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정치철학의 의미에 대한 하나의 탐구

        최치원 ( Chi Won Choi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論集 Vol.38 No.2

        본 논문은 정치철학의 의미를 가능하다면 보다 포괄적인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본 논문은 정치철학이 사장과 이론 그리고 방법 및 역사가 서로 교류하는 하나의 학문이 될 수 있다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든 정치철학은 다 정치사장이지만, 모든 정치사장이 다 정치철학은 아니다’ 와 같은 정치철학에 대한 이해방식을 따르지는 않을 것이다. 본 논문이 근본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것은 정치철학의 의미가 단지 ‘지혜’ 에 대한 앎만을 의미하는 철학의 영역으로 축소되어 이해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포괄적인 입장께서 논의를 전개한다는 취지에 따라서 본 논문은 논의 과정에서 정치철학에 대해서 어떤 분명한 규정을 내리는 일은 피할 것이다. 정치철학의 의미가 철학에 대한 특정의 고정관념의 틀을 통해 편협하게 이해될 이유는 없을 것이며, 따라서 정치철학에 내재해 있는 반성능력과 현실 비판의 능력이 제한될 이유도 없을 것이다. 본 논문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정치철학이 전제하고 있는 철학이 순수 이론과 사장의 영역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고, 인간 삶의 구체적 경험과 역사의 문제까지도 자신의 영역 속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게 되었을 때 정치철학은 자신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본 논의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정치철학이 진정한 의미의 정치철학이 되려면, 그것은 사회철학 그리고 여타의 인문· 사회과학의 이론들 그리고 필요하다면 역사 및 역사적 현실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의 ‘논리적 역사’ , 즉 ‘지식내부사’를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is a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olitical philosophy. It will explore the meaning of political philosophy from the various aspects, and through this, it will try to present a unified model of a political philosophy. For that purpose, this paper will develop a discussion on the basis of a rather comprehensive and problem-inducing stream of consciousness, and thereby consider the question of political philosophy in all its aspects. But this paper will avoid to give a clear definition of the political philosophy: There would be no reason why political philosophy should confine itself to a fixed framework of idea, and why it should, under the name of philosophy meaning ``wisdom``, cripple its reflective capability and critical power of the reality inherent in itself. Especially, this it will show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way of thinking like ``all political philosophy is political thought but not all political thought is political philosophy``.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show that political philosophy needs a communication, not only with the philosophy and social philosophy, but also other human & social sciences, and that if necessary, there should be an exchange between political philosophy and historical realities; in this way, political philosophy should develop its own ``internal history``, d. h. ``logical history``.

      • KCI등재

        "Sensu cosmopolitico" 속의 동북아시아공동체 - 근대기획과 탈근대적 성찰의 문제 -

        최치원 ( Chi Won Choi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1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동북아시아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이라는 삼국의 특수성 속에서 유럽연합(EU)과 같은 하나의 보편적인 이해의 지평을 전개시키지 못한 현실을 보여준다. 패권과 전쟁 그리고 침략과 희생의 경험 속에서 서로가 서로에 대해 우월의식과 패배의식 그리고 저항의식을 전개시켜 나간 역사로 인해 동북아시아에서는 ``동북아시아``라고 부를 수 있는 그 어떤 하나의 공통의 이해의 지평을 만들어 내는 것이 불가능한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특정 국가의 역사와 의식에 구속되지 않는 그 어떤 하나의 보편적인 관점이 전개될 수 있고, 또한 공유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고려는 필요할 것이다. 가능성에 대한 고려는 ``자신`` 혹은 ``우리``로 이해될 있는 동북아시아가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고서는 기대될 수 없을 것이다. 본 논의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 칸트적 의미의 ``sensu cosmopolitico(세계시민적 취지)``로부터 동북아시아의 근대와 그리고 탈근대로 이해될 수 있는 현재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러한 가능성 및 그것의 한계에 대한 하나의 대답을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Today, it is the reality that the East Asia, where we now live, has not yet developed a universal horizon of a understanding like that of the European Union. Hegemonical struggle, war, invasion and sacrifice in the East Asian history were those ones from which we developed a negative consciousness of superiority, defeatism and resistance, which seems to make impossible to build a common identity ``East Asian community`` here. Nevertheles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a possibility for developing a universal perspective which is beyond a limited boundary of nation and historical mind and can be therefore shared by us. Considering such a possibility presupposes to know what really the East Asia(``we`` or ``I``). So, this article will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odernity and the postmodernity from ``sensu cosmopolitico`` which is borrowed from Immanuel Kant, and tries to show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universal horizon of the understanding of East Asia, and its limits as well.

      • KCI등재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 테오리아(이론)와 프락시스(실천) 개념의 정치사상적 해석

        최치원(Chi-Won Choi)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5

        본 연구는 정치사상이 자기이해를 위한 인식의 출발을 이론과 실천의 문제로부터 삼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 입각해서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통해 정치학에 대한 함의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과학적 정치ㆍ사회철학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을 정치사상적으로 해석한다. 하버마스는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의미가 아퀴나스에게서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이 변형은 후에 마키아벨리와 모어에서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고, 종국에는 홉즈에게서 어떤 식으로 완성되었는지를 상세히 논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하버마스에 대한 정치사상적 독해를 통해 오늘날의 정치학의 방법을 근본적으로 특징짓고 있는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분리 문제와 정치를 과학적 확실성에 입각하여 테크네와 포이에시스로 치환하려는 문제를 성찰하고자 한다.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문제를 탐구하는 것은 정치학, 정치사상 그리고 현실이라는 세 가지 차원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arts with the questions of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thought and explores the relations between theory(theoria) and praxis. For this purpose, it interprets Jurgen Habermas’s concept of theory and praxis. Habermas criticizes above all More, Machiavelli. Hobbes because they, based on Aquinas’s concept of politics, transformed ‘praxis’/ ‘phronesis’ into a question of order and domination. According to him, they also transformed ‘theoria’ into a question of science and techniques for the manipulation of human activity, which led to the loss of the meaning of politics. The theoretical ground for his critics is the classical tradition of theoria from Aristotle to Vico,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hronesis and praxis in the political life. In sum, the nvestigation of theoria and praxi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 critically the three-dimensional question of politics, political thought and reality. Especially, it could give a chance to retrospect problems of politics in the name of science, which thus adheres to scientific exactness and technological accuracy corresponding to an ideal of thechne and poesis.

      • KCI등재

        말씀 선포의 자리, 독서대의 기원

        최치원(Chi-Won Choi)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9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모국어로 전례를 거행하도록 허락하였고, 미사를 이루는 두 부분인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는 “서로 밀접히 결합되어 오직 하나의 예배 행위”(IGMR 28)를 이룬다며 전례 안에서 말씀의 중요성을 복원하였다. 전례예식 중에 하느님 말씀은 독서대에서 선포된다. 이 선포는 살아있고 역동적이며 말씀전례의 핵심적인 활동이다. “그리스도께서는 … 당신 말씀 안에 현존하시어, 교회에서 성경을 읽을 때에 당신 친히 말씀”(SC 7)하시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씀이 선포되고 말씀하시는 분께서 현존하시는 자리인 독서대도 그 중요성에 합당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구약성경에서부터 하느님 말씀을 선포하고 듣는 행위는 전례적 공동체의 본질적인 행위였다. 특히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과 맺은 계약의 책인 율법(토라)은 정기적으로 읽고 기억하여 후손들에게 전해주어야 했다. 토라를 읽는 구체적인 자리에 대한 언급은 느헤미야서 8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일에 쓰려고 만든 나무 단”(8,4)이 그리스도교 말씀 전례가 거행되는 독서대의 기원이라 할 수 있다. 바빌론 유배 이후 유다인들은 하느님 말씀을 듣고 기도하기 위해 회당에 모였다. 시나고가에는 율법서를 읽는 독서자와 율법을 해설하고 교육하는 자를 위한 연단인 베마(βῆμα)가 자리하고 있었다. 예수님께서는 안식일에 하느님 말씀이 선포되던 회당의 모임에 ‘늘’ 참석하셨다. 특히 첫 복음 선포는 나자렛 회당에서 이루어졌다(루카 4,16-20). 예수님께서 회당에서 선포하신 ‘기쁜 소식’은 말씀 전례가 시작된 순간이다. 예수님께서는 일어나시어 이사야 두루마리가 ‘건네지고’ 두루마리를 ‘펴신다’. 나자렛 회당에서 책을 펼친 예수님은 천상 전례의 어린양으로써 이 행위를 완성하신다. 책을 여는 행위는 희생된 어린양이 천상전례를 거행하고 완성하는 종말론적인 행위이며,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의 신비를 가시적으로 드러낸다. 따라서 예수님의 그 복음이 현재 우리에게 선포되는 독서대(αμβων)는 그저 책을 읽는 곳이 아닌 더 깊은 차원의 전례적 예식이 거행되고 실현되는 곳임을 알 수 있다. ‘독서대’라고 말하면 우리는 쉽게 성당 제단 위에 세워진 책틀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독서대는 단순히 성경책을 올려두기 위한 ‘가구’ 혹은 마이크와 같은 기능적인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기물’로만 치부할 수는 없다. 독서대는 전례예식 중에 하느님 말씀이 선포되는 ‘자리’이며 특별히 ‘복음의 자리(locus Verbi)’이기 때문이다. 독서대에서 흘러나오는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회중이 모인 자리이며, 말씀 자체이신 분이 현존하시는 현장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The Second Vatican Council granted the use of vernacular languages in liturgy, and restored the importance of the Word in liturgy, since the two parts of the Mass — ‘the Liturgy of Words’ and ‘the Liturgy of the Holy Communion’ — are “closely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only one act of worship” (IGMR 28). During the liturgical ceremony, the Word of God was proclaimed on the ‘ambo’ (the reading table). The declaration is alive and dynamic, and is the core act in the Liturgy of Words. It is because of fact that “Christ is present in His word, since it is He Himself who speaks when the holy scriptures are read in the Church.”(SC 7) Therefore, the ‘ambo’, the place where the Speaker (Christ) exists, should be reasonably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as well. From the Old Testament, the proclaiming and listening act of God’s words was an essential act of a liturgical community. In particular, the book of covenant that Moses made with God on Mount Sinai, had to be regularly read, remembered, and delivered to descendants. Reference to the specific place to read the law can be found in Chapter 8 of the Nehemiah Book. The “wooden platform made for use in this work”(8,4)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the ‘ambo’ where the Liturgy of Word is held. After the exile to Babylon, the Jews gathered in the synagogue to listen to the Word of God and to pray. In synagogue, there was a platform called Bema(βῆμα), for readers who read the law and for those who explain and educate the law. Jesus ‘always’ attended meetings of synagogues where God’s words were declared on the Sabbath. In particular, the first place of proclaiming the gospel was the Nazareth synagogue(Luke 4,16-20). The ‘Good news’ declared by Jesus in the synagogue is the moment when the Liturgy of Words began. Jesus stood up and was ‘handed’ a scroll of the Isaiah, and ‘unrolled’ the scroll. Jesus, who opened the book at Nazareth synagogue, has completed this act as a lamb of God heavenly liturgy. The act of opening the book is an apocalyptic act in which the victimized lamb performs and completes a heavenly liturgy. It visually reveals the mystery of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Therefore, the reading table(αμβων), where Jesus’ gospel is currently proclaimed to us, is not simply a place to read books, but also a place of celebrating and realizing a deeper level of precedent ceremonies. In general, the word “ambo” reminds us of a book frame by the altar of the church. However, the ‘ambo’ is not just considered as ‘furniture’ for carrying the Bible or as ‘object’ for installing functional equipment such as microphones. This is because the ‘ambo’ is the ‘place’ where the Word of God is proclaimed in the liturgical ceremony, and the ‘place of the gospel(locus Verbi)’. Reading table is a place where congregations gather to listen to the words of God flowing from it, and where God the Word itself exists, so the importance of reading table should be emphasized.

      • KCI우수등재

        아렌트 정치이론에서 레싱과 소크라테스

        최치원(Chi-Won Choi)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5

        아렌트의 해석에서 레싱과 소크라테스는 공공성에 관련하여 혁명적인 인물들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사적인 세계에 머물지 않고 세계에 대해 (베버적 의미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표명했다(‘Stellungnahme’). 이들은 세계를 폭로하고 세계에 대해 분노했으며, 다른 한편으로 즐거운 마음으로 세계와 화해도 했다. 세계에 대한 이들의 입장표명은 맹목적인 폭로와 분노와는 관계가 없는, ‘자립적 사고’와 ‘자유’에서 출발하는 다차원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입장표명은 아렌트에게 우정의 문제로 집약되어 나타난다. ‘우정’은 아렌트에게 이중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레싱과 소크라테스가 보여주듯이 사적인 친밀감속에서가 아니라 현실 세계를 향한 ‘정치적 요구’ 속에서 나타나며, 따스한 인간성과 관련이 되어있다. In Arendt’s interpretation, Socrates and Lessing appears ‘revolutionary’ figures in relation to public sphere. They, rather not stay in a private world, expressed their position on the world (‘Stellungnahme’ in the sense of Max Weber). They exposed the world and angered about the world. And they, with a joyful heart, made peace with the world at the same time. This attitude toward the world was not a blind furiosity and took a multidimensional form, starting from ‘independent thinking’ and ‘freedom’. In this context, Arendt discusses the question of friendship. For her, friendship appears twofold. On the one hand, it is regarded, as Socrates and Lessing shows, not as a personal intimacy but a ‘political demands’ towards the real world, and, on the other hand, it is related with in a warm humanity.

      • KCI등재후보

        ‘지금’과 ‘여기’라는 거시적 맥락에서 성찰해 본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최치원(Choi, Chi-won)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7 문화와 정치 Vol.4 No.1

        동아시아 한중일 삼국은 서구와는 상이한 삶의 양식과 유교라는 특이한 인간관과 정치 및 사회의 제도적 구성논리를 토대로 존재해 왔으며, 이러한 존재양식에 민주주의라는 역사적으로 전적으로 새로운 제도이자 가치가 접맥되어 있다. 복잡하고 모순적인 측면을 배태하고 있는 현상으로서 동아시아의 민주주의는 오늘날 우리에게 민주주의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피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이라는 맥락에서 시간적으로 현재의 민주주의 문제와 여기라는 맥락에서 공간적 ․ 지역적 수준에서의 민주주의의 문제를, 거시적이고 역사 철학적인 그리고 문화정치적인 시각에서 논의하는 가운데 오늘날 우리에게 민주주의는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성찰한다. The three countries of East Asia, Korea, China, and Japan, have existed on the basis of different forms of life called Confucianism, which is a unique view of human nature containing institutionalstructural logics of politics and society. A totally new system and value called democracy, however, has come into the East Asian mode of existence. The East Asian phenomenon, in which complex contradictoryaspects of political society appear, makes us inevitably ask what the democracy in East Asia is. This study, from a historicalphilosophical and cultural-political perspective, examines the question of what the democracy today means to us in the context of the “here [at the regional-spatial level] and now [at the temporal level].”

      • KCI등재
      • 독서대에 대한 전례신학적 고찰

        최치원(Chi-Won CHOI)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1 가톨릭사상 Vol.- No.63

        “미사는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 두 부분은 서로 밀접히 결합되어 오직 하나의 예배 행위를 이룬다.”(SC 56항; IGMR 28항) 말씀 전례는 독서대(Ambo)에서 거행되며, 성찬 전례는 제대 (Altar)에서 거행된다. 두 예식이 거행되는 자리는 동등하게 중요하게 여겨져야 한다. 그러나 제대는 성당 건축의 중심점이자, 미사의 중심 장소로써 신학적으로 매우 강조되는 반면 독서대에 대한 신학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독서대는 어원적으로 ‘올라가야만 하는 높은 곳’이다. 실제로 느헤미야 8장의 연단을 비롯하여 역사적으로도 독서대는 높은 곳에 설치되었다. 그 위치와 모양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중세 이후로 신자들이 라틴어를 이해하지 못했고, 성경 말씀보다 성체신심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던 경향에 따라 독서대는 전례의 중심지가 아닌 단순히 책을 올려놓는 받침대로 전락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전례 안에서 말씀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말씀 전례를 복원하였다. 『미사 독서 목록 지침』(Ordo Lectionum Missae)과 『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Institutio Generalis Missalis Romani)은 말씀 전례가 거행되는 독서대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독서대는 하느님 말씀을 봉독하고 화답송을 노래하며 파스카 찬송을 하는 자리이다. 복음을 선포하고 파스카 찬송을 노래하는 부제는 독서대의 봉사자이기도 하다. 독서대는 전례 거행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넘어서 그 자체로 하나의 상징이다. 바로 주님 부활의 기쁜 소식이 처음으로 선포되는 부활의 빈무덤(vacuum sepulcrum)을 상징한다. 부활의 현장에서 천사가 행했던 모든 행위들이 이제 말씀 전례의 독서대에서 행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독서대는 화답송을 위한 시편 선창자의 자리이기도 하고, 주교의 권위를 나타내는 주교좌(cattedra)와 연결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신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독서대를 하느님 말씀의 품위에 맞게 또한 규정에 맞게 설치하고 꾸며야 한다. 또한 미사 중에 독서대에서 거행할 수 있는 예식들(독서들, 화답송, 파스카 찬송, 강론, 보편지향기도) 외에 무분별하게 독서대를 이용하지 말아야 하며, 독서대에 오를 수 있는 합당한 봉사자들(성직자, 독서자, 시편선창자, 보편지향기도자)을 위한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The liturgy of the word and the eucharistic liturgy of the holy Mass, are so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that they form but one single act of worship.”(SC 56; IGMR 28) The Liturgy of the Word is celebrated at the Ambo and the Liturgy of the Eucharist is celebrated at the Altar. The place where both ceremonies are celebrated should be regarded as equally important. Although in terms of theology, the Altar has been very emphasized as the center of the Church architecture and the holy Mass, theological studies on the Ambo have been neglected. The Ambo is etymologically “high place where you have to go up.” In fact, historically, including the wooden platform in Chapter 8 of the Nehemiah Book, the Ambo was installed on a high place. Its location and shape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times. According to the trend that lay persons have not understood Latin language since the Middle Ages and the Eucharist was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Word of the Bible, the Ambo was degraded to a simple book stand, not became a center of the liturgy. The Second Vatican Council restored the Liturgy of the Wor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Word in the Liturgy. Ordo Lectionum Missae and Institutio Generalis Missalis Romani are providing detailed guidelines for the Ambo where the Liturgy of the Word is held. The Ambo is a place where the Word of God is read, the Responsorial Psalm is sung, and the Exultet is performed. The deacon, who proclaims the gospel and sings the Exultet, is a servant of the Ambo as well. The Ambo is ‘a symbol’ in itself beyond ‘the place’ where the liturgical celebration takes place. The lectern symbolizes the empty tomb (vacuum sepulcrum) of the Resurrection, where the good news of the Lord’s Resurrection is declared for the first time. This is because all the actions performed by angels at the scene of resurrection are now being performed at the Ambo of the liturgy of the Word. The Ambo is also the place of the cantor of the Responsorial Psalm,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cattedra, which is representing the authority of the bishop. Based 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lectern must be installed and deco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ignity of God’s words and regulations of liturgy. During Mass, the Ambo should not be used indiscriminately except for ceremonies that can be held at the Ambo(Readings, Responsorial Psalm. Exultet, homily, universally oriented prayers). Education is also needed for the reasonable volunteers(the clergy, reader, psalmist, and universal oriented prayer) who can get on the Ambo.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