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강도 집속 초음파 발생용 오목한 환상형 배열 트랜스듀서의 최적설계

        최은아,노용래,Choi, Euna,Roh, Yongrae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6

        본 연구에서는 의료 치료용으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오목한 환상형 배열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최적설계하였다. 트랜스듀서는 곡률반경으로 40 mm를 가지는 여러 개의 동심원 채널로 이루어진 위상배열 구조이다. 구조 설계를 위해 트랜스듀서의 음장을 해석할 수 있는 이론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론식 계산 결과의 타당성을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증하였다. 배열 트랜스듀서의 기하학적 초점 이외 지점에서의 동적 집속 가능 유무도 함께 확인하였다. 또한 음장 내 원하지 않는 지점에 발생하는 그레이팅 로브의 레벨은 트랜스듀서의 채널수와 주파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정점으로부터 특정 범위 내에 주엽이 존재하면서 그레이팅 로브를 포함한 최대 부엽의 크기를 체계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트랜스듀서 구조를 최적 설계하였다. 설계된 구조는 모든 집속 지점에서 목표를 만족하는 성능을 보였다. In this study, the structure of a concave annular array transducer was optimized to generate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for medical therapeutic application. The transducer has a phased array structure composed of several concentric channels that have 40 mm as the radius of curvature. We derived theoretical equations to analyze the sound field of the transducer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equations by comparing the results calculated by the equations with those from finite element analyses. We also checked the possibility of dynamic focusing at around the geometric focal point. Further, the level of a grating lobe occurring at an unwanted position in the transducer sound field was confirmed to be reducible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hannels and the frequency of the transducer. Hence, the structure of the transducer was optimized to place the main lobe within a specific range from the zenith while systematically reducing the level of the maximum sidelobe including the grating lobe. The designed structure showed the performance better than that targeted at all the focal points.

      • KCI등재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성지능 계발 프로그램 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최은아 ( Euna Choi ),예재숙 ( Choi Jaesuk Ye ),박혜영 ( Hyeyou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성지능 계발 프로그램 연구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학술지 데이터베이스 7개를 활용하여 유아와 감성을 모두 포함하는 주제어를 검색한 후 전문학술지 발간 논문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최종 22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 감성지능 계발 프로그램 연구는 2006년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발표되었으며, 교육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주제는 감성지능을 포함한 2가지 이상의 변인이 함께 제시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감성지능을 복합적 성향으로 다룬 측정도구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셋째, 프로그램 진행방법은 예술(음악, 미술, 문학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자연(숲 체험, 자연물, 흙 놀이 등), 신체(수영, 체조, 공놀이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감성지능 계발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s for young children. Using seven academic journal databases, keywords such as “young children” and “emotion” were searched, and 22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of studies published in specialized journals were analyzed. It was first confirmed that studies on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s for young children have been published every year since 2006, and that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program themes were often presented with more than two variables, includ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frequency of using measurement tools was high, approaching emotional intelligence as a complicated disposition. Third, arts (music, art, literature, etc.)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of the programs, followed by nature (forest experience, natural objects, mud play, etc.) and physical exercise (swimming, gymnastics, ball play,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nd are significant in suggesting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부적응 유아를 위한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 개발

        최은아(Choi EunA),고희선(Koh Hee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부적응 유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협력적 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12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부적응 유아 관련 문헌 고찰, 현장전문가 대상 1차 포커스 그룹 면담, 어머니와 교사 요구도 조사 및 분석,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 특성 간 소진 매개효과 분석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성 및 내용을 구성하여 1차 시안 개발, 적절성 검토를 위한 상담전문가 1 2 3차 자문협의회, 현장전문가 대상 2차 포커스 그룹 면담 등의 과 정을 거쳐 협력적 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은 심리적접근, 양육적 접근, 교육적 접근을 통합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즉, 상담전문가, 어머니, 교사가 놀이실, 가정, 교실에서 주1회 총15회기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한다. 상 담전문가는 회기당 50분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어머니와 교사는 각각 가정과 교실에서 회기당 30분 이내 실시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심리지원프로그램이 주1회 총8회기로 구성되어있다. 본 프로그램은 부적응 유아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 어머니 및 교사의 역량 강화를 통한 예방적 차원의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부적응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개발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operative consulting program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maladjusted children. To collect data,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of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on maladaptive children. In the collaborative consulting program, psychological approach, parenting approach and educational approach are done comprehensively. The play therapist conducted a 50 minute play program per session, and the mother and the teacher conducted within 30 minutes per session in the home and classroom. In addition, a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for mothers and teachers consists of 8 sessions a week. It is meaningful that this program supports the healthy life of maladjusted children and attempts to approach preventive through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mother and teacher.

      • KCI등재

        문화적 번역의 관점에서 본 독일댄디즘의 역사

        최은아 ( Euna Choi ) 한국뷔히너학회 2016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46

        Der deutsche Dandyismus ist ein Thema, das bis jetzt keine große Beachtung gefunden hat. Dies ist vor allem darauf zuruckzufuhren, dass Dandyismus hauptsachlich im Zusammenhang mit der englischen und franzosischen Kulturgeschichte erforscht worden ist. Jedoch sollte man nicht ubersehen, dass der deutsche Dandyismus aus dem Einfluss des europaischen und amerikanischen Dandyismus seinen eigenen Stil entwickelt hat. Die Entwicklungsgeschichte des deutschen Dandyismus, der vom Ende des 18. Jahrhunderts bis zu den 90er Jahren reicht, soll hier vor allem unter dem Gesichtspunkt der kulturellen Ubersetzung von Homi Bhabha untersucht werden. Laut Homi Bhaba hat jede Kultur die Hybriditat, die aus dem Prozess des kulturellen Austausches entstanden ist. Der deutsche Dandyismus ist auch aus diesesm Blickwinkel zu betrachten. In der ersten Phase, namlich im Zeitraum vom spaten 18. Jahrhundert bis zum Anfang des 19. Jahrhunderts hat das aufsteigende Burgertum in Deutschland sein Selbstbewusstsein in seinem Dandy Look zum Ausdruck gebracht, der sich gegen die standische Ungleichheit durch Kleiderordnung wendet. Vom Ende des. 19. Jahrhunderts bis zum Anfang des 20. Jahrhunderts nimmt der deutsche Dandyismus zwei verschiedene Zuge an. Einerseits ahmt der snobische Burger das Außerliche des Dandys nach, der in der zeitgenossichen Literatur oft zum Gegenstand scharfer Satire wird. Andererseits gibt sich der Dandy als geistigen Adel aus, der sich vom snobischen Burger abhebt. Er stellt sich als kranken Kunstler dem erfolgsorientierten Burgertum gegenuber und stellt sein Elitenbewusstsein zur Schau. In der dritten Phase des Dandyismus, die in den 60er Jahren beginnt, verlagert sich seine Buhne von Europa nach New York. Der neue Dandy, der im Geist der Popart geboren wurde, halt eine kritische Distanz zum kranken Asthetizismus des fruhen Dandyismus und dessen Elitenbewusstseins und stellt den Essentialismus in Frage. Der mit dem Geist des Camps ausgerustete neue Dandyismus findet sich vor allem in der deutschen Literatur, die durch Selbstironie und Oberflachlichkeit gekennzeichnet ist.

      • 유비쿼터스 지능형 공간을 위한 공간관리기 개발

        최은아(Euna Choi),박창규(Changgyu Bak),김순동(Soon Dong Kim),이정원(Jung-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1

        유비쿼터스 지능형 공간(Ubiquitous Smart Space)에서는 상황인식, 자율적인 지능형 기기들의 협력, 그리고 학습 및 자가 성장을 통해 사용자를 만족시키려는 컴퓨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많은 기술들이 개발 되고 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지능형 공간 모델링시, 인간의 위치 인식은 매우 동적으로 보고 있으나 디바이스의 위치는 공간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동적이라고 하더라도 이는 인간이 휴대하는 PDA, MP3, 휴대폰 등의 이동 단말기를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지능형 공간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위치 인식기법을 제안하고 실행시간에 사용자의 개입 없이 디바이스의 이동을 추적하고 공간에 제공되는 서비스 실행에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 관리기를 개발한다. 개발된 공간 관리기는 ‘Well-Being Life Care'를 위한 홈 도메인에서 적용되어, 디바이스의 위치인식에 따른 자율적인 서비스 실행결과가 가능해짐을 보였다.

      • KCI등재

        미국 국가핵심음악기준과 연계된 평가도구 MCA 내용 고찰

        최은아 ( Euna Cho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국가핵심음악기준과 연계하여 개발된 평가도구 ‘Model Cornerstone Assessments (이하 MCA)’의 내용을 고찰하고 음악과 평가의 계획 및 실행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미국 교육정책의 변화와 백워드 설계방식에 기초하여 개발된 미국 국가핵심음악기준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이와 연계하여 개발된 MCA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MCA는 교육과정-평가-수업 일체화(alignment)의 원리를 바탕으로 국가핵심기준에 있는 수행기준의 학생성취를 측정하기 위해 형성적·총괄적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각 학년에 걸친 나선형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평가의 초점, 평가 전략과 상세한 평가 절차, 평가를 위한 자료와 채점도구 및 학생예시작품의 제공을 통해, 평가문항을 개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평가와 연계된 음악 수업의 구체적인 모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MCA는 교육과정-평가-수업의 일체화를 구현할 수 있는 국가수준의 음악과 평가 도구 개발, 학년과 과정에 따라 논리적·순차적으로 구조화된 평가 과제 제시, 수업과 평가의 통합 전략 실행, 평가 자료의 공유 및 상호작용의 소통 체계 구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Model Cornerstone Assessments (MCA)'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US National Core Music Standards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plan and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in music education. To this end, I analyzed the main contents of the US national core music standards developed based on the change of American education policy and backward design method, and analyzed and examined the contents of MCA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is. The MCA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providing a formal and comprehensive means to measure student achievement of performance standards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curriculum-instruction- assessment alignment, spiral structure. In addition, the focus of evaluation, assessment strategies and detailed evaluation procedures, materials and scoring tools for evaluation, and presentation of student sample works showed specific details of music lessons linked with evaluation. From MCA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US National Core Music Standards, suggestions can be extracted as follows: First, music assessment tools c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in conjunction with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Second, music assessment tasks could be structured for recurring over the grades; Third, strategies could be explored for integrat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Forth, system of sharing information communicating between teachers c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access to developed music assessment tools.

      • KCI등재

        학생중심수업을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최은아(Choi, Euna),조호제(Cho, Hoje)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2

        본 연구는 학생중심수업을 위하여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생중심수업의 이론적 배경과 성격,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과 방법 및 절차를 살펴보았으며, 학생의 수준 및 특성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자료 분석에 기초하여,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10차시의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중심수업은 구성주의 인식론의 토대 위에 학생이 주체가 되어 배움을 형성해가는 수업을 뜻하며,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습 활동을 촉진시키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학생, 학교, 지역 등의 특수성에 따라 교사 수준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참여 및 선택권을 확대하고 협력적으로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 과정에서 스스로 지식을 형성해가는 한편 실제적인 상황과 관련하여 보다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음악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thod and present a plan for reconstruction of the music curriculum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features of learner-centered learning, the method and procedur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reviewed.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e 2015 revision music curriculum were then analyzed, and for the 5th grade students the methods for reconstruction of the music curriculum were explored. Learner-centered learning is the instruction in which learners form learning based o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In this process, teachers play the role of facilitators of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implement learner-centered learning it could be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into teacher-leve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uniqueness of students,schools, and regions. In this study, for 5th graders learner-centered music studies, examples of restructuring plans are proposed based on the expansion of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choices, project-based learning.

      • KCI등재

        리코더 원격학습용 앱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평가 및 그에 따른 개선방안

        최은아(Choi, Euna)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8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가 17개 교육청과 함께 개발한 리코더 원격학습용 앱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평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 일반 학교의 음악수업 특히 기악수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정부 기관은 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한 기악수업 관련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느끼고, 리코더 원격학습용 앱 ‘리코더온교실’을 개발하여 2021년 1학기 초 전국의 초·중등학교에 보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리코더 원격학습용 앱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평가를 파악하기 위해, 초등 예비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교에 개설된 강의에서 이 앱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 후 앱의 내용과 성능 및 교육적 효용성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도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적 관점에서 응답할 수 있도록 정량적·정성적 방식의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정량적 질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값을 구하여 빈도를 분석하였고, 정성적 질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항목별로 언급된 내용에 따라 요소를 추출하고 유목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리코더 원격학습용 앱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리코더 학습 과정의 단계적 구성, 자기 주도적 학습, 피드백 제공 등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학습 지원 영상, 반주 제공 방식, 피드백 전략, 앱을 활용한 수업 방안, 앱의 성능 등과 관련하여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rovement plan based on evalua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he recorder app for distance learning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ith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a situation where music classes in public schools, especially for musical instrume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COVID-19 since 2020, government agencies felt the need and urgenc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for distance learning related to musical instrument classes based on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ed and distributed the soprano recorder app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nationwide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1.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recorder app for distance learning, the app was applied in lectures opened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 institution for train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fte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tents, func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app. The survey tool consisted of 26 ite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questions so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uld evaluate the app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based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antitative question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questions were analyzed by extract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mentioned contents and categorizing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valuation of the recorder app for distance learning was positive overall,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step-by-step process of the learning the soprano recorder,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viding real-time feedback were perceived as useful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Meanwhile,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in relation to videos for learning, a way of providing accompaniment, feedback strategies, instructional plan using apps, and app functions.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 유아교육에서의 ‘더불어 살아가기’에 대한 인식과 경험

        최은아 ( Euna Choi ),손환희 ( Hwanhee S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COVID-19를 경험하며 ‘더불어 살아가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B시와 U시에 소재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여 유아교육에서의 ‘더불어 살아가기’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았다. 초점집단면담 자료를 연구자들이 반복적으로 읽고 분석한 결과, 첫째, ‘더불어 살아가기’, 둘째, ‘더불어 살아가도록 키워야 하는 이유’, 셋째, ‘더불어 살아가도록 지원하기’, 넷째, ‘코로나로 인한 교육현장 변화’와 같은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더불어 살아가기’에 대한 유아교육의 방향을 논의함으로써 유아교사들이 교육공동체의 구현을 위한 학교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by exploring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teachers about ‘living together’ in the COVID-19 experienc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4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B and U cities to examine their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living togeth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mposed of four categories: First, ‘meaning of living together’, Second, ‘reasons to raise them to live together’, Third, ‘supporting them to live together’, Four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field due to corona’.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ving together’ education was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