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 연노랑허리솔새(Phylloscopus yunnanensis)의 첫 포획 기록

        최유성(Yu-Seong Choi),김동원(Dong-Won Kim),정유진(Eujin Cheong),이현정(Hyun-Jeong Lee),백승운(Seung-Woon Paik),손종성(Jong-Seong Son),이윤선(Yun Sun Lee),남형규(Hyung-Kyu Nam)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2021년 10월 22일 인천 옹진군 소청도에서 연노랑허리솔새(Phylloscopus yunnanensis) 1개체가 포획되었으며, 이번 기록은 국내 첫 번째 포획 기록이며 유전적 방법으로 확인된 본 종의 첫 번째 확증 기록이다. 외형적으로 노랑허리솔새(P. proregulus)와 매우 유사하지만, 머리중앙선 앞 부분이 흐리고, 옅은 눈썹선, 둘째날개깃 기부의 반점이 없는 점으로 구분된다. 외부측정치는 노랑허리솔새와 큰 차이가 없지만, 익식은 차이가 있었다. 본 기록은 국내 도래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부족한 솔새과 조류 1종에 대한 포획과 측정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생물종 확보 및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며, 향후 야외에서 본 종에 대한 형태적 동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A Chinese Leaf Warbler (Phylloscopus yunnanensis) was caught in mist nets on the Socheong Island (37°45′41.4″N, 124°43′46.8″E), Ongjin County, Korea, on October 22, 2021. This is the first confirmed record of the species in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es. Despite morphological similarity to Pallas’s Leaf Warbler (P. proregulus), Chinese Leaf Warbler could be distinguished based on differences in the median crown strip, supercilium, and secondary wing feathers, and the wing formula of P. yunnanensis also differed from that of P. proregulus; however, other morphometric measurements were comparable. This record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biodiversity in Korea based on the morphometry and photography of a Phylloscopidae species, for which there was no substantive evidence of record in Korea. These data are useful to formulate keys for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this species in the field.

      • KCI등재후보

        왕새매 Butastur indicus의 번식 기록 보고

        강승구(Seung-Gu Kang),허위행(Wee-Haeng Hur),최유성(Yu-Seong Choi),손종성(Jong-Seong Son),한상훈(Sang-Hoon Han),김성현(Sung-Hyun Kim),이진희(Jin-Hee Yi)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4

        2012년 6월 14일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일대에서 왕새매의 번식둥지 1개소를 확인하였다. 본 종은 국내에는 1948년(Wolfe 1950) 경기도 안양, 1968년(원병오 1981) 비무장지대(DMZ) 부근 등 2회의 번식기록이 있으나, 그 후 오랜 기간 동안 구체적인 번식기록이 없으므로, 최근의 번식 현황을 파악하는데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 보고하고자 한다. On 14 June 2012, a breeding nest of Grey-faced Buzzard (Butastur indicus) was observed at Eomjeongmyeon, Chungju, Chungcheongbukdo. This new breeding record has been a long time in this species, since two breeding events in 1948 and 1968 were recorded in Korea. Consequently, this report presents the breeding status of this species in recent years.

      • KCI등재
      • KCI등재

        구치부 지지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구강 회복 증례

        김현휘,이종혁,하승룡,최유성,Kim, Hyun-Hwi,Lee, Jong-Hyuk,Ha, Seung-Ryong,Choi, Yu-S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4

        본 증례의 환자는 80세 여성으로 #16, 13, 26, 37, 36, 35, 44, 45, 46, 47 치아가 상실되었으며, 하악 구치부의 결손으로 상실된 구치부 지지와 감소한 수직교합고경 및 전치부의 심한 수직피개를 보였다. 심미 및 기능상의 불편을 호소하였고, 보철치료를 통한 정상적인 안모 및 저작기능 회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소견, 방사선 검사, 안모 및 구내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교합안정공극은 평균보다 과도하였고 상하악 전치 치은연 사이 거리 및 상하악 순측 전정 사이 거리, 하안면의 비율은 부족하여 수직고경 증가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하였다. 소구치부 기준 약 4 mm의 수직고경 거상을 통한 교합 회복을 결정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구치부를 상실하여 전치부의 deep bite 및 수복공간의 부족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고경 거상 및 고정성, 가철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으로 안정된 교합관계 및 전방, 측방유도를 형성하여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인 수복 결과를 이끌어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즉시 광중합과 지연 광중합이 이원 중합 레진시멘트의 중합 수축량에 미치는 영향

        이소연,김성훈,하승룡,최유성,김희경,Lee, So-Yeoun,Kim, Sung-Hun,Ha, Seung-Ryong,Choi, Yu-Sung,Kim, Hee-Ky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3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mou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dual-cure resin cements according to different polymerization mode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ight activation 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Materials and methods: Four kinds of dual-cure resin cements were investigated: Smartcem 2, Panavia F 2.0, Clearfil SA Luting and Zirconite. Each material was tested in three different polymerization modes: self-polymerization only, immediate light polymerization and 5 minutes-delayed light polymerization. The time-dependent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was evaluated for 30 minutes by Bonded-disk method at $37^{\circ}C$. Five recordings of each material with three different modes were taken.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Scheffe′test (${\alpha}$=.05). Results: All materials, except Panavia F 2.0, exhibited the highest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through delayed light-activated polymeriz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ght activation modes was found with Panavia F 2.0. All materials exhibited more than 90% of polymerization rate in the immediate or delayed light activated group within 10 minutes. Conclusion: As a clin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delayed light activation mode to dual-cure resin cement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degree of polymerization.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중합 방법에 따른 이원 중합 레진 시멘트의 중합 수축률을 비교하고 광조사가 중합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네 가지 종류의 이원 중합형 레진 시멘트(Smartcem 2, Panavia F 2.0, Clearfil SA Luting, Zirconite)가 사용되었다. 각 재료 당 세가지 서로 다른 중합 방법(자가 중합, 즉시 광중합, 5분 지연 광중합)으로 중합하였으며, 각 방법 당 5개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Bonded disk method를 사용하여 $37^{\circ}C$에서 30분간, 시간에 따른 중합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일원분산분석과 다중 분석을 위한 Scheff$\acute{e}$ test를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으로 하였다. 결과: Panavia F 2.0를 제외한 나머지 세 종류의 이원 중합 레진 시멘트들은 지연 광중합 반응에서 가장 높은 중합 수축률을 보였다. Panavia F 2.0의 중합 수축률은 중합 방법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중합이 개시된 초기 10분 내에 즉시 혹은 지연 광중합에서 모든 시멘트는 90% 이상의 중합수축을 보였다. 결론: 이원 중합 레진 시멘트의 지연 광중합이 중합 효율을 높인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자료수집방법별 효과 분석: 응답자의 자료수집방법 선택효과를 중심으로

        박시내 ( Si Nae Park ),최유성 ( Yu Seung Choi ),한승훈 ( Seung Hoon Han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및 해외 통계청의 노동력조사 자료수집방법의 경향을 파악하고,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자료수집방법별 모드효과 중 응답자의 자료수집방법 선택효과가 자료수집방법별 고용지표에 차이를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럽연합(EU)이나 미국 등 주요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역시 표본연동에 따라 혼합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전자조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자료수집방법 선택에 연령이나 교육정도 등의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자료수집방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통제하기 위해 반복비례가중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조정하였다. 가중치 조정 전에는 자료수집방법이 고용지표에 영향을 주었으나, 가중치조정 후에는 그 영향이 줄거나 없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trend of data collection modes of the Labour Force Surveys of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of respondent`s choice for data collection modes affects laborforce indicators. For the Labor Force Surveys, mixed-mode survey is commonly used to collect data in the most countries as well as Korea. We also found that the portion of electronic survey in the mixed-mode survey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this study, gend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other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respondent`s choice for the data collection modes. To control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we adjusted weight using iterative proportional weighting method. After adjustment of weight, the effect of labor force indicators by data collection modes diminished or disappeared.

      • KCI등재후보

        쇠바위종다리(가칭) Prunella rubida의 관찰 보고

        김태구(Tae-Gu Kim),최유성(Yu-Seong Choi),강승구(Seung-Gu Kang),허위행(Wee-Haeng Hur)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4

        2009년 4월 9일 오후 2시경 쇠바위종다리(가칭) Prunella rubida 1개체가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단석산 계곡(E 129° 04′ 31.04″, N 35° 47′ 49.17″)에서 관찰되었다. 본 종은 부산 다대포에서 2001년 3월 3일 1개체가 관찰되었다는 정보가 있었으나, 확실한 근거 부족으로 한국조류목록에서는 제외되었으며(한국조류학회 2009), 본 기록이 구체적인 근거자료가 있는 최초의 공식기록으로 사료되어 보고하고자 한다. On 9 April, 2009, An individual of Japanese Accentor Prunella rubida was observed at Danseoksan (E 129° 04′ 31.04″, N 35° 47′ 49.17″) in Geoncheoneup, Gyeongju, Gyeongsangbukdo. This is the first record with corroborative information in Korea.

      • KCI등재

        연구보문 : 환경생태 ; 논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특성

        남형규 ( Hyung Kyu Nam ),최승혜 ( Seung Hye Choi ),최유성 ( Yu Seong Choi ),유정칠 ( Jeong Chil Yoo ) 한국환경농학회 201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1 No.4

        BACKGROUND: As natural wetlands are decreased by increment of human demand, the importance of rice fields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waterbirds is well documented.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birds use and management practice of rice fields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emporal abundance of waterbirds and their preference for habitat types in rice fields all year round. METHODS AND RESULTS: Waterbirds census were conducted in rice fields around Asan bay in Korea during April 2009-March 2010 and April 2011-March 2012. In the bird counts, the locations of the observed birds on a 1/2,500 map were recorded along with the local habitat type (paddy, ditch, levee, road). Thirty five species of waterbirds recorded in the rice fields during the survey period and three major groups (shorebirds, herons, and waterfowls)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season and micro-habitat use. Shorebirds visited a flooded paddy for feeding during their spring migration season (April-May), and herons used the rice field as feeding sites during their breeding periods (April-October). Most waterfowls were observed in a dry paddy to feed a fallen rice seed and stubs during the winter season (September-March). Waterbird groups selectively used micro-habitats in rice field. Shorebirds and waterfowls mainly preferred at rice paddies, while herons were attracted to most habitat types. CONCLUSION(S): Rice fields supported various waterbirds all year round and waterbird communities using the rice fields were dra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of rice field condition.

      • KCI등재

        한국에서 회색머리노랑솔새(Phylloscopus tephrocephalus)의 첫 기록

        김동원(Dong-Won Kim),김어진(Uh-jin Kim),이현정(Hyun-Jeong Lee),최유성(Yu-Seong Choi),손종성(Jong-Seong Son),정유진(Eu-jin Cheong),백승운(Seung-Woon Paik),허위행(Wee-Haeng Hur),박진영(Jin-Young Park)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2021년 5월 21일, 솔새과(Phylloscopidae)의 Phylloscopus tephrocephalus 1개체가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청도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본 종의 최초 기록이며, 이 종의 국명을 ‘회색머리노랑솔새’로 제안한다. 본 보고는 회색머리노랑솔새의 첫 관찰에 대해 기술하고, 형태적인 특징 및 분포 등과 관련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On May 21, 2021, a grey-crowned warbler (Phylloscopus tephrocephalus) was observed on Socheong Island, Ongjin-gun, Incheon, Korea.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in Korea and provides fundamental data on its morphology and distribution.

      • KCI등재

        한국 미기록 오색딱다구리 아종(Dendrocopos major brevirostris) 관찰 보고

        손종성(Jong-Seong Son),김동원(Dong-Won Kim),최유성(Yu-Seong Choi),이현정(Hyun-Jeong Lee),백승운(Seung-Woon Paik),박진영(Jin-Young Park)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2

        2019년 12월 6일,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소청도(37°46‘13"N, 124°45"31"E)에서 국내에 서식하는 오색딱다구리 아종인 Dendrocopos major japonicus와 외형적으로 차이가 있는 1개체를 관찰하고 촬영하였다. 형태적 특징과 어깨깃의 흰색 무늬, 머리와 몸 아랫면 흰색의 차이에 의해 본 개체는 국내에서 기록되지 않은 오색딱다구리의 아종 D. m. brevirostris로 확인되었다. 본 관찰은 한국에서 D. m. brevirostris의 첫 기록이며, 아종명은 ‘북방오색딱다구리’로 제안한다. On 6 December 2019, an unusual looking Great Spotted Woodpecker (Dendrocopos major) was observed and photographed at Socheong Island, Daecheong-myeon, Ongjin-gun, Incheon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37°46‘13"N, 124°45"31"E). Depending 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xtensive white shoulder patch, white face and underparts, the bird was identified as a subspecies brevirostris of Great Spotted Woodpecker which has not been recorded in Republic of Korea yet. This is the first national record of D. m. brevirostr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