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연구소 40년의 연구성과와 과제

        강종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0 百濟硏究 Vol.71 No.-

        이 글은 백제연구소가 법정 연구소가 된지 40주년을 맞아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연구소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백제연구소는 백제사 연구를 목적으로 출발하여 학제간 연구를 통해 연구 분야를 다양화시키고, 동아시아로 연구범위를 확대시켜 국제적인 학문교류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논문집인 『百濟硏究』70집을 비롯해 백제연구총서 13권, 학술연구총서 14권, 기타 4권 등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학술활동으로 66회의 공개강좌, 11회의국내 학술회의, 22회의 국제학술회의, 23회의 자료윤독회, 기타 6회의 초청강연회와 학술회의 등을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백제연구소는 백제사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연구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백제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각종 학술회의를 통해 연구자들의 연구역량 제고와 연구의 저변을 넓히는데 일조하였다. 또한 학제간 연구, 국제교류 등 다방면에서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특히 1970년대 백제사 전공자가 많지 않았던 시기에 백제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이후 백제사 연구자 배출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주었다. 현재 많은 연구기관에서 기관의 설립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백제연구소의 활동은 오히려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백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해 모색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ummary is for review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comprehensively and identifying effective operational policies marking 40th anniversary of Baekje Research Institute as a legal agency. Being started with the aim of studying Baekje history, Baekje Research Institute has diversified the research areas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expanded research scope into the East Asia region for the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Meanwhile, it published Baekje Research(『百濟硏究』) 70 editions which are the collection of research papers, 14 books of the academic study series and 4 other books. In addition, it held 66 academic open lectures, 11 local academic conferences, 22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23 research material reading sessions and 6 other special guest lectures and academic conferences. So, Baekje Research Institute could lay the foundation for Baekje history study by providing various materials to the researchers and contributed to expand the research base and strengthen the researchers’ capabilities through a lot of academic conferences. Furthermor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international exchanges are also the fruitful results in various areas. In particular, it greatly attributed to bring attention to Baekje history despite the small number of relevant specialists in 1970s and have had an influence in part on producing Baekje history researchers. Currently divers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s but the activities of the Baekje Research Institute are weakening. Amid these environmental changes, several ways for redefin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Baekje Research Institute are suggested in this summary.

      • KCI등재

        中國에서의 百濟學 硏究의 回顧와 展望

        周裕興,丁利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7 百濟硏究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result and recent trend of the study of Baekje in China from 1949 to the recent. The study of Baekje in China i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eriod which can be called the beginning period includes the study of Baekje from 1949 to 1980's. The study of Baekje in this period was limited into the specific area; historical geography, international relationship, art history, and emphasized the influence of Chinese kingdoms to Baekje. It is notable that many scholars of China focused on the study of the tomb of king Muryung. *** Professor of Department of culutre and museum, Nanjing Normal University, China *** Graduate student of Department of culture and museum, Nanjing Normal University, China *** Translation : Lee, na-young(Graduate student of Department of Histo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The second period from 1992 to the present indicates the rapid progress in many fields of the study of Baekje. Many scholars investigated the transformation of Baekje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 After the destruction of Baekje, because many people of Baekje emigrated to Tang China and Japan, so the emigration of Baekje people was studied by many chinese scholar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ethnics in Tang China. Especially Chinese scholars studied the famous people of Baekje who died in Tang china as a emigrant of Baekje; Heukchisangchi(黑齒常之), heukchijun(黑齒俊), King Yuija(義慈), Prince Fuyu-yung(扶餘融). It is worthy to note that Chinese scholars emphasized the role of Baekje to transmit the Chinese culture to Japan in various field; confucianism, medicine, music, buddhism. In this period, The archaeological studies was enhanced by the studies of Baekje pottery, incense burner of Baekje, These studies reflecte 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Baekje in various fields. 이 논문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한 후로부터 최근까지의 중국에서 백제학의 연구 성과와 동향을 전ㆍ후 두 단계로 구분하여 소개한다. 百濟硏究 第45輯 中國에서의 百濟學 硏究의 回顧와 展望 ** 中國南京師範大學 文博學科 敎授 ** 中國南京師範大學 文博學科 碩士課程 ** 飜譯 : 李拏姈(忠南大學校 史學科 碩士課程) 제1단계는 “개시기”로써 중화인민공화국에서부터 1980년대까지이다. 이시기 백제학 연구는 역사지리, 국제관계, 예술사 분야에 한정되어 중국 왕조가 백제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고고학, 특히 무령왕릉 연구는 북경의 고등교육 기관 혹은 중앙연구기구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제2단계 “급속한 발전기”는 1992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이다. 이 시기는 연구 범위가 더욱 확대되었다. 많은 중국 학자들이 백제의 역사연혁을 언급하고 있으며 국가 성격문제에 있어서 백제의 봉건제도와 백제의 요서침략설이 연구되었다. 백제의 이민정황은 매우 중시되는 분야로 유민 수와 분포정황, 이후 융합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백제의 국제 관계 방면의 연구는 중원왕조와 백제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문화 예술사 분야에서는 유학, 의술, 음악과 기예, 불교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고대 동아시아 국가를 비교 분석하고 중일 양국의 문화 중개자로서 백제를 연구하였다. 백제철기와 야철술, 백제 문양전, 도자기, 백제 금동대향로 등의 고고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흑치상지와 흑치준 부자, 의자왕과 태자 부여륭 등의 주요 인물의 일생과 그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 묘지의 고증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에서 백제학 연구가 심도 있게 발전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증거이다.

      • KCI등재

        漢城百濟의 茶文化와 茶確

        문동석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6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ansung Baekje’s tea culture associated small mortar, named dahwak, that was excavated in Mongchontoseong. Baekje was one of the countries that actively accept the advanced Chinese academic and cultural trend in the era of ‘three dynasties’ in Korean peninsula. Thus,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Chinese tea culture was introduced in Baekje at that time. It was popular to have Byeongcha in the era of Namcho in China. Because dahwak is an essential tool for Byongcha to grind tea leaf into flour, it is assumed that 9 dahwaks that were excavated in Pungnabtoseong and Mongchontoseong were imported from Nancho to Baekje. In 2009, researchers found same type of dahwaks to those excavated in Pungnabtoseong when they investigated the historic cite which was a place to manufacture the stone implements in Namcho dynasty and located in Choga mountain near Sangbang area in Namkyong city. This finding suggests that when Baekje accepted the tea culture of Namcho, they also imported necessary tools for making tea. In addition to dahwaks, celadon is an important evidence revealing the tea culture of Baekje. In particular, Cheongjaeumgakyonpanmunwan(靑磁陰陽刻蓮瓣文盌) that was a container for tea was excavated from the investigation of Pungnabtoseong in 2008. Meanwhile, in the historic sites of United Shila dynasty, Wangkyong, many of Chongjawans and small mortars were found. Based on these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Chinese tea culture was introduced to Hansung Baekje dynasty. 이 논문은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소형 돌절구, 즉 다확(茶確)을 매개로 하여 한성백제시대 차문화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백제는 삼국 중에서 중국의 사상과 문화를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던 국가였다. 따라서 4세기 이후 백제와 중국과의 밀접한 교류로 볼 때 남조시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차문화도 백제에 자연스럽게 전해졌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남조시대에 차는 병차(餠茶)가 일반적이었다. 병차란 다 자란 차 잎은 끈기가 적기 때문에 쌀로 풀을 끓여서 혼합하여 만든 떡이다. 병차를 마실 때에는 우선 다확(茶確, 절구)에 병(餠)을 넣고 갈아서 분말로 하고, 그것을 그릇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붓고, 양념을 넣어 마셨다. 따라서 다확은 남조시대에 차를 마시는 데 꼭 필요한 도구였다. 이러한 다확이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에서 2012년 현재 9점이 출토되었으며, 남조에서 수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것도 있다. 2009년 중국 남경시(南京市) 강녕구(江寧區) 상방지구(上坊地區)의 조가산(趙家山)에서 남조시대(南朝時代)의 석기(石器) 가공(加工) 공장유적지(工場遺蹟址)가 조사되었다. 이곳에서는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다확과 동일한 다확이 출토되었다. 이는 백제인들이 남조지역에서 발달한 차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차를 마실 때 필요한 도구 등도 함께 들여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백제의 차문화를 보여주는 또 다른 물질자료는 청자이다. 특히 2008년도 풍납토성 197번지 일대 발굴조사에서 차를 담아 마시던 용기였던 청자음양각연판문완(靑磁陰陽刻蓮瓣文盌)이 출토되었다. 한편 통일신라 왕경유적에서도 9세기 이후 차문화가 널리 보급되면서 청자완과 소형 돌절구가 다수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한성백제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차문화가 전래되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 KCI등재

        왜왕권의 백제유민 관리와 인재등용책

        연민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0 百濟硏究 Vol.71 No.-

        The management and appointment of Baekje migrants by the Japanese royal authority became an important basis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state in ancient Japan. The new knowledge and technologies of the Baekje migrants were introduced into the state management of the Japanese royal authority as they were and spread into its base. There were thousands of refugees from Baekje, and many of them became part of the nobility and powerful clans that formed the upper class in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There were also many Baekje refugees that worked as professionals in the fields of military, academics, and medicine. The Japanese royal authority organized the naval forces and invested the national finance into it including the massive war supplies for the revival of Baekje. In the end, they succeeded in accepting a huge number of talents from Baekje. The migrants of Baekje were selected and appointed as government official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talents and social positions under the new state policy of the Japanese royal authority, exerting their abilities in their respective fields. Of them, many established their own families that prospered through the patrimonial status across the fields including academics, medicine, and literature. 왜왕권의 백제유민에 대한 관리와 등용은 일본고대의 신국가의 건설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들이 보유한 신지식, 신기술은 그대로 왜왕권의 국가운용에 이입되었고, 그 저변으로 확산되어 갔다. 수천명에 달하는 백제의 망명자 속에는 중앙과 지방에서 상층부를 구성하는 귀족과 호족층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군사, 학문, 의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적지 않았다. 왜왕권은 백제부흥을 위해 수군단을 구성하고 막대한 군수물자를 투입하는 등 국가적 재정을 소모했지만, 결과적으로 백제의 수많은 인재들을 받아들이는데 성공하였다. 백제 유민들은 왜왕권의 신국가정책 속에서 재능과 신분에 따라 관인으로 발탁, 등용되어 각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해 나갔다. 그들 중에는 학문과, 의술, 문예 등의 제방면 에서 세습적 지위를 통해 가문의 번영을 이룬 씨족도 적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百濟土器 成立期 樣相에 대한 再檢討

        한지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5 百濟硏究 Vol.41 No.-

        Baekje-pottery recording chronologically period, centering around pottery types found in Mongchon Earthen Wall, was established by dividing into Hanseong Baekje I period and Hanseong Baekje Ⅱ period. But, through a result of excavation about Pungnap Earthen Wall has made progress up to the latest date,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made Baekje-pottery to complement more detailedly in the accumulation of new materials. That is, Baekje-pottery style which was instituted into Hanseong Baekje I period-not Baekje-pottery foundation period but Baekje-pottery completion period, requests to subdivide this period. Therefore Hanseong Baekje I classified into Hanseong Baekje Ⅰ-1 applicable to Baekje-pottery foundation period and Hanseong Baekje Ⅰ-2 applicble to Baekje-pottery completion period. Baekje-pottery foundation period has the core new materials, No. 101 Site at the Gyengdang. After the variety comparison and examination, Baekje-pottery foundation period is when the advent of new-pottery types, namely including Burnished black jar and Jar with shout neck, then the phase is under way to be covered by Mounted Dish with cover, Pottery lid without handle, Jar with wide-mouthed. Revolving water handing, Burnishing, and a Rotary shaving is developed in the technical field. Bowl is changed by Paddle marking pottery, No-designed pottrey of deoxidization-firing pottery. In Jars, there is a distinctive feature about Rim. Thus, the phase before the advent of Tripod Pottery, Mounted Dish without cover, Jar with shout neck, and Pottery lid with handle, as stated above, is Hanseong Baekje Ⅰ-1 is conformed on Baekje-pottery foundation period. Matters connected with Lo-lang paved the main way for Baekje-Pottery foundation period. Exactly it presumed of improved system for production of Lo-lang actively. 종래의 百濟土器 編年案은 夢村土城에서 출토된 토기기종을 중심으로 漢城百濟Ⅰ期와 漢城百濟 Ⅱ期로 나누어 설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까지 진행되고 있는 풍납토성의 발굴성과를 통한 신 자료의 축적은 종래의 백제토기 편년안을 보다 세밀하게 보완될 수 있는 가능성 열어 주었다. 즉 종래의 한성백제Ⅰ기로 설정되어 있는 백제토기양식은 백제토기 성립기가 아닌 완성기의 기종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이 시기를 세분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한성백제Ⅰ기를 각각 백제토기 성립기에 해당하는 시기인 한성백제Ⅰ-1기와 백제토기 완성기인 Ⅰ-2기로 분기하였다. 百濟土器 成立期에 해당하는 단계를 설정함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신자료는 풍납토성 경당지구 101호 유구이다. 따라서 이 유구와 백제토기 성립기에 해당하는 여러 유구의 비교 검토 및 기종 검토를 통해 백제토기 성립기는 新器種의 出現, 즉 黑色磨硏土器 直球廣肩壺를 비롯하여 無蓋高杯, 無鈕式의 뚜껑, 廣口短頸壺를 그 표지로 하는 단계로, 토기 제작상 회전 물손질이나 마연, 회전깎기 등의 기술이 발달하고, 완이 새롭게 타날문토기 및 환원소성의 무문양토기로 제작되었으며, 호류에서는 구연이 직립한 형태가 유행하는 등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토기상에서 三足器, 有蓋高杯, 直口短頸壺, 有鈕式의 뚜껑 등이 출현하기 이전단계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백제토기 성립기에 해당하는 漢城百濟Ⅰ-1期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백제토기 성립의 주된 계기로서 주목되는 것은 낙랑과의 관련성인데, 즉 백제가 낙랑의 선진적인 생산체계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백제의 무역망과 담당층

        윤재운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8 百濟硏究 Vol.47 No.-

        When Wiman Joeseon(衛滿朝鮮) began to pose a treat, Han(漢) China destroyed the kingdom and established Nangnang Commandery(樂浪郡) and, later, Daebang Commandery(帶方郡) on the Korean peninsular to use them as the base for its international trade with the rest of the region. When the two Han commanderies were eventually ousted from the peninsular by Koguryo in the 4th century, Baekje began to emerge as a power that would succeed the role the two Han commanderies had played.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近肖古王) that Baekje established itself as a major maritime power in East Asia. This period have a significance in constructing international trade network of centering around Baekje. Its leading power is royal family of Baekje. Also Chinese-Baekje person and local power as like Mokrageunja(木羅斤資) play an active part in international trade. In late 4th century, however, Baekje's role as a mediator for international trade began to be checked by Koguryo, and the regional maritime trade began to suffer serious setbacks. In this period local power that represent as a Keyhole-shaped Mounds(前方後圓形古墳)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Wae(倭) independently try to trade. To tackle the problem, Baekje successfully persuaded neighboring countries to form an international alliance against Koguryo to restore the disrupted maritime trade route. However, the kingdom never succeeded in holding its enemy in check because by that time Koguryo had already become one of the major powers in East Asia in close cooperation with both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China as well as a northern kingdom called Yuyeon.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武寧王), Baekje regain its maritime power. The kingdom finally restored its alliance with Silla, Gaya, Wae and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reopened its maritime routes while efficiently blocking interruptions by Kouryo. After Silla's occupation of Han River Basin, Baekje's prosperity in trade is challenged by Silla. To tackle the problem, Baekje form an alliance with Koguryo against Silla. Koguryo try to exchange with Wae for checking Silla. Baekj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change between Koguryo and Wae. 동아시아국제무역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漢이 위만조선을 멸하고 그 중심지인 대동강 하류지역에 낙랑군을 설치하면서부터였다. 이후 공손씨정권의 대방군설치와 魏의 동방원정으로 인한 대방군의 접수로 이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백제가 속해있던 삼한지역은 魏의 견제에 의해 동아시아국제무역에서 소외되게 된다. 마한은 이에 대해 岐離營 공격사건을 감행하게 된다. 백제는 이 공격에 가담하지 않고, 세력이 약화된 마한의 영도권을 장악하면서 범마한권의 영도국가로 발돋움한다. 4세기 백제의 근초고왕은 중국대륙과 한반도, 그리고 일본열도의 요소 요소에 해양거점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동북아 해상무역을 주도해 갔던 것이니, 그 규모와 체계성, 그리고 적극성의 측면에서, 항로의 길목을 장악하고 중개무역을 일삼던 이전의 위만조선과 낙랑·대방군의 그것을 크게 능가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위력은 그의 왕자인 근구수왕대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기에는 백제 중심의 국제무역망이 구축되었다는 데에 의미가 있으며, 주도적인 세력은 백제왕실이었다. 아울러 중국계 백제인과 木羅斤資 같은 지방세력의 활약도 보이는 시기였다. 5세기 고구려의 남하에 의한 한성의 함락과 웅진으로의 천도에 의해 백제는 시련을 당하게 된다. 이때 영산강유역의 전방후원형 고분으로 대표되는 영산강유역의 재지세력과, 倭의 독자적인 대중국무역의 시도로 인해 백제중심의 무역망은 큰 위기에 봉착한다. 백제는 황해사단항로의 개척을 통해 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하지만 신라의 한강유역 점령으로 인해 백제는 다시 위기에 봉착한다. 5세기말 신라의 한강유역 점령으로 인해 백제는 신라와 고구려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중국무역에 열세를 면치 못하는 상황은 지속되었다. 이에 백제는 기존의 일본과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면서, 고구려와도 정치·군사적인 동맹을 통해 신라를 견제하고자 했다. 고구려의 대일교섭은 이러한 와중에 추진되었으며, 백제는 고구려의 대일교섭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아시아 국제무역에서 백제의 역할은 훗날 남북국시대의 신라와 발해에 의한 활발한 해상무역의 토대를 구축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倭國의 第3次 遣唐使와 百濟・新羅

        나행주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3 百濟硏究 Vol.58 No.-

        This article considered the background, the purpose and the effect of the third Gyeondangsa(第3次遣唐使) based on total understanding about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 of Wae(倭). Especially, concentrating the movement of Baekje(뷨?), this examined how the policy toward Shilla(新羅) had been changed.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international factor that decided the third Gyeondangsa directly,was that Baekje was tried to strengthen ties between Baekje and Wae from June to August 653. Because it was clear that Dang(唐) had strong foreign policy toward Baekje, granting Shilla's request, as sending a directive, with the royal seal of Dang Emperor, that ordered Baekje to stop attacking Shilla. So taking close link with Wae was quite important to Baekje. Secondly February 654, when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was rapidly changed, the third Gyeondangsa was suddenly sent. It stayed in Shilla for a long time, and succeeded in getting diplomatic negotiation with Shilla. Then it left for Dang. But they got an unexpected order, that is, the dispatch of Wae's troops to Baekje to help Shilla. The third Gyeondangsa returned to Wae August 655 and it reported the order, it became one of decisive factors, which made Wae change the foreign policy toward Shilla. (with regard to the breakdown of Shilla 'Jill(質)' system)Because the unexpected order had Wae fundamentally reconsider existing diplomatic policy (thus ideology of it) that Taika reform regime sticked to. To conclude, Was had to choose its own diplomatic alliance between one of Baekj e갋Goguryeo(高句麗) and one of Shilla・Dang. Surely Wae had no choice but to join one of Baekje・Goguryeo. Thirdly, change of regime in Wae, along with the international factor,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breakdown of Shilla 'Jill' system. On the other words,after the death of Kotoku Tenno(孝德天皇), who built and maintained the system, the government power was dominated by Tenji Tenno(天智天皇 Prince Nakanoooe 中大兄皇子) and Saimei Tenno(齊明天皇). And this political change accelerated the breakdown of the system. 왜국의 견당사 역사에 있어서 654년 2월에 출발, 655년 8월에 귀국하는 제3차 견당사는 전후의 견당사와 비교해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첫째, 사절의 성격이 전후의 견당사에 공통적인 정치문화사절이 아닌 순수한 정치외교사절이라는 점, 둘째, 653년 5월에 앞서 출발한 제2차 견당사의 귀국(654년 7월) 전에 긴급히 파견되었다는 점, 셋째, 파견의 직접적인 이유가 국내적 요인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국제적・외적요인에 의해 비롯되었다는 점, 넷째, 그 결과가 왜국의 대외정책, 특히 대신라정책상에 있어서 커다란 전환을 초래했다는 점 등이다. 본고는 이처럼 특이한 경우에 해당하는 제3차 견당사 문제에 주목해 파견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그 결과를 해명하기 위해 백제・신라의 움직임 및 당의 대응 등 국제적 요인과 왜국내의 권력주체의 변동이라는 국내적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검토해 보았다. 무엇보다도 제3차견당사의 제 문제를 특히 653년의 백제의 움직임에 주의하면서 왜국 내의 대(對)신라정책의 변화과정(=신라 「질」체제의 파탄과정)과 관련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3차 견당사 파견의 직접적이고 결정적인 외적 요인은 653년 6~8월에 걸친 백제의 대왜외교 강화이며, 이러한 백제의 대왜외교를 촉진시킨 중요한 계기는 (1)650년 신라 법민의 입당과 대백제원군요청, (2)이를 수용한 당의 백제에 대한 강경한 태도 표명, 즉 종래의 백제의 신라침공에 대한 최후통첩이라 할 수 있는 651년에 있어서의 당 황제의 璽書 전달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동아시아의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654년 2월에 갑자기 파견된 제3차 견당사는 신라에서 상당 기간 체재하면서 원만하게 신라와의 외교절충을 걸친 후 입당하게 되는데 당에서 기다리고 있는 결과는 高向을 비롯한 견당사 일행이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이었다. 즉, 그것은 당황제가 왜국왕에게 내린 청천벽력과도 같은 신라 구원, 대백제 출병이라는 출병명령이었다. 655년 8월에 귀국한 견당사 일행이 왜왕권에 전한 당의 명령은 왜국의 신라정책의 전환(신라 「질」 체제의 파탄)에 결정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왜국에 전해진 백제를 공격하라는 전혀 예기치 못한 당의 출병명령은 왜국으로 하여금 지금까지 개신정권이 추구해 온 외교정책 노선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지 않으면 안 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개신정권 성립에 의해 수립된 새로운 대신라정책의 핵심은 직접적인 대신라출병(=대백제 원군파견)을 자제한다는 전제 하에서 맺은 백제의 「질」 체제에 대신하는 신라의 .질. 도입책에 다름 아니었기 때문이다. 결국 왜국은 백제・고구려 라인과 신라・당 라인이라는 대립구도 속에서 양자택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왜국이 전자에 가담하지 않을 수 없었음은 물론이다. 셋째, 왜국 내에 있어서의 정치권력의 교체도 또한 앞서 언급한 국제적 요인과 함께 상호 작용을 하여 신라 「질」 체제의 파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즉 신라의 「질」 체제를 성립.유지시켜 왔던 당사자인 효덕(孝德)천황의 죽음, 그리고 그에 대신하는 새로운 권력주체의 등장인 중대형(中大兄)황자 및 제명(齊明)천황에 의한 권력 장악이다.

      • KCI등재후보

        5世紀 倭·百濟關係와 羅濟同盟

        熊谷公男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6 百濟硏究 Vol.44 No.-

        The Wa-Paekche relation in 5th centur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gress of Silla- Paekche alliance. In the end of 4th century, Paekche that had once surrendered to Koguryo(高句麗) after perpetual warfare decided to oppose Koguryo with making military alliance with Wa. At a simultaneous period, Silla that had been suffering from the invasion of Wa army asked Koguryo for reinforcements, which required Silla to be subordinated to Koguryo. These relations changed in the former part of 5thcentury; Paekche changed her policy to close to Shilla that had gradually tried to keep distance from Koguryo. In the middle of 5thcentury, Paekche and Silla formed alliance against Koguryo. The glorious days of this alliance were the last quarter of 5thcentury, when both countries established marriage alliance and could repulse Koguryo army. On the other hand, judging from the fact that we can find no articles about Wa-Paekche relations in "Chronicles of three nations"(三國史記) and only a few articles in Nihonsyoki(日本書紀), Wa-Paekche relation in 5th century might have been weakened(even if such situation was slightly improved by Konji (昆支) visiting Wa, the article in Nihonsyoki that Wa could intervene Paekche's throne should not be true). It was the former part of 6th century that Wa-Paekche relation was transformed into military alliance. Through 5th century Wa was not only military alliance partner for Paekche. On the other hand, Paekche was also not only partner who could descend new culture or techniques for Wa. In conclusion, even Wa- Paekche relation in 5th century should be fair enough,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were not so frequent especially during the date of Silla-Paekche alliance. In this period, Wa as well tried to establish close relationship with Kaya(加耶) countriesand political powers along Yeongsan River(榮山江) basin. 5세기의 왜ㆍ백제관계는 "나제동맹"의 추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4세기말에 고구려와의 무력충돌을 되풀이하고 있었던 백제는 일시적으로 고구려에 귀속되였지만, 머지않아 이러한 관계를 파기하고 왜와 군사동맹을 결성하여 고구려에 대항하였다. 한편 같은 시기에 왜병의 침입으로 곤경에 처해있었던 신라는 고구려에 구원을 요청하였으며, 이후 고구려에 종속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변화가 일어난 것은 5세기전반이었다. 신라가 점차 고구려의 세력권에서 이탈하기 시작하자 백제는 신라에 접근하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5세기중반에는 양국 사이에 나제동맹이 결성되어 고구려의 공격에 공동으로 방어하게 되었다. 특히 웅진천도 이후인 5세기중반 이후는 나제동맹의 절정기로써, 백제와 신라는 연계하여 종종 고구려 군을 격퇴하였을 뿐만 아니라 백제의 활동으로 "혼인동맹"이 성립되었다.5세기중반을 중심으로 한 시기의 왜ㆍ백제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서는 전혀 찾아 볼 수가 없으며 『일본서기』에 극히 일부분이 남아있을 뿐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사료의 잔존문제도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왜와 백제관계가 소원해진 결과에 따른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461년 곤지를 왜에 보내는 것으로 다소 개선되었으나, 웅진천도 이후 왜가 백제왕권에 개입하였다는 『일본서기』의 기술은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양국의 관계가 긴밀해 지고 군사동맹이라고 할 수 있는 형태를 띠게 된 것은 6세기초반 이후였다.백제에 있어서 군사동맹의 상대는 결코 왜국만이 해당되었던 것은 아니었으며, 왜국에 있어서도 백제는 선진문물ㆍ기술 등의 유일한 공급원이 아니었다. 양국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었으나 나제동맹기에 양국의 관계는 상당히 소원해졌으며, 왜국은 가야제국과 더불어 영산강유역세력과의 관계를 강화시키고 있었다.

      • KCI등재

        익산지역 백제유적의 평기와 특징과 변천

        박은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I focus an examination on plain roof tiles those are excavated around the Iksan province where is another center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In comparison with plain roof tiles of each time, I attempted to identify the the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First of all, I examined 9 sites in Iksan province– Wanggung-ri site, Mireuk-temple Site, Jeseok-temple site, Yeondong-ri site, Geummadotoseong earthen fortress, Seogwang-Dong site,Shindong-ri site and Wonsu-ri site - where were unearthedplain roof tiles, and I arranged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already discussed sites. Also I examined attributes which were occurred from manufacturing process of plain roof tiles,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formal and technical attributes.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plain roof tiles in Baekje period lasted from 660(after the collapse of Baekje) to 700 years or so. I figured out many attributes of plain roof tiles, and I can confirmed aspect of transition – patterns, caly, sorts of Roofing tile mold, existence and width of Danchul trace, direction of roof-tile cutting, modifying lower part of inner side, modifying cross section- . Through those analysis, I classified characteristic of plain roof tiles in Iksan province as 2 phase. The phase Ⅰ is from late 6th century to around the time of Baekje`s collapse, and Shindong-ri site, Wonsu-ri site, Jeseok-temple graveyard site and Seogwang-Dong site are included in this phase. The phase Ⅱ is from the time of Baekje`s collaps to 700 years or so, that is the end of Baekje period and the early period of unified SIlla. The main sites of this phase are Mireuk-temple Site and Yeondong-ri site. I ascertain the main differences among clay, Danchul-trace, direction of roof-tile cutting, modifying lower part of inner side and modifying cross section which can be seen as process of changes from the phase Ⅰ to phase Ⅱ in manufacturing of plain roof tiles. I can check those differences from skipping the process along the manufacturing, it can be thought that the primary cause for changes is mass production system. In sabi period of Baekje, different kinds of sites mainly focused on composition in Iksan province as well as Buyeo province to manage the country(Baekje kingdom). Therefore heavy demand for roof tiles must be needed to establish royal palaces, temples, fortresses and tombs ans so on. According to these demands, there would have required a shorter time for manufacturing processes, even if keeping the tradition of the previous period. There are many similarity in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plain roof tiles between Iksan and Buyeo province, except patterns and direction of roof-tile cutting. Those similarity between two provinces can be observed in ‘sutdy cases’ ofconvex eave-end roof tiles, stamped-roof tiles, potteries : the pedestal bowl and the extended rim bowl, and a large building site in wanggung-ri site and Gwanbuk-ri site. These cases between Iksan and Buyeo provinc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manufacturing the plain roof tiles. It is a noteworthy fact that even though Iksan province is not the center during sabi period of Baekje, Iksan province is a major hub unlike other local areas. Through the plain roof tiles, I can confirm the statue of Iksan province in sabi period of Baekje. 백제 사비기 수도였던 부여와 대응되는 익산의 역사적인 성격을 밝히기 위해 익산지역에서 출토된 백제시기 평기와를 집중분석하여 검토하였다. 평기와의 각 속성을 본격적으로 분석하여 검토함으로써 익산지역 백제 유적의 평기와의 성격과 특징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려고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백제 한성기․웅진기․사비기 중앙과 지방지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이를 통해 기와의 변화와 발전에 대하여 짚어 보았다. 먼저 왕궁리유적, 미륵사지, 제석사지, 제석사 폐기장, 연동리유적, 저토성산성, 석왕동유적, 신동리유적, 원수리유적 등 익산지역에서 평기와가 출토된 9개 유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평기와 속성 중 문양, 태토, 와통의 종류, 단철흔의 유무 및 너비, 와도분할, 하단 내면 조정, 단면조정 등의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익산지역 평기와의 특징을 Ⅰ기와 Ⅱ기로 구분할 수 있다. Ⅰ기의 시기는 6세기 후반부터 백제 멸망 전후이며, 신동리유적, 원수리유적, 제석사 폐기장, 석왕동유적이다. Ⅱ기는 백제 멸망기 전후부터 700년을 전후한 시점으로 백제시대 말기와 통일신라시대 초기로 볼 수 있다. 유적은 미륵사지와 연동리유적 등이 해당된다. Ⅰ기에서 Ⅱ기로 변화하는 평기와 제작기법 중 태토, 단철흔, 와도분할, 하단 내면 조정, 단면조정에서 큰 차이가 확인된다. 이것은 제작과정 중 공정이 생략되는 특징에서 보이는 것으로, 변화의 1차적인 요인은 기와의 대량생산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부여지역 뿐만 아니라 익산지역에서도 경영을 위한 다양한 성격의 유적들이 집중되어 축조되면서 왕궁 및 사찰, 산성, 분묘 등 다양한 곳에 대량의 기와가 필요했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기와는 이전의 백제시대 제작 기법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제작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하는 작업을 통해 변화해 간 것으로 볼 수 있다. 익산지역과 부여지역의 평기와는 문양과 와도분할 등 일부 차이가 확인되지만, 그 밖의 제작기법에서는 괘를 같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익산지역과 부여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는 대부완이나 전달린토기 등의 토기류, 그리고 익산 왕궁리유적의 대형건물지와 관북리유적의 대형건물지 등의 공통된 양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양상은 평기와의 제작기법에서 보이는 긴밀한 관계와 상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익산지역은 다른 지방지역과는 달리 중앙의 부여지역과 유사한 성격을 가졌던 것으로, 평기와에도 이러한 익산지역의 위상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의 도입과 확산과정

        박신영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9 百濟硏究 Vol.70 No.-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Hansung-period is influenced by the Brick Chamber Tomb of Nakrang and Daebang areas. Dongri-tomb,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the origin of the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is believed to have technological genealogy relations through structural similarities, the background of time, excavated artifacts and oth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nect to directly to the square type of the stone chamber tomb of Hansung-period because rectangle type of the brick chamber tomb was constructed in 4th century Nakrang and Daebang areas. In addition, Goguryeo's influence, such as the white washed the brick chamber tomb, one-sided roads, has been reflected in the tombs since 313 and 314, which are not the basis of the original Goguryeo Kingdom theory, but some of the attributes of the tomb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Hansung-period, was introduced with various systems under different influences. In the late 4th century, the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Hansung-period is introduced mainly in the area of Han-river and spread out to provinces gradually. In the process of spreading it is distinguishing to show a variety of structure by the situation of each local power and technological proficiency.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the new method of building a tomb, called the stone chamber tomb, is a result accomplished by the correlation of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not a one-sided spread from the center of Baekje to the region. It has been gradually shown to be regularized by the center force of Baekje. After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it has been standardized as a structure having square type of a tomb and right-sided roads. Thus, after Woongjin-period square type of the Songsan-ri stone chamber tomb was built in the most area of Gongju including Songsan-ri tombs while Geumhak-dong tombs, succeeded to the Pangyo-type of stone chamber tomb, were constructed in the area of Geumhak-dong and Singi-dong.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의 도입은 낙랑ㆍ대방지역의 전실묘에서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되어왔다. 낙랑기원설의 근거로 주로 언급되는 동리묘·남정리119호분은 판교형석실과 구조의 유사성, 시대적 배경, 출토유물 등을 통해 기술적 계보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4세기 대 낙랑ㆍ대방지역에서 장방형의 전실묘(단실)만이 축조되고 있어, 한성기 방형석실묘와 직접적으로 연결시키기 어렵다. 또한 4세기 이후 고구려가 낙랑·대방지역을 장악하면서, 전실묘에 고구려의 영향이 나타난다. 이는 정치적 주체가 변화하면서 전실묘에도 고구려적 속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백제 한성기 석실묘는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계통을 갖고 도입된 것으로 판단되며, 다원론적 시각에서 석실묘의 기술적 계보관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4세기 후반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는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도입되어 점차 지방으로 확산된다. 확산과정에서 각 지방세력의 상황과 기술적인 숙련도 등에 의해 다양한 구조가 등장하는 점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즉, 석실묘라는 새로운 묘제의 도입이 백제 중앙에서 지방으로 일방적인 전파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중앙과 지방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결과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석실묘는 점차 백제 중앙세력에 의해 정착되는데, 5세기 중반 이후 방형+우편재연도의 구조로 정형화된다. 이후 웅진기에 접어들면서 송산리고분군을 비롯한 공주 일대 대부분에서 송산리형석실이 조영되는 반면, 금학동ㆍ신기동 일대에서는 판교형석실을 계승한 금학동고분군이 조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