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 :

        최혜지(Hye ji Choi),이태수(Tae Soo Lee),홍영준(Young Joon Hong),김형용(Hyoung Yo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7 No.-

        This study was postulated from prepositions that social welfare is a political product and there has been no positive signal for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workers. Based on the notion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measurements to promote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workers by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Data from 1062 social workers working in Seoul Metropolitan city are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er level of perception on social worker s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garding boht social action and social worker s role. More positive perception on social worker 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lower level of readines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political efficacy. The higher level of political efficacy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social worker s role-oriented political participation. Measurements to promote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work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정의를 위해 사회복지사의 정치적 규합과 동력이 절실한 함에도 국내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가 발아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치참여의 유형을 세분화 하고, 각 유형별 정치참여의 결정요인을 밝혀 사회복지사 정치참여 활성화의 단초를 찾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참 여를 다룬 국내외 선행연구로부터 국내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도출했으며, 의도적 표집을 통해 추출된 1062명 서울시 사회복지사의 자료를 이용해 도출된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사회운동형, 사회복지 직무기반형 정치참여 수준이 증가했다.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정치참여에 대한 준비도는 낮을수록 정치적 효능감은 증가했으며, 정치적 효능감이 높은 사회복지사일수록 사회복지 직무기반형 정치참여 수준이 증가했다. 정부역할에 대한 인식은 정치적 효능감과 모든 유형의 정치참여 수준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정치참여 기회의 확대, 정치행위자로 준비될 수 있는 교과의 설계 등,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 KCI등재

        Cultural Cross-Validation of Caregiving Appraisal Scale

        최혜지(Hye Ji Choi)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ed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Caregiving Appraisal Scale (KCAS). 1) The study was designed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Data set was originally from the "study on family caregiving for dependent elders" by Yang. 2) Information of two hundred and five primary caregivers of dependent elders was analyzed. Validity of KCAS was investigated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factor structure of KCAS was examin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four fit indices fell short of acceptable level fits to the hypothesized factor model (Goodness of fit index=.77; Bentler-Bonnett index=.80; Hoelter index=71.93; Chi-square=545.92), showing a significant departure of the data from the hypothesized model. 4) AIso,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inconsistent with CAS, KCAS had a three-factor-structur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ed diversities in family caregiving across cultures and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cross-validation of social measurements. 본 연구는 한국어 번역본 가족 부양 사정 척도의 문화적 교차 타당도를 한국 노인의 가족 부양자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차 자료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양옥경의 '의존성 노인을 위한 가족 부양에 관한 연구'로부터 얻어졌다. 양옥경의 연구는 205명의 의존성 노인과 그의 일차 부양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화적 교차 타당도는 확인적 요인분석방법에 의해 조사되었으며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방법을 통해 KCAS의 요인 구조도 비교조사 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 가족 부양자로부터 추출된 자료가 가정된 요인구조를 재현해낸 정도는 4가지 적합지수로 (fit index) 산출되었으며 산출된 4 적합지수 모두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oodness of fit index=.77; Bentler-Bonnett index=.80; Hoelter index=71.93; Chi-square=545.92).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한국어 번역본 가족 부양 사정 척도는 세 요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써 한국어 번역본 가족 부양 사정척도의 요인구조는 가정된 가족 부양 사정 척도의 요인 구조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는 한국어 번역본 가족 부양 사정 척도의 타당도 결함 문제를 지적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타 문화권에서 개발된 사회척도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사전 계량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기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

        최혜지(Choi Hye-Ji)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4

          본 연구는 성역할 관념 가설을 이론적 근거로 성역할 태도가 기혼취업여성의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2차 자료를 이용한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2004 생활시간조사의 원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대상자는 6511명 기혼취업여성이며,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을 설명하는 두개의 로지스틱회귀모형이 분석되었다.<BR>  분석결과,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초등학교 졸업, 중ㆍ고등학교 졸업이나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많을수록, 임금노동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성역할에 대한 전통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미취학자녀가 있으며, 초등학교 졸업, 중ㆍ고등학교 졸업이나 전문대 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높을수록, 임금노동시간이 높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달리,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성역할 태도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본 연구의 결과는 성역할에 전통적 태도를 강고 있는 여성은 임금노동을 자신의 일로 수용하는 정도가 낮아 성역할에 근대적 태도를 갖고 있는 여성과 동일한 시간을 임금노동에 투입한 경우에도,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을 상대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인식하는 반면, 가사노동에 대한 시간부족은 성역할에 대한 태도와 관계없이 대부분의 여성이 자신의 일로 수용하기 때문에 가사노동에 투입한 시간만이 시간부족인식 정도를 결정한다는 것을 시사했다. 끝으로 기혼취업여성의 시간부족인식을 완화하기 위한 합의를 양성 평등적 기치관의 신장, 보육시설 시간의 연동적 운영, 시간관리 프로그램의 확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Guided by sex role hypothe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ttitude as to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on the level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 and unpaid work among working married women.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this study analysed the secondary date set, 2004 Life Time Investig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6511 working married women. Two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analysed for the perceived lack of time in each work.<B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igher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education, the higher levels of income, more time-use in paid work, and the traditional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Also, the higher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unpaid work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aising preschoolers, the higher levels of education, less time-use in unpaid work, less time-use in paid work. However, the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BR>  The reason why the non traditional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ime-use not in unpaid work but in paid work would be explained by whether working married woman accepted paid and unpaid works as their own duties or no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ㆍ심리적 패러다임에 의한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최혜지(Choi Hye-Ji),이영분(Lee Young-B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3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계층적 성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65세 이상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을 결정하는 개념적 구조를 고찰하였다. '충주지역 고령인구의 보건ㆍ복지실태'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25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은퇴준비를 위한 재정적 지식'과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 사이의 인과관계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된 구조방정식모형의 모형합치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격의 표면적 특성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계층적 성격이론과 지식은 행동의도가 실질적 행동으로 표면화되는데 결정적 변인이라는 계획된 행동이론의 논지를 실증하였다. 끝으로,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를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 본 연구가 제안하는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ceptual constructions which determine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This study was guided by two theoretical frameworks, planned behavior theory and hierarchical personality model. Based on two theories, the conceptual framework which aimed to explai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were formulated.<br/> Data from 'The health and welfare profile of the elderly aged 65 and or older in Chung-choo city' was analyzed. The subjects consisted of 87 economically active elderly population.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es.<br/> The results of structure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erceived financial-planning knowledge and the level of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had the good model fi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구조적 차원성 탐색을 통한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의 재발견

        최혜지(Choi Hye-Ji),이영분(Lee Young-B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3

        본 연구는 구조적 차원성 탐색을 통한 최성재의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의 재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주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7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는 세 개의 이론적 구인으로 구성된 다차원 구조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규명된 구인은 ‘긍정적 정서와 주관적 만족감’, ‘부정적 자아상과 부정적 정서’, 그리고 ‘자기 가치’로 명명되었다. 세 구인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내적 구조에 근거한 타당도’ 또한 모두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긍정적 정서와 주관적 만족감’ 그리고 ‘부정적 자아상과 부정적 정서’는 수렴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가치’는 높은 수렴 타당도를 보인 반면 판별 타당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를 단일 차원 구조로 제시한 개발자의 견해와 달리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의 다차원 구조를 검증함으로써 다수의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끝으로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의 구조적 차원성이 개발자의 연구와 본 연구에서 상이하게 나타난 원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dimensional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identified theoretical constructs of the '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LSSE)', which was developed by Choi, Sung-Jae in 1986. Data was obtained from 'The survey of health and welfare status of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in Chung-Choo city'. The subjects were 275 elderly. Results showed that LSSE had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with three theoretical constructs. Each theoretical construct was named as 'positive affect and subjective satisfaction', 'negative self image and affect', and 'self-value'. Three theoretical constructs had high level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internal construct. 'Positive affect and subjective satisfaction' and 'negative self image and affect' showed high level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elf-value' had a high level of convergent validity but acceptable level of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oretical dimensionality of LSSE between this study and Choi's study, which explained the dimensionality of LSSE as a single dimension.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regarding theoretical dimensionality supported findings from existing studies which insisted that life satisfaction had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 KCI등재
      • KCI등재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최혜지(Choi Hye-ji)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1

        본 연구는 문화적응에 대한 다차원적 이론을 근거로, 문화적응유형을 주변화, 분리, 동화, 통합유형으로 구분하여, 첫째, 이주여성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의 차이를 밝히고, 둘째,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을 판별하는 특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회조사연구로 설계되었으며 346명 이주여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은 주변화유형이 37%, 통합유형이 30%, 분리유형 18%, 동화유형이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국적, 낮은 연령, 낮은 교육수준, 유배우자는 통ㅇ합유형, 긴 거주기간, 많은 자녀수, 낮은 회복력은 동화유형 이주여성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북한·중국·일본국적, 높은 연령, 높은 교육년수, 직업 없음, 무배우자, 낮은 대처능력은 주변화유형, 그리고 높은 연령, 높은 교육년수, 배우자와의 적은 연령차, 적은 수의 자녀는 분리유형 이주여성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 국적, 연령, 교육년수, 유배우자, 자녀의 수는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을 유의미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특성은 통합유형의 80% 이상을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문화적응유형별로 해당 이주여성의 공통된 특성을 도출하여 이주문화습득과 원문화유지의 위험요인을 규명해야 하는 필요성과 이주여성의 통합적 문화적응을 위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ed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which discriminated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among immigrated women in Korea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on acculturation. The study was designed as a social survey study. Data from 346 immigrated women were analyzed. Findings indicated that 37% of the respondents were marginalization, 30% were integration, 18% were segregation, and 15% were assimilation. Integration was associated with Vietnam nationality, younger age, lower level of education. Assimilation was related to longer period of residence, higher number of children, lower level of resilience. Marginalization was associated with North Korea, Japan, China nationality, older age, higher level of education. Segregation was related to older age, higher level of education, lower number of children. Also, Southeast nationality, age, level of education, spouse, and number of children significantly discriminated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Especially, the rate of correct discrimination was 80% only for integ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혜인 ( Choi Hye-in ),이경화 ( Lee Kyung-hwa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인지 조망수용(타인 의도조망, 타인 사고조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감정 조망수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동작구, 서초구에 위치한 A어린이집, B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각각 19명씩 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도구는 Hudson, Forman과 Brion(1982)의 조망수용 검사를 기초로 신현옥(1996)이 번안한 것을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도구로는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12권을 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t-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 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인지 조망수용(타인 의도조망, 타인 사고조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감정조망수용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조망수용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다면 유아의 조망수용을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on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by applying story sharing activity based on the selected theory of mind.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ill story shar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 which contains elements of theory of mind has positive influences on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taking(perspective-taking of others' intention and thought)? 2. Will story shar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 which contains elements of theory of mind has positive influences on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 children ages of 4 from two different groups which has 19 children of each group from 2 different kindergartens located in Dongjak gu and Seocho gu in Seoul. The test tool for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by Shin Hyun Ok(1996) is based on the study by Hudson, Forman and Brion(1982) is rect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examine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story sharing activity with the tools of 12 picture books that contain elements of theory of mind. The finding wa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38 children was verified by t-test applied with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s were partly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who were applied the story sharing activity with the tool of picture book which contains the elements of theory of mind to develop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Second, the story sharing activity with the tool of picture book which contains the elements of theory of mind has positive effects developing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above results in the study prove that the story sharing activity with the tool of picture book which contains the elements of theory of mind is an effective program developing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 KCI등재

        다문화 실천인력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최혜지(Hye Ji Cho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연구는 민족적 다양성 확대에 따른 사회적 다문화화를 배경으로 다문화 실천인력의 문화적 역량의 실태를 파악하고,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사회조사연구로 설계되었으며 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지닌 다문화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다문화 실천인력 420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우리나라 다문화 실천인력의 문화적 역량은 문화적 지식, 문화적 인식, 문화적 기술 모두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방문, 외국거주, 외국인 친구, 외국어 능력 등의 사적 경험에 따라 주로 문화적 인식과 문화적 기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기관 근무기간, 서비스를 제공한 다문화 클라이언트 수, 현 근무기관유형, 현 근무기관의 다문화 클라이언트 비율, 다문화 관련 교육 경험 등의 전문적 경험에 따라서는 주로 문화적 지식과 문화적 기술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다문화 실천인력의 문화적 역량 증진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in multi-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e of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guided by growing multiculturalism in current Korean society. Survey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and data from 420 subjects who had ever provided direct services to cli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l levels of cultural competence among the subjects were fairly high. According to visiting foreign countries, residing in foreign countries, and having friends from foreign countr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skills across groups. Also, based on years in service setting, years providing multicultural services, and numbers of multicultural clients to whom provided servi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