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OG모델 반응면 기법의 유용성 연구

        하상우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ptimization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handle complicated engineering problems. And the methods that analyze the engineering problems are have been developed also, and the capability reached to analyze physical problem precisely. But, complex analysis model need a lot of expense to analyze, this increase of analysis expenditure causes increase of whole expenditure of optimization. So the performance of optimization technique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execution of analysis when an optimization is performed several optimization techniques. In other words, optimization technique to find the optimum by less analysis execution has more superior performance. In this thesis, optimization with response surface method(RSM) was applied to engineering optimization. The applied model is skin of supersonic aircraft wing. The object function is the weight of wing box. And constraints are that the stress at wing skin must not exceed allowable stress and buckling stress. The design variables are skin section's thickness. The results that are performed by several optimization methods are compared in order to estimate usefulness of RSM and applicability of RSM to engineering problem.

      • HS 품목분류 구조적 한계에 따른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채택의 중요성

        하상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6년 3월까지 WTO를 통해 파악된 지역무역협정(RTA : Regional Trade Agreement) 발효 건수는 총 427건으로 1995년부터 WTO 출범시기를 기점으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역시 강도 높은 동시다발적 FTA 추진정책 하에 2004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을 시작으로 2016년 현재까지 총 15건, 52개국과의 FTA를 발효 중이며, FTA를 기반으로 한 경제영토는 칠레, 페루에 이어 3위로, 무려 74.6%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강도 높은 동시다발적 FTA 추진 정책으로 인해 동일한 품목임에도 각 협정마다 상이한 원산지 기준이 존재하는 등 스파게티 볼 효과가 가중되어 FTA 활용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작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각 협정별로 일관성 결여된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 Product Specific Rule)의 통일․간소화를 위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체계화된 원산지 기준의 확립이 요구되어지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S 품목분류의 구조적 한계에 따른 PSR의 채택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잘못된 PSR의 채택으로 인하여 FTA 활용이 저해될 수 있는 품목을 분석하고, 동 품목들의 올바른 PSR 채택을 위한 표준화된 지표를 만들어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 체결된 FTA의 추가협상 및 새로운 FTA 협상의 PSR 채택에 있어서 반드시 선제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PSR 채택 과정에 적용시킴으로써 보다 실정에 맞는 원산지 기준 확립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동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원산지 기준을 확립에 있어 일정 수준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들의 FTA 활용률 제고에 기어코자한다. There are a total of 427 regional trade agreements (RTAs) worldwide by March 2016. And since the launch of the WTO in 1995, it has seen explosive growth. Republic of Korea has been under FTA negotiations with 15 countries and 52 countries from 2004 to 2016 under the policy of intensive simultaneous FTA promotion. FTA economic territory is the third largest in the world after Chile and Peru.    However, due to the intense FTA policy of the government, there are different origin criteria for each agreement in the same item, and the spaghetti ball effect is causing obstacles in using the F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ify product specific rules (PSR) for each agreement that are inconsistent. A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of origin standards that i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of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roblems of adoption of PSR according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HS classification, and analyze items that degrade FTA utilization due to wrong PSR adop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tandardized indicator for the correct PSR adoption of the hazardous items derived. The indicators are expected to help identify area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renegotiation or new negotiations and help establish standards of origin that are more relevant to reality.

      • 고추 역병균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streptomyces sp. HRS-79의 특성 연구

        하상우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A total of 260 microorganisms was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r nonrhizosphere soils collected from red-pepper growing area and mountain. Among the microorganisms, the strain HRS-79 was selected the most promising antagonists, based on its antagonistic ability to Phytophthora capsici in vitro and in vivo. 1. The strain HRS-79, the most promising antagonists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has aerial mycelium and the morphology of its spore chain and its surface were spirales and smooth. The cell wall composition of the strain HRS-79 was L,L-diaminopimelic acid such as that of Streptomyces genus. The strain HRS-79 was able to degrade casein, cellulose, and starch and to liquify gelatin as well. It grew well on the media added 0.1% phenol as inhibitor and on pH 4.3 condition, but not at 4℃ and 45℃ condition. The strain HRS-79 was able to utilize meso-inositol, sucrose, mannitol, arabinose, xylose, raffinose and galactose, but not L-rhamnose and fructose, as carbon sources Formation and growth of the strain HRS-79's aerial mycelium and spore were good on all of ISP medium except glycerol asparagine agar, peptone yeast extract on iron agar and glucose peptone agar. The reverse color and the color of diffusible pigment were produced brown on oatmeal agar and potato dextrose agar, while melanoid pigment was not produced on peptone yeast extract iron agar. The determined 16S rDNA sequence of strain HRS-79 showed 98.76% homology with that of Streptomyces griseochromogenes. The strain HRS-79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species, based on the cultural,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data. Finally, The strain HRS-79 was named Streptomyces sp. HRS-79. 2. Antibiotics produced by Streptomyces sp. HRS-79 were extracelluar type, those inhibition zone diameter was 36.2mm by cylinder plate method and those the inhibition rate of mycerial growth was 100% by dendroid test. Streptomyces sp. HRS-79 did not have chitinase and chelating materials such as siderphore but had cellulase. antibiotics produced by Streptomyces sp. HRS-79 would not be cell wall lytic enzymes such as cellulase but antibiotics because they were heat-stable and below 10,000 molecular weight . The antibiotic produced by Streptomyces sp. HRS-79 was soluble in H_(2)O but insoluble in n-butanol, chloroform, ethylacetate, and markedly inhibited mycerial growth, zoosporangial formation, and zoosporangial germination . The antibiotic produced by Streptomyces sp. HRS-79 had no broa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spectrum that inhibited only Phytophthora capsici among the surveyed fungi and Salmonella enteritidis,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putida among the surveyed bacteria. 3. The basal medium for producing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HRS-79 was potato dextrose broth and the optimal incubation temperature and pH were 30℃ and 6.5. The optimal carbon source and its concentration for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HRS-79 were sucrose 0.4% and potato starch 2.0%. The optimal nitrogen source and its concentration for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HRS-79 was malt extract 0.25%. The optimal metal ion source and its concentration for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HRS-79 were MgSO_(4)·7H_(2)O 0.1%, CoCl_(2)·6H_(2)O 0.05%, and FeSO_(4)·7H_(2)O 0.001%. The optimal dispersal reagent and its concentration for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HRS-79 was zeolite 0.5%. The optimal seed concentration for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HRS-79 was 1%. Finally, the optimal medium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HRS-79 were sucrose 0.4%, potato starch 2.0%, malt extract 0.25%, MgSO_(4)·7H_(2)O 0.1%, CoCl_(2)·6H_(2)O 0.05%, FeSO_(4)·7H_(2)O 0.001%, and zeolite 0.5% on pH 6.5. 4. Streptomyces sp. HRS-79 showed no harmful effects on seed germination and young plant growth of red-pepper in either treatment with seed dipping or soil drenching of antagonistic suspension while Streptomyces sp. HRS-79 did not stimulate young plant growth. The application concentration of Streptomyces sp. HRS-79 was 1/5dilution culture broth and the extent of the suppression was 40% in artificially infested pot soil. Disease suppression by Streptomyces sp. HRS-79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as time after application prolonged In pot test, Streptomyces sp. HRS-79 increased number and weight of fruits as much as 1.5 times, in addition, reduced the yield of immature fruit as much as 7% but did not stimulate plant growth. In field test, Streptomyces sp. HRS-79 increased weight of fruits as much as 1.6 times, in addition, the yield of above 10cm fruit size increased as much as 9% and reduced the yield of immature fruit as much as 1% but did not stimulate plant growth. The extent of the suppression was 62% in field test.

      • 광고매체 및 소구유형이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하상우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비자의 마음을 이끌어 제품을 구매하게 하기 위해 수많은 유형과 다양한 통로를 통하여 태도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태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지만 광고 이외의 요인들을 제외하고 광고의 순수한 효과만을 따진다면 광고메시지와 광고매체의 두 가지 요인으로 요약된다. 이 두 가지 요인은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독자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동시에 매우 복잡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여주었다. 광고의 메시지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력을 주었으며 서로 다른 매체에서의 소비자 반응과 태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두 가지 요인이 서로 독립적인 영향을 주면서도 상호작용효과를 통해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광고 자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가 광고상품에 대한 그들의 인지(cognition)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것이 다시 광고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광고에 대한 태도가 그 광고상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인지적 반응 가설(the cognitive response hypothesis)을 토대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광고에 대하여 더 호의적으로 느낄수록 더 그 광고의 주장을 받아 들이 된다는 이중매개체적 가설(the dual mediation hypothesis)의 연구 모형을 토대로 가설모형을 세워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가설검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소구유형이 광고의 관여도에 따른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1의 검증을 위해 2개의 소가설로 검증을 하였다. 검증결과, 광고의 소구유형이 광고의 관여도에 따라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태도는 고관여 제품의 경우 이성적인 소구방법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저관여 제품의 경우는 감성적인 소구방법이 더 효과적이었다는 결론이 나왔다. 둘째, '광고매체유형이 광고의 관여도에 따른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2의 검증을 위해 2개의 소가설로 검증을 하였다. 검증결과, 광고의 매체유형이 광고의 관여도에 따라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태도는 고관여 제품의 경우 인쇄매체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저관여 제품의 경우는 전파매체가 더 효과적이었다는 결론이 나왔다. 셋째, '소비자(P)가 상품의 속성(X)을 주장하는 광고(O)에 대한 태도는 광고매체와 광고소구유형은 각기 독립적인 영향을 미친다. 광고매체와 광고소구유형이 상호작용효과를 통해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3의 검증을 위해 이원배치 분산분석, 회귀분석, 광고 유형별 노출 순서에 따른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검증결과, 두 가지 소구유형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이성적 소구는 수용자가 광고내용을 학습하는데 더 크게 영향을 미치지만, 감성적 소구는 수용자의 태도를 바꾸는데 더 기여를 한다. 따라서 인지적 차원에서는 이성적 소구가 더 효과적이고, 태도적 차원에서는 감성적 소구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과 저관여 제품의 경우 전파매체의 노출 후 인쇄매체의 광고 노출이 소비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태도를 보다 호의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order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and have them purchase products, the changes of their attitudes are being affected through numerous patterns and various channels.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re diverse, but they are summarized as two factors of advertising messages and advertising media if we examine only the pure effects of advertisement except the factors besides advertisement. These two factors are independently affecting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but they have simultaneously showed very complex interactional effects. They had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advertising messages and I could also confirm consumers' responses and attitudes in different media. It was also indicated that they influenced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through interactional effects while they independently affected the attitudes. This study was tested based on the cognitive response hypothesis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onsumers' evaluation about advertisement itself directly affects their cognition for advertising merchandise, that this comes to indirectly influence their attitudes towards advertising goods, and that, as a result, their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 gets to affect the goods. And hypothetical models were tested after they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s of the dual mediation hypothesis that consumers come to accept the assertion of advertisement as they feel more favorable for ad. The hypothesis testing according to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wo subhypotheses of Hypothesis 1 were teste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effects that advertising appeal patterns have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advertisement'. As the result, the conclusion was obtained that, for the effects that advertising appeal patterns have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advertisement, rational appeal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highly involved products and sensible appeal method in the case of lowly involved products. Secondly, two subhypotheses of Hypothesis 2 were teste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effects that advertising media patterns have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advertisement'. As the result, the conclusion was obtained that, for the effects that advertising media patterns have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advertisement, printing media wa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highly involved products and propagating media in the case of lowly involved products. Thirdly, I have performed two-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exposure order by advertising patterns to test Hypothesis 3 that 'each of advertising media and advertising appeal patterns independently affect consumers(P)'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of asserting the properties of goods. Advertising media and advertising appeal patterns will affect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through interactional effects'. As the result, as the result of being analyzed from the hypothesis that advertising media and advertising apeal patterns will affect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through interactional effects, I came to know that the two appeal patterns affect consumers in different ways. That is, rational appeal has a greater effect on accepters learning advertising contents, but sensible appeal makes a greater contribution to changing their attitudes. Thus, it was analyzed that rational appeal was more effective on a cognitive level, that sensible appeal was more effective on an attitudinal level, and that ad exposure of printing media mad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more favorable after propagating media was exposed in the case of lowly involved products.

      • 전공역학 수강생들의 조별 학습에 대한 이해: 해석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상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전통적인 강의식 교수법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는 학생들이 지식을 구성할 때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며, 그런 측면에서 학생들의 조별 상호작용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조별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아직까지 조별 상호작용의 내적 과정에 대해 자세히 연구한 연구물들은 많지 않다. 또한 이들 연구들은 상호작용의 양상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어 학생들의 조별 학습 과정에서 실제로 학습이 일어났는지 알기 어렵다. 또한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은 상대주의적 인식론에 머물 위험성도 있다. 사회적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한계로 인해 해석학에 관심을 기울인 연구물들이 있지만 이들 연구들은 대체로 추상적인 수준의 논의에 그치고 있고, 구체적인 교육 현상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편이다. 또한 이들의 관심이 교육 현상에 대한 표면적인 이해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아, 교육에 있어서의 여러 문제점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실천적으로 개선하려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교육을 위한 해석학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석학의 이해의 원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조별 학습 과정을 분석하고, 또 구체적인 수업을 구성해 보았다. 연구 1(3장)에서는 학생들에게 조별로 모여서 풀 수 있는 연습 문제를 매주 한 문제씩 제시하고, 그 문제를 조별로 토론 하면서 해결하도록 하는 ‘문제 중심 토론’을 실시했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전공 역학을 수강하는 학생들로 모두 3명이었고, 학생들은 교수자가 제공하는 조별 연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별 활동을 일주일에 한 번씩, 한 학기 동안 진행했다. 연구 자료로 학생들이 문제를 풀 때의 조별 상호작용에 대한 녹화와 그에 대한 전사자료, 세 명의 학생들에 대한 면담 자료와 학생들이 작성한 주간보고서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조별 상호작용 과정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 리더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문제 상황에 따라 리더가 설명자, 촉진자, 평가자의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조별 상호작용 양상은 리더의 역할에 따라 달라졌으며, 리더가 촉진자의 역할을 할 때 조별 상호작용이 가장 활발하였다. 연구 1의 상황에서 리더는 설명자의 역할을 주로 수행하였는데, 이는 리더와 다른 조원들의 지평의 차이와 관계가 있었다. 또한 리더의 역할별 조별 상호작용들을 해석학적 순환의 개념을 통해 해석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구 2(4장)에서는 연구 1(3장)에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학생들이 매주 배우는 내용 중 잘 이해가 가지 않는 것들을 주간 보고서에 적도록 하고, 주간 보고서에 적은 내용들을 바탕으로 토론하게 하는 ‘개념 중심 토론’을 실시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전공역학2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 중 세 명으로 구성된 하나의 초점 그룹이었다. 연구 자료로 연구 참여자들이 매주 조별로 모여서 토론하는 과정을 녹화한 영상 자료와 녹화한 것을 전사한 것을 활용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설문지, 주간보고서, 자기보고서 등도 연구 자료로 활용했으며 그룹 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간보고서를 활용한 조별 토론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전공역학의 추상적인 개념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여 자신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들로 바꾸어 이해하였고,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부분까지 논의 하는 등, 이와 같은 조별 토론이 학생들의 학습에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참여자들은 주간 보고서를 활용한 조별 토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는데, 이것은 참여자들이 수학적인 것에 대한 토론보다 개념적인 것에 대한 토론을 선호하는 성향과 관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주간보고서를 활용한 조별 토론을 통해 타자의 지평과 다양한 해석을 만나고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연구 1과 연구 2를 통해 조별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지만 한 가지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았다. 이에 연구 3과 연구 4에서는 학습 주제를 마찰력으로 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찰력은 일상생활에서 뉴턴 역학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힘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마찰력 이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학생들이 마찰력에 대해 느끼고 있는 어려움의 실체는 무엇인지, 어려움의 원인 구조는 어떻게 되는지 체계적으로 접근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래서 연구 3(5장)에서는 전공역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작성한 주간보고서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마찰력 관련 어려움을 파악하고, 어려움을 유형화하였다. 이후 지식신념틀을 이용하여 학생 어려움의 원인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3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마찰력 관련 어려움들로는 마찰력의 방향, 마찰력의 반작용 힘, 마찰력의 원인, 힘의 이해(구심력, 수직항력), 좌표계 설정에 관한 것들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들에는 마찰력 관련 인과론적 신념, 마찰력의 규칙 사용, 좌표축의 선택, 힘의 이해 부족 등이 있었으며 이것은 결국 부분과 전체의 해석학적 순환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던 것과 관계가 있었다. 연구자는 부분과 전체의 해석학적 순환에 주목하여, 학생들이 마찰력이라는 부분을 과학의 탐구라는 전체적 맥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학생들의 마찰력 관련 어려움을 해소해주기 위한 연구 4를 계획하였다. 연구 4(6장)에서는 연구 3(5장)에서 학생들이 겪은 어려움을 해소해주기 위해 해석학적 관점에서 마찰력 워크숍을 조직하고 학생들에게 마찰력과 관련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 상황에 대해 토론하게 하는 ‘주제 중심 토론’을 실시하였다. 뉴턴 역학을 자세히 분석해보면 뉴턴 역학에 대한 접근에는 크게 두 가지의 접근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예측 접근’이고, 다른 하나는 ‘설명 접근’이다. ‘예측 접근’은 이론의 활용과 관련 있는 접근으로 잘 알려진 ‘힘’ 이론을 활용하여 그 ‘운동 결과’를 예측하려는 방식이다. 이에 반해 ‘설명 접근’은 ‘운동 결과’로부터 시작해 ‘힘’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어떤 결과가 있을 때 왜 그런 결과가 벌어졌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하려는 방식이다. 본 연구의 워크숍에 참여한 22명의 학생들은 주어진 정지 마찰력 상황에 대해 설명 접근과 예측 접근을 사용하는 두 진술을 읽고, 누구의 진술이 더 타당하게 느껴지는지 적었다. 그 후 참가자들은 3~4명으로 구성된 6개의 조로 나뉘어 조별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누구의 의견이 더 타당한 것 같은지에 대해 토론하였다. 조별 토론 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은 마찰력에 대한 자신의 선개념을 명확히 할 수 있었고, 학생들의 조별 토론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더 이상 마찰력의 올바른 개념과 같은 부분적인 문제에 집착하기 보다는, 보다 전체적인 관점에서 참다운 이해나 올바른 학습법과 같은 문제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또한 학생들은 조별 토론 과정에서 해석학적 순환을 통한 타자의 지평과의 만남과 융합을 통해 마찰력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추구하고 있었다. Recently, interested in social constructivism has been increased because it is believed to be the alternative way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n terms of social constructivism, students’ interaction is very important when students construct knowledge. Thu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to facilitate students’ group interaction, but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searches to study deep into inner process of group interac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there has been real learning in students’ group learning process because these researches tend to only focus on the aspect of interaction. Moreover, social constructivism has a risk to fall into relativism. For those limits, there have been some researches that pay attention to hermeneutics. However, those researches just focused on an abstract discussion and lacked attention of actual educational context. Also, they do not reach hermeneutics for education in a true meaning which tries to solve actual educational problems, because they were usually in the superficial understanding. In this paper, we analyzed students’ group learning and construct a lesson for the group learning using hermeneutical principle. In research 1(chapter 3) participants were assigned a group homework problem every week and they were encouraged to discuss the problem with their group members. The group meeting continued for one semester, and the activity could be summarized by ‘problem based discussion’. To analyze these students’ group interactions, their verbal interactions during meetings were videotaped and audiotaped. We also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three students and analyzed their weekly reports. In this study, we focused upon the emerging role of the primary leader. We investigated the primary leader’s diverse role when students are solving mechanics problems. As a result, we could find a special student who had the role of primary leader. We could also find the leader’s three different leadership roles in different problem situations; an explainer, a facilitator and an evaluator. Group interaction had a different aspect according to the different role of leaders. It was the most active when the leader played the role of a facilitator. In research 1, the leader was mostly an explainer, and it is related to the difference of leader and members’ horizon. We could also interpreted students’ group interaction using hermeneutical circle. In research 2(chapter 4), we designed ‘concept based discussion’ to supplement research 1’s weak point.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nything that they do not understand from lesson or textbook in weekly report and they discussed what they wrote.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the focus group of three students. We videotaped the whole discussion of the focused group. To collect additional data, we also used questionnaire about the group discussion, weekly reports, students’ self reports, and interviews. As a result, participants developed concrete understanding about abstract concept and discussed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process of the group discussion. In addition, participants thought positively about the group discussion and it is related to their characteristics that they prefer concept discussion to discussion about mathematics. Consequently, they met other’s horizons and diverse interpretations and they sought to deeper understanding through group discussion using weekly report. Although we could obtain implications through research 1 and 2, they still did not reach deep understanding of group discussion about a specific theme. Thus, we tried to study group discussion about a theme of friction. Fri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ces to understand Newtonian mechanics in everyday context, but many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studying friction. However, there are little researches that investigate students’ specific difficulties and their structure. Therefore, we tried to understand students’ difficulties about friction using weekly reports in research 3.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students’ difficulties in learning friction, we used the framework of knowledge & belief. As a result, we found that students’ difficulties were related with the direction of friction, reaction of friction, cause of friction, understanding of force (centripetal force, normal force), and selection of coordinate system. The sources of these difficulties were epistemological belief of causality, use of simple friction rule, selection of coordinate axis,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force. Eventually, those difficulties were related with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hermeneutical circle of part and whole. Thus, we planned a new group discussion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friction in a whole scientific inquiry. To solve the problem in research 3, we designed ‘theme based discussion’ that students could discuss a friction situation which could be interpreted two different ways. When considering the history of Newtonian mechanics,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approaches to Newtonian mechanics. One is called the ‘prediction approach’, and the other is called the ‘explanation approach’. The ‘prediction approach’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Newtonian mechanics. Its objective is to predict motion from friction that we already know. Meanwhile, ‘explanation approach’ gives logical explain of result when something happens. In the group discussion, twenty two students read a short text offering two different ideas about a friction situation and they were asked to write which approach seemed reasonable. The participants then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f three or four students and they discussed their choice. Through the group discussion, students were able to clarify their preconceptions about friction, and their attitude to group discussion changed positively. In addition, students started to think about their learning from a holistic perspective such as true understanding or correct learning method. Through the meeting and fusion with other’s horizons using hermeneutical circles, students moved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friction.

      • 급성 뇌경색 환자들에서 보이는 경동맥 협착의 위치와 협착 정도에 관한 연구

        하상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내경동맥 (Internal carotid artery)은 두개내 구조물에 혈액을 공급하는 총경동맥 (Common carotid artery) 의 두개의 말단 분지 중 하나이다. 다른 말단 분지인 외경동맥 (External carotid artery)은 내경동맥보다 내경이 약간 더 크며 목, 두개강외의 두부 및 안면의 여러 구조물에 혈액을 공급하는 여러 분지가 있다. 내경동맥 (ICA)은 뇌실질 (brain parenchyma)의 약 70%에 해당하는 영역에 혈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내경동맥 폐쇄가 갑작스럽게 발생할 경우 광범위한 영역에 뇌경색이 발생하며, 그 예후가 매우 좋지 않다.1 특히 전체 뇌경색 (ischemic stroke)에서 내경동맥 근위부의 급성 폐쇄 (acute proximal ICA occlusion)와 연관된 발생 기전인 대혈관 동맥경화 (large artery atherosclerosis) 혹은 심장탓 색전증 (cardioembolism)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2, 3 뇌혈관이 막히게되면 뇌경색이 중심부에서부터 주위로 점차 진행되는데, 막힌 혈관이 지배하는 영역의 중심부를 ‘Ischemic Core’ 라고 하며, 중심부의 주변부위를 'Ischemic Penumbra' 라고 하며, penumbra에 있는 신경세포들은 기능이 정지되어 있으나, 혈류가 개통되면 회복될 수 있는 가역적 손상 상태에 있다. 급성기 치료의 목적은 더 이상의 뇌조직 손상의 진행을 억제하고, ischemic penumbra의 뇌세포들을 회복시키고, 뇌졸중 발병 수일이내에 일어나는 뇌경색의 재발을 방지하는데 있다. 최근 새로운 세대의 기계적 혈전 제거술 (mechanical thrombectomy) 장비들을 이용한 무작위 대조 시험들 (randomized control trials) 결과 기계적 혈전 제거술이 대혈관 폐쇄 (large vessel occlusion) 환자의 임상적 및 기능적 결과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이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기계적 혈전 제거술은 혈관이 penumbra가 충분하고 ischemic core가 작은 대혈관 폐쇄의 표준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급성 뇌경색 의심환자가 병원에 도착하면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을 감별하고 두개강내 대혈관 (intracranial large vessel)의 관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 혈관 조영 촬영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를 시행하는데, 컴퓨터 단층 혈관 조영 촬영은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 내경동맥 (ICA)은 중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 (MCA))와 전대뇌동맥 (anterior cerebral artery (ACA))으로 분지되기 전에는 안동맥 (ophthalmic artery (OA)) 외에 다른 큰 분지 (branch)가 없다. 따라서 실제 내경동맥 폐쇄 부위와 무관하게 컴퓨터 단층 혈관 조영 촬영에서는 많은 환자들이 근위부 내경동맥 폐쇄 (proximal ICA occlusion)처럼 보일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폐쇄 부위 (occlusion site)를 예측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5, 6 대규모 다기관 연구에서 대혈관 폐쇄로 인한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적절한 시간내에 적절한 혈관내 치료가 행해질 경우 이환율과 사망률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new ref. 1-6) 이처럼 내경동맥 폐쇄로 인한 뇌경색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동맥내 혈전제거술 (intra-arterial (IA) thrombectomy procedure) 전에 폐쇄 부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폐쇄 부위의 위치에 따라 동맥내 혈전제거술에 필요한 시술기구와 시술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폐쇄 부위의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면, 그에 맞는 시술 기구를 미리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도 폐쇄 부위를 예상하고 시술에 임하므로 증상과 연관된 시술 부위에 보다 빠르게 도달 할 수 있어 재개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환자의 좋은 임상적 예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7 이에 우리는 컴퓨터 단층 혈관 조영 촬영에서 내경동맥 근위부 폐쇄가 확인된 급성 뇌경색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occlusion site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알아보았다. Objective. Acute internal carotid artery (ICA) occlusion causes extensive brain ischemia, and accurately predicting the site of occlusion facilitates rapid revascularization and improves prognosis. Patients with suspected proximal ICA occlusion often present with distal occlusions on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Hence, we evaluated the clinical and imag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occlusion site in patients with ICA occlusion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ingle-center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e evaluated 102 patients (mean age: 74.6 ± 11.3 years) who developed acute ischemic stroke symptoms within 6 hours of proximal ICA occlusion, which was confirmed by CT angiography. The patients were recruited over 46 month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agreement between the locations of occlusion detected on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and CT angiography; the occlusion was categorized as a “true occlusion” and a “false occlusion” depending on whether there was an agreement. Subsequently,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imaging features were analyzed. Result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agreement between the actual ICA occlusion site and that detected by CT angiography, revealed that the shape of the ICA occlusion, the distance from the common carotid artery bifurcation, and atrial fibrilla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s. The shape and length of the ICA occlusion and atrial fibrillation influenced the agreement between the ICA occlusion sites detected on CT angiography and DSA. Accurately predicting the occlusion site will improve patient outcomes by facilitating better procedural preparation for intra-arterial thrombectomy and a shorter procedural duration.

      • 외상성 각막 손상후 발생하는 혼탁의 억제에 대한 양막이식의 효과

        하상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상성 심부각막손상이 있을 경우 치료 후에도 각막반흔의 형성으로 인한 혼탁으로 시력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한편 양막에는 상피 재생을 촉진 시키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천공성 각막손상에 있어서 양막이식술을 시행할 경우에 각막혼탁이 억제되는지 평가하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백색 가토 30마리(60안)를 대상으로 각막 중심부에 길이 6mm의 천공성 열상을 만든 후 아무것도 시행하지 않은 군, 양막이식술을 시행한 군, 콘택트렌즈를 덮어준 군의 세 군으로 나누어 각막혼탁의 발생을 비교하였고 조직학적으로는 염증세포 침윤의 정도, 간질세포의 배열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α-smooth muscle actin 의 항체를 이용한 염색으로 각막의 조직구축과 연관된 α-smooth muscle actin 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양막이식군이 다른 군에 비해 각막혼탁이 적었으며, 염증세포 침윤 및 α-smooth muscle actin 의 발현 또한 다른 군에 비해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양막은 염증 및 창상 후 간질 내 섬유 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비정상적인 간질의 증식을 막음으로써 각막혼탁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며 이는 각막심부손상 환자에 있어서 시력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임상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mniotic membrane graft on corneal opacity after traumatic injury. Corneal penetrating wound was made by No. 15 surgical blade, 6mm in length, using 60 rabbit eyes. Each ey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mniotic membrane applied group. contact lens applied group and control. Corneal opacity was analyzed with photoslit microscopy finding, histopathological finding, and expression of α-smooth muscle actin. As a result, grade of corneal opacity was lower in amniotic membrane applied group, Infiltration of the inflammatory cells and expression of α-smooth muscle actin were lower in amniotic membrane applied group. Architecture of stromal lamella was more regular in amniotic membrane applied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rneal opacity is associated with proliferation corneal stromal cells and the role of fibroblasts. In conclusion amniotic membrane graft was effective therapeutic method for prevention of corneal opacityafter trauma by inhibiting infiltration of the inflammatory cells, proliferation of stromal cell and wound contracture by fibroblasts.

      • 은행대출시장 특성에 대한 연구 : 중소기업 대출시장을 중심으로

        河尙佑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은행산업은 산업위주의 금융정책 기조하에서 경제성장과 함께 양적으로는 급팽창하였으나 질적 성장은 이에 못미치는 불균형적인 성장을 지속해 왔다. 산업발전과정에서 정책적 실패로 인해 기업부실이 발생할 경우 이로 인한 은행의 부실을 한국은행의 특융으로 해결하는 관행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은행의 부실화를 초래하고 자생적 발전을 제약해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외환위기 이후의 은행산업환경의 변화, 즉 최근의 은행산업의 추세인 대형화, 재무건전성의 개선, 외국계 은행의 국내진입이 정보가 불완전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에 의한 정책적 함의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연구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26개 일반은행의 횡단면자료와 6개년(1995-2000)의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Random Effect Model(REM)로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규모가 큰 은행일수록 기업대출에 있어서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대출에 비중을 두며, 재무건전성이 좋은 은행일수록 중소기업대출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고, 본사가 중소기업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은행(외국계 은행)일수록 정보의 불확실성때문에 중소기업대출을 감소시킨다는 세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가설들 중에서 가장 실증분석의 지지를 받는 가설은 재무건전성 가설이었는데,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정한 여러변수 중 무수익여신비율은 어떤 모형에서도 재무건전성 가설을 유의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무수익여신비율이 낮은 우량한 은행일수록 중소기업대출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외환위기 이후에 많은 우량한 중소기업들이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으로 도산했던 것은, 우리나라 은행들이 정경유착과 방만한 대출운영에 기인한 부실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적립과 대손상각으로 인해 외환위기 이후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어, 재무건전성의 악화를 가져옴으로서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공급에 인색했던 것이 주요한 원인일 것이다. 따라서 국민경제의 기본이 되는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재무건전성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외자계 은행가설은 모형에 따라 지지여부나 지지정도가 달랐는데, 이는 데이터상의 문제와 더불어 외국자본이 단기투자에 중점을 두고 있어 그들의 합리적 경영방식이 우리나라은행에 반영되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은행규모가설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지지되지 않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데이터상의 문제와 더불어보다 다양한 변수와 가설을 세우지 못한 나름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은행대출 가운데서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대출에 대한 많은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Under industry-focused financial policy of Korean government, Korean banks have developed asymmetrically between their high quantitative development and low qualitative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it has always been the practice that the problem of ailing banks due to the failure of companies which are related to bad economic policy were solved by special loan of Korea bank. As a result, the practice has caused more ailing banks and threatened their independent development.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hanges of bank industry circumstances after financial crisis such as big-deal between major banks, improvement of asset quality, and the entry of international banks into Korea will affect the loan for small and medium-size companies whose financial information is less sufficient. Also this paper will explore what is the implication of the influence. The hypothesis supported by empirical study was the hypothesis of asset quality. According to the result, banks tend to increase the loan for small and medium-size companies whose asset quality is superio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mprovement of asset quality is most required for the increase of the loan for small and medium size.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of banks drawing international investment vary with each model. The reason of the variance seems because foreign capitals often focus only short-term investment and their management styles could not be reflected to those of Korean banks. However, this paper has a limitation in terms that there are insufficient data, hypotheses, and varianc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more empirical studies are required for the corporate financing including small and medium-size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