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양배추 유전자원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하지수(Jisu Ha),박소은(So Eun Park),황인국(In Guk Hwang),방경원(Kyeong won Bang),김성훈(Seong-Hoon Kim),이준구(Jun Gu Lee),최장선(Chang-sun Choi),강해주(Hae Ju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7

        본 연구에서는 유색 양배추 유전자원 17점과 백색 양배추 유전자원 114점의 기능 성분인 카로티노이드 함량 분석과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색 양배추 유전자원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평균 3.38±0.83 mg GAE/g, 0.86±0.29 mg CE/g을 보였으며,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평균 3.47±1.14, 9.09±2.81 mg AA eq/g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카로티노이드를 분석한 결과, 주요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lutein과 β-carotene으로 1.12~6.50, 1.63~6.46 mg/100 g의 범위를 가졌다. 백색 양배추 유전자원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평균 3.44±0.63 mg GAE/g, 0.95±0.21 mg CE/g의 함량을 보였으며,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평균 1.04±0.30, 1.93±0.53 mg AA eq/g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카로티노이드를 분석한 결과, 주된 카로티노이드 성분 또한 lutein과 β-carotene으로 0.77~22.33, 1.29~14.82 mg/100 g의 범위를 가졌다. 결과적으로 유색 양배추와 백색 양배추는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lutein을 제외한 카로티노이드 함량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약 3~5배 차이가 났으며, 이는 유색 양배추가 백색 양배추보다 라디칼 소거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색 양배추의 색소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상승 작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예상되며, 생리활성 물질인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은 항산화 성분의 함량에 비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닐 것으로 사료된다. 유색과 백색 양배추 유전자원 총 131점의 평균과 여러 양배추 품종을 비교한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카로티노이드는 선행연구된 양배추 품종들과 비슷하거나 좀 더 높은 함량을 가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에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전자원보다 선행 연구의 양배추 품종들이 전반적으로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함량의 차이는 재배 품종, 재배 지역, 재배조건 등으로 인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에서 재배한 양배추 품종의 항산화 및 기능 성분 함량이 높은 자원을 선발하는 것은 기능 성분 함량 DB 구축 및 소비자 니즈 맞춤형 품종 개발의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is the main Brassicaceae and a rich source of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resources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unds of 17 colored cabbage genetic resources and 114 white cabbage genetic resources cultivated in Korea.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evaluated, and carotenoid compounds were analyzed by LC-DAD. The average TPC, TFC, DPPH, and ABTS values for colored cabbage were 3.38±0.83 mg GAE/g, 0.86±0.29 mg CE/g, 3.47±1.14 mg AA eq/g, and 9.09±2.81 mg AA eq/g, respectively, and the white cabbage were 3.44±0.63 mg GAE/g, 0.95±0.21 mg CE/g, 1.04±0.30 mg AA eq/g, and 1.93±0.53 mg AA eq/g, respectively. An analysis of carotenoid identified lutein and α-carotene to be the main compounds of cabbage. The colored cabbage had an average lutein and α-carotene content of 2.85±1.46 and 2.80±1.21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white cabbage had 4.61±2.60 and 3.90±1.92 mg/100 g,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lored cabbage and white cabbage in TPC and TFC (P<0.05), but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ored cabbage (P<0.0001), whereas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hite cabbage (P<0.05). Overall, selecting Korean cabbage cultivars with high antioxidant and functional content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eties customized to consumer needs.

      • 규산질 비료의 철 함량 차이가 메탄 배출 특성 및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성

        하지수(Jisu Ha),조은남(Eunnam Joe),김필주(Pil Joo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논에서 규산질 비료는 벼 재배과정 중 메탄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규산질 비료의 원료인 광재 슬래그 안에 포함된 산화철(Fe<SUP>3+</SUP>)이 전자수용체로 작용하여 메탄생성균(methanogens)의 활성을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규산질 비료가 메탄 배출량을 저감하는 반응기작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정리되지 못하고 있다. 가설적으로 규산질 비료 처리에 따른 메탄 배출량 저감은 ① 메탄생성균 활성이 특이적으로 억제되었거나, ② 메탄산화균(methanotrophs)의 활성을 높아졌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③ 이외의 다른 요인이 메탄 배출량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명치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규산질 비료 처리가 메탄 배출량 저감에 미치는 생물학적 반응기작을 평가하기 위해, ① 전자수용체 함량이 다른 2가지 유형의 규산질 비료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② 규산질 비료 처리가 벼 재배과정 중 메탄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성과 주요 미생물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규산질 비료 처리가 벼 재배과정 중 메탄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규산질 비료 무처리와 처리(1.5 Mg/ha)를 핵심처리구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규산질 비료 내 전자수용체의 함량이 메탄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 광재 규산질 비료에 산화철(Fe₂O₃)을 2.5%(wt/wt) 혼합하여 개선규산질 비료를 제조하고 동일량을 벼 재배 전 기비 처리하였다. 벼 재배과정 중 Closed Chamber Method에 의해 메탄 배출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메탄 배출량이 가장 많았던 유수형성기 토양 내 메탄생성균(mcrA gene copy no), 메탄산화균(pmoA)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현재 농가에서 사용 중인 광재 규산질 비료는 벼 재배기간 중 메탄 배출량을 평균 20%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었다. 전자수용체로 산화철을 2.5% 혼합하여 제조된 개선 규산질 비료는 기존 광재 규산질 비료보다 메탄 배출량 효과를 15% 이상 증진시킬 수 있었다. 규산질 비료처리는 메탄생성균의 활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었으며, 산화철 함량 증진을 통해 메탄생성균의 활성을 더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었다. 규산질비료 처리는 메탄산화균의 활성의 억제하였다. 이는 ① 토양 내 기질인 메탄생성량이 감소에 의한 영향이거나, ② 전체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전자수용체로 산화철을 추가하여 제조된 개선규산질 비료 처리는 메탄산화균의 활성에 큰 영향은 주지는 않았다. 광재 규산질 비료에 함유된 산화철이 전자수용체로서 작용하여 메탄생성균의 활성을 저감하였기 때문에 철 함량이 증진되면 논에서 메탄 배출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분명하였다. 다만, 메탄산화균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므로 전체 미생물 활성에 대한 추가연구가 이루어져 메탄생성균이 특이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인지에 관해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자율적으로 결정한 대응기법의 운용효과도 설계

        박소령 ( So Ryoung Park ),박헌우 ( Hunwoo Park ),하지수 ( Jisu Ha ),최채택 ( Chaetaek Choi ),정운섭 ( Unseob Jeong ),노상욱 ( Sanguk Noh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4

        통합 전자전 환경에서 항공기는 위협에 대한 최적의 대응기법을 선정하여 생존률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전자전 환경에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항공기가 위협을 확인하고 확인된 위협에 대하여 사용하는 대응기법의 예상 성공확률을 모델링하며, 자율적으로 대응기법을 결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자율적으로 결정한 대응기법의 운용효과도를 정량적으로 설계하며, 예제 시나리오에서 어떻게 운용효과도를 계산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제안한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에서 다양한 위협에 대하여 대응기법이 성공할 확률과 자율적으로 결정한 대응기법의 질적인 수준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였다. 비교실험에서 제안한 방법론에 의한 대응기법의 결정이 대응기법을 임의로 선택한 전략보다 약 12%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It is indispensable that aircrafts in electrical warfare settings endeavour to improve their survivability by selecting optimal countermeasures against threats. In this paper, we model the successful probabilities of aircraft survivability equipments that remove threats encountered, and also propose a framework for the aircrafts to autonomously decide their countermeasures. And then, we design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he aircraft survivability equipments, and quantitatively formulate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into the form of reduction in lethality (RL). We actually show how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can be computed in simulated example scenarios. To verify our framework proposed in this paper, we experimented with the successful probabilities of aircraft survivability equipments and the autonomous decision-making against threats in various electronic warfare settings. In the experiments, it turns out that our agents outperform the agents that randomly choose their countermeasures, which is 12% more efficient in their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