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최성락(Choi, Seong Rak) 서울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0 No.3

        현재 게임 산업에서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하여 자율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처음으로 자율규제안이 마련되었지만 그 당시에는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 2015년 이후 다시 자율규제안이 개편되었고, 이후 2017년, 2018년 자율규제안이 개정되면서 점차 집행률이 증가하고 있는 중이다. 2000년대 중반 확률형 아이템이 시장에 처음 소개되고 확장되면서부터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규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규제 방법으로는 정부규제보다는 자율규제가 더 선호되었다. 정부규제에 비해 자율규제가 전문적 지식의 활용, 환경 적응성, 낮은 집행 비용 등의 측면에서 규제로서의 장점이 더 높은 것으로 주장되었다. 이러한 자율규제의 장점을 살리고자 확률형 아이템에 대해서 자율규제가 도입되었다. 그런데 실제로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가 자율규제로서의 장점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가 정말로 자율규제로서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유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현재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자율규제는 일반적으로 정부규제보다 전문성, 효율성, 적응성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본다. 그러나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분석 결과,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이러한 측면에서 정부규제보다 더 낫다고 보기 어렵다. 확률형 아이템 규제에서 전문성이 발휘되지도 않고, 정부규제에서 보다 규제 효율성이 높다고 보기도 어렵다. 적응성이 있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자주 변화함으로써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 되고 있다. 자율규제의 적절한 운영에 필요하다고 인식되는 대표성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고 책임성 측면에서도 한계가 존재한다. 즉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자율규제로서의 장점이 드러나지 않으며, 정부의 직접적 규제를 피하기 위한 강제적 자율규제, 억압적 자율규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Currently, self-regulation is being made on random items in the game industry. For the first time in 2008, self-regulation were put in place but were not implemented at that time. In 2015, the self-regulation was reorganized, and since the self-regulation have been revised in 2017 and 2018, the enforcement rate is gradually increas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random items in the market in the mid-2000s, the need for regulation of random items has been raised. As a regulatory method, the self-regulation was preferred to government regulation. It was argued that self-regulation has more advantages than government regulation as a regulation such as the use of professional knowledge, environmental adaptability and low execution cost.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such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is introduced for random item regulation. However, there may be a limit on whether the self-regulation of random item has advantages as self-regulation. In this study, we want to examine whether the self-regulation of random items really has a positive side as self-regulation. We analyz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self-regulation of random items. A self-regulation is generally seen as an advantage over expertise, efficiency and adaptability. However, the analysis of random items reveals that the self-regulation of random items is not higher than government regulation in this respect. There is no specialty in the self-regulation of random items, and it is hard to say that regulatory efficiency is higher than that in government regulation. It is adaptable, but changes too frequently, which is not a benefit but a disadvantage.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representativeness and in terms of accountability that are recognized as necessary for the proper operation of self-regulation. In other words, the self-regulation of random items does not show its merits as self-regulation,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mpulsory self-regulation and repressive self-regulation to avoid direct government regulation.

      • KCI등재후보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최성락(Choi Seong Rak),박경래(Park Kyoung Lae),노우영(No Woo Yo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3

        정부는 청소년이 대하는 방송, 영화 등을 심의할 때 폭력성을 중요한 심의 기준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이는 TV 및 영화 내용의 폭력성이 청소년의 실제 행위에 영향을 끼쳐 청소년 폭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TV 등 방송 매체의 폭력성 등이 실제 청소년의 폭력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존재한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 청소년 폭력 매체에 대한 사회 실험이 존재했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에 폭력성 애니메이션이 유행했는데, 청소년 폭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1980년 9월 폭력성 애니메이션 방영을 완전히 금지하였다. 이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 정책이 당시 청소년 폭력 범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토하면 매체의 폭력성과 실제 폭력성과의 관계에 대해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분석결과 1980년 9월의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 정책은 청소년 폭력 범죄 추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폭력성 애니메이션과 청소년의 직접적인 폭력 행위와는 특정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기 힘들다는 점, 그리고 정부가 가부장적 입장에서 청소년의 대중매체 선택권을 제한하는 정책에 대해서 보다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Government set violence as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when it rates movies or TV programs for juveniles. The purpose of setting this criteria is to prohibit the violence in TV programs or movies from affecting the actual behavior of juveniles. However, it is still under discussion how much the violence in broadcasting media actually affects juvenile violence. Korea once carried out a social experiment on juvenile violence media. Back in 1970, violent animation was popular in Korea and Korean government completely banned televising violent animations from September 1980 in an effort to prevent juvenile violence.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is policy on juvenile violence would draw some implica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policy to ban violent animation in September 1980 didn't have meaningful effect on the trend of juvenile violence. The implication from this paper is that there is no certain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violent animation and juvenile violence. Another implication is that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if this government policy is violating the juvenile's right to choose public medi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행산업 매출총량제가 사행산업 구조에 미친 영향 분석

        최성락(Seong-Rak Choi),박준휘(Jun-Hwi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한국에는 사행성과 관련하여 독특한 제도가 다수 존재하는데, 그중 대표적인 사행성 규제가 사행산업 총량제이다. 사행산업 총량제는 사행산업 전체의 매출액을 경제 규모의 일정 수준 내로 한정하고자 하는 규제로 외국에서 예를 찾기 힘든 독특한 규제이다. 이러한 사행산업 총량제는 2009년부터 실시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행산업 총량제가 실시된 이후 한국의 사행산업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행산업 총량제 실시 이후 사행산업 구조 변화를 살펴본 결과, 첫째, 사행산업 총량제 도입 이후에는 사행산업 매출 변화량이 감소하였고, 매출 증가율이 GDP 증가율과 거의 유사하게 변화한다. 둘째, 사행산업 총량제 도입 이전에는 사행산업의 독점도가 크게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사행산업 총량제가 도입되면서 사행산업의 독점도가 안정되었다. 즉, 사행산업의 경쟁 구도가 고착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사행산업 각 종목별로도 매출액 변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행산업 총량제는 사행산업의 구조를 고착화하고 변화가 적은 정체 시장으로 변화시켰다. 사행산업 총량제는 사행산업 간 경쟁을 막으며, 성장도 쇠퇴도 없는 고정적 산업 구조를 만드는 효과를 가진다. In Korea, there are a lot of regulation on gambling industry. Among them, the most unique regulation is the CAP system. The purpose of CAP system is to minimize the social side effects of gambling industry. For that, National Gambling Control Commission controls the maximum number of business premises of gambling companies. The CAP system is a means of preventing excessive expansion of the gambling industry. The CAP system has lasted since 2009. This study investigate how the CAP system influence the structure of gambling industry. In result, after the CAP system carried out, the growth rates of gambling industry are similar to those of national GDP. And before the CAP system, the HHI index and CR index were decreasing trend. However, after the CAP system, the HHI index and CR index were not decreasing. That means the structure of gambling industry has been stable and settled. And there were few variation among the gambling companies in sales. In conclution, the CAP system influenced the gambling industry to be stable. There were few competition among the gambling companies in Korea. And the structure of gambling industry has been settled.

      • KCI등재
      • KCI등재

        규제비용 측정의 실태와 한계: 규제영향분석서를 중심으로

        최성락 ( Choi Seong Rak ),이혜영 ( Lee Hye Young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5 No.2

        규제영향분석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비용편익분석의 전반적인 현황과 한계를 잘 논의하고 있으나, 실제 규제의 비용측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본 연구들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년 1년간 실제 입법예고 과정에서 공표된 규제 영향분석서를 중심으로 비용측정이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비용분석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정량적 분석이 적고 정성적 분석위주로 이루어 지고 있다는 점, 비용 부담의 주체 관련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비용이 분석되지 않고 1-2개 정도의 이해관계자들의 비용만 고려되고 있다는 점, 또한 인건비, 설비비 등 세부항목과 관련해서도 일부 항목의 비용만 고려되고 있다는 점, 측정이 용이한 부분 위주로 비용산정이 이루어진다는 점, 비용 산정의 구체적 과정이 없이 총액만 제시되고 있어서 분석과정의 적절성 및 결과의 적정성을 파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는 점, 행정비용(정부비용)이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 세부항목별로 고려할 필요가 있는 간접비용이 거의 분석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비용측정의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면서 규제영향분석의 실효성, 더 나아가 규제의 효과성을 제고해 나가야 할 것이다. Existing studies on regulatory impact analysis have well discussed the overall status and limitations of cost-benefit analysis, but it is hard to find studies that examine in more detail how the actual regulation cost measurement is don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tate of cost measurement, focusing on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published during the Legislative Notice process in 20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is little quantitative analysis and it is conducted mainly on qualitative analysis. In relation to the subject of cost burdens, the costs of various stakeholders are not analyzed, but only 1-2 stakeholder costs are considered. Regarding detailed items such as equipment costs and labor costs, only the cost of some items is considered and the cost is calculated mainly for the part that is easy to measure. Only the total amount is presented without a specific process of cost calculation. In addition, administrative costs (government costs) we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and indirect costs that needed to be considered for each detailed item were hardly analyz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se problems of cost measur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egulations.

      • KCI등재후보

        한국 자율규제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성락(Seong Rak Choi),이혜영(Hye Young Lee),서재호(Jae Ho Seo) 한국공공관리학회 2007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1 No.4

        자율규제란 자체적으로 조직된 집단이 그 구성원의 행위를 자율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현재 한국에서 논의되는 자율규제 중에는 정부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자율규제도 존재하고, 정부가 자율규제 규정을 제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스펙트럼들이 자율규제라는 동일한 명칭으로 논의되고 있어 자율규제에 대한 개념적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율규제 유형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의 자율규제를 4가지로 유형화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논의되는 자율규제들은 그 구성 및 운영의 자율성 측면에서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자율규제의 유형을 분명히 구분하는 것은 자율규제 개념과 관련된 논의를 정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한국정부가 지향하는 자율규제는 정부가 자율규제 구성 및 운영에 적극 개입하고자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진정으로 자율규제의 효용성을 얻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자율규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성이 존재한다. Self-regulation refers to that an organization which was formed by itself regulates its members. However, among self-regulations currently discussed in Korea, there are government-driven self-regulation and self-regulation under which the government establishes regulations. These various spectrums brings more confusion to the discussion regarding self-regulation. Therefore, this article specified 4 types of self-regulation in Korea and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4 types.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which are currently discussed in Korea has many differences in autonomy of its composition and operation. It will help clarify the self-regulation discussion to understand thes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elf-regulation. Second, Korean government often involves actively and execute self-regulation directly. In order to get the benefits of self-regulation, Korean government should change its attitude to let the self-regulation happen practically.

      • KCI등재

        청소년의 게임 수행이 미래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최성락(Seong-Rak Choi) 한국게임학회 2019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친구들과 게임을 수행하는 것이 타인에 대한 신뢰도 및 미래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지스타(G-Star)에 참가한 청소년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미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친구와 게임을 수행하는지 여부는 타인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미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친구들과 같이 게임을 즐기는 것은 타인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사회적인 활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성격으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미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how game play influences players’ future happiness. Survey of 400 juveniles who attended G-star, a game show, was conducted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playing game with friends over players future happiness and their trust level towards others. The result suggests that playing game with friends and trust level towards others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future happiness level. In conclusion, playing game with friends has influence over players future happiness level with trust level towards others as a mediation variable.

      • KCI등재

        연령별 규제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최성락(Seong-Rak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사회 변화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세대 간 차이이다. 어떠한 대상에 대해 연령대별로 어떠한 인식을 지니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그 대상이 현재 어떤 상태이고, 또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에 대한 시금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령대별로 규제 인식에 대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령대별 규제인식 차이 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규제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분석결과 규제에 대한 인식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규제에 대해 긍정적인 성향을 보이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규제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다. 특히 규제의 전문성 부문과 대기업에 대한 규제 등에 대해서는 50대와 20대가 서로 반대로 인식하고 있었다. 규제에 대해서 연령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규제 정책 제정 및 집행과 관련해서 보다 다양한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The difference of generation is the main cause of society transition. If we know about the gap of generations, then we know where we go in future. This study focus on the differences of a regulation recognition among the generations. When we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regulation recognition among the generations, we can realize the trait of regulation in society. In result,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of regulation recognition among the generations. The older they are, the more they are positive to regulation. And the younger they are, the more they are negative to regulation. In particular, 50’s generation have the opposite regulation recognition to 20’s generation in specialty of regulation and in a conglomerate 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