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 여성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만족도의 관계: 학업참여의 매개효과

        하혜숙(Hyesuk Ha),박민지(Minji Park)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2

        원격․평생교육기관에서 중년 여성학습자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년 여성학습자의 특성 및 학습과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학습의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학습만족도를 비롯한 학습 성과를 극대화하고, 평생교육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내실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업참여,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업참여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 이다. 이를 위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재학생 59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참여 동기와 학업참여, 학습만족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습참여 동기와 학업참여가 높을수록 학습만족도는 높아졌다. 둘째,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업참여가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 여성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행동을 유발하는 동기뿐만 아니라 학습에 직접 관여하는 학업참여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middle-aged female leaner’s academic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93 students enrolled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followed by 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a sobel test. First,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ve motivation,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study,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academic engagement played a pa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ntervene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participation directly involved in the learning as well as the motivation for learning behavior.

      • KCI등재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에서 부정정서 해소 프로그램이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하혜숙(Ha Hye Suk),김명섭(Kim Myung Seo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교육과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성희롱 예방교육에서 부정적 정서 해소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의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 이수자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학기 초 대학의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이 진행되는 현장에서 수집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실험집단에는 116명, 통제집단에는 143명이 할당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을 제공한 후 교육 참여자들의 태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은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은 인지·정서·행동 모든 영역에 있어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효과크기 또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성희롱 예방교육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ping with negative emotion of participants, on attitude change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This data was coll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here professorial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was conducted. Two hundred fifty-nine professors participated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under 1 of 2 groups: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evention education, participa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 change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affect mitig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program in all aspects of the attitude change and the effect sizes were also relatively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aculty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학과(學科)(학부(學部))만족(滿足)의 要因에 관한 연구

        하혜숙(Hye Suk Ha),김계현(Kay Hyon Kim) 한국상담학회 2000 상담학연구 Vol.1 No.1

        Department Satisfaction with his/her major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college-life, because students go through maladaptation in case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major department in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ore valid indicator for the Department Satisfaction(DS) of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A major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OS theory could be increased if two factors such as School Perception(SP) and Department Perception(DP) were added to the previous theory. DP is defined as the social reputation of and personal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or major and SP is defined as the general reputation of and personal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 Department Satisfaction Rating Scale(DSRS) was developed by twenty-¬seven items. The DSRS was administered to 960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who were sampled from two major universities.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Varimax Rotation and five factors were found: School Perception, General Interest in Major, Department Perception, Curriculum, and Interpersonal Relati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uggest that School Perception has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as a factor of Department Satisfac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school counselors examine their students` perception of the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to college.

      • KCI등재

        다시 생각해 본 성폭력 개입 프로그램 - 성폭력 가해자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소고 : 다시 생각해 본 성폭력 개입 프로그램

        하혜숙(Hye-Suk HA),김동일(Dong Il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2

        최근 우리 사회에서 성폭력이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대학 캠퍼스 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성관련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의 성폭력은 가해자의 불특정성, 피해자와 가해자의 연소화 등 범죄의 예측과 예방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성폭력 관련 정책과 연구는 다분히 피해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성폭력 문제의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가해자에 대한 개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성폭력 현황을 살펴보고 성폭력에 의한 피해를 새로운 방향에서 조명하고 성폭력 가해자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폭력 가해자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념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성폭력 가해자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효과적인 성폭력 가해자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우리 사회의 성폭력에 접근하는 인식의 변화, 성폭력 가해자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개선, 제도적 뒷받침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Sexual violence is becoming an object of social concern nowadays, and various forms of sexual wrongdoing are happening even on campus. It is getting hard to predict and to prevent sexual violence, for the trends of the crime are such that the offenders are unspecified and both victims and offenders are becoming younger. The policies and the researches on sexual violence have been mainly focused on victims. However, intervention to offenders is urgently needed to prevent sexual harassment problem and to protect second offense. This article reviews the trends of sexual violence, examines the extent of damage by sexual violence in other side, suggests the direction of educating and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violence offenders. For this, the conceptual model for educating and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violence offenders is presented and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s for sexual violence offenders is analyzed based on this conceptual model. In result, it is suggested that changing of consciousness for sexual violence,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contents, and systemic support from the society are needed for improve efficiency of educating and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violence offend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의 도전과 과제

        황매향(Hwang, Mae-Hyang),하혜숙(Ha, Hye-Suk),유정이(Ryu, Jeong-Yi)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이 연구는 아동기 진로발달의 특성,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행동과 부모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해 아동기 진로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부모교육의 방향성과 내용 및 방법이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부모진로교육 구성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미래사회 변화와 진로발달이론을 검토하여 아동기의 진로발달과업과 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진로교육의 목표를 도출하였다. 아동기 진로발달의 가장 중요한 환경 변인인 부모의 영향력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부모대상 진로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부모 진로교육의 현실을 점검하였다. 다음으로는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는데,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의 내용, 형태, 운영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부모진로교육에서 고려할 문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parental behaviors influencing career development, and the status of parent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s, contents and methods of parent education that promotes the career development of children. First, we defined the foundational elements of parent career education such as the goal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theories, and the task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Second, we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ar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 of childhood career,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parent career education in Korea. Third, we discussed the ways to promote parent career education, focusing on its contents, frames, and management. Finally, we address issues to consider in parental career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청소년 상담자의 내담자 통제권이 역할자신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윤지혜 ( Ji Hye Yoon ),하혜숙 ( Hye Suk Ha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1

        본 연구는 내담자 통제권이 청소년 상담자들의 역할 자신감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담자의 자신감을 ``역할자신감``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관계자신감, 기술자신감, 수행자신감의 3개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상담자 만족도를 외적만족과 내적만족, 사회적 인식만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상담자의 내담자 통제권이 역할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내담자 선택과 시간계획이 관계자신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내담자 통제권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역할 자신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상담자의 내담자 통제권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내담자선택과 시간계획에 대한 통제권이 사회적 인식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권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만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자를 대상으로 내담자 통제권이 상담자의 역할자신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상담자의 역할자신감과 직무만족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측정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youth counselors` control of client influenced their role confidence and work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ontrol variables, particularly the choice and number of clients as well as the duration and number of sessions significantly affected counselors` role confidence and work satisfaction. Counselors who had more control showed more role confidence and work satisfaction, as compared with those who had less contro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끈기(Grit),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업적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

        임효진(Lim, Hyo Jin),하혜숙(Ha, Hye Suk),황매향(Hwang, Mae Hya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47 No.3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tudents’ grit, self-efficacy, achievement goals (i.e. mastery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how grit predicted academic self-regulation via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A total of 267 5th and 6th graders’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fitted the data well based on fit indices.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Specifically, the relative predictability of grit on self-efficacy and mastery goal was greater than the one on performance approach goal. The effect of grit on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grit had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Mastery goal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self-reg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grit influenced academic self-regulation through motivational variables and provided empirical evidences.

      • KCI등재
      • KCI등재

        중학교 시기의 일상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대학생 회상자료를 중심으로

        황매향(Mae-Hyang Hwang),강지현(Kang Ji Hyeon),하혜숙(Hyesuk Ha),김영빈(Youngb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변화와 발달을 경험하는 중학교 시기의 일상적 삶을 분석하여 일상생활의 특징과 주된 어려움을 파악하고 중학생들의 적응 및 어려움 극복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대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중학교 시기의 일상적 경험에 대한 회상 자료를 수집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수정본(CQR-M)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교 시기에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 영역에는 4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관계’(43.2%), ‘성취’(32.3%), ‘진로에 대한 고민과 준비’(17.7%), ‘좋아하는 일에 몰두’(6.8%) 순이었다. 둘째, ‘중학교 시기에 가장 많이 한 활동’ 영역에는 4개 범주가 도출되었고, ‘대인관계’(42.2%), ‘진로’(40.4%), ‘취미활동’(15.3%), ‘외모관리’(2.1%) 순이었다. 셋째, ‘중학교 시기에 가장 어려웠던 점’ 영역에는 6개 범주가 도출되었고, ‘또래관계’(37.0%), ‘내적 어려움’(23.7%), ‘학업’(19.3%), ‘가정’(10.9%), ‘학교생활’(4.9%), ‘진로’(4.2%) 순이었다. 결론 중학교 시기의 삶에서 ‘친구’가 매우 중요하고, 그 밖에 성취, 진로, 공부, 외모관리가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중학교 시기의 경험과 어려움에 기초하여 이 시기의 위기 극복을 위한 교육과 상담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ordinary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329 undergraduates recalled and reported on the most important things, the most activities, and the main difficulties in the middle school perio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CQR-M). Results ‘The most important things’ consisted of 4 categories(relationship, achievement, career preparation, and preoccupation with what they liked). ‘The most activities’ consisted of 4 categories(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reer, hobbies, and appearance management). and ‘The main difficulties’ consisted of 6 categories(peer relationship, psychological difficulites, study, family, school lilfe, and career). Conclusions Friendship were the most importa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achievement, career, study, and appearance management were important.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counseling to overcome the crisis in middle schoo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