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전환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노화와 인지 통제 능력의 관계: 웹기반 실험 연구로부터의 증거

        태진이,백현아,이윤형,최원일 한국심리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1 No.5

        Aging involves changes not only in our physical abilities but also in cognitive functions. In particular, cognitive control includes several cognitive sub-processes, such as inhibition, switching, and updating; thus, comparing cognitive control abilities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can help understand age-related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s. This study utilized the task-switching paradigm to examine whether a switching cost varies with age. Unlike traditional studies, in which participants visit a lab and perform a task in controlled conditions, we adopted a web-based experimental procedure, in which participants completed the task using their computer or laptop at their convenience. This enabled collection of large data from various age population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dults aged 20 to 69 participated in the switching task. The results indicated three main effects; age, task transition, and task type. Also, task type interacted with participants’ age. The interaction suggests that older adults who experience cognitive decline invest more cognitive resources to the easier task out of the two tasks with a varying task difficulty. However, the size of the switching cost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across the age spectr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though aging is associated with a general decline in cognitive control abilities, reactive control abilities remain intact throughout the adult lifespan. 노화가 진행되면 개인의 신체 능력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에도 변화가 생긴다. 특히, 인지 통 제 능력은 다양한 하위 인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므로 연령별 인지 통제 능력을 비 교하는 것은 노화에 따른 인지 기능의 변화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 통제 능력 중에서 전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과제를 사용하여 연령에 따른 전환비용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참가자들이 실험실에 방문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얻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참가자의 데이터 를 얻을 수 있는 웹기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에 거주 중인 20세부터 69세 성인의 데이 터를 얻었다. 연구 결과, 참가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과제가 반복될 때보다 전환될 때가, 그리 고쉬운과제보다는어려운과제수행시에반응시간이더느렸다. 또한참가자연령과과제 종류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노화에 따른 인지 능력의 감퇴로 인해 과제의 난이도가 다른 두 과제를 수행할 때 쉬운 과제에도 많은 인지자원을 투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연령과 과제 전환 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부재는 반응적 통제와 같이 상대적으로 자동적인 처리를 요구하는 과제 전환 시에는 노화에 영향이 미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동서양 문화권에서 정서 자극의 각성 수준이 정서가 평가에 미치는 영향

        태진이,손명호,권유안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2

        사회생활을 하는 인간에게 정서를 탐지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사회적 상황에서 표현하고 있는 정서를 탐지하는 방식은 개인이 소속되어 있는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인과 서양인을 대상으로 외부 자극을 통해 지각되는 정서 정보를 탐지하는 과정에서 각성의 영향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백인을 대상으로 정서 조건 간의 각성 수준의 차이가 있는 자극과 그렇지 않은 자극을 사용하여 각성가의 통제 여부에 따른 정서 탐지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미국인들의 경우 부정 사진 탐지를 긍정 사진 탐지에 비해 어려워하였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정서 조건 간 각성 수준이 통제되었던 연구와 비교하여 긍정/부정 조건의 각성 수준이 중립 조건에 비해 높았던 실험 자극을 사용했던 연구에서 더 크게 관찰되었다. 연구 2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정서 조건 간 각성이 통제된 조건에서의 정서 탐지 능력과 각성이 통제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정서 탐지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2의 결과는 한국인들도 미국인과 유사하게 중립 사진들 사이에서 부정 사진을 탐지하는 것을 어려워함을 보여주었으며, 나아가 한국인의 경우에는 이 효과가 각성의 통제 여부와 상관없이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종합해보면, 미국인들은 정서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각성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데 반해, 한국인들은 각성의 통제 여부와 상관없이 일관되게 사진에서 표현된 정서를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서 탐지 과정에서 각성의 영향이 개인이 소속되어 있는 문화적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전환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노화와 인지 통제 능력의 관계: 웹기반 실험 연구로부터의 증거

        태진이,백현아,이윤형,최원일 한국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1 No.5

        노화가 진행되면 개인의 신체 능력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에도 변화가 생긴다. 특히, 인지 통 제 능력은 다양한 하위 인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므로 연령별 인지 통제 능력을 비 교하는 것은 노화에 따른 인지 기능의 변화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 통제 능력 중에서 전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과제를 사용하여 연령에 따른 전환비용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참가자들이 실험실에 방문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얻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참가자의 데이터 를 얻을 수 있는 웹기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에 거주 중인 20세부터 69세 성인의 데이 터를 얻었다. 연구 결과, 참가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과제가 반복될 때보다 전환될 때가, 그리 고쉬운과제보다는어려운과제수행시에반응시간이더느렸다. 또한참가자연령과과제 종류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노화에 따른 인지 능력의 감퇴로 인해 과제의 난이도가 다른 두 과제를 수행할 때 쉬운 과제에도 많은 인지자원을 투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연령과 과제 전환 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부재는 반응적 통제와 같이 상대적으로 자동적인 처리를 요구하는 과제 전환 시에는 노화에 영향이 미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과제에 부과된 인지적 부담과 정서적 부담이 수행에 미치는 영향

        태진이,이상은,이윤형,권유안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stress imposed on the task. To do so, we divided the stress imposed on the task into cognitive stress and emotional stress and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se stresses on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solve arithmetic problems. The cognitive stress was aroused by manipulating task difficulty, and the emotional stress was aroused by manipulating the existence of timer and the possibility of self-paced task performance. The results of behavioral experiment showed that emotional stress has negative impact on solving cognitively more demanding problems, but the emotional stress has positive affect on solving less demanding problems. The results of the ERP study showed such that the effect of emotional stress is observed in P1, P2, N400 (left occipital lobe) and the effect of cognitive stress is observed in N400 (right anterior and central lobe). Interestingly,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al processing and cognitive processing was observed in P2 and N400 components. These findings provide experimental evidence that psychological stress is an umbrella concept including two distinct cognitive and emotional stresses and suggest that emotional processing and cognitive processing interact with each oth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에 부과된 부담(스트레스)의 종류에 따른 과제 수행의 차이와 그 기저에 있는 인지신경학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제에 부과된 부담을 인지적인 스트레스와 정서적 스트레스로 구분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제시되는 수식을 보고 수식의 참과 거짓 여부를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과제 수행 시에 유발되는 인지적 스트레스는 과제 난이도 조작을 통해, 정서적 스트레스는 과제 수행 시 타이머의 유/무와 수행의 자기 조절 가능성 여부의 조작을 통해 유발하였다. 행동 실험 결과 난이도가 높은 문제의 경우에는 정서적 스트레스가 과제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난이도가 낮은 문제의 경우에는 정서적 스트레스가 과제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추가적으로 ERP를 사용하여 과제에 부과된 부담에 따른 차이를 실시간으로 살펴본 결과 정서적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P1,P2,N400 시간대에 좌반구 후두에서 나타났으며, 인지적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N400시간대에 우반구 전측과 중앙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가 인지적 스트레스와 정서적 스트레스와 구분될 수 있는 복합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해주며 인지와 정서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과제 무관련 부정정서가 인지 수행에 미치는 영향

        태진이,이상은,이윤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negative bias occurs even when the emotional stimuli are irrelevant to the task.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erformance of the cognitive task can be facilitated when the background images contain negative emotions. To do so,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an odd-even judgment task with the numbers were presented in the emotional background images. In experiment 1, which manipulated valence of the images with no control of arousal levels of the images, participants’ odd-even judgements were faster but more inaccurate when the numbers were with emotional background images. However, in experiment 2, which also manipulated valence but the arousal levels were controlled as well, negative bias occurred such that judgements were faster when the numbers were with negative emotional background images. The presented study suggested that even when emotional stimuli are irrelevant to the task, the negative bias occurs. 주의편향 현상은 긍정적인 정보와 중립적인 정보에 비해 부정적 인 정보에 주의를 더 기울이는 현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주의편향 현상이 정서자극이 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경우에도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자극이 목표가 아닌 처리해야 하는 자극의 배경으로 제시되는 경우에도 부정자극의 정서 편향 현상이 관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서 사진을 배경으로 사용하고 참가자들에게 사진 위에 제시된 숫자가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판단하도록 요구하였다. 자극의 정서가만을 조작한 실험 1에서는 긍정 사진이나 부정 사진이 배경인 경우에 중립 사진이 배경인 경우보다 판단 시간은 빠르지만 정확률은 떨어졌다. 반면 정서가를 조작한 것에 더해서 각성가를 통제한 실험 2에서는 부정 사진이 배경인 경우가 다른 조건들보다 반응시간이 빠른 주의 편향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과제와 관련이 없는 정서자극도 인지 과제 수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앞선 시행시 함께 제시된 다음 시행 정보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

        태진이,최원일,이명진,이윤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4 No.4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an upcoming trial helps task performance even when the information is simultaneously presented with the previous stimulus. In the experiment, a digit between 1 and 9 were shown with the colored frame and participants performed the magnitude and parity tasks based on the frame color. Information for the subsequent trial appeared in the upper right corner. There were four types of cues (control, task+stimulus, task, stimulus cue). Participants showed faster reaction times in the task+stimulus and task cue conditions than in the stimulus and control conditions. The task+stimulus cue facilitates both of repeat and switching trials, whereas the task cue only helps switching trials. The results indicate that predictive information presented with the stimuli relevant to the current trial can facilitate performance of the upcoming trial and the type of provided information also has effect on the task perform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앞선 시행 과제와 동시에 제시되는 다음 시행과 관련 정보가 과제 수행에 도움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참가자들에게 색깔이 있는 마름모꼴 테두리 도형의 중앙에 5를 제외한 1-9 사이의 숫자를 제시하고, 테두리의 색깔에 따라 크기 판단 과제 혹은 홀짝 판단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하였다. 다음 시행 정보는 현 시행 자극의 우측 상단에 나타나며, 시행 정보의 유형은 네 가지(통제조건, 과제+자극 조건, 과제 조건, 자극 조건)였다. 실험 결과, 다음 시행의 과제와 자극이 모두 사전 정보로 제시된 조건의 경우 반복과 전환 시행에서 모두 수행을 촉진하였다. 반면 과제 조건의 경우에는 전환 시행에서만 수행을 촉진하였으며 자극 조건은 수행을 촉진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제와 동시에 제시된 다음 시행 정보도 과제 수행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고, 나아가 제시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과제 수행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얼굴 표정 정서가 전환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동서양 문화차

        태진이,남예은,이윤형,손명호,김태훈 한국인지과학회 2023 인지과학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 과제 수행 시 정서 정보의 영향을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사진을 사용하여 전환 과제 수행 시 정소 정보의 영향이 한국인들과 미국인들에게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대학생들과 미국 대학생들에게 긍정 혹은 부정 얼굴을 제시하고 제시된 사진의 테두리 색깔에 맞춰 정서 판단 과제 혹은 성별 판단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인과 미국인 모두 성별 과제에서 정서 과제로의 전환 비용이 성별 과제에서 정서 과제로의 전환 비용에 비해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났고, 사진에서 표현하는 정서가 반복되는 조건이 정서가 전환되는 조건에 비해 더 큰 전환 비용을 보였다. 또한, 참가자의 문화적 배경과 무관하게 과제와 정서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서 과제가 성별 과제에 비해 정서 전환 여부에 따른 전환 비용이 더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 전환이 전환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이 속한 문화에 따라 달랐는데,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사진에서 표현되는 정서의 전환 여부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 정보가 인지과제 수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며 정서의 영향이 개인이 속하고 자라온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formation on task switching performance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 of affective information differs between Koreans and Caucasian when they perform a switching task using pictures that expres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this study, Korean and Caucasian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either positive or negative faces and asked to perform either an emotion or a gender judgment task based on the color of the picture fra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witching cost from the gender judgment task to the emotion task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switching cost from the gender task to the emotion task for both Koreans and Caucasians. This asymmetric switching cost was maintained when the previous and current pictures showed the same emotion but disappeared when two images presented different emotions. Regardless of the participant's cultural background, switching costs were greater for emotional tasks where the emotion was directly related to the task than for gender tasks. However, the effect of emotional switching on switching costs varied by the individual's background. Koreans were less sensitive to whether poser's emotion was changed than America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motional information affects cognitive task performance and suggest that the effects of emotion may differ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한국어 행위 동사의 처리를 통해 살펴본 개념 지식의 표상 방식

        태진이,홍영지,권유안,이윤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onceptual knowledge was represented and understood by looking into the representation of the action-related words. To do so, we investigated whether sensory-motor simulation is mandator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ction-related verbs through Event-Related Potential(ERP) technique. We also tested whether the extent of the sensory-motor simul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context where the action-related verb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included action-related verbs elected bigger P200 amplitude than control condition. Such results support the embodied cognition theory suggesting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action-related words is based on the sensory-motor simulation. The contexts of the use of action-related verbs (whether action-related verbs were included in literal, metaphoric, non-literal sentence) have no effect on the P200 amplitu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on concepts have embodied into the sensory-motor simulation regardless of context, which supports the strong embodiment view of the embodied cognition theor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행위 동사의 개념 정보가 어떻게 표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 개념지식(conceptual knowledge)이 어떻게 표상되고 이해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건관련뇌전위(event-related potentioal: ERP)를 이용하여 한국어 행위 동사의 이해 시 감각-운동 모사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고 만일 그렇다면 그 동사가 포함된 맥락(예: 교편을 잡다/ 볼펜을 잡다/ 절차를 잡다)에 따라 감각-운동 모사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행위 동사가 포함된 표현의 경우가 행위 동사가 포함되지 않은 통제 표현(예: 인심을 잃다)에 비해 감각-운동 모사 정도를 반영하는 파형인 P200의 진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행위 동사의 이해 시 감각-운동 모사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행위 동사가 포함된 맥락에 따라 P200의 진폭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맥락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어 행위 동사의 이해 시 그 단어가 제시된 맥락과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감각-운동 모사가 이루어진다는 강한 체화된 인지이론을 지지하는 경험적 증거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