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지원사업 평가와 개선방안 : 2005 경기도 좋은학교 만들기 지원사업을 사례로

        하봉운(Ha Bong-Woon) 경기연구원 2007 경기논단 Vol.9 No.2

        Under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having an independent education committee and educational superintendent, responsi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veloping policy alternatives for local education finance. Since 2003, Gyeonggi Province, the local government, has developed and supported the educational-supporting program with a cooperation with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 In this study, this educational-supporting program, especially for the good high school case, is reviewed in term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progress, accomplishment, and feed-back, and then the proposition for its promotion is suggested as well.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education autonomy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and work together with the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first of all, an Ordinance related to educational partnership program should be set up to collect and distribute enough budget to provide quality education and guarantee its continuity. Secondly, an Educational Coordinator system should be adopted to guarantee that any level of the local government, or residents should have the process and procedures to take par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s a way of dealing with regional factors. Thirdly,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to actual projects, and then the financial fund should be unequally distributed to each school based on its performance.

      • KCI등재

        논문(論文) : 지방자치단체 평생학습지원조례 분석 연구

        하봉운 ( Bong Woon Ha ) 대한교육법학회 2008 敎育 法學 硏究 Vol.20 No.1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는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평생학습조례 제정을 통해 평생학습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학습도시 조례의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평생학습도시 조례 제·개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11개 평생학습도시조례를 추진조직 및 네트워크, 재정적 지원, 전략 및 프로그램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평생학습도시에서 평생학습센터, 평생교육정책협의회에 관한 규정은 존재하였으나 실무협의회, 기관간협의회는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평생학습관련 재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에 대한 평가 항목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위원회의 수준별, 분야별 설치 운영이 필요하며, 평생학습 정책구현을 위한 재정지원규모 설정, 평생학습기금 조성, 평생학습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 평생학습도시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대한 구체적 명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s on the principles of an ordinance related to the lifelong education in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local educational developments. Under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having an independent education committee and educational superintendent, responsi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veloping policy alternatives for local education. Since 1998, the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and supported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with a cooperation with Ministry of Education, the central government education autho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gulation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make an ordinance by examining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olicies. In this study, an ordinance to stabiliz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s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 KCI등재

        교사성과급 지급을 위한 교사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 분석 연구

        하봉운(Ha Bong-W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성과급의 도입에 따른 교사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교사 보수체계 및 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에 근거해 분석하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 성과급의 교사평가에 대한 개선방향을 설정하고 개선방안을 탐색ㆍ제시하고자 하였다.<br/> 본 연구결과를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검증된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과 관련된 7개 요인들에 따라 살펴보면 인터뷰와 설문지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평가의 기준과 절차 등에 대하여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평가 기준이 교사 자신들이 생각하는 올바른 교사상과는 거리가 멀어 받아들이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교사 개개인의 수업과 학교업무수행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 하였다고 답하였다. 또한 평가자(교장, 교감)들이 교사를 평가할 만한 전문적인 지식과 자격을 가졌다고 보지 않았으며, 평가자의 개인적인 선입견과 편애를 평가의 공정을 해치는 주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보았다. 평가의 절차와 결과에 대한 공정성에 대한 우려 또한 교사들 사이에서 제기 되었으며, 지급되는 교사성과급의 양에 비하여 요구되는 업무의 양과 강도가 지나치고, 교사들 상호간에 평가 결과에 따른 갈등이 발생하였다고 하였다. This research showed that while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formal features of the bonus program were implemented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there was considerable variability among Korean teachers in their favorableness toward the bonus program and the accompanying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multiple factors were identified that appear to explain this variability.<br/> First of all, this study produced essentially the same dimensions of factors as other researchers on teacher reactions to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cluding: understanding, acceptance of evaluation standards, impact on teaching and work, evaluator, fair evaluation process, fair evaluation results, accuracy, stress, and effort. Further, these dimensions strongly explained teachers’ negative reactions to the system in Korea.<br/> Both teacher surveys and interviews on the evaluation system generally showed that large percentages of teachers did not understand the evaluation system very well, did not accept the evaluation standards as indicative of good teaching practice and work behaviors, did not believe that the evaluators-the principals- were expert enough to conduct the evaluation, did not think the evaluation system was fair, and felt the program required considerable effort and work. As a result, they generally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program and did not support continuing it.

      • KCI등재

        논문(論文) : 지방자치단체「학교급식 조례」논쟁점 분석 연구

        하봉운 ( Bong Woon Ha ) 대한교육법학회 2007 敎育 法學 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잦은 식중독 사고, 질 낮은 식재료, 급식비 미납 학생 증가 등 학교 급식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이를 보완 또는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져야 할 급식 정책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를 위해 이제까지 우리나라 학교 급식의 주요 지원자 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그 역할이 제한적이었던 지방자치단체의 학교급식 지원 사례와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도되어야 할 법적, 제도적 방안 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법 개정 동향, 중앙정부 학교급식법에 따른 일선 지방자치단체의 학교급식지원조례 제정 현황 등의 주요 법적기반 등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3가지 측면-1) 우리농산물 vs 우수농산물, 2) 학교급식 지원비의 범위 및 대상, 3) 예산편성 및 지원방법-에서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on the principals of an ordinance related to School Lunch Program in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local educational developments. Under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having an independent education committee and educational superintendent, responsi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veloping policy alternatives for local education. Since 1998, school lunch program has been enforced extensively in an elementary school, then in a senior high school on 1999, and then in a junior high school in 2002. But students and parents speak out lots of problems that food taste is not so good, the menu is dull and dirty,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gulation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School Lunch Program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make an ordinance by examining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olicies. In this study, an ordinance to stabilize the School Lunch Program is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 KCI등재

        학교용지확보등에관한특례법의 쟁점과 과제

        하봉운(Ha Bong-Wo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4 No.1

        선진국 수준으로의 교육여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표와 실질적 예산부족이라는 현실적 제약요소가 서로 상충하는 시점에서 헌법재판소가 구 학교용지확보에 관한특례법의 학교용지부담금에 대해 위헌판결을 내림에 따라 2005년 3월 24일에 개정·공포된 학교용지확보등에관한특례법에 대한 위헌 가능성도 제기됨은 물론, 학교용지부담금 기납부자의 환급요구 또한 점차 거세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례법의 제·개정 배경과 주요 골자, 학교용지확보와 부담금과의 관계 등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특례법의 논쟁점과 향후 전망 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1)학교용지확보와 학교용지부담금, 2)현 법률적 조건하에서 학교용지부담금만 폐지되는 경우 학교용지확보를 위한 재원마련의 가능성, 3)원인자부담원칙 하에서 개정 특례법의 적합성, 그리고 4)학교용지부담금의 환급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비록 학교용지확보등에관한특례법이 구 특례법에 비해 부과 대상자의 변경, 학교용지부담금 면제조항 신설 등의 개선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 요지를 충분히 반영하였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점이 남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행 부담금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법적·정책적 문제점을 고려하되 학교용지의 확보경비 마련을 위한 부담금의 폐지가 국가재정상황 및 일반지방자치단체와 지방교육자치단체의 재정여건상 바람직한 것인가라는 측면에서도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demand for public school construction generated by new comers to the area is increasing at a fast pace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s in Korea. However, the supply of public school has not kept up with the pace of demand and Korea faces shortage of public schools. Nowadays municipal authorit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funding the necessary public school buildings due to the limited financial capacity, and how to develop alternatives to fund new public schools without burdening their cost to residents who have already paid for costs for the existing public schools in the area is emerging as the important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special law for securing the school land aquisition by examining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the related policies. In this study, the special law for securing the school land aquisition is reviewed in terms of the legality and constitutionality and then the proposition for its promotion is suggested as well. This study proposes, first of all, that with respect to the legality and constitutionality of bearing cost for the school land aquisition by new comers, the special law for securing the school land aquisition does not provide the legal bases to justify, but government should develope policy alternatives for local school demand-supply system. This study also proposes that, to improve the school facility building and land aquisition system, the more reasonable scheme for school land aqui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expenses for school facilities and the land is needed as a way of dealing with regional factors.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 고등교육 지원 현황과 과제: Cooper의 4차원 정책분석모형을 중심으로

        하봉운 ( Bongwoon Ha ),강호수 ( Hosoo Kang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 국정관리연구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고등교육 지원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고등교육지원사업의 의미와 유형을 파악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고등교육지원사업의 추진체계의 실태 및 내용을 분석한다. 셋째, Cooper, Fusarelli & Randall의 4차원 정책분석이론을 활용하여 고등교육지원 발전방안을 탐색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선행 관련 문헌의 분석과 예산, 관련 조례 및 교육 담당부서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고등교육지원 정책은 지원 예산 확대, 지원 조직 정비, 조례 제정 등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지만 규범적 측면에서 재정 지원의 가치와 목표의 구체화, 구조적 측면에서 재정지원 방식의 다양화, 구성원 측면에서 지원대상의 의미와 범위 정비, 그리고 기술적 차원에서 유용한 평가 지표 및 지수 개발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지원사업의 발전 방안으로 재정 지원의 대상과 목표의 구체화, 산·학·관 네트워킹 활성화, 전담조직 강화 및 법령정비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ality of educational partnership(EP)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to analyze the contents, accomplishments and process of educational partnership projects, and to find policy implications developing educational partnership based on performance and future tasks. To this end, the employed methodologies were literature reviews, investigation on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partnership departments and related ordinances. The analysis was accomplished in four dimensions applying Cooper, Fusarelli & Randall framework;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ive, and technical. This framework enables individual to understand policy-making in education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ccess factors of EP were local government`s efforts for financial expansion, effective utilization of organization and proper roles of division, and responsive ordinances in relation to higher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clear objective and purposes of higher education investment, strengthen the educational partnership among universities, local governments, and industries and reinforce the EP official`s role for higher education to stabilize financial support and develope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른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사례 비교분석

        하봉운(Bongwoon Ha),장덕호(Deokho Jang),김남숙(Namsook Kim),송지훈(Jihoon Song),유명현(Myunghyun Yoo),명준희(Junhee 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교육복지 운영과정을 비교분석하고 한계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 학교급, 학교소재지, 학생 수를 고려하여 8개 대상학교, 16명의 교육복지 담당 인력을 대상으로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은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으며, 인터뷰는 2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CIPP모형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과정의 양태는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첫째, 교육복지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양한 교육복지 욕구충족에 초점을 두는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교육복지의 대상 및 범위를 특정계층 학생에게 초점을 두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조직, 예산편성, 배치된 인력의 기능과 역할 등이 체계적으로 조직화 되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제한적인 인력과 조직, 예산의 투입으로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복지사 배치학교의 경우, 학교 내⋅외 협력체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대상 학생 선별, 사례관리, 외부자원과의 연계 등에 어려움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 성과와 관련하여,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학생의 성장, 지역사회의 변화, 교육의 형평성 제고 등을 성과로 제시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학업성취도 향상, 또래 관계 긍정적 변화 등 가시적인 변화를 교육복지 성과로 제시하였다. 결론 단위학교는 모든 학생을 잠재적 교육복지의 대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일상적 교육활동에서의 교육복지 실현을 위하여, 조직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지원팀’을, 내용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사례관리’를, 전문성 기반으로 ‘협업적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 process of educational welfare at schools, identify limit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s. Methods Considering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and number of students, focus group interview and written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on 8 target schools, 16 school faculties. Written investig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ques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CIPP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IPP model. Results The educational welfare operation process of the unit school differed depending on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Fir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tried to realize universal welfare that focuses on satisfying various educational welfare needs for all students,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focused on the target and scope of educational welfare for students of a specific class. Second, mo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departments, budgeting, and functions and roles of manpower,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d difficulty operating due to limited manpower, organization, and budget input. Third, in the case of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various types of support are provided based on the school's internal and external cooperation system,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target students, case management, and linking with external resources. Finally, regarding the achievements of educational welfare,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student growth, community change,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equity, while non-arranged school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peer relations. Conclusions Schools should view all students as potential targets of educational welfare. In order to realize educational welfare in daily educational activities, ‘integrated growth support team’ should be established or strengthened on an organizational basis, ‘integrated growth case management’ on a content basis, and ‘cooperative governance’ on a professional basi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경기도 교육협력(지원)사업 조례」제정 방안 연구

        하봉운(Ha Bong-w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도내 유입인구의 증가로 학생수가 증가함에 따라 열악해지는 교육환경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경기도와 도교육청이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교육협력(지원)사업이 주민들의 많은 호응을 얻으며 좋은 성과를 거둠에 따라 교육협력(지원)사업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갖추기 위한 조례 제정 방향 제시에 그 목적이 있다.<br/>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입법권(조례)의 법적 의미, 「시ㆍ군및자치구의교육경비보조에관한규정」(대통령령)과 이에 따른 일선 기초자치단체의 조례 제정 현황, 학교급식지원조례 제정 등의 주요 법적기반을 검토하고, 경기도 교육협력(지원)사업과 관련된 교육재정지원 현황 및 주요 사업 내용, 조직 구성 등을 살펴보며 이에 기초하여 4가지 측면-1) 교육협력(지원)사업 대상 범위 및 종류, 2) 교육협력관 제도 존치 및 교육협력(지원)사업협의회 구성, 3) 예산 편성 및 지원 방법, 4) 평가 및 연간 계획 수립-에서 그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on the principals of an ordinance related to educational partner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for Gyeonggi Province, to promote local educational developments.<br/> Under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having an independent education committee and educational superintendent, responsi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veloping policy alternatives for local education. Since 2003, Gyeonggi Province, the local government, has developed and supported the educational-supporting program with a cooperation with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gulation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educational finance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make an ordinance by examining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olicies.<br/> In this study, an ordinance to stabilize the educational-supporting program is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