한 예학의 대가가 되었으며, 또 양현이 모두 문묘에 배향되는 영광을 얻었다. 여기에 덧붙여 양현은 모범적인 소통을 이룬 ‘상장지익과 지기(知己)의 부자(父子)’로 길이 남을 것이다. The best Confucian virtue Een(仁) is a subjective human ethics basically.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Een is requested overcoming the self-interest and internal communication with oneself to return to the Ye(禮) in first, externally, politeness as met the great guest, respect as perform the great ancestral rite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for regard to do the unpleasant work to others either. Guard the tongue and love others is also the basic spirit of Een. But this Een is usually realized for Hyoje(孝悌;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and Boin (輔仁) has fulfilled through the friendship. Hyo(孝), Taking care of parents is the basic one to serve as parents between life and death for Ye, but also requested understading hearts of parents, honor sincerely for them, and Hyo of Saeknan(色難; always being a good complexion). It contains all the secrets of communication, and has the secret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tions. Meanwhile, it has examined Kang Un-sang`s several cases including ``Hyohaeng(孝行; filial behavior)``, and the father-son relationship of Kim Jang-saeng and Kim Jip exemplarily, as the actuality of Joseon Sunbi communicate. Kang Un-sang is a devoted son with ``Bulki(不欺; never deceive oneself) spirit`` and ``Hyo of Saeknan``, Kim Man-joong has fulfil ``Hyo of talent donation``, he has wrote the Hangul novel in that his mother likes novel. And Song Si-yeol has showed ``Hyo of after death`` by slept without Yo(Korean-style mattress) for all his nature, because his parents had not Yo by poverty. All of them is shown communicating Hyo by truth and cordiality between life and death. Furthurmore, The remarkable father-son relationship of Kim Jang-saeng is the instance from Boin relationship of Sangjangjiik(相長之益) to Jiki(知己) relationship finally. This ``communicate of Jiki`` has bring result win-win between father and son. In other words, Kim Jang-saeng and Kim Jip of Yehak(禮學) maestro become master of Sanlim(山林), after their death, attain honor that they were enshrined in Munmyo(文廟). Nowadays they are also able to be held in respect for ``expert of communication between father and son``. And it has to be received attention, the fact that Kim Jang-saeng seek communication for unifying his nine sons(from another two wives in another status)` name and Ja (字), especially for ``the communicate case to univers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

        한기범 ( Ki Bum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한국의 성씨문화는 문중문화의 모체이고, 문중문화는 전통생활문화의 보고(寶庫)이다.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문화와 ‘나눔과 배려’를 보여주는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는 우리가 당면한 개인주의와 복지문제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우리의 문중문화는 다양한 스토리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스토리텔링의 방법을 활용하면 박물관 전시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박물관 전시 소재로서 성씨이야기로는 ‘뿌리의식’을 주제로 한 대전뿌리공원과 효문화뿌리축제의 이야기, 전쟁 포로 남양홍씨 홍호연 이야기, 14개국 황씨들의 모임인 세계황씨대회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로는 ‘나눔과 배려’를 주제로 하여 1332년부터 지나는 길손에게 겨울마다 무료로 숙식 제공하기를 3대 100년이나 계속한 회덕황씨가의 미륵원 봉사와, 17세기 초엽부터 자기집의 사방 100리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가훈으로 12대 동안이나 빈민 구제에 힘썼던 경주최씨 최부잣집 이야기, 그리고 자신의 집에다가 쌀독을 만들어 두고 어려운 사람들이 누구나 쌀을 가져갈 수 있도록 배려한 운조루의 문화유씨 이야기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들에 대한 박물관 전시기법으로는 평면적인 전시 외에 다음의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필자가 지난 2012년에 대전 뿌리문화축제에서 연극을 통하여 대중에게 선 보였던 <미륵원 이야기>의 녹화 영상, 임진왜란의 포로 소년 홍호연이야기에 대한 필자의 육성 방송을 담은 KHS 뿌리방송의 녹화 영상, 그리고 경주 최부자집 후손의 인터뷰가 담긴 방송 자료 등 영상매체를 동원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 인물들의 족보 자료와 그림 및 사진자료 등 보조 자료들을 적극 활용하고, 디오라마를 활용한 현장감 있는 여러 모형물의 제작과 표출을 통해서 관람자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이끄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붓을 든 포로소년 홍호연의 모습과 또 포로생활에서의 그의 깨우침을 집약한 참을 ‘인(忍)’자를 각각 판화와 도장으로 새겨서 관람자가 그것을 스템프로 찍어가게 하고, 또 목은 이색의 <미륵원 남루기>의 경구나, 경주최씨의 가훈을 전시하여 함께 읽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화자와 관람자가 하나 되는 소통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에 요청되는 과제는 대개 다음과 같다. 첫째는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 이야기와 대를 이어 사회적 봉사를 해 온 노블레스 오블리주 문중 이야기의 적극적인 발굴이다. 둘째는 관련 유물의 확보와 복제 유물 등 보조 자료의 적극적인 수집과 제작이다. 셋째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영상매체화 하여 전시하는 작업이다. 여기에는 전시 자료에 대한 방송인터뷰, 연극화, 영화화, 뮤지컬화한 영상물의 제작 등이 있을 수 있다. 넷째는 이러한 방법들을 박물관전시에서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첨단적 도구를 갖추고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집중적으로 연구 전시하고 보급하는 전문적인 연구기관 및 전시 박물관의 건립이다. 문중문화가 시대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주목되고 있고, 따라서 그 상설 전시의 필요성이 요청되기 때문이다. Family name culture is the base for the clan culture in Korea and the repository of the yangban life culture in Korea. Noblesse oblige clan story i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the welfare and individualism in our society as it shows the issue of sharing and caring.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review the storytelling method and the exhibition of clan culture in the museum as a method to share the ideas. In Chapter 2, the clan culture and storytelling and he connectivity of the two are described. In Chapter 3, the story and the delivery methods are outlined. In the story of the family name story, Daejeon Buri Part, Hong Ho-yeon Story of Namyang Hong. Segye Hwangssi Contests are introduced. In the Noblesse Oblige clan storying, Hoedeok Hwang family``s Mireukwon voluntary activities that have been continued over the 100 years in three generation to help homeless people food from 1332 and Kyeongju Choi Rich Choi family story who help poor people in 12 generations under the cause that there should be no one who die of hunger around 100 ri from their home were described under the theme of the Sharing and Caring. In addiction, Yoon Joroo``s Monhwa Yoo story is introduced who gave people rice by filling his rice storage. However, the stories are described by taking advantage of KHS root broadcasting in which my voice is recorded for Hong Ho-yeon story who was the refugee during the Japan``s invasion of Korea and video record of Mireukwon story that was introduced to public in the Daejeon Root Culture Festival through the play in 2012 in addition to the one-dimensional exhibition. In addition, the family registry information of the relevant figures and pictures and other additional materials were fully used and many models were produc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in addition, the picture of the Hong Ho-yeon who is holding he brush and the engraving showing the Chinese letter "patience" are provided to the public for the stamp. in addition, the phrase of Mireukwon Namruki of Lee Saek and Family motto of Kyeongju Choi is displayed which the visitors can read loudly as a method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in the exhibition. In Chapter 4, tasks generated by the clan culture exhibition in the museum and the storytelling method is reviewed. First, the family name story to bring up a sense of root consciousness and noblesse oblige family story for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explored. Second, aggressive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the additional data for the reservation of the remains in the clan culture. third, the production of the media materials for clan culture which include broadcasting interview, theater, movie, musical, etc. Fourth, high technology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use in the museum. Last, establishing the museum that specifies clan culture for the spread of the clan culture. Clan culture is drawn attention these days to resolve the tasks in the current period and there 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ongoing exhib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