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validation of behavioral test based on mobile devices

        권유안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1

        Recently, many studies have tried to test the validity of behavioral measurement that were conducted by the mobile environment.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behavioral data (e.g.,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to be measured in the mobile environment (e.g. smartphone or tablet PC) can be applied in behavioral research area or not.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made a stimulus list composed of two and four syllabic strings and asked 71 participants to conduct lexical decision tasks that required participants to press ‘word’ button when a presented strings on a screen were categorized in words or to press ‘nonword’ button when the presented strings were categorized in meaningless strings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that were obtained by smartphone and tablet PC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egastudy made up of considerable trials. The result showed that mean response times was very similar between two environments, but the distribution of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on the mobile environment was different from the distribution of response times and error rates on the megastudy. This study interpreted that the different distribution might be induced by the different response sensitivity of two environ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way to narrow the gap between two environments in discussion.

      • KCI등재

        한글 음절 이웃 효과에서 한자어 형태소의 영향: 표기 및 음운 이웃과 한자어 이웃과의 관련성 중심으로

        권유안,남기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3 No.3

        본 연구는 두 개의 어휘 판단 과제를 통해 음운 및 표기 이웃 효과에 한자어 형태소 효과가 개입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증하였다. 과거 한글 음절 이웃 효과 연구들에는 한자어 형태소 요인을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음절 이웃 효과를 유발 시키는 주요 정보가 음운인지 표기인지 불확실 했다. 실험 1에서 표기 이웃 크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음운 이웃 크기와 한자어 이웃 크기 간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1 결과 음운 이웃이 크고 한자어 이웃이 큰 경우가 한자어 이웃이 작은 경우에 비해 어휘 판단 시간이 감소하였다. 실험 2는 음운 이웃 크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표기 이웃 크기와 한자어 이웃 크기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2 결과 표기 이웃 크기와 한자어 이웃 크기 간의 관련성이 나타났지만 실험 1 결과와는 다른 관련성이 나타났다. 논의에서 한글 음절 이웃 효과 연구에서 필수적으로 한자어 형태소를 고려 할 것을 제안하였고 음절 이웃 효과를 유발하는 정보가 음운인지 표기인지를 논의하였다. Previous studies on syllabic neighborhood effects had not considered the effects of morphological family size which could reduce inhibitory effects that take place as the size of syllabic neighborhood increas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large morphological family size reduces the neighborhood size effect in phonological syllables or in orthographic syllables. Two lexical decision task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is issue. The result of Experiment 1 revealed that large morphological family size led to the decrease in inhibitory effects as the size of phonological syllable neighborhoods increased. However, in Experiment 2, while the morphological family size had no effect in the reduction of lexical decision latency, the lexical decision latency increased for large orthographic syllable neighborhoods. The implications of different morphological family size influence on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size effects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음절 빈도 효과 부재의 원인: 형식형태소 음절에서 얻어진 행동 및 사건관련 뇌전위(ERP) 증거

        권유안,이윤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1

        While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which words starting with high syllable frequencies recognized slower, has been found in other languag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Korean, it has not found in Korean until now. Therefo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mpounding of the semantic coding of the word is the possible reason of the absence of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in Korean, the current study tested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of the bisyllabic words starting with formal morphemes. To do so, 21 participants performed lexical decision tasks and the ERP data as well as behavioral data were analyzed. As results, words starting with higher syllable frequencies showed longer RTs and higher error rates than words starting with lower syllable frequencies. In additio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was shown in P200 and N400 ERP components.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exist in Korean and the compounding of the semantic coding might be the reason for the absence of the such effect in previous studies. 고빈도 음절로 시작되는 단어의 재인이 더 느리고 재인 오류도 높다는 음절 빈도 효과는 한국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언어에서 일관되게 발견되지만, 한국어의 경우 현재까지 음절 빈도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에서 음절 빈도 효과가 발견되지 않는 원인이 음절과 단위가 일치하는 형태소 음절이 유발하는 의미 처리의 개입 때문일 수 있다 가정하고 의미의 개입이 없는 형식형태소로 시작하는 2음절 단어에서 음절 빈도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1명의 참가자들에게 고빈도 음절로 시작되는 단어와 저빈도 음절로 시작되는 단어의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고 이들의 행동 및 사건관련 뇌전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빈도 음절 단어가 저빈도 음절 단어에 비해 더 긴 반응시간과 많은 오류율을 보이는 음절 빈도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음절 빈도 효과는 P200과 N400 ERP 파형에서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에서도 비슷한 특성의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음절 빈도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며, 기존의 연구들에서 음절 빈도 효과가 발견되지 않은 이유가 음절에 포함된 의미 부호 때문이라는 가정을 뒷받침한다.

      • KCI등재

        시각적 단어재인에서 음운부호의 활성화 시점: 불규칙 단어재인 시 나타난 ERP 증거

        권유안,이선경,이윤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단어재인 과정에서 음운부호가 하위 어휘 수준(sublexical level)에서부터 활성화 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규칙 단어(예, 결백)와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불규칙 단어(예, 잡무)를 재인할 때 발생하는 사건관련 뇌전위(이하, ERP)를 비교하였다. 만약 어휘접근 이전에 음운부호가 활성화된다면 표기-음운 변환을 반영하는 N320에서 규칙 단어와 불규칙 단어의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21명의 어휘판단 과제 수행 시 수집된 ERP를 비교한 결과 예상한 바와 같이 불규칙 단어의 N320이 규칙 단어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시각적 단어재인 시에 음운부호가 하위 어휘 수준에서부터 활성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honological information of the visually presented word is activated before lexical access. To do so, the present study compared ERPs of the irregular words and regular words. Since N320 component has been known as an ERP component reflecting grapheme to phoneme conversion, we would expect different N320 waves between irregular and regular words if phonological information is activated before lexical access. As expected, the results showed larger N320 for irregular words than regular words. The present study supported the idea that phonological information is activated from the sublexical level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ing.

      • KCI등재

        한글과 영어단어는 뇌에서 다르게 처리되는가?

        권유안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4

        본 연구는 한글과 영어 단어가 뇌에서 동일한 처리 과정을 통해 의미에 도달하는지 아닌지를사건관련 뇌 전위(event-related potential, 이하 ERP) 측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시각적 단어 재인을위해서는 형태적 처리, 음운 처리, 그리고 의미 처리라는 최소 3단계의 처리 과정이 필요하고 각단계별로 한글과 영어 간 인지신경학적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go/no-go 어휘 판단 과제 시 발생하는 총 40명의 실험 참가자의 뇌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행동 반응이 아닌뇌파 측정을 사용한 이유는 행동 반응은 처리의 결과만을 반영하지만, 뇌파 측정법은 각 단계별처리의 과정을 직접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실험에 사용한 조건은 언어별 단어 빈도 차이로, 한글과 영어 단어의 고-저 빈도 단어의 차이를 6개의 시간 영역(W1~W6)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글과 영어의 차이는 거의 대부분의 시간대에서 차이가 발생하였지만 ERP 파형은 유사했고 뇌 활성화 전극의 위치도 거의 유사하였다. 단어 빈도 효과는 한글이 영어보다약 100ms 먼저 나타났다. 즉, 한글의 단어 빈도 효과는 W3(250ms~350ms)부터 나타났지만 영어의 단어 빈도 효과는 W4(350ms~450ms)부터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한글과 영어 단어 처리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시각 단어 처리 관련 변인을 반영하는 사건관련 뇌파 파형

        권유안,이윤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ERPs created by bigram frequency, syllable frequency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density in Korean visual words were correspond to the results from other alphabetic language studies. According to previous alphabetic language studies with English, the bigram frequency affects the modulation of ERP waveform in 100-200ms, the syllable frequency influences the change of ERP waveform in 200-300ms, and the orthographic neighborhood density induces the modulation of ERP waveform in 300-500ms. However, unlike other alphabetic languages, Korean writing system is based on syllables. Such distinct characteristics might bring different patterns of results in ERPs. To investigate such possibility, the present study collected EEGs from 30 participants while they read 100 words list composed of animal and object nam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bigram and syllable frequency of a word elicited the modulation of ERPs in 250-350ms while orthographic neighborhood density affected the modulation of ERPs in 350-500m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re might be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ERPs reflecting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es and ERPs reflecting other alphabetic languag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단어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변인들을 반영하는 사건관련 뇌파(ERP-event related potential) 파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국내외의 연구들에서 단어의 첫 두 철자 빈도, 음절 빈도, 표기 이웃 크기 등과 같은 변인들이 단어재인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국외 연구들에 따르면 두 철자 빈도에 따른 사건관련 뇌파의 변동이 100-200ms 시간대에서 관찰되며, 음절 빈도는 200-300ms 시간대, 그리고 표기 이웃 크기는 300-500ms 시간대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많이 연구된 영어권 국가의 철자 표기방식과는 달리 자음과 모음을 모아쓰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각 단어재인 변인들을 반영하는 ERP 파형의 과정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험 참가자 30명을 대상으로 동물 및 사물 이름 단어 100개를 재인할 때 발생하는 뇌파를 분석하여 시각 단어재인 변인들을 반영하는 ERP 파형이 국외 연구와 동일한지 비교하였다. 두 철자 빈도, 음절 빈도, 표기 이웃 크기를 독립 변인으로 한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한 결과 한국어 단어의 경우 두 철자 빈도와 음절 빈도가 약 250-350ms에서 발생하는 ERP 파형에 영향을 주었으며, 표기 이웃의 크기는 350-500ms에서 발생하는 ERP 파형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어의 모아쓰기 방식이 시각 단어재인 시 다른 알파벳 언어와는 다른 처리 과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시각 단어 재인시 나타나는 음절 빈도효과의 원인 규명 : 사건관련 뇌전위 연구

        권유안,이윤형 한국언어과학회 2015 언어과학 Vol.22 No.4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yllable type frequency or the syllable token frequency is responsible for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In the present ERP study, type and token frequencies of the experimental materials were orthogonally controlled and 20 participates were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200 and N400, which have been known as ERP components to mirror syllable processing, were affected by the modulation of the syllable token frequency rather than by the modulation of the syllable type frequenc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syllable type frequency is the major source of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 KCI등재

        동조의 인지적 처리 기제: 사건 관련 전위(ERP) 결과

        권유안,권남훈,김대환,유규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6

        People tend to follow other's opinion when they meet an ambiguous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via electroencephalogram (EEG), the stage and mechanism of the cognitive processing that is responsible for conformity behaviors. The cognitive processing of information is divided into 3 stages: the attention stage, the computing stage, and the integration stag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during which stage conformity and disconformity generated different ERPs, and also to find out the specific mechanism that was responsible for this difference. This study analyzed ERPs from an experiment where 25 participants conducted decision tasks in several contexts exhibiting either conformity or disconform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RPs of conformity and disconformity in the attention and computing stage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t the integration stage. We analyzed which mechanism of cognitive processing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modulation N400 that was the representative ERP component of the integration stage.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conformity behavior might be induced by the inhibition mechanism of cognitive processing. 사람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주변 사람들의 의견을 따르는 동조행동을 보인다. 본 연구는 동조행동을 유발하는 인지적 처리 단계가 언제인지 그리고 그 인지적 처리 기제가 무엇인지를 뇌파측정을 통해 규명하였다. 정보를 처리하는 인지적 처리 단계는 크게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는 단계와 입력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계산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통합하는 단계로 나뉜다. 동조행동이 어떤 단계에서 비동조행동과 다른 사건 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 이하 ERP)를 보이는지를 관찰하고 그 단계에서 나타난 ERP요인을 바탕으로 어떤 인지적 처리 기제가 작동하였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다. 이를 위해 동조수행과 비동조수행에서 발생한 25명의 뇌파를 수집하고 ERP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주의 단계 및 정보 계산 단계에서 동조와 비동조 수행 간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정보를 통합하는 단계에서 두 수행 간 차이가 발생하였고, 이 단계를 대표하는 ERP요인인 N400의 진폭차이가 어떤 인지적 처리 기제에 의해 변동하는지를 논의에서 상술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결과를 통해 동조행동은 개인이 접한 정보를 보다 잘 억제하는 인지적 처리 기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제안하였다.

      • 한국어 시각단어재인에서 나타나는 이웃효과

        권유안,조혜숙,김충명,남기춘,Kwon, You-An,Cho, Hyae-Suk,Kim, Choong-Myung,Nam, Ki-Chun 대한음성학회 2006 말소리 Vol.60 No.-

        We investigated whether the first syllab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xical access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To do so, one lexical decision task (LDT) and two form primed LDT experiments examined the nature of the syllabic neighborhood effect. In Experiment 1, the syllabic neighborhood density and the syllabic neighborhood frequency was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lexical decision latencies were only influenced by the syllabic neighborhood frequency. The purpose of experiment 2 was to confirm the results of experiment 1 with form-primed LDT task. The lexical decision latency was slower in form-related condition compared to form-unrelated condition. The effect of syllabic neighborhood density was significant only in form-related condition. This means that the first syllab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b-lexical process. In Experiment 3, we conducted another form-primed LDT task manipulating the number of syllabic neighbors in words with higher frequency neighborhood. The interaction of syllabic neighborhood density and form relation was significant. This result confirmed that the words with higher frequency neighborhood are more inhibited by neighbors sharing the first syllable than words with no higher frequency neighborhood in the lexical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irst syllable is the unit of neighborhood and the unit of representation in sub-lexical representation is syllabl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