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상텍스트 번역과 창의적 시프트 : 텍스트 수용자로서의 번역사 지식기반의 역할 연구

        최소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Research of Creative Shifts in Film Subtitle Translating : Focusing on Their Types and Attribution Facto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at the translator performs two-folded roles: (1) reading and interpreting a source text as the reader, and (2) producing the target text with creativity as the producer. With film translating, the translator uses creativity with the aim of delivering multimodal messages in the source text, which are deduced from his/her own cultural and pragmatic knowledge in the cognitive environment, into the target text. This is done in an effective way while working under the constraints of subtitling.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however, has been considered a great challenge. This study adopts the concept of ‘Creative Shifts(CS)’ as a means with which to investigate the translator’s creativity. CS refers to optional variations of word choices or sentence structures in the original text in a creative way. The types of CS identified based on Kußmaul, Vinay & Darbelnet, and Schäffner are: (1) chaining of categories, (2) picking out scene elements, (3) enlarging a scene, (4) framing a scene, (5) thinking up a new frame, (6) amplification, (7) transposition, (8) modulation, (9) transferring the metaphor in ST into corresponding metaphor in TL (10) transferring zero-metaphor into metaphor in TT. For the present study, two genres of and two subjects of films are contrasted: romance and action, and spatial-temporal transi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which results in different groups of films selected for comparison: <About Time> (2013), <Jumper> (2008), <Pride and Prejudice> (2005), <Kingdom of Heaven>, with two translations of each. The present study is a two-to-one study that compares the two target texts both with their source text an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check out whether certain shifts are derived from a linguistic gap or the individual style of the translator. The identified shifts are classified by the types of CS, and then analyzed to find out the motivation for the translator to apply the shifts. The results of these sample analysis reveal that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of the films, which means translators use more shifts in films that have no pressure of preserving authority of the originals. It is also revealed that translators of the same source text differ in applying CS, which indicates using them depends on the derived message of and the individual translating style of the translators. Despite its limitations in sco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classify the types of creativity and casts a light on the need and importance of research about the creativity of translato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discussions on whether CS facilitates reading comprehension for target readers.

      • 초등학교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실태 분석

        최소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softwares for education that had been supplied by the Offices of Education or purchased by individual schools to raise teaching efficiency were in use and what kept them from being utilized. It's basically meant to lay some foundation for more successful budgeting and a better use of educational CD-ROM tit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26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from three groups of schools that respectively had 24 classes or more, 7 to 23 classes and six classes or less. These schools were selected after every elementary school in Jeonbuk province was divided by geographic location into two regional groups: one was located in small urban areas and the other was in myeon or smaller region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42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The teachers investigated considered their own computer skills to be above the average, but had difficulties in developing or producing even simple type of educational softwares. And they found their principals to be interested in educational softwares and provide an average or higher level of financial backup. About half the schools investigated gathered opinions from the teachers about educational softwares through a purchasing committee, etc., but it's just for form's sake. The teachers put learning programs, encyclopedia and learning materials programs on the top of the purchase list. In most of the schools, there were people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softwares, and these softwares were largely utilized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art, music, physical education and science. More than 90 percent of the teachers put educational softwares to use for approximately 10 minutes in their classes, and the shortage of software materials was identified as a factor to interrupt their use. Concerning buying criteria, they gave priority to connection with the curricula, originality and user level. For publicity, the list of softwares in possession was attached to a specific place or the teachers were informed in the staff meeting. But the teachers expected to build an intraschool network for software management by server, and they also hoped there would be an e-library to make it easier to search and utilize what they need.

      •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소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사회에 울분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특히 20~30대의 울분이 심해지고 있다. 사회경제적으로 영향을 많이 줄 수 있는 성인초기의 정신 건강을 위해 울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봐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30대의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가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울분, 자기자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자기자비가 울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 경기도, 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39세 남녀 336명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울분, 자기자비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336부 중 누락된 문항이 있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지 33부를 제외하고 303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자기자비가 울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분석에서 전체 변인과 하위요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20~30대 성인의 울분은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울분은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자기자비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본 결과, 자기자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셋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자비의 수준에 따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낮을 때 울분을 강화시키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자기자비, 자기자비와 울분의 관계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또한 울분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켰다. 이 결과는 상담자가 상담 현장에서 울분을 보이는 내담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우며 문제개선을 위한 심리치료, 상담 과정에서 울분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갈등의 요인들을 이해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치료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becoming embitterment with Korean society, especially those in their 20s and 30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embitterment for mental health in early adulthood, which can have a significant socio-economic impac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self-compassion in the course of the belief in the just world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is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belief in the just world, embitterment, and self-compassion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econd,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their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self-compassion on embitterment?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influence of belief in the just world on embitterment?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36 men and women aged 20-39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bout belief in the just world, embitterment, and self-compassion. Out of 336 copies, 303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of this study, excluding 33 questionnaires that had missing or answered silently. This analysis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in their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self-compassion on embitterment, we first looked 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l variables and sub-factors. The embitterment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embitter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self-compassion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belief in the just world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their embitterment, the explanatory power appeared in the order of self-compassion and belief in the just worl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investigated on the influence of the belief in the just world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embitter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elf-compassion plays a role as a partial medium to reinforce embitterment when belief in the just world is low.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the just world, which lacked research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between self-compassion, self-compassion, and embitterment. It also expanded the breadth of understanding for the clients who complained of embitterment. This result helps the counselor to understand the clients who are resentful in the counseling field, understands the factors of conflict among clients who complain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by embitterment in the psychological treatment for problem improvement, and in the course of counseling. It is expected to provide a therapeutic basis to help elevate.

      • Effects of Diurnal Variation of Ground? and Building?Surfaces Temperature on Flow and Air Temperature in Urban Areas

        최소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CFD‒LDAPS 접합모델을 이용하여 지표면과 건물표면 온도의 일변화가 도시지역 흐름과 기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CFD 모델의 현실적인 지표경계 입력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GIS 자료와 토지피복 자료를 사용하였고, 일중 지표면 온도 변화율을 이용하여 매 시각의 지표면과 건물표면 온도를 설정하였다. 중규모 기상모델 (LDAPS)의 출력자료를 CFD 모델의 초기 및 경계자료로 활용하여 국내 기상 특성이 반영된 연속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시효과를 비교할 수 있는 대구 ASOS (이전 전∙후)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일은 지표면 및 건물표면 온도의 일변화가 뚜렷하고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여름철 맑은 날로 선정하였다. 여러 기상요소에 대해서 CFD 모델을 이용한 모의 결과를 관측, LDAPS 출력자료와 비교하였다. 도시 내의 장애물과 표면온도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는 LDAPS는 전체적으로 기온에 대해서 과소모의, 풍속에 대해서 과대모의 하였고, 관측과는 차이가 큰 풍향을 모의하였다. CFD 모의 결과는 LDAPS 모의 경향과 유사하나, 도시효과가 고려되어 기온과 풍속에 대한 정확도가 개선되었다. 밤 시간대에는 낮은 지표면 온도와 과소모의된 LDAPS 기온의 영향으로 정확도 개선이 미미하였으나, 낮 시간대에는 도시 가열효과가 반영되어 관측과 유사한 기온을 모의하였다. 도심지에 위치한 이전 전 대구 ASOS 지점에서 평균 기온은 이전 후 지점에서 보다 1℃ 가량 높게 관측•모의 되었다. 또한, 이전 전 관측소에서의 풍속이 더 느리게 나타났다. 장애물로 인한 인공열 방출과 흐름 방해는 도시지역의 기상 관측과 인간의 생활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토지피복 종류에 따른 표면 온도의 일변화는 그 지역의 흐름과 기온에 영향을 미친다. 초기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중규모 모델의 성능이 향상된다면 CFD 모델의 정확성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도시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시설의 계획에 관한 연구 : 지역성을 중심으로

        최소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도시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삶이 여유로워지고, 주 5일 근무제 실시로 여가시간이 증대되면서 문화생활의 기회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문화생활의 환경조성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문화시설을 확충하기 시작하였고 다양한 관심을 확대하여 계획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문화시설은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도시민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생활이 가능하도록 공연, 전시, 상영, 교육 및 강연 등의 여러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시설로 계획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복합문화시설은 해당 지역만의 특성이 고려된 종합적 환경(자연환경, 역사환경, 건조환경, 사회·인문환경)과 연계되어 계획되지 않아서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보편화에 중점 되어 유사한 개발방식과 유형의 적용으로 인해 건축물의 형태 및 공간 환경조성이 규격화 및 획일화 되어있다. 따라서 복합문화시설의 질적 향상을 고려했을 때, 우선적으로 지역성의 개념 및 요소의 특성을 바탕으로 복합문화시설의 계획요소 평가가 필요하며 이는 관련분야의 다양한 전문가 집단에 따른 의견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활성화 및 도시민의 친인간적인 문화생활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성을 고려한 복합문화시설의 계획요소를 도출하는데 있으며 또한 향후 복합문화시설 및 이와 유사한 기능의 시설 계획 시 고려해야 할 계획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성의 개념 및 요소를 도출하고, 지역성을 고려한 복합문화시설의 계획요소를 파악한다. 둘째, 지역성의 요소 및 복합문화시설의 계획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복합문화시설의 지역성 적용현황을 조사하고 지역성을 고려한 복합문화시설의 계획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복합문화시설이 도시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도시민의 개인적 삶을 풍요롭게 하는데 긍정적 기여하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성은 지역의 종합적 환경(지역환경, 역사환경, 건조환경, 사회?인문환경)을 고려한 해당 지역만의 고유한 정체성(identity)을 의미하며 이를 고려한 복합문화시설의 환경은 관련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서로 협력하여 의견을 통합하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계획해야 한다. 둘째, 복합문화시설물의 건축물 자체와 공간과 관련된 특정요소를 이미지화하여 물리적 측면에서 건축물의 특색을 표현하는 ‘상징성’에 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자연적이고 인공적인 물리적환경과 맥락을 함께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여 질서를 추구하는 ‘연속성’에 관한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복합문화시설이 다른 공간과 차별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장소성’에 관한 고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민의 삶, 역사, 및 문화가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되고 새로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도록 ‘전통성’에 관한 고려가 필요하다. 여섯째, 지역의 자연환경 및 기후를 고려하고 지역적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풍토성’에 관한 고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역성의 요소인 ‘상징성’, ‘연속성’, ‘장소성’, ‘전통성’, ‘풍토성’ 등이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고려하여 복합문화시설의 환경을 계획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관련분야의 실무자, 연구원, 공공기관 전문가 등의 전문가 집단은 서로 협력하여 통합적이고 구체적인 계획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상호텍스트성 기반 읽기 지도 방안 연구 : -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중심으로 -

        최소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융합의 시대, 통섭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독자들은 읽기의 과정 및 독서의 과정에서 매우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의미를 구성해 나가게 된다. 일차적으로 독자는 주어진 텍스트에서 기본적인 의미를 이해하게 되고, 이것에 독자가 가진 배경지식 및 함께 접하게 되는 다른 자료로서의 텍스트들이 의미를 더해 주어진 텍스트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더욱 확장해 나간다고 할 수 있다. 상호텍스트성은 이러한 의미 구성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이는 ‘융합 독서’, ‘주제 중심 독서’ 등으로 강조되는 오늘날의 독서 방법과도 긴밀한 연결고리를 형성해 나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융합과 통섭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독서 전략의 하나로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은 현대의 독자에게 과거와 비교하여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능동적이고 비판적으로 읽어 나가는 독자를 위해 반드시 학습 또는 훈련이 수반되어야 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모더니즘과 분명 한 연장선 상에 존재하나, 특징 면에서 모더니즘적 요소를 거부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철학 사조를 통하여 ‘상호텍스트성’은 좀 더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용어로 자리 잡게 되었다. 포스트모던 학자들은 언어적 집합체인 하나의 텍스트 구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전의 것, 또는 다른 것과 관계를 가지게 되는 것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음을 이야기 한다. 즉 이러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하여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상호텍스트성’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포스트모던의 철학적 사조는 문학을 포함한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결국 독자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할지라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개념 정립이 이루어진 ‘상호텍스트성’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이미 독서 교육적 가치에 있어서 하나의 맥을 통해 연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읽기 교육에서 상호텍스트성이 가지는 중요한 의의를 파악하고, 상호텍스트성을 잘 보여주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읽기 자료로 활용하여 독자 중심의 읽기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상호텍스트성의 개념 및 읽기 교육적 가치는 무엇인가? 2.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개념 및 읽기 자료로서의 활용 가치는 무엇인가? 3. 상호텍스트성 기반 읽기의 다중텍스트로 활용하기 위해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상호텍스트성을 어떠한 기준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 4.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상호텍스트성 기반 읽기 지도는 실제 어떠한 방법으로 전개해 나갈 수 있는가? 이 연구 문제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상호텍스트성이란 과거에서 현재로 이르는, 역사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텍스트들과 현재의 텍스트들 간의 상호 관계를 통하여 독자가 가진 사고의 지면을 수정, 확장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한 읽기는 읽기의 결과 못지않게 과정을 중요시하며 다중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지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추론적이고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이해를 도와 역동적인 사고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읽기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둘째, 이야기 책 안에서 비선형적인 내러티브 형태와 자기 지시적 구성요소, 메타픽션 등의 독특한 특성 등을 포함하고 있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은 매우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독자들을 흥미롭게 자극하는 읽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작품 중심 상호텍스트성, 작가 중심 상호텍스트성, 독자 중심 상호텍스트성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다중텍스트 구성은 그 기준에 따라 매우 많은 경우의 수로 결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호텍스트성 기반 읽기 지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다양한 자료로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상호텍스트성이 다양한 텍스트 간의 상호 맥락적 관계를 통해 의미 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수업 방식의 측면에서 사회적 구성주의를 적용하여 상호텍스트성 중심 읽기 지도 모형을 구안하였으며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읽기 프로그램 예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mportant meanings of intertextuality in the process of reading, and to find strategies for reader‐centered reading instruction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which show intertextuality well, as reading material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are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and its educational values in reading instruction? 2. What are the concept of postmodern Picturebooks and their utilities as reading materials? 3. What criteria can be used in analyzing the intertextuality of postmodern Picturebooks to be used as multiple texts of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4. In what way can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be instructed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tertextuality is a process of revising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the reader’s thought through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historical texts and contemporary texts. In addition,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for reading education in that it emphasizes the process of reading as much as its outcome, helps approach reading instruction using multiple texts, and promotes dynamic thinking through supporting inferential, creative, and critical understanding. Second, postmodern Picturebooks can be reading materials stimulating the readers’ interest because the storybooks include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non‐linear narratives, self‐directed components, and meta‐fictions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roach from highly diverse viewpoints. Third,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for work‐centered intertextuality, author‐centered intertextuality, and reader‐centered intertextuality, and this process of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can be a large number of combinations of multiple texts depending on applied criteria. This suggests that postmodern Picturebooks usable in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instruction have high potential as materials of various uses. Fourth, this study designed an intertextuality‐oriented reading instruction model by applying social constructionism to teaching in consideration that intertextuality can maximize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intertextual relationships among various texts, and proposed an exemplary reading program for hig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가족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최소희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가족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40, 50대 중년여성으로 편의적 표집 방법으로 14명을 수집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7명씩 무선배치 하였으며,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에게 프로그램 전후에 자아존중감 검사, 가족 간 의사소통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2015년 8월 12일부터 2015년 9월 30일까지 경기도 A시에 소재한 T센타에서 주 1회, 각 120분, 총 8회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가족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험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이 실험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검사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음으로써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험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이 실험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가족 간 의사소통 검사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음으로써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가족 간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가족 간 의사소통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년여성의 삶을 풍요롭고 건강하게 만드는데 이 프로그램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Deleuze 철학에 비추어 본 독서교육생태계의 개념적 모형 개발 :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를 바탕으로

        최소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동서양을 막론하고 독서는 예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강조되고 있는 활동이다. 특히 독서 행위는 개인의 성장은 물론,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수행능력 계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는 태생적 요인이 아닌 문화적으로 획득되는 행위로 무엇보다 고차원의 정신 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독서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사회적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에 2023년 현재, 독서진흥 5개년 계획 등 국가주도의 다양한 독서교육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성인들의 경우 스스로의 독서량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독서의 중요성을 사회적 차원에서 인지하고 있으며 독서교육의 공론화를 통해 이를 실천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정확히 읽는 독자’가 늘었으나 ‘평생 독자’는 줄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교육의 목표가 평생 독자라는 문화적 속성에서의 독서 행위와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독서교육의 관계성에 기반한 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독서는 책과 독자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인적, 제도적 환경들이 밀접하게 관계 맺으며 만들어 가는 유기체적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이미 생태학적 현상으로 바라볼 수 있다. 또한 교육을 향한 생태적 접근은 파편화되고 탈맥락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관계론적이며 총체적인 시각을 획득할 수 있기에 독서교육의 다층적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는 과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생태학의 발상이나 사고 방식이 철학과 결합할 경우 인식론 및 가치론의 전환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댜양성과 관계성을 바탕으로 한 Deleuze와의 철학적 결합을 시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Deleuze의 철학에 비추어 본 독서교육생태계의 개념적 모형 개발’을 위하여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과 문헌적 연구 방법을 함께 활용한다. 이를 위하여 독서교육 체험을 바탕으로 독서교육생태계를 개념화하기 위한 연구와 독서교육생태계 개념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를 각각 1차와 2차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독서교육의 실제 현상을 바라보는 것은 앎과 삶,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여 독서교육생태계 개념모형을 위한 실증적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1차 현재 독서교육의 체험을 통해 독서교육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독서교사들과의 독서교육 체험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해석학적 현상항적 성찰을 위한 자료를 전사하였다. 독서교사는 교육의 방향을 결정하고 실제적으로 실천해가는 주체가 된다는 점에서, 교사는 수업을 디자인하기 위해 전체를 조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어 심층면담 자료를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해 분석하며 그들의 체험이 주는 의미를 공간성, 신체성, 시간성, 관계성으로 구분하여 형성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교육생태계를 독서 행위 차원, 교육 행위 차원, 생태계적 환경 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각각 주체성과 다양성, 관계성을 연결하여 개념화하였다. 이어 2차 Deleuze 철학에 비추어 본 독서교육생태계의 개념 모형 개발을 위하여 통합적 문헌고찰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주체성과 다양성, 관계성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독서 행위와 주체성에 초점을 맞춘 감각철학, 교육 행위와 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배움철학, 관계성과 생태학적 환경에 초점을 맞춘 리좀철학으로 나누어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Deleuze의 감각철학을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책을 읽는 독자는 책과 지각장을 통한 의미구성을 이루어가며, 지각장 안에서 독자와 책은 주체와 객체로 구분할 수 없으며 상호교섭의 차원에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간다. 또한 배움철학을 바탕으로 다양성을 전제로 한 차이생성의 교육을 연결하였다. 즉 차이를 반복하며 의미를 창조하는 독서교육을 위하여 독서교육의 장은 끊임없는 문제제기의 장이 되어야 하며 결과로써의 앎이 아닌 과정으로써의 앎이 존중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리좀철학을 바탕으로 독서교육을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은 모든 독서교육의 요소는 연결과 접속을 통하여 스스로의 닫힌 체계를 해체하며 변화를 시도해 가는데 각각의 고유성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평등한 관계를 이룬다. 이상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독서교육생태계의 개념적 모형 개발을 위하여 리좀(Rhizome)의 여섯 가지 특성을 생태계의 설계원리로 적용하였다. 첫째, 연결과 접속(connexion)의 원리이며 이는 각 요소들의 우발적 마주침을 통해 창발을 이끌어냄을 의미한다. 둘째, 다질성(heterogeneite)의 원리이며 이는 모든 것이 가지는 고유한 특징을 발견하여 다양성이 존중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다양성(multiplicite)의 원리이며 이는 작고 큰 것의 경계 허물기를 바탕으로 평등성의 추구를 뜻한다. 넷째, 탈기표적 단절(rupture asignifiante)의 원리로 이는 계속되는 탈주를 통해 이루는 지속적인 성장, 자기조직성을 의미한다. 다섯째, 지도제작(cartographie)의 원리로 모든 독서 행위 차원, 교육 행위 차원, 생태계적 환경 차원으로의 문을 개방하여 관계성을 이끌어 감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전사(decalcomanie)의 원리이며 이는 리좀의 구조적 반복을 이루며 유지하는 생태계의 순환성을 이끈다. 이러한 여섯 가지의 설계원리는 독서교육생태계를 경계 없이 비추기 위해 ‘감각을 열어가는 지각 상호교섭의 장’, ‘새로운 사유를 찾는 탐험의 장’, ‘계속되는 –되기의 장’, ‘반복되는 탈주를 통한 재영토화의 장’ 이라는 설계전략으로 구체화된다. 본 연구를 시작하며 가지고 있었던 최초의 문제의식은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독서교육 논의의 양적증대에도 불구하고 독서교육의 결과가 평생 독자 양성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 라는 지점이었다. 이어 과연 독서교육의 본질은 무엇인지, 독서교육은 독서와 어떠한 관계를 이루어야 하는지, 그리고 독서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은 무엇인지 등등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여정 중에 독서교육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그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종 결과로 도출한 독서교육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은 첫째, 리좀 철학이 그러했던 것처럼 Deleuze의 철학과 독서교육과 교육공학의 개념적 융합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독서와 독서교육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독서교육의 장을 총체적 관점으로 확장하여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독서교육의 현상을 통해 독서교육을 바라보고 독서교육생태계의 개념적 모형 설계를 위한 실증적 근거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독서교육 현장의 실천가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