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씀 선포의 자리, 독서대의 기원

        최치원(Chi-Won Choi)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9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모국어로 전례를 거행하도록 허락하였고, 미사를 이루는 두 부분인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는 “서로 밀접히 결합되어 오직 하나의 예배 행위”(IGMR 28)를 이룬다며 전례 안에서 말씀의 중요성을 복원하였다. 전례예식 중에 하느님 말씀은 독서대에서 선포된다. 이 선포는 살아있고 역동적이며 말씀전례의 핵심적인 활동이다. “그리스도께서는 … 당신 말씀 안에 현존하시어, 교회에서 성경을 읽을 때에 당신 친히 말씀”(SC 7)하시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씀이 선포되고 말씀하시는 분께서 현존하시는 자리인 독서대도 그 중요성에 합당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구약성경에서부터 하느님 말씀을 선포하고 듣는 행위는 전례적 공동체의 본질적인 행위였다. 특히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과 맺은 계약의 책인 율법(토라)은 정기적으로 읽고 기억하여 후손들에게 전해주어야 했다. 토라를 읽는 구체적인 자리에 대한 언급은 느헤미야서 8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일에 쓰려고 만든 나무 단”(8,4)이 그리스도교 말씀 전례가 거행되는 독서대의 기원이라 할 수 있다. 바빌론 유배 이후 유다인들은 하느님 말씀을 듣고 기도하기 위해 회당에 모였다. 시나고가에는 율법서를 읽는 독서자와 율법을 해설하고 교육하는 자를 위한 연단인 베마(βῆμα)가 자리하고 있었다. 예수님께서는 안식일에 하느님 말씀이 선포되던 회당의 모임에 ‘늘’ 참석하셨다. 특히 첫 복음 선포는 나자렛 회당에서 이루어졌다(루카 4,16-20). 예수님께서 회당에서 선포하신 ‘기쁜 소식’은 말씀 전례가 시작된 순간이다. 예수님께서는 일어나시어 이사야 두루마리가 ‘건네지고’ 두루마리를 ‘펴신다’. 나자렛 회당에서 책을 펼친 예수님은 천상 전례의 어린양으로써 이 행위를 완성하신다. 책을 여는 행위는 희생된 어린양이 천상전례를 거행하고 완성하는 종말론적인 행위이며,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의 신비를 가시적으로 드러낸다. 따라서 예수님의 그 복음이 현재 우리에게 선포되는 독서대(αμβων)는 그저 책을 읽는 곳이 아닌 더 깊은 차원의 전례적 예식이 거행되고 실현되는 곳임을 알 수 있다. ‘독서대’라고 말하면 우리는 쉽게 성당 제단 위에 세워진 책틀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독서대는 단순히 성경책을 올려두기 위한 ‘가구’ 혹은 마이크와 같은 기능적인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기물’로만 치부할 수는 없다. 독서대는 전례예식 중에 하느님 말씀이 선포되는 ‘자리’이며 특별히 ‘복음의 자리(locus Verbi)’이기 때문이다. 독서대에서 흘러나오는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회중이 모인 자리이며, 말씀 자체이신 분이 현존하시는 현장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The Second Vatican Council granted the use of vernacular languages in liturgy, and restored the importance of the Word in liturgy, since the two parts of the Mass — ‘the Liturgy of Words’ and ‘the Liturgy of the Holy Communion’ — are “closely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only one act of worship” (IGMR 28). During the liturgical ceremony, the Word of God was proclaimed on the ‘ambo’ (the reading table). The declaration is alive and dynamic, and is the core act in the Liturgy of Words. It is because of fact that “Christ is present in His word, since it is He Himself who speaks when the holy scriptures are read in the Church.”(SC 7) Therefore, the ‘ambo’, the place where the Speaker (Christ) exists, should be reasonably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as well. From the Old Testament, the proclaiming and listening act of God’s words was an essential act of a liturgical community. In particular, the book of covenant that Moses made with God on Mount Sinai, had to be regularly read, remembered, and delivered to descendants. Reference to the specific place to read the law can be found in Chapter 8 of the Nehemiah Book. The “wooden platform made for use in this work”(8,4)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the ‘ambo’ where the Liturgy of Word is held. After the exile to Babylon, the Jews gathered in the synagogue to listen to the Word of God and to pray. In synagogue, there was a platform called Bema(βῆμα), for readers who read the law and for those who explain and educate the law. Jesus ‘always’ attended meetings of synagogues where God’s words were declared on the Sabbath. In particular, the first place of proclaiming the gospel was the Nazareth synagogue(Luke 4,16-20). The ‘Good news’ declared by Jesus in the synagogue is the moment when the Liturgy of Words began. Jesus stood up and was ‘handed’ a scroll of the Isaiah, and ‘unrolled’ the scroll. Jesus, who opened the book at Nazareth synagogue, has completed this act as a lamb of God heavenly liturgy. The act of opening the book is an apocalyptic act in which the victimized lamb performs and completes a heavenly liturgy. It visually reveals the mystery of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Therefore, the reading table(αμβων), where Jesus’ gospel is currently proclaimed to us, is not simply a place to read books, but also a place of celebrating and realizing a deeper level of precedent ceremonies. In general, the word “ambo” reminds us of a book frame by the altar of the church. However, the ‘ambo’ is not just considered as ‘furniture’ for carrying the Bible or as ‘object’ for installing functional equipment such as microphones. This is because the ‘ambo’ is the ‘place’ where the Word of God is proclaimed in the liturgical ceremony, and the ‘place of the gospel(locus Verbi)’. Reading table is a place where congregations gather to listen to the words of God flowing from it, and where God the Word itself exists, so the importance of reading table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청소년의 자존감 변화와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종단 연구

        최치원(Chiwon Choi),김형희(Hyung-Hee Kim),박희서(Hwieseo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9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및 삶의 내적목표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4 패널 4차년에서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모형은 실증자료에 더 적합한 선형모델을 최종모델로 선정하였으며 초기치와 변화율 및 각각의 분산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의존적 변수는 교사관계 4차년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독립적인 변수들은 모두 초기치 와 변화율 및 각각의 변량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som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adolescent’s self-esteem through analyzing longitudinally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hool learning activity, life-goal on adolescent’s self-esteem b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 Analytical data was obtained from the KYCPS.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model of adolescent’s self_esteem turned out to be a leaner model in which the change rate and intercept were significant. Second, time 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on adolescent’s self_ esteem meaningfully. Third, time 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on adolescent’s self_esteem changes significantly. This study proposed some policy implications basing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독일 프로이센 개혁과 조선 갑신정변

        최치원(Chi Won Choi) 한국사회이론학회 2004 사회이론 Vol.- No.25

        본 논문은 대략 70년의 역사적 시차를 두고 유럽과 동아시아서 상이한 시대적 배경하에 그리고 상이한 근대적 입력하에 전개된 두 개의 사건, 프로이센 개혁과 조선 갑신정변의 비교 고찰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본 논문은 양국의 개혁의 역사적 배경과 그것의 특징을 간략히 설명한 뒤, 양국 개혁에 있어 개혁의 지속기간, 개혁의 주체들, 개혁의 내용들을 비교하고, 개혁 운동으로서 갑신정변 혹은 근대국가 형성을 이룩하려는 분투에 있어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를 해석한다. 개혁으로서 갑신정변이 도덕적 당위로 나아갈 수밖에 없는 이유, 그리고 개혁 주체들이 일본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상황 내지는 구조적 요인을 프로이센의 사례에 비추어 다룬다. 무엇보다 해석의 주안점은 양 개혁을 철학적으로 각각 뒷받침한 자유주의9프로이센의 사례)와 실학사상 내지는 개혁사상 및 유교(조선의 사례)의 문제에 놓여진다. 결과적으로 조선 개혁가들의 국제질서관의 토대가 된 소위 말하는 변통적 혹은 변법적 세계관의 문제점이 밝혀진다. 마지막으로 장에서는 논의의 전체적 평가가 이루어진다. 몇 가지 중요한 논쟁점들과 시사접들이 언급하고, 안착기(Sattelzeit)란 측면에서 학문사적, 사회과학적 이론·개념구성을 위한 문제를 제기한다. 본 논문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시도에 불과하다. 미흡하나마 여기서 전개된 문제의식에 기반해서 논의가 보다 세분화되고 심화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treats two historical events : Prussian Reforms of Germany and Gap-Sin dung-Byun of the late Chosun Dynasty.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the two nations experienced a reform movement in a different way. It occurred under the different international conditions and the different pressures of the modern world. The paper tries to interpret its historical background, processes, consequences and the philosophy of major actors that led the reforms. And it will try to generalize the meaning of the two events. This research have a interdisciplinary character. It is necessary to carry such a research as this. It will open a road to a universal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t is a trial work. A more systematic one will be clon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칸트와 회페의 ‘세계공화국(Weltrepublik)’ 개념에 대한 일고찰

        최치원(Chi Won Choi)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2 OUGHTOPIA Vol.27 No.1

        본 연구는 둥북아시아의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과 실현의 가능성에 대한 합의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칸트(Immanuel Kant)와 회페(Otfried Hofe)의 ‘세계공화국’ 개념에 관해 논의한다. 칸트의 공화주의에 기초한 연방제 이념은 인권이 공민(시민)의 권리로 발전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하나의 공화국이 성립되면 (한인간이 가진 권리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국가도 권리(주권)를 갖게 되는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국가(공화국)의 권리를 최대한 인정해주면서 서로 동맹을 맺는 것이 국제평화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며, 이것을 토대로 ‘세계공화국’이 성립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칸트에게 평화의 최종적 수준은 세계시민권(법)에서 표현되고 있다. 회페는 칸트의 생각으로부터 보다 구체화된 ‘세계공화국’ 개념을 만들려고 노력하였다.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의 가능성 그리고 그것의 실현에 대한 가능성을 따지는 문제는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진 모든 사람들의 합의능력을 요구로 한다. 이 합의능력은 대안적 지식의 생산을 통해 증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미래를 의미있게 상상하는 데 도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core of Kant"s ideal of federalism based on republicanism is; that human rights grew into rights of citizen, and based on this, a republic is established; that the nation(the republic) has rights(first of all sovereignty) just as man has rights(citizen"s rights). For him, the first step toward the international peace is to make an alliance between/ among republics and to recognize their rights as much as possible: He believed that a ‘world republic’ could established from this state of world order. Kant"s final level of peace is expressed in the world citizen"s rights(law). Hofe tried to elaborate and systematize Kant"s world republic concept. Prospects for a future society and possibilities of its realization requires an ability of agreement of people with an interest in this issues. This ability could be increased through the production of alternative knowledges. This paper, with the purpose to improve our ability of agreement about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it, discusses Kant"s and Hofe"s ‘world republic’ concept. It will serve as a meaningful framework to develop a critical thinking of the reality of Northeast Asian countries(China, Japan and Korea)

      • KCI우수등재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 숨겨진 뜻으로서 ‘정치교육’

        최치원(Chi-Won Choi)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5

        첫째, 베버의 사상구조는 그가 파악한 근대의 세계만큼이나 다층적이고 분열적이며 모순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것은 그의 사상이 무모순적으로 일관되게 정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채 그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이해하게 되면, 이 작품은 단지 순수한 학문적 작품이라는 고정관념과 편견 속에서 빠지게 된다. 셋째, 이 작품의 오리지널 텍스트는 여러 차례의 수정을 거치게 되는 데, 1904/05년의 오리지널 텍스트와 ‘종교사회학논문집’에서 재출간된 1919/20년의 텍스트는 전혀 취지나 의미가 다른 텍스트이다. 넷째, 어느 누구도 다층적이고 분열적이라는 의미에서 오리지널 텍스트의 의미를 제대로 읽고 파악하고 있지 않는듯하다. 그러나 학문적 동기만큼이나 오리지널 텍스트에 담긴 정치적 동기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섯째, 1919/20년의 텍스트에서는 그 흔적이 지워져 버린, 오리지널 텍스트 탄생의 등장배경과 의도를 이해하게 되면 그것은 정치교육서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요컨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직업으로서의 학문’과 ‘직업으로서의 정치’와 함께 베버의 3가지 정치교육서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이 그가 교수취임연설에서 천명했던 학문(과학)의 목적으로서 정치교육작업의 출발이 되는 작품이라면 나머지 두 작품은 이를 마무리 짓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First, the Structure of Weber’s thought is as multi-layered, divisive, and contradictory as the modern world he grasped. Second, if we understand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without considering Weber’s thoughts with these characteristics, we easily fall into the stereotype and prejudice that it is merely a pure academic work of a scholar. Third, the original text of Weber’s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underwent several revisions. Thus the original text of 1904/05 and the text of 1919/20 have different meanings and purposes. Fourth, it seems that no one properly reads and grasp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in the sense of multi-layered and contradictive Weber’s thought-structu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olitical motives contained in the original text as much as the academic motives of this work. Fifth, the background and intention of the birth of the original text, whose traces have been erased from the text of 1919/20, shows that it has written for a political education book rather than a pure academic research. In short, along with ‘Science as a Vocation’ and ‘Politics as a Vocation’,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can be understood as political education book. If the former two works complete the political education work he declared in his inauguration speech, ‘Protestant Ethics and Capitalist Spirit’ is the starting work of thi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아렌트 정치이론에서 레싱과 소크라테스

        최치원(Chi-Won Choi)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5

        아렌트의 해석에서 레싱과 소크라테스는 공공성에 관련하여 혁명적인 인물들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사적인 세계에 머물지 않고 세계에 대해 (베버적 의미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표명했다(‘Stellungnahme’). 이들은 세계를 폭로하고 세계에 대해 분노했으며, 다른 한편으로 즐거운 마음으로 세계와 화해도 했다. 세계에 대한 이들의 입장표명은 맹목적인 폭로와 분노와는 관계가 없는, ‘자립적 사고’와 ‘자유’에서 출발하는 다차원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입장표명은 아렌트에게 우정의 문제로 집약되어 나타난다. ‘우정’은 아렌트에게 이중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레싱과 소크라테스가 보여주듯이 사적인 친밀감속에서가 아니라 현실 세계를 향한 ‘정치적 요구’ 속에서 나타나며, 따스한 인간성과 관련이 되어있다. In Arendt’s interpretation, Socrates and Lessing appears ‘revolutionary’ figures in relation to public sphere. They, rather not stay in a private world, expressed their position on the world (‘Stellungnahme’ in the sense of Max Weber). They exposed the world and angered about the world. And they, with a joyful heart, made peace with the world at the same time. This attitude toward the world was not a blind furiosity and took a multidimensional form, starting from ‘independent thinking’ and ‘freedom’. In this context, Arendt discusses the question of friendship. For her, friendship appears twofold. On the one hand, it is regarded, as Socrates and Lessing shows, not as a personal intimacy but a ‘political demands’ towards the real world, and, on the other hand, it is related with in a warm humanity.

      • KCI등재
      • KCI등재

        종교문화적으로 이해된 막스 베버의 유교윤리에 대한 정치이론적 해석

        최치원(ChiWon Choi) 한국정치사상학회 2012 정치사상연구 Vol.18 No.1

        동(북)아시아에 관한 베버의 입장은 유교, 도교 및 불교와 같은 (종교)문화의 이해 속에서 드러나 있다. 본 연구는 그의 동(북)아시아관, 특히 유교 이해에 나타난 공공성의 문제를 탐구한다. 베버는 서구의 합리주의적 근대와 관료제의 맥락에서 국가, 교회, 군대, 정당, 이익집단, 결사 그리고 자본주의 경제로 표현되는 각종의 제도들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제도들이 인간의 ‘의미있는’ 행위에 기초해서 성립된다고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베버에 따르면 인간 행위의 원천은 윤리이고 이념이다. 따라서 공공성의 최종적 의미는 그가 윤리와 인간 행위의 동기로서 이념, 즉 유교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데서 찾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종교사회학적으로 혹은 종교문화적으로 덧칠되어진 그의 사유를 현실적 맥락에서 정치이론적으로 재구성하여 공공성의 의미를 해석해 간다. In Max Weber’s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ism in specific and his thought in general, there are no clear concepts regarding publicity: One can only derive such concepts from the way how he approaches the question of rationalism, bureaucracy, institution, action and finally ethics. Ethics is for him the ground on which he understands and explains all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henomena including actions and institutional praxis. Confucianism is regarded as the ethics of (North)east Asia. Thus, this paper explores the publicity question in Northeast Asia by critically reconstructing Max Weber’s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ism.

      • KCI등재후보

        막스 베버의 문화개념과 합리주의개념 해석

        최치원(Choi Chiwon) 한국정치사상학회 2003 정치사상연구 Vol.8 No.-

        본 논의의 대상은 사회과학자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의 문화에 대한 기본생각, 특히 그것의 구체적 표현형태인 합리주의개념이다. 베버는 독일 역사에 있어 가장 논란이 많은 인물들 중의 한 사람들인 비스마르크(Otto von Bismarck;1815-1898)와 카이저 빌헬름(Wilhelm;1859-1941) 2세 시대의 전형적인 독일지식인이다. 그가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과학자들 중의 한 명이라는 것은 의심할 나위 없지만, 독일의 지적ㆍ학문적 전통에서 보면 그는 한 명의 철학자일 뿐이다. 철학자로서 베버의 모습은 그의 학문적 입장을 일괄적으로 규정하기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또 다양한 해석의 소지도 제공한다. 전통 주류 독일 학문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 인물들과 이론들이 베버의 사상의 모태가 되기 때문이다. 다양한 베버의 면모를 단순화시켜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 것은 전적으로 탈코트 파슨스(Talcott Parsons;1902-1979)의 공헌이다. 그는 베버의 사상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모든 중요한 독일의 학문ㆍ이론사적 맥락들을 제거하고 그것의 일연만을,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그 핵심을 가장 순수한 형태로 보여준다. 본 논의는 막스 베버에게서 그동안 간과되거나 다루어지지 않은 중요한 측면들을 발견하여 재구성하고자 하는, 차후에 계속될 여러 시도들 중의 하나이며, 이를 통해 한국 사회과학 발전에 하나의 보탬이 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ro interpret Max Weber's(1864-1920) 'Grundvorstellung' of culture, especially, his concept of rationalism as a concrete expression of this 'Grundvorstellung'. He is said to be one of the most brilliant social scientists; nevertheless, he a typical intellectual who undergoes the era of Otto von Bismarck(1815-1898) and the Kaiser Wilhelm Ⅱ(1859-1941). From the perspective of German intellectual and scientific tradition, he is only a philosopher. That seems to be the reason why Max Weber, the philosopher, as a kind of phantasmagoria appears and controversial is. But the ambiguous, indefinable but important aspects in his philosophical thought give us a chance to interpret them diversely. They are originally concerned with German traditional main Stream sciences, were omitted in Talcott Parsons'(1902-1979) reception of Weber. Considering all of these questions, this paper will try to reconstruct and show the important aspects in Weber's thought that were neglected or not t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