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동아시아 훈의(熏衣)문화와 향재의교역 연구

        하수민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2

        훈의문화는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문화이다. 해양 실크로드의 번영과 향재의 교역은 향 문화를 발달하게 해준 직접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 문화의 발달 시기는 교역의 시작시기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훈의(熏衣)는 향을 태운 연기로 향을 입히는 용법이다. 중국은 한대(漢代)부터 합향을 제조하였으며, 훈롱(熏籠)을 사용한 기록이 있어 훈의향을 합향으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당대(唐代)에 향료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천금요방』, 『향보』, 『향승』 등에훈의향의 제조법과 훈의 기술이 나타나고 『계해우형지』와 『제번지』 등의 서적을 통해서도 향료의 교역국과 교역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훈의향의 제조법과 용법이 기록된 문헌과 훈의에 필요한 도구들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에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향이 소개되었다.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일본과의 향 교역 사실을 확인할 수있으며, 훈의향이라는 교역품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시대부터 훈의를 시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향재의 교역이 융성하였던 고려시대에는 인삼과 함께 사향을 수출하였다. 왕실에서는 송(宋)으로부터 하사받은 향을 사용하였으며, 부인들은 향낭류의 패식향을 선호하였다. 패식향의 선호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조선시대에는 훈의의 기록을 찾기 어렵다. 조선시대에는 패식향의 사용, 향로에 피운 향의 냄새가 간접적으로 의복에 스며드는 방식, 그리고 옷장에 의향을 넣어두는간접적인 방향을 선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신라를 통해 향을 교역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헤이안 시대 궁정 소설 『겐지이야기』를 보면 당시 귀족들의 향 문화와 훈의문화, 향 교역을 추정 할 수 있다. 일본의 훈롱은 필수 혼수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에 따라 실용적인 형태로 발달하고 장식성이 가미되었다. 베트남 남부의 점성국이 훈의를 시행한 사실은 『제번지』에 직접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베트남 북부의 교지국이 훈의를 행하였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찾기 어렵다. 그러나 중국과 복식 문화가 같다는 기록과 훈의를 행하였던 국가인 중국과점성국에 인접하였다는 점, 그리고 향료의 원산지라는 점에서 훈의문화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한·중·일, 그리고 베트남은 훈의를 시행하는 문화를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훈의향의 목적과 발달 시기,훈의향의 제작, 훈의법, 훈의 도구, 훈의를 하는 사람의 성별 그리고 사용한 향재에서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왕실 가례의 부용향(芙蓉香) 연구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하수민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3

        This paper studied Joseon royal incense, Buyonghyang, focusing on the case of Sunjo Sunwonwanghoo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조선왕실의 부용향을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한국에서 향은 삼국시대부터 불교문화와 함께 전래되었다. 부용향은 조선시대 왕실을 상징하던 향이며 왕실의 각종 의례에 사용되었다. 민가에서도 혼인할 때 신부의 가마 앞에서 부용향을 태우기도 했다. 부용향은 의례, 방향, 방충, 의료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부용향은 침속향과 백단향을 주 향재로 하여 모향, 백급, 영릉향, 감송향, 팔각향, 삼내자, 정향, 소뇌, 비초 등 10가지 향재를 혼합해 만든 합향이다. 『탁지준절』과 『세종실록지리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향재의 수급 방법을 추적했다. 각 향재의 특성을 파악하고 『제중신편』, 『동의보감』 등의 의서를 통해 제조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통해 부용향을 제작한 향장의 협업과 처우를 살펴보았다. 가례에서 부용향이 사용된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에 향이 갖던 의의를 알아보았다. 가례는 이전의 가례도감의궤에 비하여 그 체제가 잘 정비된 것으로 평가받는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참고했다. 궁에서는 의례를 진행하는 동안 항상 향을 사용했다. 반면 신부의 집에서 진행된 경우 오로지 비수책의에서만 향로 차비 등의 향과 관련된 차비가 동원되어 이 시기에만 향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책봉 후에야 비로소 향을 사용하게 됨을 통해 부용향은 왕실 사람만이 사용했으며 왕실을 상징하는 향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KCI등재

        복합운동이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노인의 Irisin, 신체조성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

        하수민,김정숙,하민성,김보성,김도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irisin, body composition and glucose metabolism in obese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subjects were thirty-six obese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volunteers, aged 65 to 85 years, composed of the combined exercise type 2 diabetes mellitus group (n=20) and non-exercise type 2 diabetes mellitus group (n=16). The 60 minute combined exercise program (outdoor walking exercise & elastic-band exercise) was performed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Exercise intensity of outdoor walking exercise was performed as medium intensity (RPE 5~6) and elastic-band exercise was progressively increased every four weeks (1-4 weeks: OMNI-RES 3~4, 5-8 weeks: OMNI-RES 5~6, 9-12 weeks: OMNI-RES 7~8).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combined exercise type 2 diabetes mellitus group were as follows; Irisin and skeletal muscle mass had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percentage of body fat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Further, HbA1c (p=.020) and fasting glucose (p<.00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OMA-β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Correlation results showed that change of irisi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ntage of body fat mass (r=-.423, p=.010), HbA1c (r=-.351, p=.036) and fasting glucose (r=-.424, p=.010). Also, irisin chang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erobic endurance (r=.355, p=.034) and HOMA-β (r=.411, p=.013). In conclusion, the practice of regular combined exercise was found to increase the level of irisin in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body composition changes. In addition, HbA1c, fasting glucose and insulin secretion was improved, which helped to regulate glucose metabolism. Walking exercise and elastic band exercise are recommended as effective exercise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abetes in obese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85세 이하의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 후 irisin, 신체조성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복합운동군(n=20), 대조군(n=16)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야외 걷기 운동과 탄성 밴드 운동을 12주간 주 3회, 1회 60분간 실시하였으며, 야외 걷기 운동의 운동강도는 중강도(RPE 5~6)로 수행되었으며, 탄성 밴드 운동은 1~4 주는 저강도(OMNI-RES 3~4), 5~8주는 중강도(OMNI-RES 5~6), 9~12주는 고강도(OMNI-RES 7~8)로 점진적으로 운동강도를 증가시켰다. 그 결과 복합운동군의 irisi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골격근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당 대사 관련 인자중 HbA1c(p=.020), 혈당(p<.0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OMA-β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Irisin의 변화는 체지방률의 변화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423, p=.010), 유산소성 지구력 변화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r=.355, p=.034). 또한, HbA1c(r=-.351, p=.036)와 혈당(r=-.424, p=.010)의 변화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HOMA-β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11, p=.013). 결론적 으로 규칙적인 복합운동의 실천은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노인의 혈중 irisin의 수준을 증가하고, 신체조성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당화혈색소, 공복혈당 및 인슐린 분비능을 개선하여당 대사 조절 능력에 도움을 주어 당뇨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효과적인 운동으로 권장될 것으로 사료된다.

      • 신입 부사관 후보 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혈압, 신체조성 및 체력 비교 연구

        하수민,신상근,김동두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14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a study on blood pressur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department of noncommissioned officer D college Students and P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into four groups, D college male students(A, n=102), P college male students(B, n=51), D college female students(C, n=42), P college female students(D, n=44). The test data were analyzes by independent t-test, and the alpha level of p<.05 was set for all tests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Group A was %Fat(p<.05)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B and Group A was grip strength, sit-ups(p<.001) significantly lower than Group B. Group C was weight, BMI(p<.05), %Fat(p<.001)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D and Group C was grip strength(p<.05), sit-ups(p<.01) significantly lower than Group D. Therefore, D College NCOs students need correct lifestyle and regular exercise. 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재 D대학 신입 부사관 후보 대학생과 P대학 일반대학생의 혈압, 신체조성 및 체력을 비교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부사관 후보 남자대학생의 체지방률은 일반 남자대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부사관 후보 여자대학생의 체중, BMI, 체지방률은 일반 여자대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체력은 부사관 후보 남․여 대학생 모두 악력, 윗몸일으키기가 일반 남․여 대학생들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D대학 신입 부사관 후보 대학생은 바람직한 군인화를 위한 올바른 생활습관과 규칙적인 운동 실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조선후기 온역과 궁중 세시풍속 연구

        하수민 국립민속박물관 2020 민속학연구 Vol.0 No.47

        본고는 조선후기에 온역을 예방하고 막는 벽온의 용도로 사용된 벽온단의 의의를 의학적·문화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허준의 『신찬벽온방(新撰辟瘟方)』등의 벽역의서와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와 같은 세시풍속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의 왕실 기록을 통하여 신성벽온단의 의학적·문화적 용도를 살피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벽온단의 종류로 신성벽온단, 선성벽온단, 태창공벽온단이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된 신성벽온단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성벽온단은 벽역의서에 많이 기록되어 있기에 벽온의 효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신성벽온단은 납일에 내의원에서 제조하여 임금에게 진상하고, 이를 군신에게 제석(除夕)에 하사였으며 원일(元日)에 사용한 벽온단이다. 이러한 신성벽온단은 새해 첫날에 임금이 한 해의 평안을 기원하며 피우는 향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후기는 소빙기로 온역이 자주 창궐하였다. 이에 따른 대응으로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분문온역이해방(分門瘟疫易解方)』, 『신찬벽온방』등 다양한 벽역의서의 간행이 이루어졌다. 또한 온역을 피하기 위한 다양한 벽온법이 발달하였다. 온역이 사기(邪氣)로 인해 발생하고 코를 통하여 전염된다는 인식으로부터 벽온단이 고안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성벽온단은 납약으로 하사되어 납일에 내의원과 기로소, 각사약방 등에서 제조되었다. 내의원에서 제조된 납약으로 내의원의 각종 약기들을 사용하였을 것이다. 신성벽온단은 11개의 약재를 이용한 약이며 대부분의 약재가 온역의 원인인 풍사, 습사, 한사에 작용하며 항균, 통증에 작용이 있었다. 따라서 신성벽온단을 태우는 의식은 벽온에 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신성벽온단은 납일에 제조되어 제석에 하사되고 원일에 사용된 납약이다. 납일은 벽사가 행하여진 시기이며 제석과 원일도 연말과 새해를 맞이하는 의식으로 나례(儺禮) 등 여러 액막이 풍속이 이루어졌다. 세시풍속기에서 임금이 신성벽온단을 원일에 태운 기록을 『열양세시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신성벽온단은 묵은해와 새해의 분기점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의식은 국가의 평안과 백성의 건강을 기원하는 의식이었다. 향을 피우는 것은 의례의 시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일 아침에 임금이 신성벽온단을 사르는 의식은 새해의 시작을 알리며 국가와 백성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식이라 할 수 있다. 납약으로의 신성벽온단 기록은 『육전조례(六典條例)』에 기록되어 고종대까지 이어진 풍속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온역 예방의 수단으로 사용된 신성벽온단을 중심으로 온역의 예방법과 궁중 세시풍속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성벽온단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성벽온단과 함께 붉은 비단주머니에 준비된 약들의 세시풍속을 알아내지 못한 한계가 있다. 궁중 세시풍속의 연구를 통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조선왕실 보록(寶盝)의 제작과 율삭형(栗削形) 기형 연구

        하수민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7

        This paper studied and inferred the symbol and meaning of royal seal container(寶盝)’sshape. In ancient times, people keep valuables in chest with trapezoid shaped lid(in Koreanshape like a cut chestnut) to keep them safely. Trapezoid shaped lid means top of the lid is cutoff edges and it is distributed widely in Korea from the Three Stated era to Japanese colonialera. The oldest chest with trapezoid shaped lid existing in Korea is a reliquary from Three Statedera, Nageon Gyeongham(a lacquered container of Buddhist texts inlaid with mother-of pearl)from Goryeo -era and royal seal container of Joeseon Dynasty. The royal seal container, whichis the representative chest with Trapezoid shaped in Joseon Dynasty is the outer containerof Joseon royal seal. It is made since Joseon is established to Japanese colonial era for entireperiod of Joseon Dynasty. As a single craft, It is mad for the most long period. In present day,320 pieces of royal seal container exist. We can figure the form of trapezoid shaped lid andtransition of making technique. Making technique study referred 『BoinsoUigwe』. It is one of the most specific recordof royal seal making. Based on Uigwe record, inferred the symbol and meaning of royal sealcontainers’s shape. Through foreign and Korean examples, inferred the origin, symbol and meaning of chest withtrapezoid shape lid. First, it followed the appearance of the valuable the container contained. Second, it is made to show the dignity of royal family. Third, architecture influenced to itsmaking. As these results are mainly based on the symbol and meaning of royal seal container, it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results to other chests or containers. It would be compensatedwith following studies. 본고는 어보를 보관하던 함인 보록(寶盝)의 제작과 그 기형이 갖는 의미를 추론한 논문이다. 전통사회에서는 특히 귀중한 물건을 함(函)에 담을 경우 율삭형(栗削形) 뚜껑의 함에 보관했다. 율삭형 뚜껑이란, 뚜껑윗부분의 모서리를 둥글게 모죽임을 한 뚜껑의 형태를 말하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폭넓게 나타난다. 현존하는 한국의 함 중에서 율삭형 뚜껑은 고대 삼국의 사리함(舍利函), 고려의 나전경함(螺鈿經函) 그리고 조선왕실의 보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율삭형 뚜껑 함인 조선왕실의보록은 어보를 담는 외함(外函)이다. 보록은 조선건국 이후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 제작되었다. 단일 기물로는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제작된 기물이다. 현존하는 유물은 320여 점에 달하며 이를 통해 율삭형 뚜껑 함의 양식과 제작 기술의 변천을 알아볼 수 있다. 보록의 제작 기술은 조선시대 보인(寶印)에 관한 가장 구체적인 기록 중 하나로 보인 제작의 전 과정이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를 참고했다.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궁중 보인의 제작및 수보 과정을 알 수 있다. 각 기물들의 도상과 상세 규격, 제작소요 물자의 종류 및 수량, 참여 장인, 조선시대 보인과 그 개수(改修) 작업 전반에 관련된 정보들이 풍부하게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율삭형 기형이 가진 의미를 추론했다. 국내 사례와 해외 사례를 통해 보록의 율삭형 뚜껑 형상의 기원과 상징을 찾아보았다. 율삭형 기형이 갖는 기원과 상징은 첫째, 보관 기물을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기물의 외형선 형태를 따랐다. 둘째, 긴장감과 위계를 보여주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셋째, 건축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형상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추론한 결과는 조선왕실의 보록을 중심으로 추론한 결과이기에 모든 율삭형 뚜껑 함의 의미까지포괄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 KCI등재

        침법(枕法)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전시립박물관소장 향침(香枕)의 제작기법

        하수민 국립민속박물관 2021 민속학연구 Vol.- No.49

        본고는 향약(香藥)을 베개의 충전재 또는 침재로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침법(枕法)과 침법중 하나인 신침법(神枕法)의 기록을 토대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유물 향침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문헌기록에 나타난 다양한 종류의 침법을 분류하고, 그 중 『동의보감(東醫寶鑑)』에 기록된 신침의 제작기법과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던 유물을 함께 연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침법에 관한 기록은 조선후기에 통용되었던 『동의보감』, 『본초강목(本草綱目)』,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의휘(宜彙)』 등의 의학서적과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와 같은 생활실용서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침법은 1. 향재와 약재를 베개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방법, 2. 향재와 약재를 베개 자체의 재료로 사용하는 방법의 2가지로 분류된다. 침법은 주로 수면장애, 두풍, 건망증, 정기보강 등을 위한치료법으로 사용되었다. 사향, 국화, 목향 등의 방향성 약재와 호두골(虎頭骨), 벽력침(霹靂碪) 등주술적인 효과가 있다고 믿었던 물질들을 베개의 충전재 또는 침재로 활용하였다. 충전재는 주로단일재를 사용하였으며 더욱 빠르고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며 2가지 이상의 향약을 복합재로 사용한 사례가 나타난다. 침법은 잠을 자는 동안 시행되는 치료법이기에 수면장애를 치료하기에 적합하였으며, 치료를 위한 시간을 따로 할애하지 않아도 되기에 편리한 수단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여러 침법 중 신침법과 정공선침(丁公仙枕)은 이를 사용한 사람의 이름 또는 구체적 전래를 전하고 있으며 충전재의 정확한 용량과 베개의 제작법을 기술하고 있어 주목된다.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향침(향사역민기증 651)은 현존하는 거의 유일한 향침으로 추정되며 그의의가 있다.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향침은 신침법에서 말하는 베개의 크기와 구멍의 형식과 개수가일치하여 신침법의 기록을 토대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향침은 전체적으로 비례와 대칭을유지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비례와 대칭이 무너지더라도 향침을 사용하며 잠을 청할 때숙면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요소들은 제거되었다. 공예의 속성은 문명과 문화를 아우르며 쓰임과조형, 예술과 기술, 창작과 생산을 일체로서 내포한다. 이 향침은 조선시대 공예품으로서 쓰임을고려하는 조선 공예의 본질을 반영하였다. 또한 당시의 향 문화와 의료문화, 공예기술을 아우르는무형문화를 보여주는 의의가 있다. 문헌에서는 신침에 사용할 목재를 자르는 날짜, 목재의 종류, 신침의 크기와 내부 용량, 구멍의개수와 양식, 뚜껑의 유무만이 기록되어있다.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향침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신침이 존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혈중 염증인자, DHEA-s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하수민,김정숙,김지현,김도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만 70~85세의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주 1회 아쿠아로빅과 주 2회 맨손근력운동을 실시하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혈중 염증인자, DHEA-s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 21명, 대조군 21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회 운동지속시간은 60분으로 4주 간격으로 운동강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전과 후에 측정된 자료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T검정을 사용하여 사후분석을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주간의 복합운동은 고령여성의 염증반응을 감소 시켰으며, DHEA-s가 증가함에 따라 노화호르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맥경직도는 중심동맥혈압(수축기, 이완기)이 감소하였고, 맥압 및 파형증가지수의 증가를 완화하였으며, 맥파전파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령여성의 건강한 노화와 장수를 위해서 항염증, 노화호르몬의 개선 및 혈관건강의 역할로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복합운동이 권장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blood inflammatory factors, DHEA-s and arterial stiffness in elderly women. The subjects were 42 elderly females volunteers, aged 70 to 85 years, composed of the combined exercise group (n=21) and control group (n=21). The 60 minute combined exercise program(aquarobics 1 time/week, strength exercise 2 times/week) was performed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and the intensity was progressively increased every 4 weeks(1-4 weeks: RPE 12 to 13, 5-8 weeks: RPE 13 to 14, 9-12weeks: RPE 14 to 15). The test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the alpha level of .05 was set for all tests of significance. As a result, the combined exercise for 12 weeks reduced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elderly women, and DHEA-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ging hormone. The arterial stiffness decreased the central arterial blood pressure (systolic and diastolic), prevented the increase of the pulse pressure and the wave increase index, and decreased the pulse wave veloc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gular and continuous combined exercise may be recommended for the healthy aging and longevity of elderly women by inducing anti-inflammation effect and improving the aging hormonal function and the vascular health.

      • KCI등재

        조선시대 추석의 가례(家禮) 사명일 전통과 명절론

        하수민 국립민속박물관 2015 민속학연구 Vol.0 No.36

        Chuseok, with the lunar New Year's Day, is one of the two biggest holidays of these days in Korea. But it was part of four Great Days (四名日) in theJoseon period which were the lunar New Year's Day (설), the cold food day of Hanshik (寒食), the doubled number five day of Dano (端午), and the Autumn full moon's day of Choseok (秋夕). Now Choseok is surely a holiday in Korean society, but it was once considered as a less important holiday in the Joseon period with its prevalent Neo-Confucianism that judged Chuseok not to be based on any ancient Chinese saints' institution. How to set the order between major and minor holidays was an important issue of the middle Joseon period. Answer papers submitted by Lee, Yi (李珥) and Yun, Seon-do (尹善道) when they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 well deliver the story. According to Lee, Yi, some days should be re-considered as minor holidays since they were days without firm ground of ancient Chinese saints’ institution. And the four Great Days were included in category of minor holidays. Moreover, there was controversy over lack of theoretical basis of Neo-Confucianism for four Great Days. While the Four Seasons’ Rituals (四時祭) come from Zhu Xi's Family Rituals, the four Great Days of Chosun do not appear in the text. Accordingly, rituals at ancestors’ grave site in the four Great Days should be interrupted. But the tradition of four Great Days was so stable to artificially put an end to it. To overcome this gap, Neo-Confucianism scholars of Joseon re-valuated four Great Days as Four Seasons’ Four Great Days by connecting custom of 4 Great Days and principal of Zhu Xi's Four Seasons’ Ritual. As a result, in the late Joseon society, the idea of Four Seasons’ Four Great Days was accepted by Neo-Confucianism leaders including opinion leaders like Song, Si-yeol (宋時烈). And some scholars actually practiced rituals at grave site in Hanshik, Dano and Chuseok. Choseok was one of four Great Days that were re-valuated to coincide with Zhu Xi's Family Rituals, and Spring’s Hanshik (寒食) and Autumn’s Chuseok (秋夕) were devised to be compression of the four Great Days. Status of Chuseok as a ritual day of ancestors’ grave site was reinforced along with this tendency. The status of Chuseok as the biggest family ritual holiday of today’s Korea should be considered with development of debate in the Joseon period on how to overcome controversy over Chuseok by which it was judged as a minor holiday, and to re-valuate Chuseok and the four Great Days worth rank with Four Seasons’ Ritual of Zhu Xi's Family Rituals.

      • KCI등재

        조선후기 왕실 향 문화와 香匠 연구

        하수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31 No.-

        본고는 조선왕실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된 부용향(芙蓉香)을 통하여 조선왕실의 향 문화와 그 제작자인 향장을 소속기관별로 살펴보았다. 부용향은 보존, 의료, 방향, 의례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이 중 방향과 의례의 사례를 다루었다. 부용향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연산군 12년(1506) 기사에서 처음으로 찾을 수 있다. 부용향의 기록 이전에는 조선왕조실록 에서 부용편향(芙蓉片香)의 기록을 찾을 수 있다. 부용향은 왕세자의 서연과 왕실의 혼례인 가례에서 사용되었다. 왕세자가 관례를 올리고 세자시강원에 입학한 후에 세자궁에 부용향을 제공하는 것과 신부의 집에서는 비수책의를 진행할 때만 향을 사용한 사례를 통하여 부용향의 왕실 상징성을 추론할 수 있다. 부용향은 칙사를 맞이하는 빈례와 조선통신사의 외교 물품 예단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나아가 가례에서 사용된 향구(香具)들을 통하여 용도에 따른 각 향구의 재료와 제작과정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향을 만드는 향장은 내의원에 4명, 상의원에 2명이 분정되었다. 이에 따라 각 기관 향장의 역할과 제작한 향을 연구하였다. 내의원식례(內醫院式例) 의 기록을 통하여 내의원 소속 향장이 부용향을 진상한 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