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PP모형에 기반한 교육복지정책의 성과평가

        유명현(Myunghyun Yoo),임세민(Se Min Yim),송지훈(Ji Hoon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효과적인 교육복지 정책 추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복지사업 성과평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성과분석 틀을 개발하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종합한 성과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해 상황(Context), 투입(Input), 과정(Process), 산출(Product)의 영역에서 교육복지사업의 운영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였다. 지자체 지원, 학교, 학생, 홍보 및 네트워크, 물적자원, 인적자원, 사업계획 및 운영, 학교 내/외부 협력수행 여건, 프로그램, 사례관리, 네트워크, 학생변화, 만족도를 각 평가영역에서 다루었다. 결론 교육복지사업의 발전방안을 위한 논의를 교육복지사업의 성과와 개선방향의 측면으로 나누어 도출하였다. 결론 및 제언을 통해 시·도교육청의 교육복지 사업계획, 교육복지안전망 추진계획 등 교육복지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nd suggest strategies for enhancing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Methods The study employed the CIPP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evaluation model to evaluate the op-erational procedures and outcome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Results The evaluation covered various aspects, including local government support, schools, student involve-ment, public relations, networks,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tra- and inter-school collaboration, program content, case management, network effectiveness, student progress, and overall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study's findings offer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the performance and potential areas for en-hancement i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provide essential insights for developing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이 경력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직업선택 시 중요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명현(Myunghyun Yoo),이진주(Jinju Lee),송지훈(Ji Hoon So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5

        우리나라의 대학생은 오랜 시간과 비용을 취업준비에 투자하고 있으나, 자신이 원하는 직무나 취업 후의 경력개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고민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어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진로와 경력에 대한 전반적 인식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년패널 1,365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진로미결정과 경력적응성 사이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직업선택 시 중요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은 경력적 응성에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선택 시 중요도가 진로미결정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미결정이 진로결정자 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경력적응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직업선택 시 중요도를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낮게 지각하는 집단에서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변화된 경력환경에서 대학생의 진로선택을 지원할 수 있는 역량으로써 경력적응성의 역할을 논의하였으며, 대학생의 진로결정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직업선택 시 가치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에 대한 논의를 경력개발의 관점으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제공하였으며, 직업선택 시 중요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의사 결정 및 자기 탐구, 진로 상담과 같이 대학생들이 경력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College students in Korea are investing a long time and money in preparing for a job, such as focusing on so-called spec building and acquiring certifications. Still, they do not seriously consider the job they want or career development after employment. Therefore, in this study, data from 1,365 youth panels were used to check the overall level of awareness of Korean youth about careers. The mediation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adaptability using SPSS Process Macro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effect and job prefer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e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had a negative (-)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t was found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is relationship. Second, job preference significantly controlled the negative effect of career undecide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career indecision on career adaptability by mediat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strengthened in the group who perceived the job preference as one standard deviation lower than the average. As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it provided understanding and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undecided careers. It discussed the mediating effect that was regul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career choice. Moreover, improving career adaptability through decision-making and self-exploration can practically contribute to solving youth career problems.

      • KCI등재

        VR, AR, MR 기반 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유명현 ( Myunghyun Yoo ),김재현 ( Jaehyun Kim ),구요한 ( Yohan Koo ),송지훈 ( Ji Hoon S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반 학습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2008년에서 2018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 33편을 선정하고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VR, AR, MR 기반 학습의 학습 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 크기, VR기반 학습, AR 기반 학습, MR 기반 학습 별 개별 효과 크기, 조절변인(교육효과 분류, 교육과정 형태, 학습 대상자 연령, 학습 집단 규모, 실험 설계유형)에 따른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VR, AR, MR 기반 학습의 학습 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 크기는 .873으로 나타났으며 효과 크기가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VR, AR, MR 기반 학습의 개별 효과 크기는 VR 기반 학습의 경우 .743, AR 기반 학습의 경우 0.994로 나타났으며, MR 기반 학습의 경우 95% 신뢰구간[-0.214, 0.838]에 0을 포함하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서 VR, AR, MR 기반 학습은 학습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의 종합적 결과를 통해서 향후 VR, AR, MR 기반 학습의 수업 설계와 운영을 위한 근거기반 실천(evidence based practice) 및 전략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VR, AR, MR 기반 학습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학습 환경 및 교육과정과 관련한 정책적인 논의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AR과 MR의 기술적 발달과 함께 그에 따른 적용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and specif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VR, AR, MR on learning performance by using meta-analysis on the related field. We use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Web Of Science to find the relevant studies as the target group of the current research with following keywords: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mixed reality (MR), and learning. In addition, sample publication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abstracts provided from 2008 to 2018 on the effectiveness of VR, AR, MR based learning. Moreover, We designated moderators such as educational effects, type of curriculum, age of target, experimental size, and type of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for learning performance of VR, AR, and MR based learning is .873, which represents large effect size. The individual effect sizes were .743 for VR-based learning and 0.994 for AR-based learning.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0.214, 0.838], MR-based learning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Our study’s key findings showed that VR, AR, MR-based learning was effective for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will also enable the use of the strategy, evidence based practice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lasses for VR, AR and MR-based learning.

      • KCI등재

        MOOC 기반 학습의 메타분석

        김재현 ( Jaehyun Kim ),유명현 ( Myunghyun Yoo ),장유진 ( Youjin Jang ),송지훈 ( Ji Hoon Song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MOOC 기반 학습의 효과성과 관련 변수의 탐색을 위한 메타분석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이루어진 MOOC 기반 학습의 연구동향을 확인하고 종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OOC 기반 학습의 개입의 효과를 계산한 결과 일반적인 교실 환경에서 이루어진 전통적 학습과 비교해 유의한 효과 크기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아직 MOOC 기반 학습의 개입 효과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계산할 수 있을 정도로 MOOC 기반 학습의 효과성을 탐색한 개별 연구물의 축적이 충분하지 않은 데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MOOC 기반 학습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수들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MOOC 기반 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관련 변수는 학습성과, 성과기대, 학습자 특성, 만족도, 학습동기, MOOC 콘텐츠, 활용가능성, 학업적 자기 효능감, 매체 친숙도, 사회적 영향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이는 MOOC 기반 학습과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변수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MOOC 기반 학습이 의미 있는 양적 확장을 이루기 위한 우선순위 및 방향성을 제고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다. 또한 MOOC기반 학습을 설계 및 운영하는 실무자들이 MOOC를 학습에 활용함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관련 변인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sizes of MOOC-based learning in Korea and the size of a relationship among relevant variables through a meta-analysis.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impact of intervention MOOC-based learning, the effect size i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raditional learning, which is the general classroom environment. It is because of insufficient researches about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MOOC-based learning for calcul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impact of intervention MOOC-based learning. Second,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a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size of a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shows large. The variables relevant to MOOC-based learning are learning outcomes,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Hence, to expand MOOC-based learning quantitatively meaningfully, it should be more performing systematic empirical researches for using various statistical verification. Finally, this study confirms a current comprehensive situation, which is relevant quantitative research on MOOC-based learning, also expects to provide these findings as several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ho design and operate as using MOOC-based learning.

      • KCI등재

        학습전략이 교과태도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학업노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고려한 다항회귀분석

        구요한(Yohan Koo),유명현(Myunghyun Yoo),장유진(Youjin Jang),송지훈(Ji Hoon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업성취에 두 가지 학습전략(창의 융합적, 반복 암기식)의 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며 교과태도의 매개효과와 학업노력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Ⅱ 1·2차(2016~2017)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항회귀분석과 반응표면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노력은 두 가지 학습전략의 적합성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의 세부 영역과의 영향 관계를 조절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모든 과목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결과로는 학습전략이 불일치할 경우 창의 융합적 학습전략이 반복 암기식 학습전략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함을 보였다. 특히 교과태도보다 학업성취에서, 학업노력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서 창의 융합적 학습전략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각 과목 및 학업노력의 정도에 따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에 두 가지 학습전략의 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관계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고등학교 학업 현장에서 창의 융합적 학습전략 및 반복 암기식 학습전략이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각 과목별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창의 융합형 인재가 요구되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학습자 측면에서의 접근과 개별화된 맞춤형 교수설계 및 학습전략 수립의 이해에 보탬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which is creativity and integration, and repetition and memoriz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using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 (KEEP Ⅱ) 2016~2017 data of KRIVET.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reativity and integration learning strategy and repetition and memorization learning strategy, the moderator is the academic effort,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ubjective learning outcome and objective learning outcome. The polynomi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creativity and integration learning strategy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effect on subjective attitude and objective performance for academic achievement. The patterns of response surfaces were found to differ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the level of academic effort. Finally,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l effect among subjects on creativity and integration and repetition and memorization learning strategy. Hence, this study expected to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pproach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strategy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 KCI우수등재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적합성이 대학생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학자금 대출 상환 경험에 따른 다항회귀 및 반응표면 분석

        구요한(Yohan Koo),유명현(Myunghyun Yoo),송지훈(Ji Hoon Song)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1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간 적합성이 대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평상시 시간사용 정도(그룹스터디, 자기계발, 소셜네트워크, 중독적 취미 활동)를 통해 확인하고, 이때학자금 대출 상환 경험에 따른 차이를 보았다. 연구를 위해 한국장학패널조사(KOSAPS) 2차, 3차 데이터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다항회귀와 반응표면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출금 상환 경험에 따라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적합성이 시간사용(그룹스터디, 자기계발, 소셜네트워크, 중독적 취미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룹스터디 시간사용의 경우 상환을 경험한 그룹은 자존감과 스트레스와의 영향 관계보다 상환 경험의 유무가 더 크게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자기계발의 경우 상환 경험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낮은시간사용 양상을 보임을 나타냈다. 소셜네트워크의 경우에는 두 그룹 모두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적합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소셜네트워크와 중독적 취미활동의 상환을 경험한 그룹에서 스트레스와 자존감이 극단적으로 적합하는 상황, 즉, 스트레스와 자존감이 동시에 모두 낮거나 모두 높은 상황에서 과도한 시간사용 경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자금 상환 경험에 따른 대학 생활 양상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대출 이전의 교육과 더불어 학자금 대출 상환에 대한 교육, 학생들의 인식 및 심리, 정서적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기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ongruence of university life stress and self-esteem on time use (group study, self-development, social networks, addictive hobby) in university student s life and the difference in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 For this study, we studied university students in KOSAPS 2nd and 3rd-year data.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university life stress and self-esteem, the moderator is the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university student s time use. The polynomi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effect of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

      • KCI등재

        ChatGPT가 교육 및 학술연구 분야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국내외 연구동향 검토

        주라헬 ( Rachel Ju ),최예린 ( Yerin Choi ),송지훈 ( Ji Hoon Song ),유명현 ( Myunghyun Yoo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volving landscape of educational technology, with a focus on the rapid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ies, exemplified by ChatGPT. The objective is to discern challenges and chart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utilizing databases such as DBpia, Riss, Kyobo Book Centre, Google Books, Web of Science, and Scopus. The integrative review covered literature until August 26, 2023, yielding insights from 404 studies. Notably, research featuring ChatGPT as an author exhibited a notable surge, particularly in books. Additionally, studies concentrating on ChatGPT ’s application were predominant in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often employing quality assessment and case analysis methods. The study identifies opportunities in education, including facilitating lifelong learning, fostering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and alleviating instructors ’ burdens. However, it also highlights threats such as potential misconceptions, deepening educational disparities, and a decline in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 academic research, opportunities encompass heightened research productivity, improved quality, streamlined paper reviews, and overall increased work efficiency. Conversely, threats include potential constraints on research originality, challenges to academic integrity, and risks of bias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overcome barriers and enhance the positive impact on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 KCI등재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른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사례 비교분석

        하봉운(Bongwoon Ha),장덕호(Deokho Jang),김남숙(Namsook Kim),송지훈(Jihoon Song),유명현(Myunghyun Yoo),명준희(Junhee 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교육복지 운영과정을 비교분석하고 한계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 학교급, 학교소재지, 학생 수를 고려하여 8개 대상학교, 16명의 교육복지 담당 인력을 대상으로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은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으며, 인터뷰는 2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CIPP모형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과정의 양태는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첫째, 교육복지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양한 교육복지 욕구충족에 초점을 두는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교육복지의 대상 및 범위를 특정계층 학생에게 초점을 두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조직, 예산편성, 배치된 인력의 기능과 역할 등이 체계적으로 조직화 되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제한적인 인력과 조직, 예산의 투입으로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복지사 배치학교의 경우, 학교 내⋅외 협력체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대상 학생 선별, 사례관리, 외부자원과의 연계 등에 어려움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 성과와 관련하여,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학생의 성장, 지역사회의 변화, 교육의 형평성 제고 등을 성과로 제시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학업성취도 향상, 또래 관계 긍정적 변화 등 가시적인 변화를 교육복지 성과로 제시하였다. 결론 단위학교는 모든 학생을 잠재적 교육복지의 대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일상적 교육활동에서의 교육복지 실현을 위하여, 조직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지원팀’을, 내용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사례관리’를, 전문성 기반으로 ‘협업적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 process of educational welfare at schools, identify limit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s. Methods Considering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and number of students, focus group interview and written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on 8 target schools, 16 school faculties. Written investig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ques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CIPP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IPP model. Results The educational welfare operation process of the unit school differed depending on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Fir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tried to realize universal welfare that focuses on satisfying various educational welfare needs for all students,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focused on the target and scope of educational welfare for students of a specific class. Second, mo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departments, budgeting, and functions and roles of manpower,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d difficulty operating due to limited manpower, organization, and budget input. Third, in the case of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various types of support are provided based on the school's internal and external cooperation system,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target students, case management, and linking with external resources. Finally, regarding the achievements of educational welfare,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student growth, community change,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equity, while non-arranged school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peer relations. Conclusions Schools should view all students as potential targets of educational welfare. In order to realize educational welfare in daily educational activities, ‘integrated growth support team’ should be established or strengthened on an organizational basis, ‘integrated growth case management’ on a content basis, and ‘cooperative governance’ on a professional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