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산소 운동이 근골격계질환자들의 유연성과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하민성,곽이섭,지진구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3

        하민성, 곽이섭, 지진구. 유산소 운동이 근골격계질환자들의 유연성과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1권 제3호. 365-372, 2012.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자들에게 유산소 운동을 적용하여 유연성과 항산화 효소의 활성 및 과산화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허리통증이 있는 60세 이상 노인여성 20명으로 운동수행능력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자들은 유산소운동을 위해 12주간 걷기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산소 운동그룹과 통제군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유산소운동그룹에게는 트레드밀을 이용한 걷기운동을 주 5회, 1회당 60분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근골격계질환자들에게 12주간의 유산소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전·후 유연성과 항산화능력(MDA, SOD)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후 유연성의 변화에는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후 산화적 스트레스 MDA의 농도의 변화에는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후 항산화 지표 SOD 농도의 변화에는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12주간의 유산소운동은 근골격계질환자들의 유연성향상 및 산화적 스트레스의 억제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유산소운동은 근골격계질환자들에게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의 생성을 억제하고,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어진다. Ha, M. S., Kwak Y. S., Ji, J. G.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flexibility, MDA and SOD in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Exercise Science, 21(3): 365-372, 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effect of 12 weeks aerobic exercise on flexibility, malondialdehyde(MDA) and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SOD) in female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For this study, 20 female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who have low back pain and have simila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erobic exercise group (n=10) and control group (n=10). And the aerobic exercise group was trained (walking program) during 12 weeks (5 days per week, 60 minutes per day). Blood samples were taken 2 times, which were at pre and post exercise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MDA and erythrocyte S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flexibility test,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higher flexibility levels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according to plasma MDA level,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lower plasma MDA levels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ird, according to activity of erythrocyte SOD level,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higher erythrocyte SOD levels than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aerobic exercise have a positively effect on flexibility, plasma MDA and activity of erythrocyte SOD level in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So we wants to suggest regular aerobic exercise on skeletal muscle pain patients in order to increase flexibility, MDA and anti-oxidants enzyme levels.

      • 소아비만의 특성과 운동처방 및 식사요법에 관한 고찰

        하민성,백영호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13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provide a database o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hildren’s obesity. So we were investig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growth hormone, exercise prescription and diet therapy. As a result, obese children was most of sedentary lives. And obese children’s physical pattern showed that obese children had participated in exercise more often, but the preferences to some type of exercise and the sustainability of exercis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weight children. And obese children was lower durability and engagement than normal weight children. Furthermore, obese children showed that have negative effects 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level and growth hormone secretion. Ideal care of children’s obesity is exercise prescription and diet therapy in two ways. Exercise prescription should be step by step. First way, change of lifestyle, Second way,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Third way, apply to exercise program. And diet therapy were determine nutritional status, survey and evaluation. Make diary for diet. To give compensation to positive habit in recommendation, association between daily sedentary activities / physical fitness and children’s obesity has been well established, school and field instructors must have play a role in supporting and encouraging children to be active by offering tailored physical activities and good manager. 본 요약은 소아비만과 관련된 문헌적 연구로서 신체활동과 체력, 혈중지질과 성장호르몬, 소아비만의 운동 처방 및 식사요법에 대해 재조명해봄으로써, 소아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만아동들은 정상체중 아동에 비해 신체활동이 낮으며, 운동 참여는 높으나 집중도가 떨어지고, 운동의 지속성이 낮고, 운동 기간 및 강도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체력 수준을 보이며, 혈중 지질 및 성장호르몬 분비에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소아비만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운동처방은 무리한 스포츠 활동이 아닌 생활놀이습관의 변화 – 신체활동 증가 – 운동프로그램 적용 순의 단계별 프로그램의 적용, 유·무산소성 운동이 함께 설계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실시, 개인차를 고려한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지며, 식사요법에 있어서는 정확한 영양상태의 판정 및 조사를 통한 5대 영양소의 적절한 공급과 아동의 발육발달 단계를 고려한 식단과 건강한 식습관, 대상아동 뿐 아니라 부모의 동시영양교육, 식사일지작성 등을 통한 평가, 긍정에 따른 보상을 주는 습관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소아비만의 예방과 치료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운동처방과 식사요법을 병행하는 것이며, 복합 처치를 통한 예방과 치료, 및 우수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 확대가 필요하다.

      • 부산지역 초등학생의 비만정도에 따른 체력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하민성,백영호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12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28 No.-

        본 연구는 국민생활체육에서 주관하여 K구 생활체육회 공공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11세부터 13세 간격의 초등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신장과 체중을 토대로 비만도를 산출하여 저체중군(28명), 정상체중군(47명), 과체중군(31명), 비만군(21명)으로 분류하여 집단별 체력 수준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비만정도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Tamhane의 Tz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α)는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지 근력인 악력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근력인 배근력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연성인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평형성인 눈감고 외발서기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근지구력인 윗몸일으키기의 경우, 저체중군이 비만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순발력인 제자리멀리뛰기의 경우, 저체중군, 과체중군, 정상체중군, 비만군 순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결론적으로, 근지구력과 순발력에서는 비만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근력, 유연성 및 평형성에는 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 KCI등재

        마루운동이 대사증후군 여성노인의 노인활동체력, 혈중지질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하민성,백영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floor exercise on senior fitness test, blood lipids and arterial stiffness in elderly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Forty one elderly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exercsie group(n=23) or control goup(n=18). The exercise group performed floor exercise for 12 weeks, 3times per week. Exercise intensity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30%-60% of heart rate reserve. Senior fitness, blood lipids profile and arterial stiffness were measured pre and post the 12 weeks intervention. Senior fitness(lower body strength, upper body strength, flexibility, aerobic capacity and body composition(%fat, LBM, WC)), Blood lipids(TC, TG, HDL-C and LDL-C) and Arterial stiffness(PWV)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ercise group after floor exercise, however no changes were confirmed in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s that 12 weeks of floor exercise improves senior fitness, blood lipids and arterial stiffness in elderly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Thu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floor exercise is important methods to improve metabolic syndrome health. And it can reduce metabolic syndrome symptoms risk in elderly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65세 이상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마루운동을 실시하여 노인활동체력, 혈중지질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여성노인 41명을 무작위로 운동군(23명), 통제군(18명)으로 배정하였다. 운동군은 총 12주간 주 3회로 실시하였으며, 운동강도는 30%-60%의 HRR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 운동군이 노인활동체력(하지근력, 상지근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및 신체조성(체지방률, 제지방량, 허리둘레)), 혈중지질(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및 동맥경직도에서 실험 전·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통제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대사증후군을 가진 여성노인들은 마루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노인활동체력이 향상되고, 혈중지질과 동맥경직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마루운동프로그램은 대사증후군 개선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방과후 체육활동이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혈중지질,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하민성,김지현,김도연,김종원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참가하는 방과후 체육활동이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혈중지질,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비만 남자 초등학생 56명을 선정하여 방과후 체육실시군 29명, 통제군 27명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운동강도는 적응단계, 심화단계 응용단계 및 지속적인 운동습관 기르기로 분류하고, POLAR를 통한 심박수 변화량을 측정하여 50∼80%HRR, 운동빈도는 주 3회, 1회 50분, 12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방과후 체육활동 실험 전·후 및 집단 간 변화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중지질에서 T-C, TG 및 LDL-C가 시기*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p<.05, p<.01), HDL-C가 시기 및 시기*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p<.01). 성호르몬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장호르몬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과후 체육활동 프로그램은 비만아동의 혈중지질 개선과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학교현장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며 비만아동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ula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blood lipids, sex hormone and growth hormone in obese elementary school male students. 56 school mal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obesity children with exercise group (EG, n=29) and control group (CG, n=27). The exercis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50~80%HRR POLAR), the frequency (3 times per week, 50 minutes per session) was performed for 12 weeks has been conducted once a week. The test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d ANOVA, and the alpha level of p<.05 was set for all tests of significance. The T-C, TG and LDL-C in time*group(interaction) has been significantly difference(p<.01, p<.05, p<.01). The HDL-C in time and time*group(interaction) has been significantly difference(p<.05, p<.01). The GH(Growth Hormone) in group has been significantly difference(p<.05).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gula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improve blood lipids, sexhormone, growth hormone in ob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it can be an effective mea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e children by taking regula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t the school.

      • KCI등재후보

        아이스하키 선수의 포지션별 체격, 체력, 무산소성 파워 및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

        하민성,김유신 한국웰니스학회 201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8 No.4

        본 연구는 국내 엘리트 아이스하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포지션별 체격, 체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근력간의 특성을 규명하여 현장의 선수들과 지도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아이스하키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대상자는 엘리트 아이스하키 남자 선수 21명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21명 중 공격수 11명, 수비수 10으로 재분류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포지션별 체격과 체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근력 변인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체격변인에서는포지션별 선수들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체력변인의 최대산소섭취량에서 공격수가 수비수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무산소성 파워인 최대 무산소 파워와 피로도는 수비수가 공격수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p<.01, p<.05), 등속성근력의 차이에서 슬관절 각속도 저속(60°/sec)의 오른쪽 굴근과 신근에서 공격수보다 수비수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1,p<.0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수 및 지도자들이 포지션별 차이를 두어 훈련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되며, 보다 대규모의 연구를 통하여 포지션별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hysique, physical fitness, anaerobic power and isokinetic strength by forward and defence position of ice hockey players. Twenty-one Korean professional ice hockey play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forward group(n=11) and defence group(n=10). They performed physique, physical fitness test, anaerobic power test and isokinetic strength test. Physique were not significantly between group. The forwar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hysical fitness (VO2max) than the defence group(p<.001). The defenc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naerobic power (maximal anaerobic power and fatigue index) than forward group (p<.01,p<.05). The defenc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sokinetic strength than forward group in right knee flexor/extensor 60°/sec (p<.01, p<.05). In conclusion, ice hockey players hav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anaerobic power and isokinetic knee strength(60°/sec) between forward and defence play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ice hockey player must be trained up considering their fitness according to the player’s position. Continous study on the different positions of ice hockey players should follow in the future and be implemented as an indicator of the player’s performance.

      • 체육전공 대학생과 일반학과 대학생의 자가건강관리행태 및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하민성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14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31 No.-

        본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 P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육관련 전공학과 학생 215명(n=215)과 일반학과 학생 328명(n=328)으로 분류하여 자가건강관리행태 및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변인들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대학생활에 있어 건전한 여가생활 및 건강한 대학생활을 영위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전공학과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비교하기 위해 chi-square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별 신체적·인지적·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신체활동과, 건강관리와 관련해서는 체육관련 전공자들이 비전공자들에 비해 긍정적인 수준을 나타냈고, 식습관과 스트레스와 관련해서는 두 집단 모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관련한 모든 항목에서 체육관련 전공자들이 비전공자에 비해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볼 때, 대학생들의 자가건강관리에 대한 개념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대학생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자가건강관리행태 및 보다 실천적이고 건강한 생활습관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 the evaluation of Self-Care Status and Physical, Cognitive, Social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Non Physical Education.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into two groups, related P.E group(n=215) and non P.E group(n=328). The analyzed data brought about the self-care status results by using chi-square and physical, cognitive, social self-efficacy results by using independent t-test with SPSS 20.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and self health care were that related P.E group are better than non P.E group. According to diet habit and stress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group. According to Physical, Cognitive, Social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cant between group(p<.001). From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make more systemic management to satisfy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desire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also required to make a education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majoring in cooperation with physical activity education method.

      • 11-12세 남자 초등학생의 비만도별 체격과 체력 수준 및 상관성 분석에 관한 고찰

        하민성,신상근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13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29 No.-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주관하여 실시하는 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 한 11-12세 간격의 남자 초등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신체검사를 실시한 후 신장과 체중을 기초로 비만도를 산출하여 저체중 군(33명), 정상체중 군(37명), 과체중 군(58명), 비만군(76명)의 4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별 체격과 체력 각 변인의 수준 차이, 체격과 체력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비만도별 체격과 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Duncan-test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α)는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장과 근육량의 경우, 과체중 아동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체중과 체지방량의 경우, 비만 아동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체력의 경우 근지구력과 순발력에서 4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체중 아동에서 가장 우세하게, 비만 아동에서 가장 열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체격과 체력 각 변인간의 상관분석에서 비만도가 높을수록, 근력과 근지구력, 순발력, 평형성에서 체지방률이 높을수록, 근지구력과 순발력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신장이 클수록, 근력과 순발력, 근지구력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체격과 체력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에서 체중이 높을수록, 근력과 순발력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체격과 체력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에서 근지구력과 순발력에서는 비만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근력, 유연성 및 평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