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참여적 리더십이 대인관계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탁제운(Tak, Je-Woon),김민경(Kim, Min-Kyung),신제구(Shin, Je-Goo)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7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ve leadership)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참여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들의 대인관계 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목표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 종업원 300인 이상 기업에 종사하는 283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참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목표몰입에 정(+)적인 관계가 있고 목표몰입을 완전매개로 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사람중심형 대인관계 시민행동과 과업중심형 대인관계 시민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ordinate s go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interpers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re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283 members of the company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goal commitment of the subordina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focused interpers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ask-focused interpersonal citizenship behavior .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참여적 리더십이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 리더신뢰와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탁제운 ( Tak Jewoon ),신제구 ( Shin Jego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이 리더신뢰와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리더십 개발과 훈련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업종의 국내기업 직장인들로부터 수집된 33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리더십은 리더신뢰와 심리적 안전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참여적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간 관계에는 리더신뢰를 경유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심리적 안전감은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신뢰와 발언행동 간 관계 및 리더신뢰와 목표몰입 간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을 경유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리더신뢰는 발언행동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몰입에는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이 리더신뢰와 심리적 안전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고, 이를 통해 발언행동과 목표몰입이 향상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이론적으로 참여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을 확장하였고, 리더십 역량 향상에 관한 실무적 제안과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voice behavior and goal commitment through trust-in-leader and psychological safety of members,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adership development and training along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A total of 33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businessmen in various indus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in-leader and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indirect effect of trust-in-lea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safety was confirmed. Psychological safety has a positive effect on voice behavior and goal commitment.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in-leader and voice behavior and between trust-in-leader and goal commitment. In addition, trust-in-leader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voice behavior, bu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oal commitmen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exerts a positive effect on trust-in-leader and psychological safety, and that it improves the voice behavior and goal commitment. In addition, theoretically, we expand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studies o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suggested a practical proposal for improving leadership competen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참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리더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영향과 구성원의 성장 마인드셋과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조절효과

        탁제운(Jewoon, Tak),김민경(Minkyoung, Kim),신제구(Jegoo, Shi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유연하고 민첩한 대응이 요구되는 경영 환경에서 리더가 구성원들과 함께 문제해결 과정을 공유하는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ve leadership)의 선행요인과 경계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여적 리더십에 관한 기존연구와 계획된 행동 이론에 기반하여, 리더 개인과 관련된 선행요인으로 리더의 자기지향 완벽주의(self-oriented perfectionism)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참여적 리더십 간 관계의 1차적인 경계조건(제1조절변수)으로 구성원의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을 다루었고, 2차적인 경계조건(제2조절변수)으로 구성원의 권력거리성향(power distance orientation)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가설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위하여 상사를 둔 국내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모든 변수에 대한 측정은 구성원 개인 차원에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적 리더십의 선행요인으로서 완벽주의의 적응적 측면인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그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원과 조직문화에 관한 조건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적응적 완벽주의에 관한 보다 활발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실무적 관점에서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참여적 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리더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참여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구성원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리더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참여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구성원 성장 마인드셋과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조절효과(3원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관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a business environment where more flexible and agile responses are required, this study sought to present the antecedent and boundary condition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in which leaders share the problem-solving process with employees. Based on existing research o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focused on self-oriented perfectionism of the leader as an anteceden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articipative leadership, the growth mindset of the employees was set as the first boundary condition, and the power distance orientation of the employe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ulture was set as the second boundary condition. For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domestic workers with supervisors and all variables were measured at the individual level of the employees. We sought to verify the validity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ich is the adaptive aspect of perfectionism as an anteceden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to identify the conditions on the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ing such relations. Based on these studies, we aimed to raise the need for more active research on adaptive perfectionism and to provide suggestions on how to manage human resource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lead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tive leadership.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moderation effect of growth mind 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articipative leadership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self-orientated perfectionism and participative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moderated moderation effect (three-way interaction) of growth mindset and power distance orientation were significant. Implications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참여적 리더십이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장욕구강도에 의해 조절된 리더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탁제운(Je-woon, Tak),신제구(Je-goo, Shi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리더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 리더신뢰의 매개효과가 구성원의 성장욕구강도에 의해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보고형 설문방식의 측정으로 나타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 common method bias )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속변수는 시차를 두고 별도로 측정하였으며, 직무상황 에서 정서 상태를 표현해주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직급과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다. 국내 3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된 37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목표몰입과 리더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리더신뢰는 목표몰입에 정( + ) 의 영향을 미쳤다. 리더신뢰는 참여적 리더십과 목표몰입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고, 성장욕구강도는 리더신뢰와 목표 몰입 간 관계를 부( - ) 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참여적 리더십이 목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리더신뢰의 매개효과는 성장욕구강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건부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구성원들이 리더를 더 신뢰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목표몰입 수준이 향상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참여적 리더십과 목표몰입간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또한 성장욕구강도의 단순 조절효과뿐만 아니라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성장욕구강도의 역할을 보다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탐색하였고 그동안 조절변수로서의 유의성이 혼재되어 왔던 성장욕구강도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the goal commitment by mediating trust in leader and to identify the mechanism by which the mediator effect of trust in leader is moderated by the growth needs strength.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separately with time lag as a method to solve the common method bias that can be shown by the self-report type survey method, and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expressing emotional states in job situations were employed as control variables along with rank. A total of 37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ho work for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with more than 300 domestic employe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oal commitment and trust in leader, and trust in lead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oal commitment. Trust in leader played a partial medi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goal commitment. Growth need strength played a negative mode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leader and goal commitment. Particularly,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leader is moderated by growth need strength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influencing goal commitment and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This study examined the mechanism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goal commitment that were relatively lacking in research by empirically verifying that the more participative leadership leads to the more trust in leader and the higher the level of goal commitment. The crucial valu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growth need strength as a whole and integrative view by clarifying not only the simple moderation effect of growth need strength but als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on the growth need strength which has been mixed with the significance as a moderating variable is expanded.

      • KCI등재

        협력의 선행요인과 경계조건에 관한 연구 : 형평 민감성, 참여적 리더십, 권력거리의 역할

        탁제운(Je Woon Tak),정재영(Jae Young Chung ),신제구(Je Goo Shin) 리더십학회 2020 리더십연구 Vol.11 No.5

        비대면 방식의 효과적인 조직 운영이 요구되는 경영 환경에서 조직 내 구성원 간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성 활성화 이론을 토대로 구성원 개인 수준에서협력의 선행요인과 경계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협력의 선행요인은 호혜 규범의 개인 차이에 관한 특성으로서 형평 민감성을 설정하고, 경계조건은 사회적 요인으로서 참여적 리더십과 조직적요인으로서 권력거리를 검토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종업원 규모가 300인 이상인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수집한 294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형평 민감성과 협력 간 주효과는유의하였다. 둘째, 참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참여적 리더십과 권력거리의 조절된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특히 조절된 조절효과의 분석 결과에서는 구성원의 참여 기대 수준(권력거리)과 실제 참여 수준(참여적 리더십)의 차이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함의가 확인되었고, 이에 더하여 보다 심층적인 결과가 밝혀졌다. 즉 형평 민감성과 협력의 관계에서 ‘결정균형’ 의 긍정적인 영향력이 검증되었고, 결정균형의 두 유형(높은 결정균형, 낮은 결정균형)에 관한 차별적 효과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형평 민감성 이론을 적용하여 형평성에 대한 선호도의 개인 차이가 협력에 미치는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고, 형평 민감성과 협력의 관계에서 사회적 원천(참여적 리더십)과 조직적 원천(권력거리)에 의한 복합적 효과를 밝힘으로써 협력의 선행요인과 경계조건에 관한 기존연구를 확장하였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s further emphasized in a management environment where effective non-face-to-face organizational operations are required. Based on trait activation theory,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boundary conditions of cooperation at individual level. Equity sensitivity, which mean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ciprocity norms, was set as the antecedents of cooperation, and the boundary condition was reviewed for participative leadership as a social factor and power distance as an organizational facto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29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collected from office workers at domestic companies with 300 or more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effect between equity sensitivity and cooperation was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was not significant. Third,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power distance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moderated moderation effects confirmed the implications of prior studie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level of participation (power distance) of members and the actual level of participation (participative leadership). In addition, more in-depth results have been revealed. In other words, the positive influence of ‘decisional equilibrium’ in the relationship of equity sensitivity and cooperation has been verified, and the discriminatory effect on the two types of decisional equilibrium (high decisional equilibrium, low decisional equilibrium) has been newly discovered.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preferences for equity on cooperation by applying equity sensitivity theory. And this study expanded the existing research on antecedents and boundary conditions of cooperation by revealing the complex effects by social sources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ources (power distance) in the relationship of equity sensitivity and cooper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presented.

      • 참여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

        탁제운(Tak Je Woon),오호준(Oh Ho June),신제구(Shin Je Goo)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8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ve leadership)과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creative behavior) 간의 관계에서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종업원 300인 이상의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 중 상사를 둔 구성원 309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여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적 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 간 집단지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참여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 간 집단지성의 완전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으며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of subordinates.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re verified by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for 309 employees among the employees who work in domestic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tive leadership has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e creative behaviors of subordinates, and indirect positive influence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has been confirmed. This prove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참여적 리더십이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

        탁제운(Jewoon Tak),신제구(Jegoo Shin) 대한경영학회 2017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ve leadership)이 구성원의 목표몰입(goal commitment)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발언행동(voice behavior, 제1 조절변수)의 조절작용이 리더신뢰(trust in leader, 제2 조절변수)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조절효과(moderated moderation)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형 설문방식의 측정으로 나타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시차를 두고 별도로 측정하였고, 직무상황에서 정서상태를 표현해주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직급과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다. 국내 3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된 33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은 각각 목표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참여적 리더십이 목표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발언행동(제1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참여적 리더십, 발언행동, 그리고 리더신뢰(제2 조절변수)의 3원 상호효과가 목표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 간의 2원 상호작용효과가 리더신뢰에 의해 조절되는 조건부 조절효과(조절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존슨-네이만 방법(Johnson-Neyman Technique)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탐색한 결과 조건부 조절효과는 리더신뢰 수준의 전체 영역 중 상위 86.9%영역에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하위 13.1% 영역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과 W값의 특정값(조합)에서의 X가 Y에 미치는 조건부효과를 살펴본 결과 발언행동의 수준에 따른 조건부효과의 차이는 리더신뢰가 높을수록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 리더신뢰, 발언행동의 3원 상호작용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참여적 리더십과 목표몰입 간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규명하였다. 특히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의 조건부 상호효과에 관하여 리더신뢰의 수준에 따른 유의성 영역(region of significance)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다중조절효과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of moderated moderation in which the moderation of voice behavior is moderated by trust-in-leader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ffecting the goal commitment. Participative leadership is a leadership style in which leaders share problem solving through consultation with members before making decisions(Kahai, Sosik and Avolio, 1997). In an environment where change is rapid and uncertainty increases, it is already over the limit that leaders make all decisions. Because members have more comple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ir jobs than managers and are better positioned to address barriers (Cooke, 1994), participative leadership is needed to involve members in decision making and make decisions toge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of moderated moderation in which the moderation of voice behavior is moderated by trust-in-leader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ffecting the goal commitment.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separately with time lag as a method to alleviate the common method bias that might appear in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ement, and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expressing emotional states in job situations were employed as the control variables together with the rank.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in the second step. This questionnaire, which was divided into two parts,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or employees with a boss as employees who work for more than 300 domestic companies such as manufacturing, servi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Of the collected data, 337 copies were ultimately used, except for those that were deemed inadequate. As a result,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goal commitment.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ffecting goal commi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voice behavior (first control variable) was not significant, but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voice behavior, and trust-in-leader (second control variable) 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n goal commitment. Therefore, the conditional moderation(moderated moderation) in which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was moderated by trust-in-leader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using the Johnson-Neyman Technique, the conditional moder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top 86.9% of the total confidence level of trust-in-leader, while the lower 13.1% did not. We also found that the conditional effect of X on Y in a specific value (combination) of M and W was found to be increased with higher trust-in-leader. This study deeply investigated the mechanisms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goal commitment that were relatively lacking in research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trust-in-leader, and voice behavior.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that the implications of in-depth research on the multiple regulatory effects are presented by specifically identifying the region of significance of the conditional interaction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