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족관절 외과의 Danis-Weber B형 단독 골절에 있어서 활주 방지 금속판고정술과 외측 금속판고정술의 비교

        하중원,김형복,고민석,윤한국,Ha, Joong-Won,Kim, Hyoung-Bok,Ko, Min-Suk,Yoon, Han-Koo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5 No.3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an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surgical management using Antiglide plating and lateral plating for Danis-Weber type B isolated lateral malleola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4 and March 2009, 92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6 months after surgical treatment. 49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glide plating, whereas the remaining 43 patients underwent lateral plating.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oth radiographically and clinically using Ankle scoring system. Results: Both groups were comparable for age, sex distribution, time to surgery, and operation time. Bone union was noted at average of 8 weeks in all fractures. The mean ankle score was similar in both groups (94% versus 93%). Conclusion: Antiglide plating for Danis-Weber type B isolated lateral malleolar fracture is one of the good methods which has some advantages such as early ankle motion, ambulation and smaller operative incision.

      • KCI등재

        경피적 방아쇠 무지 절개술 후에 발생한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하중원(Joong-Won Ha),최승진(Seung-Jin Choi),김성훈(Seong-H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4

        방아쇠 수지는 수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였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최근 경피적 A1 활차 절개술을 통해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지만 불완전한 절개, 수지 굴곡건의 손상, 신경 및 혈관의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저자들은 좌측 무지의 방아쇠 수지로 내원한 49세 여자 환자에서 경피적 A1 활차 절개술을 시행한 뒤 발생한 제1 형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을 경험하였다. 상지에서 외상이나 수술 후 비교적 흔히 발생하는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은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저자들은 방아쇠 수지의 경피적 A1 활차 절개술 후 발생한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을 경험하고 조기에 물리치료, 운동치료 및 약물치료를 치료를 통해 좋은 결과를 보았기에 본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rigger finger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hand pain and disability. Persistent trigger finger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has been managed with surgical release of the A1 pulley. Percutaneous A1 pulley release is being increasingly performed and many authors have reported comparable outcomes with open surgical release. However, complications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incomplete release, flexor tendon injury, and neurovascular injury due to the blind nature of the procedure. We report on a case of a 49-year-old female who presented with features of a type I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following percutaneous A1 pulley release. CRPS is a relatively common complication occurring after trauma and surgical procedures of the upper extremities. We experienced a case of CRPS following percutaneous A1 pulley release which was treated effectively following early diagnosis and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physical therapy and medication.

      • KCI등재

        Thoracic Epidural Cavernous Hemangioma

        Joong Won Ha(하중원),Soo Bin Lee(이수빈),Yun Tae Lee(이윤태),Ju Hyung Yoo(유주형),Hyun Cheol Oh(오현철),Han Kook Yoon(윤한국),Sang Hoon Park(박상훈),Seong Hoon Kim(김성훈),Yung Park(박융)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2

        31세 남자 환자가 극심한 흉추부 통증 및 하반신 마비로 내원하였다. 영상 검사상 제11, 12 흉추부 경막 배측으로 골외 경막 외 종양이 발견되었다. 척수는 복측으로 압박되어 있었다. 병변은 제11, 12 흉추 후궁 절제술 후 완전 절제되었으며 병리 조직 검사상 해면상 혈관종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절제술 후 완전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A 31-year-old male presented with severe back pain and paraparesis. Imaging studies demonstrated an extraosseous, extradural mass without bone invasion at the T11-T12 vertebral level, located dorsal to the thecal sac. The spinal cord was compressed ventrally. The lesion was completely excised after a T11-T12 laminectom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cavernous hemangioma. The patient’s symptoms improved after excision of the lesion.

      • KCI등재

        제2형 당뇨 및 골관절염을 동반한 환자에서 발생한 Klebsiella pneumoniae균에 의한 화농성 관절염

        하중원(Joong-Won Ha),이상현(Sanghyeon Lee),박상훈(Sang-Hoon Park),김태엽(Tae-Yup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1

        Klebsiella pneumoniae의 감염은 대부분 원발성 간농양을 일으키며 전이성 병변으로 폐렴, 뇌수막염, 요로감염 등의 간 외 합병증을 수반한다. K. pneumoniae 감염의 간 외 합병증으로 화농성 슬관절염이 보고된 예는 드물며 원발성 간농양 없이 화농성 슬관절염이 보고된 예는 더욱 드물다. 이에 제2형 당뇨병을 가진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원발성 간농양 없이 발생한 K. pneumoniae에 의한 화농성 슬관절염을 조기 발견하고, 관절경적 치료로 호전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Klebsiella pneumoniae causes that liver abscess mostly, also spread to pneumonia, meningitis, urinary tract infections. Septic arthritis caused by K. pneumoniae is a quite rare and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Therefor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the septic arthritis in the knee joint caused by K. pneumoniae in a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osteoarthritis of the knee that successfully treated by early detection and arthroscopic synovectomy.

      • KCI등재

        요추부 협착에서의 피질골 궤도 나사못 고정의 초기 실패 사례에 대한 고찰

        권지원(Ji-Won Kwon),김진규(Jin-Gyu Kim),하중원(Joong-Won Ha),문성환(Seong-Hwan Moon),이환모(Hwan-Mo Lee),박융(Yu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목적: 퇴행성 요추부 척추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 척추 경 나사못(pedicle screw) 삽입술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피질골 궤도 나사못(cortical-bone trajectory screw)은 덜 침습적인 후방 요추부 고정이 가능한 점과 몇몇의 생체 역학 연구에서 보고한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후방 감압술 후 후방 고정술 및 유합을 시행한 환자에 있어 피질골 궤도 나사못 고정술의 초기 실패에 관한 사례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요추의 퇴행성 척추 협착 및 척추 전방 전위에 대한 전통적인 척추 경 나사못 고정을 대안하여 피질골 궤도 나사못을 사용하여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3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조기 고정 실패는 수술 후 6개월째, 외래 추시에서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및 방사선 사진상 나사못의 이완, 이탈 및 파손과 같은 고정 실패가 일어날 시로 정의하였다. 결과: 조기 고정 실패는 311예 중 46예(14.8%), 나사못 이완이 46예(14.8%), 이탈이 12예(3.9%), 파손이 4예(1.3%)에서 발생하였다. 해당 고정 실패가 일어난 부위 분석 시, L1이 7예(15.2%), L2가 3예(6.5%), L3가 4예(8.7%), L4가 4예(8.7%), L5가 4예(8.7%), 그리고 S1이 24예(52.2%)였다. 주로 말단 피질골 궤도 나사못 중에서도 S1 나사못에서 이완, 이탈 및 파손과 같은 고정 실패가 주로 발생하였다. 결론: 피질골 궤도 나사못 고정은 기존의 척추 경 나사못 고정과 비교했을 때 동등한 임상 결과 또는 적은 합병증을 나타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나 골다공증이 있거나 특히 L5-S1 유합부위에서 전방지지구조가 되지 않는 조건일 때, 이완, 이탈, 파손 등의 조기 고정 실패가 나타나는 결과가 있었다. Purpose: Pedicle screw insertion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surgical treatment for degenerative lumbar spine disease. As an alternative, the cortical-bone trajectory screw allows less invasive posterior lumbar fixation and excellent mechanical stability, as reported in several biomechanical studies.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 case of early failure of cortical-bone screw fixation in posterior fixation and union after posterior decom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311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rom 2013 to 2018 using cortical orbital screws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pedicle screw fixation for degenerative spinal stenosis and anterior spine dislocation of the lumbar spine. Early fixation failure after surgery was defined as fixation failure, such as loosening, pull-out, and breakage of the screw on computed tomography (CT) and radiographs at a follow-up of six months. Results: Early fixation failure occurred in 46 out of 311 cases (14.8%), screw loosening in 46 cases (14.8%), pull-out in 12 cases (3.9%), and breakage in four cases (1.3%). An analysis of the site where the fixation failure occurred revealed the following, L1 in seven cases (15.2%), L2 in three cases (6.5%), L3 in four cases (8.7%), L4 in four cases (8.7%), L5 in four cases (8.7%), and S1 in 24 cases (52.2%). Among the distal cortical bone screws, fixation failures such as loosening, pull-out, and breakage occurred mainly in the S1 screws. Conclusion: Cortical-bone trajectory screw fixation may be an alternative with comparable clinical outcomes or fewer complica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pedicle screw fix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with osteoporosis and no anterior support structure particularly at L5-S1 fusion sites were observed to have result of premature fixation failures such as relaxation, pull-out, and breakage.

      • KCI등재

        비골건구를 깊게 하는 술식을 이용한 비골건 아탈구의 수술적 치료

        유주형,이윤태,하중원,박융,신영석,Yoo, Ju-Hyung,Lee, Yun-Tae,Ha, Joong-Won,Park, Yung,Shin, Young-Seo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9 No.2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fibular groove deepening and superior retinacular reconstruction for peroneal tendon subluxation. Materials and Methods: Six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fibular groove deepening and superior retinacular reconstruction for peroneal tendon subluxation from March 2000 to August 2004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No recurrent subluxation of peroneal tendons had occurred. All patients were return to sports by 4 months after surgery and also gained nearly normal range of motion. Five patients were completely pain free, but one patient had mild occasional pain that limit his sports activities. Conclusion: Fibular groove deepening and superior retinacular reconstruction was believed to be a reliable procedure for peroneal tendon subluxation in spite of some minor complications.

      • KCI등재

        상완골 소두 골절에서의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

        하청수(Cheungsoo Ha),김준한(Junhan Kim),하중원(Joong Won Ha),이준구(Jun-Ku Lee),한수홍(Soo-Hong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상완골 소두의 골절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되는 손상으로 유병률은 주관절부 골절의 1%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소두는 요골두와 관절면을 이루고 있어 골절 자체가 관절 내 골절에 해당하여, 골절 전위 시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골절의 희소성 때문에 치료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나 최근에는 무두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서 양호한 치료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소두 골절로 있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은 증례들을 분석하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2002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상완골 소두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고 16세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K-강선과 압박 무두나사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을 시행받은 총 19명의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치료 결과에 대한 영상의학적 결과 분석으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관절의 안정성 유지, 골절의 유합 여부를 조사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으로는 최종 추시 시점에서의 주관절 운동 범위, 시각적 통증점수,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술 후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수상 당시 평균 연령은 57.3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2.6개월이었고, Bryan–Morrey 분류에서는 1형이 12예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4형이 3예, 3형이 3예, 2형이 1예씩이었다. 영상의학적 분석 결과로서 모든 골절에서 최종 추시 시 골유합을 얻었으며 관절의 불안정성이 발견된 경우는 없었다. 임상적 분석 결과로써 수술 후 평균 굴곡구축은 9.7° (최소 0°–최대 30°), 평균 최대굴곡은 130.3° (최소 90°–최대 145°)였으며 평균 총 굴곡 신전 각도는 120.5°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시각통증 점수는 1.3 (최소 0–최대 3)점이었다. 최종 추시 시 평균 MEPS는 85.5 (최소 75–최대 95)점, 평균 DASH 점수는 27.6 (최소 5–최대 46)점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상완골 소두 골절은 드물어 흔하게 경험하는 골절은 아니지만, 손상 양상을 파악하여 전위된 골편의 해부학적 정복 및 K-강선과 무두나사를 이용한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진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urpose: Fractures of the capitellum of the humerus are relatively rare injuries, and the prevalence is known to be less than 1% of all elbow fractures. Since the capitellum forms an articular surface with the radial head, this fracture is considered to be an intra-articular fracture, and surgical treatment is required for the displaced fracture. Due to the rarity of this type of fracture, only a few studies on treatment have been published. We report the results of cases that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capitellum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rough a retrospective review,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a capitellum fracture from January 2002 to January 2020, and who could be followed-up for at least 12 months and were over 16 years old were included. A total of 19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K-wires and headless compression screws were included. Radiographi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imple radiographs taken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the joint and the union of fractures.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visualized pain scor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7.3 years, and their average follow-up time was 22.6 months. Most of them were type I (n=12) as per the Bryan–Morrey classification. The radiographic analysis showed that bony union was obtained at the final follow-up in all cases, and there was no case of joint instability. The results of the clinical analysis showed that average flexion contracture was 9.7° (min 0°–max 30°), average further flexion was 130.3° (min 90°–max 145°), and average range of motion was 120.5°, and the average visualized pain score at the final follow-up was 1.3 (min 0–max 3). At the final follow-up, the average MEPS was 85.5 (min 75–max 95) and the average DASH score was 27.6 (min 5–max 46), which was satisfactory. Conclusion: With early rehabilitation, capitellum fractures can be treated well without complications if the joint surface is aligned congruently with open reduction and firm fixation by using K-wire or headless compression screws.

      • KCI등재

        중족골 단축증의 신연 골형성술 치료

        오현철,이윤태,하중원,박융,최윤진,Oh, Hyun-Chul,Lee, Yun-Tae,Ha, Joong-Won,Park, Yung,Choi, Yun-Ji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9 No.1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fourth brachymetatarsia.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10 cases) who were treated by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fourth brachymetatarsia from March 2000 to December 2003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average length gain of fourth metatarsus was 16.6 mm (37%) and the average healing index was 50 days/cm. The final results according to AOFAS functional scale were excellent in 8 cases and good in 2 cases. Conclusion: Distraction osteogenesis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fourth brachymetatarsia in spite of some minor complications.

      • KCI등재

        골수강내 금속정을 시행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좌, 우측에서 근위부 정복 비교

        오현철 ( Hyun Cheol Oh ),하중원 ( Joong Won Ha ),박융 ( Yung Park ),박상훈 ( Sang Hoon Park ),윤한국 ( Han Kook Yoon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2

        목적: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하여 수술한 고령의 대퇴부 전자간 골절에서 우측과 좌측을 구분하여 지연나사의 삽입이 근위 골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6년 5월까지 대퇴부 전자간 골절로 골수강내 금속정 수술을 시행한 65세 이상 환자에서 우측과 좌측으로 구분하여 수술 과정 중에 지연나사의 삽입 시 발생하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근위 골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우측군과 좌측군에서 근위 골편은 수술 후에 대부분 골수강내 위치하였으며 각각 45예(75.0%), 67예(73.6%)였다. 지연나사 삽입에 의한 시계방향의 회전 변형은 우측군에서는 내회전 2예(3.3%), 좌측군에서는 외회전 4예(4.4%)로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고령의 대퇴부 전자간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 시행 후 근위 골편은 대부분 원위 간부의 골수강내 위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지연나사를 삽입하면서 생기는 시계 방향의 회전력은 좌, 우에 상관없이 영향을 일으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ag screw insertion on proximal fragments by separating the right and left side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that underwent intramedullary nailing.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aged ≥65 years that underwent intramedullary nailing after a diagnosi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during the period February 2012 to May 2016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right and left side groups. The effect of the clockwise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en a lag screw was inserted on the proximal fragment was evaluated in both groups. Results: In the right and left groups, most proximal fragments were located in the intramedullary canal after surgery (45 cases [75.0%] and 67 cases [73.6%], respectively). Clockwise rotation due to lag screw placement in the right group occurred in two cases (3.3%), which both showed internal rotation, and in four cases (4.4%) in the left group, all of which showed external rotation. Conclusion: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proximal fragments were mostly located in the intramedullary cavity. The results obtained confirmed that the clockwis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lag screw insertion did not affect left or right sid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