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coparone의 간 기능에 대한 영향

        조민경(Min-Kyoung Cho),최석영(Suck-Young Choe),홍순명(Soon-Myung Hong),김병삼(Byung-Sam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scoparone이 간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흰쥐를 이용한 in vivo와 in vitro 실험을 하였다. In vivo 실험으로는 scoparone(20㎎/㎏, 5일간)을 경구투여 후 간 괴사 및 지방간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사염화탄소(CCl₄)를 실험 24시간 전에 복강 주사한 후 간 중량,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분비량과 BSP(sulfobromophthalein)의 담즙으로의 배설능력을 알아보았다. Scoparone은 간 중량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coparone 처리는 담즙분비량의 증가를 나타나지 않았지만, 담즙을 통한 BSP의 배설능력을 대조군보다 크게 증가시켰다. 또한,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시 담즙량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BSP 배설능력이 저하되는데, scoparone을 경우 투여한 실험 쥐의 경우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In vitro에서는 실험 쥐로 부터 간세포를 분리하여 실시하였다. 간손상의 지표로 사용되는 혈청 중 alanine aminotranferase(ALT/GPT), aspartate transaminase(AST/GOT)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scoparone은 사염화탄소로 독성이 유발된 간세포를 보호하여 간세포 배양액으로 유출되는 ALT, AST 활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1차 간세포에서 scoparone을 처리한 경우에 시간에 따라서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되는 지질과산화 반응과 LDH(lactate dehydrogenase)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염화탄소는 활성화되면서 자유라디칼을 생성하는데 이 자유라디칼들이 지질과산화 반응을 일으켜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가 증가하게 된다. LDH의 유출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는데, 사염화탄소 투여는 배양간세포의 LDH 유출을 크게 증대시켰다. Scoparone 처리시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되는 MDA 증가와 LDH 유출 증가를 모두 억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coparone이 간의 담즙을 통한 이 물질 배설능력을 증대시키고, 지질과산화반응과 더불어 세포막 손상에 대해 보호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보호 기작에 관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oparone(6,7-dimethoxycoumarin) on liver function. Sprague-Dawley rats were treated with scoparone at a dose of 20㎎/㎏ body weight for 5 days. Hepatic bile flow, liver weight, BSP(bromosulfophthalein) biliary excretion,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ctivities, malondialdehyde production and lactate dehydrogellase(LDH) release were assayed. Among them, ALT and AST activities, malondialdehyde production and LDH release were assayed by using primary hepatocyte cultures at a concentration of 0.l㎎/ml. Scoparone treatment had no effect on liver weight and hepatic bile flow. Scoparone treatment not only increased BSP biliary excretion, but also recovered the decreased BSP biliary excretion by CCl₄. Also scoparon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s of ALT and AST activities, malondialdehyde production and LDH release induced by CCl₄.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coparone could protect the liver damage by chemicals via promoting the liver excretory function.

      • KCI등재

        월출산국립공원의 자생버섯 분포상

        고평열,이승학,김태헌,최석영,홍기성,전용철,Ko, Pyung-Yeol,Lee, Seung-Hak,Kim, Tae-Heon,Choe, Suck-Young,Hong, Ki-Sung,Jeun, Yong-Chull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3

        월출산국립공원 내 버섯류 자원의 서식지별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생물다양성, 생태계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동안 천황사지구, 경포대지구, 도갑사지구 등 26개 격자를 중심으로 29일에 걸쳐 임도, 계곡, 등산로, 자연관찰로 등을 대상으로 버섯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조사된 버섯은 2문, 9강, 24목, 71과 177속, 407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9월에 197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분류군별로 보면 주름버섯목이 187분류군으로 45.9%의 분포를 보였으며, 그물버섯목, 구멍장이버섯목이 뒤를 이어 다수 발생하는 종으로 확인되었다. 해발고도 100~200 m 사이에서 489점의 좌표가 확보되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는데 이 중 경포대지구의 격자5, 격자15번지역, 천황사지구인 격자 7지역에서 가장 많은 버섯 종류가 조사되었다. 기후변화지표종 7종 중 큰갓버섯, 마귀광대버섯, 황소비단그물버섯 3종이 출현하였고, 기후변화지표종 후보종인 노란다발, 배젖버섯 2종이 출현하였다. 현재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476종이 지정되어 있는데, 본 조사 시 164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형태적 분석과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표본 WC18158이 Craterellus parvogriseus 로 국내 미기록종으로 동정되었다(*Appendix 홈페이지에 업로드). Mushrooms growing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were surveyed from April to October 2018. As a result of this survey, 2 divisions, 9 classes, 24 orders, 71 families, 177 genera, and 407 species were found. Among them, 3 classes, 16 orders, 55 families, 150 genera, and 370 species belonged to Basidiomycota, while 6 classes, 8 orders, 16 families, 27 genera, and 37 species belonged to Ascomycota. The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at the altitudes between ~100 and 200 m. Among the investigated sites, the most diverse species occurred in the Gyeongpodae area. In this survey we found, Macrolepiota procera, Suillus bovinus, and Amanita pantherina, all of which have been known as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CBIS). Based on the DNA sequence analyses, Craterellus parvogriseus was confirmed as a new record for Korea.

      • SCOPUSKCI등재

        Ascorbic Acid 및 김치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섭취 Guinea Pigs의 생체 이물 대사에 미치는 영향

        유리나(Rina Yu),홍순명(Sun-Myong Hong),최석영(Suck-Young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9 No.5

        환경오염 물질로서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를 모델로 하여 ascorbic acid(AsA)의 생합성이 불가능한 guinea pig의 생체이물 대사에 미치는 AsA 및 김치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Hautly계 수컷 guinea pig를 AsA 2㎎ 투여군(A군), PAH+AsA 2㎎/day 투여군(B군), PAH+ASA 50㎎/day 투여군(C군), PAH+김치 투여군(D군)의 4군으로 나누어 일정기간 사육한후, 간미크로솜의 P-450 함량, 7-ethoxycoumarin O-deethylase(ECOD) 활성, 혈청중 glutamate-oxaloacetate(GOT) 활성, 조직중 AsA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량의 환경오염물질의 계속적인 섭취는 간 미크로솜의 P-450 함량의 증가, 약물대사 효소활성의 유도, 혈청중 GOT 활성의 상승, 나아가 조직 중 AsA 함량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sA의 다량 투여 및 김치 투여는 PAH 섭취에 따른 생체이물 대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The effect of ascorbic acid (AsA) or kimchi on the metabolism of xenobiotics in guinea pig administered poli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 an environmental pollutant was investigated. Guinea pigs given oral supplementation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A(control) was supplemented with 2㎎ of AsA/day, group B with 2㎎ of AsA and PAH/day, group C with 50㎎ of AsA and PAH/day. Changes of liver cytochrome P-450 contents and 7-ethoxycoumarin O-deethylase(ECOD) activity, glutamate-oxaloacetate transferase(GOT) activity in serum, and AsA contents in various tissues were determined. Cytochrome P-450 contents, ECOD activity and GOT activity increased in B, C and D groups administered PAH. Moreover, cytochrome P-450 contents and ECOD activity in group C were higher than those of group A and D, The content of AsA in the tissues of group B was lower than that of A, C and D group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sA was necessary in the PAH metabolism, moreover, supplementation of large amount of AsA or kimchi in the guinea pigs administered PAH had an influence in the drug-metabolizing enzyme induction, thus caused a decrease of AsA in tissues.

      • KCI등재

        유리지방산 유도 지방간세포에서 Isorhamnetin의 PPARα 활성화 작용을 통한 지질 축적 억제 효과

        김추숙(Chu-Sook Kim),조은희(Eun-Hee Cho),최석영(Suck-Young Choe),강민숙(Min-Sook Kang),유리나(Rina 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7

        지질대사 불균형에 따른 간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은 비만성 지방간증뿐만 아니라 지방간염으로의 이행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isorhamnetin은 채소, 과일 등에 존재하며 항산화/항염증 활성 및 비만성 대사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지방산으로 유도된 지방간세포에서 isorhamnetin의 지질 축적억제 효과와 그 작용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간세포(Hepa 1c1c cell)에 유리지방산(1 mM, 2:1 ratio of oleate/palmitate)과 함께 isorhamnetin을 처리한 후 세포 내 지질 축적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Oil Red O 염색과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지질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qPT-PCR 또는 western blotting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isorhamnetin은 유리지방산으로 유도된 간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 지질 함량을 감소시켰고, 이와 함께 간의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는 주요 인자인 PPARα 및 그 타깃 분자(CPT-1, ACOX1) 발현 증가, 간세포 지질합성의 주요 전사인자인 SREBP-1의 발현 억제 및 downstream 타깃인 FAS와 ACC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다. 나아가 PPARα 활성 저해제인 GW6471 처리는 isorhamnetin에 의해 유도된 지방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를 차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isorhamnetin이 간세포 내 지질 산화/합성계를 조절하여 지질 축적을 억제하며, 이러한 조절작용이 PPARα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Isorhamnetin의 지질대사 조절작용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Obesity-induc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s a crucial factor in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isorhamnetin, a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 in fruits and vegetables, on free fatty acid (FFA)-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hepatocytes. Hepatocytes (Hepa1c1c) were exposed to FFA with or without isorhamnetin, and lipid accumulation was estimated by Oil Red O staining and biochemical measurement. The metabolic genes/protein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were measured by qRT-PCR and/or western blotting. Isorhamnetin significantly reduced lipid accumulation in FFA-induced hepatocytes, and this was accompanied by modulation of gene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Isorhamnetin up-regulated expression of fatty acid oxidation-related gene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α (PPARα),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and acyl-CoA oxidase), and down-regulated lipogenic gene expression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 fatty acid synthase, and acetyl-CoA carboxylase). Alterations in the metabolic gene expression induced by isorhamnetin were blunted by PPARα antagonis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hibitory action of isorhamnetin in FFA-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hepatocytes is associated with the PPARα pathway. Isorhamnetin may be useful for protection against obesity-related hepatosteatosis.

      • KCI등재
      • KCI등재

        포장방법이 냉장어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신완철(Wan-Chul Shin),송재철(Jae-Chul Song),최석영(Suck-Young Choe),김미숙(Mi-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8

        본 연구는 신선어육의 저장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포장방법을 달리하여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이다. 신선한 넙치육의 pH는 6.3에서 함기포장한 경우 냉장 2일에 6.09로 낮아졌다가 그 이후 계속적인 상승을 보였으며, 진공포장의 경우는 경향은 비슷하나 함기포장에 비해 저장기간에 따른 pH의 변화가 매우 느리고 상승속도도 작았다. VBN값은 함기포장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7일 이후부터는 매우 급격한 증가를 나타냈다. 반면에 진공포장육은 저장 14일까지는 저장초기에 비해 약간의 증가를 나타낸 이후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 함기포장과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BA가는 저장 전기간 동안 진공포장의 경우 상당히 낮게 나타난 반면, 함기포장은 저장 4일 이후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 포장에 따른 차이를 뚜렷하게 나타내었다. 보수성에서는 함기포장과 진공포장 둘 다 저장 7일까지는 유사한 변화를 나타내었지만, 저장 7일 이후부터는 함기포장이 진공포장에 비해 상당히 높은 증가를 보이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근원섬유단백질의 전기영동상에 있어서는 함기포장육의 경우 저장 14일 MF의 heavy chain과 35 kDa인 tropomyosin이 분해됨을 나타내었는데 비해, 진공포장육은 저장 14일에도 heavy chain의 분해만이 조금 일어나 근원섬유단백질의 분해가 함기포장에 비해 천천히 일어남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lled plaice muscle, stored at 4℃ for 0~21 days, with different packaging methods (vacuum packaged with PVDC and aerobic packaged with HDPE). pH value in aerobic packaged plaice muscle (APPM) decreased from 6.3 to 6.09 at first 2 day storage, and then in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time. Although pH pattern of vacuum packaged plaice muscle (VPPM) was similar to that of APPM, change of pH value during storage time was slower and lower than APPM. VBN value in aerobic packaged one increased during storage time. Especially, i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7 days of storage. While VBN value in VPPM increased only a little to 14 days. TBA val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PPM and VPPM. WHC of APPM was higher than that of VPPM after 7 days of storage. In electrophoretic pattern of myofibril of APPM stored for 14 days, hydrolysis of heavy chain and tropomyosin was observed. However, in VPPM, some hydrolysis occurred only in heavy chain. SDS-PAGE analysis showed that hydrolysis of VPPM occurs later than that of APPM.

      • SCOPUSKCI등재

        담수어와 해수어의 근원섬유단백질의 열안정성에 관한 연구

        신완철(Wan-Chul Shin),송재철(Jae-Chul Song),최석영(Suck-Young Choe),홍상필(Sang-Pill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4

        담수어인 향어와 해수어인 방어의 white muscle과 red muscle로부터 근원섬유단백질을 조제하여 생육 환경조건이 다른 어류의 근원섬유단백질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고자 myofibrillar protein ATPase 활성에 대한 온도의존성과 열안정성을 실험하였다. 향어와 방어 근원섬유단백질의 기질친화도와 Vmax값에 있어서는 향어가 방어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고, 활성에 대한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에 따른 영향에 있어서는 myofibril의 경우 red muscle이 white muscle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actomyosin의 경우에 있어서는 향어가 40℃에서도 활성증가를 나타낸 반면에 방어는 45℃, 50℃와 같이 반응시간에 따른 활성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향어가 방어보다 그리고 white muscle이 red muscle에 비해 높은 반응생성물을 나타내었다. 열안정성에 대한 열역학량(D value, Z value, △H^≠, △G^≠, △S^≠)은 muscle 종류간 그리고 환경이 다른 어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향어와 방어 둘 다 white muscle이 red muscle에 비해 안정하였으며, 향어 myofibrillar protein이 방어 myofibrillar protein보다 열에 안정한 값을 보여 환경조건이 열안정성에 차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yofibrillar proteins were prepared from red muscle and white muscle of fresh water fish and sea water fish, and their thermostabilities and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myofibrillar ATPase activities were compared. Differences in temperature dependency of myofibrillar ATPase activities were found between two species. Thermodynamic data for inactivation of myofibrillar proteins, such as D value, Z value, △H^≠, △G^≠ and △S^≠ revealed that thermostabilities of myofibrillar proteins from fresh water fish were higher than those from sea water fish, and that myofibrillar proteins from red muscle were more heat labile than those from white muscle.

      • KCI등재

        한국산 칡의 Estrogen 활성에 관한 연구

        김소정(So-Jung Kim),박철(Chul Park),김혜경(Hae-Gyoung Kim),신완철(Wan-Chul Shin),최석영(Suck-Young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1

        한국산 칡(Pueraria thunbergiana)의 에스트로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9종의 물질의 함량을 HPLC로 측정하였고, 그들의 에스트로겐성을 in vitro screening test인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assa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Phytochemical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칡의 대표적 에스트로겐성 물질인 daidzein의 경우, 뿌리>줄기>잎>꽃>종자의 순서로 나타났고, 칡에서 가장 함량이 많은 puerarin의 경우도 뿌리>줄기>잎>꽃>종자 순서로 함유되어 있었다. Phytochemical들의 에스트로겐 활성도 측정 결과 효능(potency)은 daidzein>genistein>>biochanin A>formononetin>puerarin>genistin >> glycitein = daidzin = glycitin 순이었다. 17β-estradiol에 대한 1 μM에서의 상대효율(relative efficiency)은 genistein>biochanin A>daidzein>genistin>formononetin>puerarin >> glycitein = daidzin = glycitin 순이었다. 또한 칡의 부위별, 지역에 따른 칡의 에스트로겐성을 조사하였다. 칡의 부위별 에스트로겐성은 뿌리>줄기>잎>꽃>종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도 칡의 에스트로겐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Mokpo>Ulsan> Jecheon>Pochon>Taebaek>Punggi. 이상의 결과 칡에는 다양한 에스트로겐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뿌리에 가장 많고, 줄기 등 다른 부위에도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 assess the estrogenicities of Korean arrowroot (Pueraria thunbergiana) the contents of nine phytochemicals which are known to present were analyzed by HPLC. Also the estrogenecities of these phytochemicals were assayed using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assay. Daidzein and puerarin are major compounds in arrowroot, which were contained in the order of: root>stem>leaf>flower>seed. Among the assayed phytochemicals daidzein, genistein, biochanin A, formononetin, puerarin and genistin were highly estrogenic. The total estrogenicities in different parts of arrowroot and those by regions in Korea were also assessed. Roots had the highest estrogenic effects. The estrogenicities also were shown in stem and leaf. The differences in the estrogenicities of arrowroots by regions in Korea were show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strogenic phytochemicals content was the highest in Korean arrowroot and also present in stem and leaf.

      • KCI등재

        In vitro 및 In vivo Assay를 통한 중금속의 에스트로겐성 평가

        박철(Chul Park),김소정(So-Jung Kim),신완철(Wan-Chul Shin),김혜경(Hae-Gyoung Kim),최석영(Suck-Young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9

        식품오염 관련 중금속들의 에스트로겐성을 in vitro 와 in vivo 분석방법을 병행하여 평가하였다. 분석방법은 1)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분석법, 2) E-screen assay 그리고, 3) 마우스 자궁비대시험 (uterotropic assay)을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물질로는 17β-estradiol, diethylstilbestrol(DES), arsenic oxide, bis (tri-n-butyltin), cadmium chloride, chromium chloride, lead acetate, mercuric chloride을 사용하였다.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분석 결과, bis(tri-nbutyltin) > cadmium chloride > chromium chloride 순으로 에스트로겐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mercuric chloride, lead acetate, arsenic oxide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E-screen test 결과, bis(tri-n-butyltin) > cadmium chloride > chromium chloride 순으로 에스트로겐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mercuric chloride, lead acetate, arsenic oxide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자궁비대시험 결과도 마찬가지로 bis(tri-nbutyltin), cadmium chloride, chromium chloride은 자궁중량 비대를 크게 초래하였으며, 반면에 mercuric chloride, lead acetate, arsenic oxide는 그러한 효과가 미약하거나 없었다. 세 분석방법 결과 bis(tri-n-butyltin), cadmium chloride, chromium chloride 순으로 에스트로겐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bis(tri-n-butyltin)과 cadmium chloride이 에스트로겐성이 있다는 다른 연구결과들과 잘 일치하며, 또한 크롬화합물도 에스트로겐성이 있다는 것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 단계 수준(전사활성화단계, 세포증식작용, in vivo assay)의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수많은 중금속의 에스트로겐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The estrogenicities of six heavy metal compounds, which contaminate frequently in foods, were assayed using a combination of in vitro and in vivo assays. The assays were 1)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assay, 2) E-screen assay and, 3) the uterotropic assay in mice. The chemicals studied were 17β-estradiol, diethylstilbestrol (DES), arsenic oxide, bis(tri-n-butyltin), cadmium chloride, chromium chloride, lead acetate, and mercuric chloride. Using the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assay, the following estrogenicity ranking was measured: bis(tri-n-butyltin) > cadmium chloride > chromium chloride >> mercuric chloride >lead acetate = arsenic oxide. Using E-screen test, the following estrogenicity ranking was measured: bis(tri-n-butyltin) > cadmium chloride > chromium chloride >> mercuric chloride > lead acetate = arsenic oxide. Results from the uterotropic assay showed that bis(tri-n-butyltin), cadmium chloride, chromium chloride caused an increase in uterine wet weight, while lead acetate, mercuric chloride, and arsenic oxide failed to do so. Bis(tri-n-butyltin), cadmium chloride and chromium chloride showed the highest estrogenicity in three assay systems. Recent studies suggesting that bis(tri-n-butyltin), cadmium chloride have estrogenicities are compatible with the present finding. Furthermore, our study is suggesting that chromium chloride may be estrogenic.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is three level-assay combination (transcriptional activation, cell proliferation, and an in vivo effect in an estrogen-responsive tissue) could serve as a useful method to assess the estrogenicity of heavy metals.

      • KCI등재

        복령 추출물이 혈중 지질성상에 미치는 영향

        윤희진(Hee-Jin Yun),차효미(Hyo-Mi Cha),김성원(Sung-Won Kim),신완철(Wan-Chul Shin),김혜경(Hae-Gyoung Kim),최석영(Suck-Young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8

        복령의 비만예방 및 개선효과에 대해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복령추출물의 혈중 지질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마우스를 대조군, 고지방식이군(HF), 고지방식이+열수 추출물 첨가군(HF+WE), 고지방식이+에탄올 추출물 첨가군(HF+EE) 네 군으로 나누어 각각 4주간 투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군, 고지방식이군 및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체중증가량은 대조군, 고지방식이군 및 열수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에탄올 첨가군(HF+EE)에서 체중증가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대조군 및 고지방식이 투여군에 비해 HF+EE군에서 간중량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부고환 지방조직 중량은 대조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 및 추출물 첨가군 모두 약 1.4배 증가하였다.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하였는데,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 있게 감소하였다.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고지방식이군에서 크게 증가하는데,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혈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감소하는데,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에서 증가하였다. 간의 트리글리세리드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복령의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고지방식이 투여로 인한 마우스의 혈중 지방분포를 개선할 수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The extracts of hoelen was evaluated for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adverse effects of a high fat diet.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control), high fat (HF) diet, high fat+water extract (HF+WE) and high fat+ethanol extract (HF+EE) and fed for 4 weeks. Food calorie consump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HF+EE than the high fat group. Also, liver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HF+EE than the control group.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tissue was 1.4 fold higher in high fat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 concentration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creased in high fat group, but decreased by hoelen ethanol extract administration. Also serum HDL-cholesterol was decreased in the high fat group, but increased by the hoelen ethanol extract administration. Liver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These data suggest that hoelen ethanol extract administration improves the serum lipid profiles of m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