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메모리즈

        최성실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메모리즈」는 두 가지 기억(Memory)에서 출발하였다. 첫 번째 기억은 ‘삶의 마지막 기억’이다. 삶의 마지막 순간 우리는 어떤 기억을 떠올리게 될까? 우리에게 남는 마지막 기억은 무엇일까? 두 번째 기억은 ‘서로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기억’이다. 하나의 사건을 통해 사건에 관계되는 사람들은 자신의 의지대로 서로 다른 판단과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삶의 마지막 순간, 단 하나의 기억만을 선택하게 된다면 우리에게 마지막으로 남는 기억은 무엇일까? 그 기억이 누군가에게는 간직하고 싶은 기억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잊고 싶은 기억이었다면? 그 기억은 어떤 기억일까?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최성실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소재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8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가 제작한 삶의 질 평가척도(WHOQOL-BREF)를 각 언어권에서 표준화할 때 따르도록 한 지침에 따라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2000)가 표준화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Clark(1980)의 ‘교사 직무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신혜영(2004)이 제작한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측정도구에 기초하여 심순애(2007)가 보육교사에 맞게 수정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자료분석을 위하여, 변인들 간의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보육교사가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보육교사의 삶의 질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보육교사가 원장, 동료, 가족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교사의 삶의 질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육교사가 동료와의 관계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보육교사의 생활환경 영역과 신체적 건강 영역에서의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정적 영향을 주어서, 보육교사가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보육교사의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보육교사가 원장과 가족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교사의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건강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의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교사의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생활환경 영역에서의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동료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동료와의 관계 스트레스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사회적 관계 영역,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에서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동료의 사회적 지지가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업무과부하, 학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사회적 관계 영역, 생활환경 영역에서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보육교사들은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동료교사 및 가족의 지지를 활용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보호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에서 받는 사회적 지지는 교사의 삶의 질을 높여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원장과 보육교사 대상의 교육에서 서로 간 사회적 지지의 자원이 될 수 있게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가족들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가족관계에서 받는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보육교사의 가족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bserve an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being recognized by child care teachers on their quality of life. For this objective,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by targeting 286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 reg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a measurement tool (Min, Sung-Gil, et al., 2000) that standardized a quality of life evaluation scale (WHOQOL-BREF) manufactured by WHO to be matched with our reality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job stress of the teachers, measurement tool for 'job stres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Shin, Hye-Young, 2004)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measurement tool of Shim, Soon-Ae (2007)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data for research ques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variables was estima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hen summar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relation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as nega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the more child care teachers receive job stress, their quality of life was represented to be low. In addition, as a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e more it was recognized that child care teachers receive sufficient social support from head of center, colleagues and family, their quality of life was represented to be high. Seco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exerted a negative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 more job stress was high, quality of life was represented to be low. In detail, the more job stress is increased in a relation of child care teachers with colleagues and school parents, their quality of life in living environment area and physical health area was represented to be low. Third, as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child care teachers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the mor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 that they receive more social support, their quality of life was represented to be high. In detail, the mor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 that they receive more social support from head of center and family, quality of life in areas of general quality of life,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relation was represented to be high. Fourth, in a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howed moderating effect. In detail, in a relation between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in areas of general quality of life, social relation, living environment, social support of colleagues and family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exerting a negative effect of job stress relevant to leadership of center head,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relational stress with colleagues on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in areas of social relation, general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of colleagues showed a buffering effect. In addition, in a relation of exerting a negative effect of job stress relevant to center head leadership,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business overload, relation stress with school parents on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in areas of social relation, living environment, social support of family showed a buffering effect. Under the situation of high job stress, child care teachers protected individual quality of life by utilizing support of colleagues and family. Resultantly, it implies that social support receiv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child care teachers increases their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as social support is important for increasing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it is required to perform an education for both center head and child care teachers so that they would become a mutual source of social support. In addition, as social support of family is an important factor of reducing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increasing their quality of life, a program and education that emphasiz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being received in family relationship and may improve family relationship

      • 공립유치원 방학 중 종일반 운영에 대한 실태 및 요구조사

        최성실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립유치원 방학 중 종일반운영에 대한 실태 및 요구조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최성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 지역에 소재하는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방학 중 종일반 운영에 대한 실태와 부모들의 요구를 알아보고 공립유치원 방학 중 종일반 운영 정착과 확대 실시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방학 중 종일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실태와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2. 방학 중 종일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의 실태와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3. 방학 중 종일반의 건강, 영양, 안전에 대한 운영의 실태와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4. 방학 중 종일반 운영에 필요한 시설 및 소요경비에 대한 실태와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5. 방학 중 종일반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공립유치원 방학 중 종일반 운영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지역의 공립유치원 44기관의 종일반 담당교사나 주임교사 44명과 공립유치원 방학 중 종일반 운영의 부모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방학 중 종일반에 다니는 자녀를 둔 부모 3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공립유치원 방학 중 종일반 운영 실태를 조사하는 기관용(교사용) 질문지와 공립유치원 방학 중 종일반 운영에 관한 부모의 요구 조사를 위한 부모용 질문지이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연구 대상자의 요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빈도,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학 중 종일반 편성은 혼합연령 집단의 형태로 운영되지만 부모들은 단일 연령으로 운영하기를 원하고 유아 수는 10명 이상~15명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운영 기간은 3~4주, 운영 시간은 평일 오전8시 30분~오후5시, 토요일 오전9시~오후12시30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일반 교사의 근무형태는 담임교사와 에듀케어 강사가 함께하는 것으로 공립유치원의 방학 중 종일반 운영의 실태와 부모의 요구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방학 중 종일반 교육 프로그램 편성 운영은 방학 중 종일반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과 학기 중에 부족한 체험 중심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과 초등학교 기초교육인 읽기, 쓰기, 셈하기 등 언어, 수 교육을 강조하는 반면 공립유치원에서는 건강, 안전, 영양지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학 중 종일반의 건강, 영양, 안전에 대한 공립유치원의 실태는 만5세 유아들이 많은 관계로 낮잠시간을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부모의 요구도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유아들의 건강을 생각해서 상황에 따라 원하는 유아에게 낮잠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학 중 종일반 급․간식은 유치원에서 준비하여 이루어지도록 조리종사원을 배치하여 부모와 교사의 부담을 들어주는 행․재정적인 급․간식지원과 종일반을 위한 차량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있다. 넷째, 방학 중 종일반 운영에 필요한 부모 부담 소요경비는 3만원 미만, 3만원 이상~5만원 미만 순으로 나타났지만 부모들은 유치원 및 교육청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일반을 위한 기본적인 시설은 갖추고 있지만 유효교실의 부족으로 근본적인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방학 중 종일반 운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량 및 근무시간 가중이었으며 부모들은 급․간식 문제 해결의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개선점으로 교사들은 전담교사 배치 및 관리교사의 합당한 보상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들은 냉․난방, 급식비, 간식비 운영 배정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업사이클 패션 제품 인식, 친환경 의식,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의 구조적 관계

        최성실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ception of up-cycle fashion products, environment-friendly consciousness, and sustainable life-styl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 undergraduated students who live in Daegu and Kyungbuk region.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AMOS 19.0 and SPSS 19.0 for Windo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p-cycle fashion products had a direct effect on environment-friendly consciousness and sustainable life-style. This means that those who are attracted to up-cycle fashion products get more conscious of environment-friendly awareness to protect the environment, which, in turns, affects their sustaibable life-style to lead a environment-conscious life. Second, environment-friendly consciousness influenced directly sustainable life-style, which implies that interests in the environment and awareness of protecting it leads to sustainable life-stlye where resource saving, social activity, environment protection are considered critical. Finally, being aware of up-cycle fashion products affects sustaining an eco-friendly life-style through environment-friendly consciousness in an indirect manner. To think of up-cycle fashion products of being attractive and contributing to the environment protection has influence on increasing concerns and importance on the environment, and then such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affects sustainable life-style which aims for resource saving, social activities, and environment protection. In short, if the up-cycle fashion industry further receives good responses with better-designed products and develops to give a good impression to many people, it is expected that those who encouter such products will realize what they have never thought of regarding the environment and they will get willing to lead sustainable life-style.

      • 로열티 프로그램에서 고객등급 하락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의 소비가치와 사과메시지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성실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Hierarchical loyalty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in several service industries for many years. And that award elevated customer status to consumers who meet a predefined spending level. However, if a customer subsequently falls short of the required spending level, firms commonly revoke that status. And customer demotion have negative effect of customer demotion on loyal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variables of hierarchical loyalty programs may attenuat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status demotion. It empirically studied the effect of customer status, consumption value and type of message on loyalty when customer experienced demotion on loyalty program. As a result, middle status customer's loyalty and highest status customer's loyalty was decreased. And middle status customer's loyalty was less decreased than the highest status customer when customer experienced demotion on loyalty program. In case of the highest status customer, hedonic value oriented group's loyalty was les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middle status customer, utilitarian oriented group's loyalty was less decreased. And in case of the highest status customer, the group of provided apology message that was not implied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decline in spending with the firm was less decreased, but in case of middle status customer, the group of provided apology message that implied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decline in spending with the firm was less decreased. Moreover it tested three way interactions 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case of the highest status customer, hedonic value oriented group of provided apology message that was not implied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decline in spending with the firm was less decreased. In case of middle status customer, utilitarian oriented group of provided apology message that implied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decline in spending with the firm was less decreased. This study found that the effect of customer status, consumption value and type of apology messages on loyalty when customer experienced demotion on loyalty program was different. So, to decide how to demote, acknowledging differentiation in customer status, consumption value and type of apology messages is a crucial relationship management variable.

      • 전자교과의 원격기술교육 모델에 관한 연구

        최성실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의 과학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지금까지의 매체와는 다른 엄청난 가능성과 힘을 가진 테크놀로지를 만들었고 이를 이용한 교육의 변화를 예측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통해 발전이 기대되고 있는 원격교육에 대하여 필요성과 원격교육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핵심 기술들을 살펴보고 이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전자교과를 모델로 구현하였다. 컴퓨터를 교육의 매체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활용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ToolBook이라는 텍스트형식의 저작도구(Authoring Tool)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컴퓨터구조와 A/D 변환기에 대한 이론적 학습과정을 학습하고 A/D 변환기 설계용 Chip 및 PCB제작의 설계를 실습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멀티미디어의 중요한 측면인 대화식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반복학습이 가능하며 더욱 다양한 그래픽, 애니메이션, 사운드 등 여러 요소들을 추가하여 학습자의 관리 및 화상회의가 가능한 원격교육시스템 프로그램으로 그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원격기술 교육시스템의 장기적, 성공적 활용을 위해 계속적으로 학생들에게 흥미와 효용성을 제공하는 교수학습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 인터렉티브 TV방송에서 GUI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성실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will make a fundamental and structural transition in world telecasting market to take digital TV within 10 years. Recently it is gethering more focused on an interactivity rather than a clear picture, multi channels and various functions. That is why the structure for a communication has changed from one-way to bi-way. In this way the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is causing fundamental transitions. Interactive TV is featured that televiewers are looking for their intended information and send their feedback,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they were just passive users. In such a dramatic environment, they can pick up designed information with their so called extended remote-controller and keyboard. Futhermore they are kinds of assertors to perform commercial transactions on pictures in case of connected with cables. The new type of a digital tele-communication also demand new methods of communi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nalogue way. Now it is time to settle down as a strong media to cause an interactivity between TV and viewer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for mutuallity based on GUI which is different from a simple design for a TV picture. Here going to categorize all existing invented GUI designs then analyze general principles and show guidelines for arrangements of elements in detail. As a result, it is a completion of communication more than a splendor and proportion of pictures. Besides it is an appeal to human sensibility more than a rationality of technology. 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precedence research for televiewers all of things. The tremendous increases on channels and services on ITV can cause the users who have been taking passive ways misunderstandings and confusions. Interfaces should offer easy accessing interfaces which takes care for tastes of users. In the long run I intend to be contributed to forcast the future types of designs through analyzing current problems on GUI which is growing constantly. 디지털 TV의 수용은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져 앞으로 10년 안에 세계의 방송시장은 구조적인 변화를 맞게 될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TV의 고화질, 다채널, 다기능성 보다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에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이는 디지털TV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텔레비전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일방향적인 구조에서 양방향적인 구조로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이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방송 커뮤니케이션환경에 근본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인터랙티브(Interactive) TV는 시청자가 수동적으로 메시지를 받던 기존의 아날로그 TV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고, 피드백(Feedback)을 보내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갖는다. 인터랙티브 환경에서 시청자는 TV리모콘이나 무선 키보드와 같은 현재 테크놀러지의 확장된 기능성을 이용해서 원하는 정보를 끄집어내고, 시청자들의 TV 또는 셋탑박스가 전화나 케이블과 같은 회선에 연결된 경우에는 화면을 통해서 상품구매, 각종거래 등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게 된다. 디지털에 의한 새로운 방송 커뮤니케이션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의 일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과는 다른 내용과 형식을 요구한다. 이제 TV는 하이퍼링크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 그리고 무엇보다 시청자와 강력한 인터랙션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의 강력한 인터랙티브 매체로서 자리매김을 해야 할 때이다. 이에 단순한 TV화면 디자인이 아닌, 열려진 체제로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는 TV에 적합한 GUI디자인의 연구는 필연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도출된 GUI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정리하고 범주화 하여 크게 일반적인 원칙과 요소의 배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구분하고 각각을 좀 더 세분화 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ITV 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화면의 시각적 화려함이나 조화를 추구하는 단계를 넘어 시청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의 완성이며 더욱이 GUI디자인이라는 것이 기술을 앞세운 이성적인 디자인이라기보다는 사용자 중심의 인간의 감성에 호소하는 디자인이므로, ITV GUI 디자인 시 시청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수동적인 자세로 일관되어 오던 시청자가 ITV환경에서 다채널과 부가서비스의 증가로 많은 선택권을 가지지만, 이러한 기능들이 오히려 혼란을 유발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ITV는 무엇보다도 시청자의 취향과 편의를 도모하고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계속적으로 성장, 변모하고 있는 ITV의 GUI 디자인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짚어 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으로, 앞으로의 디자인 방향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1950년대 한국소설비평연구

        최성실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50년대 소설 비평에서 있어서 가장 민감한 부분은 서구적 타자(근대)와의 관련 속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자기 동일성과 일탈의식과의 이중적 긴장력에 있다. 그것은 서구적 타자와의 무조건적인 동일시의 문제가 아니라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이'와 '다름', 그리고 혼성성의 문제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50년대 문학비평의 중요성은 중심과 주변부의 고정적인 관계를 허물어 뜨리면서 서구적 타자와의 생산적인 대화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자 했다는 것, 즉 타자의 담론을 무조건 동경하거나 공격적으로 배격하지 않고 상호 대화적인 논의를 이끌어 내려고 노력했다는 측면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첫째, 문화적 타자에 대한 단순한 거절이나 수용의 문제가 아니라 상호 주체적인 교섭의 지점들, 즉 큰 타자와 주체 사이에 모호한 경계 지점에서 나타나는 소설비평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둘째, 이 경계 지점에서 나타나는 대상을 인식하는 이중적인 시각, 이를 표현하는 목소리의 이중성에 대한 분석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셋째, 이러한 문화를 대하는 양가적 태도, 즉 문화적 타자를 대하는 태도가 50년대 비평의 경우에는 '근대 인식'의 문제와 어떠한 관련양상 속에서 전개되는가를 살펴보고 그 한계가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이는 50년대 문학비평에 있어서 큰 타자에 대한 동일시나 공격적 태도, 혹은 개방적인 인식을 통한 상호주체성의 문제와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점이 바로 근대인식의 문제에 있다는 것, 그리고 소설비평에서 무엇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는 것 등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의식에 기인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성을 '전통론'이나 '내면' 논의에 나타나고 있는 인식의 이중적 양가성과 그 한계, 또한 언어와 문학 형식에 관련한 자기 동일성과 일탈의식과의 긴장관계를 통해 구체화 시켰으며 문학적, 혹은 문화적 측면에서 서구적 타자(근대)와의 '차이성의 동일성', '동일성의 차이성'의 갈등양상과 모순의 긴장력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했다. 먼저 전통론을 둘러싸고 일어난 일련의 논의는 다분히 근대 위기의식에 기인한 바 크다. 이때 전통은 전근대 사회질서를 아우르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고 이에 대한 구속력을 발휘하며 그로 인한 강박충동의 심리적 기제를 갖게 한다. 따라서 서구문화의 유입에 따른 전통 위기론은 전통을 현제의 시간으로 끄집어 내어 반복적으로 생산하려는 욕구를 자연스럽게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0년대 전통론을 획일적인 시각으로 규정할 수 없는 이유는 전통을 바라보는 이중적인 시각에 기인한다. 이를테면 고전소설과 김유정, 김동리 소설을 중심으로 한 논의의 핵심은 전통을 서구적 타자(근대)의 위기의식과 관련하여 단순히 반근대적인 의미의 연장선에 해석하는 것만이 아니다. 그것은 단순한 전통 단절의 의미가 아니라 현재의 시간과 공간에서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되어야 하는 가능성으로서의 전통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식은 중에는 전통을 인류 보편성의 차원으로 끌어 올려야 한다는 당위적인 물음과 맞물려 '차이'보다는 '동일성기 범주로 귀속시켜 논의함으로서 보편주의 지향이라는 혐의를 벗어나기 힘든 지점들이 있는 것도 사실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이 50년대 전통론의 분명한 한계다.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50년대 전통론의 중요한 의미는 첫째, 50년대라는 특수한 공간에서의 '차이성의 동일성', '동일성의 차이성'의 문제 속에서 신식민지적 담화양상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가 된다는 것, 둘째,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입장의 '차이'와 이중적인 시각, 이중적인 목소리, 그 자체가 주변적 주체가 갖는 현실적인 응전력의 의미를 묻고, 더 나아가서 서구적 타자와의 '교섭'과 '균열'의 지점을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 셋째, 이것이 진정한 의미의 상호 주체성이란 무엇인가를 되짚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것, 그리고 넷째, 이질적인 차이에 대한 갈등과 모순의 양가적 긴장력을 견뎌내지 못한 인식적인 한계는 어디서부터 비롯되는가를 되물을 수 있는 중요한 사적 전거가 된다는 측면에 있다. 자기 동일성과 일탈의식 사이에서의 갈등은 전통론 뿐만 아니라 '내면'에 관한 논의를 통해서도 나타난다. 특히 내면을 문제삼는 기본적인 태도는 외면, 혹은 현실과의 대타적인 의미가 아니라 이를 포함하는 의미이면서 동시에 근대를 바라보는 시각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이때 내면이란 단순히 외부적인 것과의 대립, 현실 세계와의 결렬, 개인적인 의미의 심적, 언어적 영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외부로부터 부여된 제도나 규범적인 사유의 틈 사이를 비판적으로 견지하는 입장 뿐만 아니라 현실을 인식하는 양가적인 인식의 문제를 되짚어 보게 하는 매개가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여기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과학적 이성에 의해 맞아 떨어지고 이에 의해서 움직여 나가리라는 진보와 발전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나 근대에 대한 회의적인 인식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바로 그 지점에서 서구적 타자와 다른 차이성의 인식이 시작된다. 따라서 이때 내면은 궁극적으로 외부적인 것, 혹은 외면적인 것의 대립적 개념이 아니라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적인 상황과 끊임없이 길항 작용하면서 통합적인 사유를 이끌어가고자 하는 문학적 태도의 문제이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내면 논의는 육체, 성, 일상성 등을 중심으로 구체화 되었다. 예컨대 타락한 육체적인 묘사는 기존의 사회적 체제가 갖는 억압에 대한 반항적인 의미와 근대적 발전논리에 대한 일탈의식을 나타냄과 동시에 도덕이나 윤리의 이름 하에 '교화'의 대상되어야 했던 이중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건강하고 관능적인 육체가 아니라 병적이고 가학적인 육체를 통해서 합리주의/비합리주의, 이성/감성의 문제가 아니라 의식에 있어서의 양가성을 묻는 것은 전쟁을 통해 사회적으로 고무된 이분법적인 사유를 문학적 상상력으로 무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서 이러한 논의는 서구적 타자와 주체를 분명하게 나누고 자기 동일성안에서 맴도는 것과는 다르게 인식의 상호 주체성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이 서구적 타자(근대)의 문제와 관련하여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 50년대 비평의 특징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과 보편적인 윤리 차원의 계몽주의적 관점에 의해서 차이성을 지우고 보편주의로 환원하고 만다는 사실 또한 문제적인 측면으로 지적되어야 할 것이며 그것이 서구적 타자와 '차이성의 동일성'과 '동일성의 차이성'이라는 긴장력을 유지하는 양가성 논의의 한계이기도 하다. 다른 한편 내면이란 단순히 모더니즘이 리얼리즘과 대립되는 경우에 모더니즘이 갖는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문제로만 부각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사유, 혹은 근대적 사유가 갖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체계에 대한 대응 논리였다는 것도 지적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다. 그것은 문화적인 혼성이 가중되는 시기와 관련하여 한 개인의 정체성의 의미를 묻는 것과 통한다. 이러한 시기 한 개인의 내면의 문제는 외부적 현실에 대한 단순한 저항이나 반항의 의미만을 갖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서구적 타자(근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의 문제와 관련하여 동일시와 비동일시의 문제, 그러고 그 긴장 속에서 유발되는 상호주체성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이다. 또한 전쟁 이후 50년대 문학은 "과거의 어느 문학형태"로도 돌아갈 수 없다는 탄식과 함께 시작되었다. 50년대 시대적인 상황이 이전과 달라졌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은 문학형식과 언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요구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는 비평에 있어서 글쓰기에 대한 자의식을 요구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현실을 감당해야 하는 시대적인 몫이기도 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언어에 대한 개념적인 사유의 한계와 불안정성을 직시하고자 하는 노력과 더불어 문학형식이 내재하고 있는 현실적인 응전력을 찾고자 하는 노력으로 나타났다. 거기에는 단순히 문학 내적인 것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즉 진리를 가장하고 있는 언어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재현할 수 없으며 특히 전후 처럼 진리에 대한 가치기준이 전반적으로 흔들리는 시대에는 더욱 그러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당시 비평가들이 니체적 언어관에 관심을 둔 것도 이러한 사실과 무관하지 않으며 문학 언어에 대한 관심도 여기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그것은 주로 문학적 형식의 문제나 수사, 인물이나 문체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서구적 타자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 양상을 보였다. 그것 또한 전통론과 내면논의에서 나타난 현상과 마찬가지로 인식의 양가성과 이중성의 모호한 지점들을 보인다. 바로 그 지점이 50년대 비평을 단순히 이분법적인 틀로 규정할 수 없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뉴크리티시즘의 문제는 바로 이와 같은 문제의식의 연장선에 있다. 이는 50년대 언어인식의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50년대에는 우리의 말과 글로 문학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한글 제1세대의 자긍심과 더불어 언어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집중되었다. 그것은 언어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반영론의 입장과는 다른 측면에서 언어의 문학적 기능면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에게 뉴크리티시즘이 소개되기 이전부터 문학사의 자생적인 논리에 의해서 귀결된 문제이다. 따라서 뉴크리티시즘이 우리의 문학적 현실에서 얼마나 유용한 것인지에 대해서 끊임없이 재론할 것을 요구한 것도 단순히 뉴크리티즘의 한계를 지적하는 문제만이 아니라 서구적 타자에 대한 대응논리를 짐작하게 해준다는 측면에서 다시 되짚어 봐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까뮈나 카프카, 사르트르 소설과 장용학 소설에서 나타나는 알레고리적 기법을 모더니즘이나 실존주의의 문제가 아니라 "식민지 언어의 뒤틀림"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이러한 입장과 결코 무관한 것이 아니다. 주변인, 소수집단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관심은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현실을 반영하되 단순한 현실적 모사에 그치지 않는 언어의 기능은 현실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자기 자신의 언어를 소수집단의 언어로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소설구성의 문제, 기법이나 문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요인이 언어와 현실의 비동일성의 문제, 언어의 다양성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언어인식의 문제가 50년대 비평의 중요한 핵심이 되는 이유는 무엇보다 '차이성의 동일성', '동일성의 차이성'의 모순을 끝까지 견지 할 수 있는 중요한 비평적 매개가 된다는 데 있다. 언어가 갖는 근본적인 속성과 관련하여 이 부분에 대한 논의는 좀더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사안들이 50년대 비평의 새로운 가능성이면서 동시에 감당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들이 30년대 비평과 이후 60년대 비평, 70년대 비평 등과 어떠한 관련양상을 보이는 가를 살피는 것 또한 앞으로의 커다란 과제로 남아 있다고 하겠다. Most previous research on 1950s criticism has centered around trends of thought, such as modernism and realism or existentialism, and discussed literary nationalism in that context. However, 1950s criticism can be characterised by the coexistence of multiple critical positions, which can not be discussed through any one main critical trend of thou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think what produced this variety and to search for a new framework within which to examine its concrete forms.' This is where the problem of hybridity in literary discourse becomes apparent. The finer aspects of literary criticism in this period can be found in the ambivalent tension between self-identification and deviation within the ever-present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other (modernity). This does not appear in the form of unconditional identification with the western other, but rather in concrete forms of hybridity and difference. The importance of 1950s literary criticism lies in its efforts to break down the fixed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and to produce space for a productive conversation with the western other, that is, not to yearn unconditionally for the other or to repel it violently, but to aim for mutual debate. In other words, there was an attempt to rethink the other in a mutually subjective way in order to produce a new productive discourse. This mainly took the form of debate on modernity and tradition, the modern subject and interiority, and various forms of literary counter-discourse. First of all, the various debates surrounding tradition owe much to the sense of modernity as crisis. Here tradition shows a binding power acting to unite premodern social order and producing a sense of psychological compulsion. Therefore debate on the crisis of tradition following the import of western culture naturally produces the desire to keep on reproducing tradition in the present time. Despite this, 1950s debates on tradition can not be understood as uniform because of the ambivalent way they see tradition. For example, debate surrounding classical fiction, and the fiction of Kim Yujong and Kim Tongni do not merely understand tradition as anti-modern due to the sense of crisis caused by the western other (modernity). This does not represent a simple break with tradition but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on of tradition in a completely new way in the present time and space. However, it must also be acknowledged that this does not manage to shake off the suspicion of aspiring to universality by colluding with the attempt to raise tradition to the realm of human universality and thus returning it to the cate gory of "identity" rather than "difference." The conflict between self-identification and deviation is also seen in the debates surrounding interiority. In particular, the fundamental attitude of problematising interiority is also intimately related to a way of viewing modernity and includes, rather than excludes, the outside or reality. In other words, here interiority does not simply signify opposition to something outside, rupture with reality, or the linguistic or emotional sphere of the individual. It also occupies a critical position in the gaps between normative thought or the system enforced from the outside and a medium which looks again at the problem of the ambivalent cognition of reality. In other words, here there is a sense of doubt towards modernity that is free from the illusion of progress or development in the world according to scientific reason. This is where a sense of difference from the western other begins. Therefore, interiority is not a concept in conflict with the outside or exterior but continually functions alongside the circumstances of reality which surround it and is also the literary attitude which tries to bring about composite thinking. The debate on interiority is formed around the body, sex and everydayness. Therefore description of the degenerate body has an ambivalent meaning, including that of resistance to oppression by the previous social system and deviation from the modern logic of development, as well as that which must be reformed in the name of morals or ethics. Questioning ambivalence rather than the problems of rationalism/irrationalism or reason/senses through sick and maltreated bodies, as opposed to healthy and sensual bodies, functions to negate through the literary imagination the binary thinking imposed on society by the war. Furthermore, this has the important meaning of proposing the question of mutual subjectivity as opposed to clearly separating out the western other and the subject and having it as part of one's own identity.' Thi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1950s criticism. However, it must also be noted that within these debates there is also a tendency to desire the universality which negates difference. This is the limit of ambivalence which retains a tension between the "identity of difference" and "difference of identity" with the western other. 1950s literature began after the war with a reluctant realisation that it was impossible to return to literary forms of the past. The awareness that the situation of the 1950s was different from what came before demanded a new awareness of literary form and language. This demanded self-consciousness about writing in criticism and also demanded attention to reality. This appeared in the form of the effort to face the uncertainty and limits of conceptual thinking about language and also the effort to find a realistic response to which literary form could be immanent. The meaning of this exceeds a mere interest in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re was a general loss of faith in the values concerning truth after the war and sense that the language which disguises itself as truth can not represent the reality in which we live as it is. It was in relation to this that critics were interested in Nietzsche's view of language and also in literary language. These interests appeared mainly in connection with the problem of literary form or rhetoric or characters or style and were also intimately related to how the western other was perceived. Just like the debates on tradition and interiority, here there is also ambivalence.' This is why it is not possible to define 1950s criticism according to binary principles. The problem of new criticism formed part of this same problematic. This is significant concerning the problem of the awareness of language in the 1950s. Together with the pride of the first hangul generation who could now write literature in Korean, interest in language was greater than ever. This interest in language and its literary function wa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that language reflects reality. This problem was generated by literary history even before new criticism was introduced to Korea. Therefore, that we had to endlessly reconsider the use of new criticism in our literary reality and point out its limits helps us consider this as a response to the western other. It is in this connection that we should think about the allegory of Camus, Kafka, Sartre and Chang Yonghak, not as problems of modernism or existentialism but as a "twisting of colonial language." Interest i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peripheral and minor groups begins here. The linguistic function which does not stop at simply describing and reflecting reality maintains a distance from that reality and provides the base for perceiving one's own language as that of a minor group.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only logical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the problems of fictional structure, technique and style, the problem of the non-identification between language and reality and the multiplicity of languages. I The reason this awareness of language is central to 1950s criticism is because it is an important critical medium for pushing to the limit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identity of difference" and" difference of identity. Debates about the fundamental nature of language, however, we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y remained fairly abstract. The above factors were both the new possibilities of 1950s criticism and difficulties which it had to overcome. It remains a project for the future to examine how these factors relate to 1930s criticism and that of the 1960s and 70s.

      • 미혼 여성들의 신부 화훼장식에 대한 선호도-서울과 대구지역 중심으로-

        최성실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혼 여성들의 신부장식 선호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서울과 대구 지역의 미혼 여성 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선호하는 부케의 형태는 지역에 관계없이 원형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자유형이었다. 부케의 색상에 있어서도 지역에 상관없이 분홍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부케의 주 소재 역시 지역과는 무관하게 장미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가장 선호하는 부 소재는 서울이 스프레이카네이션이었는데 비해, 대구는 프리지아였으며, 다음은 두 곳 모두 라년큘러스 였다. 가장 선호하는 부케용 잎 소재는 서울이 아이비였는데 비해, 대구는 루스커스 였다. 부케에 사용되는 식물성 재료의 종의 수는 지역과는 무관하게 2-3가지를 선호였다. 서울과 대구의 미혼 여성들은 화관에 대한 인지도가 92%를 상회 하였으나, 결혼식 때 부케와 함께 화관을 사용 할 의지가 있는 사람은 55% 정도였다. 브레스렛에 대한 인지도 조사는 지역에 관계없이 40%를 상회하는 정도였으나, 사용의지는 서울 46.1%, 대구31.7% 였다. 숄더에 대한 인지도는 30% 내 외 였으며, 사용의지 또한 28% 정도로 매우 낮았다. 금후 꽃을 이용하는 웨딩 쇼, 웨딩 박람회 등의 개최와 함께 화관 등 신부 몸 장식용 화훼 장식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