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초기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부과완벽주의의 관계:인지적유연성과 마음챙김의 이중매개효과

        최승은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voidancea, which are the two dimensions of unstable adult attachment,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o verify which of the two variables has a greater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290 adults aged 18 to 39 were surveyed using the unstable adult attachment scale (ECR-R),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cognitive flexibility scale (CFI), and mindfulness scale (MAA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cognitive flexibility, mindfulness,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but attachment avoidanc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gnitive flexibi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path to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 two dimensions of unstable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show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both cognitive flexibility and mindfulness, but attachment avoidance reach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ly through mindfulness. Finally, the results of the absolute value difference test of the mediating effect to find out which variable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mindfulness have greater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of attachment anxiety to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attachment anxiety, the difference in intensity between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mindfulness was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was found to be greater.This means that mindfulness therapy interventions that focus on self-acceptance are more effective th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terventions that focus on cognitive reconstruction in clinical scenes targeting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path to reaching social imposition perfectionism through cognitive flexibility, and only mindfulness was completely mediated to reach social imposition perfectionism, but its size was very small.In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absolute values between the mediating effec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nsity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mindfulness. This means that more detail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attachment avoid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와 사회부과완벽주의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유연성,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두 측면 중 어떠한 변인의 중재효과가 더 큰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18세~만39세 성인 290명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척도(ECR-R), 다차원적 완벽주의척도(HMPS), 인지적유연성척도(CFI), 마음챙김척도(MAAS)를 사용하여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애착불안, 애착회피, 인지적유연성, 마음챙김, 사회부과완벽주의의 상관분석 결과 애착불안은 모든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애착회피는 인지적유연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차원이 사회부과완벽주의로 가는 경로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각각 살펴본 결과 애착불안은 인지적유연성과 마음챙김 두 가지 모두의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애착회피는 마음챙김만을 경유하여 사회부과완벽주의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애착불안이 사회부과완벽주의로 가는 경로에서 인지적유연성과 마음챙김 중 어떠한 변인이 중재효과가 더 큰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매개효과의 절댓값 차이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애착불안의 경우 인지적유연성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간 강도 차이는 유의하였으며 마음챙김의 중재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불안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장면에서 인지적 재구성을 핵심으로 하는 인지행동치료적 개입보다는 자기수용을 핵심으로 하는 마음챙김치료적 개입이 더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애착회피는 인지적유연성을 매개로 사회부과완벽주의에 도달하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고 마음챙김만을 완전매개하여 사회부과완벽주의에 도달하였으나 그 크기가 매우적은 수준이었다. 매개효과 간 절댓값 차이검증에서는 인지적유연성과 마음챙김 사이의 강도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애착회피를 대상으로 보다 자세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피부관찰기록지 이용여부에 따른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욕창간호 지식과 수행도 및 욕창발생률

        최승은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피부관찰기록지 이용여부에 따른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욕창간호 지식과 수행도 및 욕창발생률 최 승 은 공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본 연구는 피부관찰기록지를 이용하고 있는 요양병원과 이용하지 않는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욕창간호 지식과 수행도 및 욕창발생률을 비교해 봄으로써 추후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노인대상자의 효율적인 욕창예방중재의 일환으로 포괄적 피부사정의 중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D시에 위치하고 있는 200병상 이하의 요양병원 두 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인력 7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욕창발생률은 연구대상인 두 기관 중 한 기관에서 피부관찰기록지를 이용하기 시작한 시점인 2017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각 기관 내 욕창발생보고서를 바탕으로 질향상과 환자안전(Quality Improvement & Patient Safety, QPS)시스템에 집계된 자료를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욕창간호에 관한 지식 정도는 피부관찰기록지를 이용하는 병원의 간호인력은 20점 만점 중 평균 13.43±2.20점, 정답률은 78.0%였고, 이용하지 않는 병원의 간호인력은 20점 만점 중 평균 12.69±2.39점, 정답률은 73.4%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35, p=.180). 2) 욕창간호에 관한 수행도는 피부관찰기록지를 이용하는 병원의 간호인력은 4점 만점 중 평균 평점 3.81±0.19점, 수행률은 95.3%이었고, 이용하지 않는 병원의 간호인력은 4점 만점 중 평균 평점 3.44±0.30점, 수행률은 86.0%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6.11, p<.001). 3) 기관별 욕창발생률은 피부관찰기록지를 이용하는 병원은 평균 0.02±0.02%, 이용하지 않는 병원은 평균 0.17±0.05%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28, p=.006) 본 연구에서 피부관찰기록지를 이용하는 병원의 간호인력과 이용하지 않는 병원의 간호인력 간에 욕창간호에 관한 지식 정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욕창간호에 관한 수행도와 욕창발생률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대상자의 욕창예방 간호에 있어 포괄적 피부사정은 중요하며,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기관 내 규정이나 지침,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욕창, 요양병원, 지식, 수행도, 발생률 ABSTRACT Knowledge, Performance, Incidence rate of Pressure Injury by the Use of Skin Observation Record of Nursing Staff in Long Term Care Hospital Seung Eun Choi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Nam young Y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of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skin observation as part of effective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pressure injury in elderly patients which hospitalized nursing hospital through compare the knowledge, performance, incidence rate of pressure injury between long term care hospitals that use skin observation record and do not use it.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70 nursing staff members working at two nursing hospitals with 200 beds or less located in D city.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October 16 to October 23, 2019. The incidence rate of pressure injury is provided by QPS(Quality Improvement & Patient Safety) aggregated data based on the report of pressure injuries reported at two institutions from January 2017 to June 2019, when the one hospital started using skin observation record receiv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al-tim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5.0 program. The finding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knowledge level of nursing care nursing hospitals,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workers in the hospital using skin observation record was 13.43±2.20 out of 20 points, the answer rate was 78.0% and those that did not use skin observation records was 12.69±2.39 out of 20 point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73.4%,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t=1.35, p=.180). 2) In the performance degree of nursing care,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staff using skin observation record was 3.81±0.19 out of 4, the performance rate was 95.3%. and those that did not use skin observation records was 3.44±0.3 out of 4, the performance rate was 86.0%,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6.11, p⟨.001).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pressure injury in hospitals(%), which was 0.02±0.02 for hospitals using skin observation record and 0.17±0.05 for incidence rate of pressure injury in hospitals that did not(t=-5.28, p=.006). In this study, the knowledge of bedsore nursing care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but Bedsores care performance degree of the nursing staff in the hospitals using skin observation record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ho did not. Nursing homes with comprehensive skin assessments using skin observation records showed lower incidence rate of pressure injury than those with general skin assessm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mprehensive skin assessment is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sores for the elderly patients who are admitted to nursing hospitals. In order to implement this active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stitutional regulations, guidelines,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Key words: Pressure Injury, Long term care Hospital, Knowledge, Performance, Incidence rate

      • e-Transformation 수준 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최승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급격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위한 조직 변화의 일환으로서 e-비즈니스로의 전환, e-Transformation 현상에 대한 논의를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시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e-Transformation 현상에 대한 논의의 초점은 과거 질서와 단순한 세계관을 갖는 기계론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각 시스템 분야별 연구. 분야별 성과모형, 분야별 모니터링 개발 연구에 치중되어 있고(전자상거래진흥원,2001),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른 조직전반에 걸친 디지털 변형 차원에서 조직의 어떠한 영역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에 대해 즉, 변화 영역과 변형 프로세스에 대해 이론적인 체계를 가지고 접근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Transformation현상을 IT혁명과 네트워크환경 변화로 인한 전체조직차원의 혁신적인 변형 과정차원에서, 변형과정상의 구체적인 변화 영역들이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해 나갈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평가 항목들을 제시함으로써, 조직이 디지털화, 글로벌화 되어가는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해 앞으로 혹은 현재의 기업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e-Transformation수준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델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e-비즈니스의 개념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e-Transformation의 개념을 명확히 하였고, 디지털화로 인한 혁신조직 및 신조직 특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화로 인한 단계적 조직 성장에 관한 연구(정보시스템 부문 성장 단계이론/e-Transformation 단계모델), e-Transformation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e-Transformation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가지 변화 영역 즉, 「네트워킹 수준, 전략적 아웃소싱 수준, 문화적 정보처리기반 강화 수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의 평가항목<부록1>을 재구성, 보충함으로써 8가지 평가 영역과 30가지 세부평가지표로 구성된 이론적 모델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이론적 모델의 타당성은 모델의 평가항목을 실제로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설문문항으로 조작화 하여, 기업 기획, 전산, 기타부문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e-mail 설문을 실시, 총70개 기업으로부터 수집된 171부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Cronbach's alpha계수와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e-비즈니스가 사내에 도입, 확산되면서 나타나는 성과개선수준과 각 평가요인과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처리기반 강화 수준에서 조직 마인드에 대한 14개 문항은 혁신문화유도에 대한 문항(VIII-1,2,3,4,5)과 타 부문에 대한 문화적 이질감 인지 수준에 대한 문항(VIII-14), 구성원의 커뮤너티 활성화 수준에 대한 문항(VIII-6,7,8,9,10)과 비전 공유 및 자발적 협력수준에 대한 문항(VIII-11,12,13)이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모델과는 달리 서로 이질적인 요인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 평가모델은 네트워킹 수준에서 3개 요인(물리적 네트워킹 수준, 질적네트워킹 수준, 네트워크 활용수준), 전략적 아웃소싱 수준에서 3개 요인(조직모듈화 수준, 아웃소싱전략실행수준, 가치네트워크 주도수준), 정보처리기반 강화수준에서 3개요인(조직학습수준,조직문화의 개방성 수준, 문화적공감대형성수준), 총 9개 평가항목과 30개 세부 평가지표로 재구성 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모델은 단순히 조직이 IT/네트워크 기술을 받아들여 정보처리방식이나 거래 방식, 조직프로세스만을 전자적으로 바꾸는 협의의 변형과정으로 인식하여 부문별로 접근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그리고, 조직 전반이 변형되는 광의의 의미로 파악했다 하더라도 e-Transformation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변수가 없는 개념적인 연구들과는 달리, 조직의 전반적인 변형과정이라는 포괄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변형 프로세스 상에서 어떠한 변화요인이 존재할 것인가를 찾고, 이러한 변화요인을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과 평가지표를 제시한 모델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실증되지 않은 여러 지표들을 e-Transformation의 프로세스 차원에서 통합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평가 모델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날로 발전하는 e-비즈니스 기술 과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할 환경영역이 급격하게 확장되고 변화하는 현재시점에서 거시적 시각으로 앞으로의 변화방향과 상대적 진행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과 관리 지침을 제시 함으로써, 여러 기업들의 e-Transformation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연구의 목적이 산업적 특성에 제한 없이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려는 것이었기 때문에 성과 변수에 대한 질적접근에 그쳐, 객관적 수치로 측정될 수 있는 양적 성과 지표를 개발, 포함시킬 수 없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산업적 특성에 제한 없이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양적 e-Transformation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이를 추가하여 모델을 재 검증하거나, 혹은 제시된 독립변수들을 산업별 특성을 감안, 보완, 재구성하여 좀 더 세분화된 산업별 e-Transformation 수준 평가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등이 진행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Recently, e-transformation has risen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n which academic and industrial world focus in order to bring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o a company that wants to adapt itself to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the discussion in the e-transformation has been so much concentrated in the study of each static system, model of their performance and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each of them (Korea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2001), that only few theoretica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dynamic process of how each system in the organization experienced the change in terms of the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can occur in the whole organization facing the change of digit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develop a new model to evaluate the level of e-transformation that enables us to check out and predict the e-transformation progress. To do this, we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in e-business and e-transformation, and implemented an empirical study by analyzing 171 data that we obtained by surveying the 70 sample companies. In this process, a model whose evaluation criteria were based on 3 dimensions, 9 factors, and 30 indices was derived. The details of the model are the following. ■ The level of networking - (Degree of Physical Networking (4 indices), Degree of Human networking (4 indices), Degree of Business application to the network resource (3 indices)) ■ The level of strategic outsourcing -(Degree of Organizational Modularization (4 indices), Degree of Establishment & practice to the Business strategy based on co-competence of the organization (2 indices), Value network leading level (4 indices)) ■ The level of strengthening to organizational cultural base in information management (organizational learning level (4 indices), Degree of opennes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2 indices), Degree of perception for cultural context consensus (2 indices)) This model is the first e-transformation process evaluation intended for empirical study, especially by integrating the many indices that have not been examined empirically by the existing studies. We expect that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ill help corporate e-business strategy planners to devise and analyze the e-transformation strategies effectively by recognizing the companies' current situation in comparison with their previous and other firms' level, respectively.

      • 문화예술적 경험이 개인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승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Many companies nowadays analyze the given environment, approach problem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consistently endeavor to think of solutions distinct from others in order to survive in the constantly evolving global market and society. In addition to the tangible assets of companies, the creative ability of the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the creators of fundamental knowledge who produce information and intangible assets, are also becoming important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companies’ survival. How then is creativity, the ability to produce new knowledge and generate unique and effective ideas, initiated? How does it spark and what is the reality behind it? Compan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this era of modern knowledge, securing creative talents from the time of employment as well as considering a variety of ways to develop and maximize the creativ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 members. One approa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emerging with the refocusing of the humanities and arts. This approach is characterized by the attempt to apply culture and art to business. Ties with culture-arts and management have been a long running relationship, which originated from the purpose of building a public reputation. Many academic researches are currently underway in terms of external economic value. These are changing the corporate image and increasing market competitiveness through social contribution to culture and arts. However, the purpose of companies interested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is to gain not only the external value but also the internal value, such as the growth of a company’s potential secured by the stimulation of the employees’ creativity. This study is focused on culture and arts and individual creativity, all of which are emerging rapidly but have not been making much progress in terms of in-depth research. How can creativity, a critical factor that determines companies’ survival, be stimulated? What is needed to successfully accomplish creative tasks? Will the culture and arts-based management strategy indeed be effective? Creativity researchers see personality, cognitive ability, intrinsic motivation and domain knowledge as the major factors of individual creativity (Amabile, 1996, Zhou and Shalley, 2009). They also believe that creativity of individuals affected by situational contextual factors in sociological perspective (Woodman et al, 1993; Amabile,1988;1996, Woodman et al, 1993; Drazin et al., 1999; Hargadon and Bechky, 2006) could be triggered from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as well as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Ivancevich and Gilbert, 2000; Robinson and Dechant, 1997; Nonaka, 1994; Woodman et al., 1993; Wiersema and Bantel, 1992; Cox and Blake, 1991; King and Anderson, 1990; Barron and Harrington, 1981). Therefore, assuming that the domain knowledge and creativity factors of individual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logicality, openness, risk-taking) proposed by the researchers are the main factors that successfully carry out creative tasks,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t effects of culture and art based experiences, which might seem unrelated to business. By facilitating the creativity factors of individuals, business performance is expected to improve in the constant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based on an exploratory mixed method design. The main hypothesis established to carry out this study's research projects is described below. First, domain knowledge and creativity factors of individuals are major precedenc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a creative task. (Hypothesis 3, Hypothesis 4). Second, the culture and art-based creation experience and appreciation experience contribute to task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the creative factors of individuals (Hypothesis 1, Hypothesis 2). Facilitating the enhanced creativity factors of individuals also help the domain knowledge influence job performance (Hypothesis 5,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analysis of a total of 385 survey data collected from R & D related area workers, laboratory and marketing professionals and individuals engage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the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proving that the culture and art based creation experience and appreciation experience are all effective in enhancing creative factors of individuals (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supported). It has also been shown clearly that the impact of domain knowledge on business performance is significant, similar to all creative factors except for flexibility and originality: fluency, logicality, openness and risk-taking (Hypothesis 3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4 supported). The hypothesis about moderating effect appeared to be positive in strengthening the impact of domain knowledge on business performance, supported by all the creativity factors except for originality (Hypothesis 5 partially accepted). It was analyzed that most of the hypothesis anticipated in this study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re significant.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culture and art-based creation experience and appreciation experience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each of the creativity factors. Part of the creativity factors such as originality and flexibility can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of creative tasks when it harmonizes with other values like compassion, cooperation and trust within an organization where members work together.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performances can be maximized when creative factors and domain knowledge are optimized and generate synergy. Since objective measures were not included for the measur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set range of creative tasks were rather extensive in this study, subsequent studies are necessary in terms of specialized applications in the corporate and industrial settings. However, by stressing the new advantage that culture-arts based strategy can create an environment that fosters the development of new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this study establis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with which management and culture-arts management strategy can be combined more broadly. It also provided guidelines for people in charge of HRM when developing culture-arts management strategie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knowledge creation in the R&D department. 현대의 기업들은 끊임 없이 변화하는 기술적, 사회적 환경하에서 살아남기 위해 주어진 환경을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며, 남들이 생각해 내지 못한 독창적인 해법을 찾아 노력에 노력을 거듭하고 있다. 또한, 기업이 가진 물리적 자산뿐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자산, 지식과 무형자산을 만들어 내는 원천적 지식 생성자, 조직 내 한 개인의 창의적 능력이 기업의 사활을 결정하는 중요 변수가 되어 가고 있다.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능력, 새롭고 유용한 것을 만들어 내는 원천으로서의 창의성(Creativity)은 어떻게 촉발되는가? 실체는 무엇인가? 기업현장에서는 현대 지식사회에서 창의성이 주는 중요한 의미를 인지하고 채용 당시부터 창의적 인재를 선별적으로 선발, 우선적으로 확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미 고착화 되어 있는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 역량을 개발,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편을 고심 중이다. 이들 가운데 최근 인문학과 예술적 가치의 재조명과 더불어 새롭게 부각되어 주목을 끌고 있는 것이 있다. 경영에 문화예술을 접목시키려는 시도이다. 경영 분야에 있어 문화예술분야와의 결연은 기업의 외향적 명성구축을 위한 목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미 오래된 관계이긴 하다. 학술적으로도 사회적 공헌을 통해 기업 이미지를 바꾸고, 기업의 활동기반을 강화한다거나, 시장 경쟁력을 제고하려는 등 외향적으로 창출되는 경제적 가치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문화예술영역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사회공헌차원뿐 아니라 고객유지, 기업인지도상승, 시장경쟁력강화, 더 나아가 기업 내부적으로 조직원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고, 문화예술을 통해 기업의 잠재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적인 이유도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부각되고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문화예술과 개인의 창의성에 주목하였다. 창의성의 시대, 기업의 사활을 결정하는 창의성은 어떻게 자극될 수 있는가? 창의적 과업을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최근 부각되고 있는 문화예술을 접목한 전략이 과연 유효할 것인가? 창의성 연구자들은 개인의 성격, 인지적 능력, 내재적 동기, 꾸준히 누적한 관련영역의 지식 등을 창의성을 구성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 있다(Amabile, 1996, Zhou and Shalley, 2009). 또한, 사회학적 관점에서 상황 맥락적 요인(Woodman et al, 1993; Amabile,1988;1996, Woodman et al, 1993; Drazin et al., 1999; Hargadon and Bechky, 2006)에 영향을 받는 개인은 다양한 경험과 소통, 직 간접적 예술체험으로 내면의 창의성을 일깨울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Ivancevich and Gilbert, 2000; Robinson and Dechant, 1997; Nonaka, 1994; Woodman et al., 1993; Wiersema and Bantel, 1992; Cox and Blake, 1991; King and Anderson, 1990; Barron and Harrington, 1981). 본 연구는 이들의 논의를 근간으로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한 개인의 창의적 특성과 개인이 축적한 해당 영역의 지식을 창의적 과업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내는 주요 변인으로 보고, 업무와 무관해 보이는 문화예술적 경험이라는 것이 변화하는 기업환경에서 개인의 창의적 특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업무성과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심층 인터뷰와 양적 연구를 병행, 이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제 수행을 위해 설정된 본 연구의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창의적 특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논리성, 개방성, 도전성)과 영역지식은 창의적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성과를 결정하는 주요 선행요인이다(가설 3, 가설 4). 둘째, 문화예술적 창작경험과 감상경험은 이 들 중 개인의 창의적 특성을 강화시킴으로써(가설 1, 가설2), 그리고 강화된 개인의 창의적 특성은 영역지식이 업무성과에 주는 영향력을 도와줌으로써(가설 5) 업무 성과에 기여하게 된다. 연구 대상은 R&D 관련 영역종사자, 연구소 및 마케팅 전문가, 컨설팅 부문에 해당하는 업체와 공기업, 공공기관, 교육기관에서 기획 및 연구개발 업무에 종사하는 조직 내 개인이며, 이들에게서 수집된 총 385개의 설문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AMOS 20)을 통해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적 창작경험과 감상경험은 모두 개인의 창의적 특성을 강화시키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가설1과 가설2 모두 지지), 개인의 창의적 특성과 영역지식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융통성과 독창성을 제외한, 유창성, 논리성, 개방성, 도전성, 영역지식 모두 업무성과에 의미 있게 기여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가설 3은 부분 채택, 가설 4 지지). 조절 효과에 관한 가설 역시 독창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영역지식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가설5 부분 채택) 본 연구가 예상하였던 문화예술과 개인의 창의성 업무성과에 관한 가설은 대부분 유의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창작과 감상경험이 창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특성 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과 독창성, 융통성과 같은 일부 창의적 특성은 배려, 협력, 신뢰와 같은 다른 특성과 조화를 이루어야 함께 일하는 조직에서 의미 있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 마지막으로 창의적 특성과 해당 분야의 영역지식이 상호 시너지를 발생할 때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업무성과에 있어서 객관화된 수치적으로 측정 가능한 도구를 사용하지 못했고, 창의적 업무를 다소 광범위하게 설정하였기 때문에, 개별화된 적용을 위해서는 산업 및 기업별로 세분화된 후속 연구가 추가적으로 더 진행되어야 한다는 한계를 갖고 있긴 하다. 그러나, 창의성의 시대에 경영과 문화예술영역과의 결합이 사회적 기여와 시장전략적 측면에서의 효과성뿐 아니라 인적자원의 창의성을 개발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창의적 문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새로운 가치를 조명해 줌으로써 경영과 문화예술영역을 보다 광범위하게 접목시킬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실무적으로는 연구 개발 부문에 있어 지식창출 및 창의적 인재 개발을 위한 문화예술 지원 전략을 수립할 때, 보다 적중도 높은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승은 서강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method how to encourage the physically disabled worker. Basis on the precede studies, the term of employe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defined and th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employee engagement were discussed in 4 areas of personal, organized structur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environment. Investigated the factors which develop organized commitment from the physically disabled worker. The data in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three physically disable workplac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program.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llowings we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under the measuremen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follows the personal main cause, clarify that autonomy and activity is influence on physically disabled worker commitment. They are more commitment when they have chance that more empower to them then when they do their duties in group. also if the person have lively character, they are more concentrate on their organization. second, under the measuremen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roup that follow the organized structure main cause, size and public office influence the immerse in group. The size of group will make easy to communication to disabled, suitable to fulfill the task. Also if environment will more handling easy, it will be more concentrate on organization physically disabled worker. Third, pay, promotion and welfare benefit influenc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roup. Physically challenged worker satisfaction with their pay, felt fair with their promotion chance and when they recognized enough to group's welfare benefit, they will be more concentrate on their organization. Four, following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working facility is more positive influence to the disabled. Considering the physically disabled worker's character, when well-work facility place for tasks provide to them, they can be more concentrate on their organization. Therefore, company which hires physically challenged person or normal company will give more empower, provide correct guideline and official document, pay for competent level, fair promotion opportunity, give a welfare benefit, prepare the convenience working station for physically challenged. Those things will be made more immers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efficiently. 본 연구는 조직몰입에 관한 기존의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여 조직몰입의 개념을 정립하고,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개인적, 조직 구조적, 조직 관리적, 물리적 환경 4가지가 어떻게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높은 조직몰입 형성을 위해 효율적인 조직 운영과 조직 관리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서울에 있는 지체 장애인 사업장 두 곳과 경기도에 있는 지체 장애인 사업장 한 곳 총 세 곳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요인에 따른 조직몰입 수준을 측정한 결과, 자율성과 활동성이 지체 장애인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체 장애인 근로자가 조직 내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보다 많은 자율권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기회를 부여받을 때, 그리고 활동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을 때 조직에 더 몰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구조적 특성 요인에 따른 조직몰입 수준을 측정한 결과, 조직 규모와 공식성이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규모가 지체 장애인 근로자가 편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며, 업무를 수행하기에 적절하고, 공식화된 문건으로 업무가 처리되는 환경일 때 조직에 더 몰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조직 관리적 특성 요인에 따른 조직몰입 수준을 측정할 결과, 보수와 승진, 복지혜택이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체 장애인 근로자가 본인이 일하는 조직에서 보수에 만족하고, 승진 기회에 대해 공정하다고 느끼며, 조직의 복지 혜택 수준이 충분하다고 인식할 때, 조직에 보다 더 몰입할 수 있다고 보인다. 넷째, 물리적 환경 요인에 따른 조직몰입 수준을 측정한 결과, 작업 시설은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할 때 업무 수행을 위한 작업 시설이 잘 갖추어진 곳에서 일할 때 조직에 더 몰입할 수 있다고 보인다. 따라서 지체 장애인을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장이나 일반 회사들은 지체 장애인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지체 장애인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할 때 많은 자율권을 부여하고, 업무에 관한 것은 공식적인 문건과 정확한 지침을 제공하며, 만족할만한 보수와 공평한 승진 기회, 복지 혜택을 제공하고, 업무 수행이 보다 편리하도록 작업 시설을 마련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교사의 음악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최승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과를 담당하는 초등교사의 교육경험을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교사의 교육적 실천과 초등음악교육에 필요한 상호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초등교사의 음악교육 학습경험과 실천경험의 의미성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문화교육과 초등음악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상호문화교육에 관한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배경과 패러다임을 논의하였다. 상호문화교육 담론 형성의 과정을 살펴보고, 상호문화교육에 철학적 토대가 되는 상호문화성과 타자지향성을 논의하여 이러한 철학적 기반을 바탕으로 하는 상호문화역량을 순환적 구조로 구성하였다. 또한 음악교육에서의 상호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음악교육과 정서지능, 초등교사의 음악교수역량, 그리고 음악교육에 대한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을 고찰하였다. 초등교사의 음악교육에 나타난 교육경험을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내러티브 연구를 사용하였다. 학습유형의 다양성으로 발견한 학습경험의 의미를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다양한 학습경험은 교사의 성장으로 되기(becoming)의 과정으로 발현된다. 즉, 교사는 학습경험을 통해 성찰적 교사, 예술적 교사, 전문적 교사, 그리고 협력적 교사의 모습으로 성장한다. 첫째, 성찰적 교사는 자신의 배움에 대한 부재와 무지함, 부족함을 인식하고 자신감의 부족, 그리고 음악교과에 대한 역량이 부족함을 스스로 인지하였다. 이러한 자기 인식과 반성을 통해서 교사들은 지속적인 학습을 이어나갔으며, 이것은 교사의 순환적 학습의 원동력이 된다. 성찰을 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로서의 자질과 수업의 질 향상에 있어, 끊임없이 사유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예술적 교사는 음악에 대한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예술로서 음악이 갖는 심미적 아름다움과 소리에 대한 매료는 교사의 예술성을 표출하도록 한다. 교사는 음악을 감상하거나 연주를 할 때 카타르시스와 희열을 경험한다. 이러한 몰입은 예술적 경험에서 중요하며, 이것은 창조적 학습경험으로 이어진다. 셋째, 전문적 교사는 배움에 대한 열정과 끊임없는 탐구를 지속하는 교사이다. 특히 국악교육과 합창지도 등의 음악교육과 관련하여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개인지도를 받고, 인터넷 강의를 들은 교사들은 자발적으로 계속해서 학습을 하며, 이것을 교수활동으로 연계시킨다. 넷째, 협력적 교사는 타자를 위한 마음과 공동체의식이 있다. 동료 교사들을 위하여 배려하고, 수업을 위해서 서로 협력하여 토의하며 함께 고민하고 의견을 나눈다. 뿐만 아니라 봉사활동을 통해서 타자를 지향하는 삶을 실현한다. 이러한 교사의 학습경험은 교사의 교육실천으로 이어진다. 음악교육에 나타난 교육실천의 의미를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타자를 향해 주체가 열릴 때 공감이 시작된다. 다양한 문화의 음악을 경험하면서 타자를 인정하는 것은 나와 다른 타자에 대하여 이해하고, 느끼는 감정이 음악교육을 통해서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음악은 몸으로 만들어 가는 체험의 예술이다. 나와 다른 타자도 몸을 통해서 음악을 만들고 느낀다는 것을 통해 공감한다. ‘이름’을 부르는 것은 존재를 인정하는 것으로 나와 다른 타자가 동시에 나와 같은 인간임을 느낄 수 있다. 둘째, 주체와 타자의 상호작용은 바로 소통이다. 언어적 소통이 뿐 아니라 비언어적 소통은 음악을 통해서 가능하다. 타자와의 소통에서 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일이다. 교육은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켜주어야 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비판이 단지 비난으로 그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비판적 사고가 타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통으로 이어질 때 의미가 있는 것이다. 셋째, 음악 교육의 실천에서 학습자는 타자와 함께하는 공동체를 형성한다. 음악은 협화음과 불협화음이 만나 하모니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특히 함께 무대에 오르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협력을 배운다. 그 무대가 작든 크든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작품을 완성하는 것은 공동의 성취감을 느끼게 해 준다.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사들도 협력이 필요하며, 교사도 협력적 공동체를 통해 함께 배우고 성장해 나간다. 본 연구는 향후 다양한 상호문화교육과 음악교육의 활용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는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카페인의 특성과 식이에 의한 생리적 영향 연구

        최승은 韓京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Caffeine is the most widely consumed drug, commonly from the beverages such as coffee, tea or soda. An eatimateed 80% of the world’s population consumes a caffeine-containing substance daily. The English word caffeine comes from the French word for coffee, “cafe”. It has been proven that both caffeine and chlorogenic acid, contained in coffee, have antioxidant activity, which slow down the aging processes. On the other hand, caffeine can also result in “coffee nerves” if taken too large a dose. With caffeine each individuals has a personal tolerance leve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caffeine an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caffeine, focused on the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des.

      • 노인 우울증 완화 인지행동 프로그램 개발

        최승은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at developing a cognitive therapy group program for the purpose of reducing depressive mood in the old. Their psychosocial risk of depression is analyzed. Beck's cognitive approach to depression focuses on negative thinking. The depressed experience negative thoughts as being beyond their control in that their negative thought patterns can become automatic and self-perpetuating. Negative thinking, particularly in the aged population, can be relieved by activity scheduling and mental and emotional imagery. Activity scheduling invite the old participants to try out new behaviors and to remain active in spite of their depressive mood. Mental and emotional imagery encourages them to look back on their past achievements. This program's organizing principles include reducing depressive mood by increasing pleasure and learning how to have fun by doing physical games together. This has nine sessions; orientation, self-discovery, reminiscence I, reminiscence II, having fun I, relationships, retrospection, having fun II, and conclusion. Each session takes 80 minutes. Each session is consisted of introduction, activity and wrap-up. In the activity, the participants are supposed to find pleasure by playing games together. Further empirical researches for this program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인지행동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현대 사회는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로 인하여 사회적 경제적 구조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대가족 제도가 핵가족화, 수명 연장 등으로 노인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결국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인 문제로 이어져 그 정도가 심각한 것이 현실이다. 노인의 증가는 또한 노인의 질병에 대한 심각성도 함께 가져오게 되는데 그 가운데 노인에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 가운데 하나가 곧 우울증이다. 그래서 본 프로그램 연구는 노인이면 누구에게나 쉽게 찾아올 수 있는 우울증을 완화시키고 즐겁게 여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을 두고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울증 노인에게 우울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아론 벡의 인지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인지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론적 내용으로는 노인의 개념과 특성, 일반우울증과 노인우울증의 개념 정의와 증상과 원인, 특성 등을 살펴보았고, 그 치료 방법으로서 아론 벡의 인지이론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하였다. 노인 우울증 완화를 위하여 인지행동 프로그램 연구는 총 9회기로 구성하였는데 한 주에 80분씩 모두 9주 동안 총 9회기로 기획하였다. 구체적 내용으로는 도입단계와 진행단계, 종결단계로 분류하였으며, 회기별 내용을 보면 오리엔테이션으로 시작하여 나 발견하기, 회상하기1, 회상하기2, 즐거움 높이기1, 관계향상하기, 가족 회상하기, 즐거움 높이기2(안녕하세요, 피노키오 종이컵 나르기, 종이 떨어뜨리기)로 구성하였으며, 마지막 회기는 ‘행복마차’로 이전 회기들을 회상해 보며 집단원들을 축복하며 지지하고 즐겁게 살아가도록 격려하며 그 기념으로 사진을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은 노인들 스스로도 언제 어디서나 응용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노인들이 활용한다면 그들의 삶에 더욱 활력이 넘칠 것으로 기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