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수화언어 수동소 유형과 특징

        최상배 ( Sangbae Choi ),이창원 ( Chang Won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수화언어의 수동소 유형과 출현 빈도, 그리고 변별자질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9,379개의 수화 단어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화언어의 수동소 유형은 크게 운동형태, 운동방향, 운동방식으로 구분되었으며, 모두 61개의수동소가 발견되었다. 운동형태는 직선, 원, 반원, 축운동, 자유운동으로 구분되었으며, 운동 방향은 상하, 좌우, 전후와 방향이 섞여서 나타나는 형태(좌상, 우상, 좌하, 우하, 전상, 전하, 전좌, 전우, 후상, 후하)로 구분되었다. 운동방식은 빠른 운동과 느린 운동과 같은 질적 변화, 동작의 양(반복), 접촉과 접근으로 구분되었다. 수동소의 변이형은 원운동에서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이 어느 방향이든 의미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아 3개의 변이형이 발견되었다. 둘째, 수동소의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하나의 수화 단어 당 평균적으로 4.39개의 수동이 사용되었으며, 고빈도 수동의 유형은 운동방식, 직선운동, 자유운동, 축운동, 반원운동, 원운동 순이었다. 또한 수동 중에서 약 77%는 경로동작이었으며, 내부동작은 13% 정도였다. 셋째, 한국수화언어에서도 수동소 최소대립쌍과 자유변이가 발견되었다. This research analyzed 9,379 Korean sign language(KSL) signs to investigate types and emergence frequency, and distinctive feature characteristics of KSL movement.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movement types of KSL sign were movement forms, movement directions, and movement manners and there were 61 movements in KSL sign. Movement forms were composed of straight, circular, curved, pivotal, and free movements. Movement directions were composed of up and down,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10 types diagonal directions. Movement manners were composed of qualitative changes such as fast and slow movement, repetition, contact and approaching movements. Three movement variants were detected in the curcular direction. Second, 4.39 movements were used for express one sign on average, and the high frequency order of movement was movement manner, straight, free, pivotal, curved, and circular movement. Path movement was 77% and local movement was 13%. Third, minimal pairs and free variants were also found in KSL movements. This result reveals that KSL movement has phonological rules as spoken languages do.

      •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최상배(Sangbae Choi),고은지(Eunji Ko)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남북분단 이후 남북한 수어의 이질화는 가속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남북한 수어가 변이가 아니라 별도의 서로 다른 수어로 변화되고 있는 과정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한국수어는 대만수어와 함께 일본수어어족(Japanese Sign Languae Family)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한국수어가 언어로 성립되는 과정에서 일제 강점기에 일본수어가 유입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한국수어와 일본수어는 유사도가 높다는 선행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수어는 서로 다르게 발전하면서 두 수어의 차이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일치 정도와 수어소별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남·북·일본수어 단어는 모두 435개였다. 분석 결과, 3개 수어에서 수어소가 완전히 일치하는 수어는 68개로 16%, 수어소가 1-3개 일치하는 부분일치 수어는 133개로 31%, 수어소가 완전히 불일치하는 수어는 234개로 54%였다. 3개국 수어의 수어소별 일치율을 분석한 결과, 수위 일치도가 33%로 가장 높았고, 수향 30%, 수형 26%, 수동 26% 순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남·북·일본수어는 이질성이 커서 하나의 어족으로 범주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음을 시사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3개국 수어 특성을 남북, 한일, 북일 수어로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분석 수준을 음운 수준 뿐만 아니라 형태론과 구문론 측면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교과정과 학교유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 교육 현황과 교사의 교육지원 요구

        최상배(Choi, Sangbae),황윤재(Hwang, Yunjae),강창욱(Kang, Changwook),이상희(Lee, Sanghee),김은하(Kim, Eunha)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학교유형과 학교과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 교육 현황과 교사가 인식하는 지원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기관 602개, 교사 5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청각장애학생의 보정 전 청력은 91dB 이상이 52%로 가장 많았으나, 보정 후 청력은 중등도 이하가 67%로 가장 높았다. 양이 보장구 착용 비율은 58%였으며, 보장구를 어느 쪽 귀에도 착용하지 않은 경우는 6%뿐이었다. 주요 의사소통은 구어 비율이 가장 높았고, 수어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37%였다. 청각중복장애학생 비율은 30% 정도로 높았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학생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보통’ 또는 ‘많다’라고 응답하였으나, 특수학급이나 통합학급 교사는 ‘거의 없다’라고 응답하였다. 교사의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요구를 조사한 결과, 청각장애학교에서는 수어통역, 청각보조기 대여, 청능훈련과 언어치료 제공 등 의사소통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나, 특수학급이나 통합학급에서는 의사소통 지원이 없는 경우가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중에서는 청능재활, 언어재활과 같은 치료지원 확대 요구가 많았고,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65%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학생의 소리 청취 여건은 과거보다 향상되었으나, 의사소통 지원, 치료 지원,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등의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문 영역에서 지원이 지금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duc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DHH) students.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using survey for educational institute(n=602)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n=589). Two of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educational status of DHH students; 67% are mild to moderate hearing loss as aided hearing threshold; 58% use hearing devices on both ear, but 6% do not use any of hearing devices; most of the DHH students use spoken language as main communication mode and 37% use signed language only or combined; 30% of deaf students have additional disabilities and, (2) educational needs; tried to provide appropriate communication support considering KSL interpreter, lease hearing devices like FM system, auditory training, and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services at school for the deaf. However, almost half of participants responded there is no considering about communication support at self-contained classroom or mainstreamed classroom; basically, demanded expanding times for aural rehabilitation and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65% do not receive any support from DHH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results suggest providing appropriate communication skills to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in the mainstreamed educational setting.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요구와 지원방안에 대한 교사와 청각장애인 단체의 인식

        최상배(Choi, Sangbae),황윤재(Hwang, Yunjae),고은지(Ko, Eun-J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요구와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교사, 농인 단체, 난청인 단체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생 교육 지원 요구를 분석한 결과, 3개의 하위범주(개인 특성과 요구에 맞는 교육지원, 교사의 수업과 상담 역량 강화, 부모지원 강화)와 10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둘째,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방안을 분석한 결과, 3개의 하위범주(청각장애학교 재구조화,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청각장애 교육지원의 질적 모색)와 1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면담 참가자들은 청각장애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 청각장애학교는 재구조화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해 전문가 배치와 협력, 교사의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청각장애교육의 질적 도약을 위해서는 청각장애교육 교사자격증 제도 운영, 동반입학, 통합교육 준비도 평가, 청각중복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의 방향과 우선순위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dentified key issues recognizing educational needs and educational support plan for deaf and hard of hearing(DHH)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focus groups consisting teachers for the deaf, association of deaf, and association of hard of hearing. Focus groups indicated educational needs as three subcategories: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enhancement of instruction and counseling capacity by teachers, family support. In addition, focus groups identified educational support plan as three subcategories: deaf school restructuring, enhancement of DHH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high quality of education suppor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provide high quality of DHH education are considering deaf school restructuring and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 growth and promoting utilization of DHH education support center. Also, participants emphasized to consider DHH teacher certificate, co-enrollment, evaluation for readiness of inclusion, supporting deaf plus for providing high quality of DHH education.

      • 특수교사 양성과 배치 개선 방안

        최상배(Sangbae Choi),홍재영(Jaeyoung Hong),황윤재(Yunjae Hwang),서효정(Hyojung Seo),박영근(Youngkeun Park),김원호(Wonho K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

        연구목적: 현행 특수교사 자격제도와 양서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개선 방향의 일환으로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자격제도 운영의 필요성과 양성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사 양성 현황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초점집단면담(FGI)과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행 특수교사 양성과정이 학교과정별로만 진행하고 있으며 양성과정이 경직되고 있고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교육실습 기회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특히, 현행 특수교사 자격과정은 유·초·중등 하교과정별 기본과정으로만 운영되고 있으나, 교육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특수교사 자격제도를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심화과정에서는 진로진학상담 교사, 청각장애교육 교사, 시각장애교육 교사 등 교육의 수요에 적절하게 특수교사 자격과정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이 제안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제도의 필요성이 제시되었으며,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은 학부, 대학원 자격연수 과정이 제안되었다. 셋째,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지속적이고 전문적으로 해당 장애학생을 지도하도록 교사전보 유예와 자격취득 비용 지원 등 인센티브가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한국수화언어 수향소 분석

        최상배 ( Sangbae Choi ),이한나 ( Hanna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수화언어의 수향소 유형과 출현빈도, 그리고 수향의 음운 특성을 분석 하기 위하여 한국수화사전에 탑재된 9,379개 수화 단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화언어의 수향소 유형은 손바닥기저 방향은 우세손 18개, 비우세손 16개 가 발견되었다. 또한 손가락기저 방향 유형은 우세손 15개, 비우세손 14개가 발견되었다. 또한 우세손과 비우세손 그리고 손바닥기저 방향과 손가락기저 방향의 유형이 서로 상이하였다. 둘째, 출현빈도가 높은 손바닥기저 방향은 후방향, 하방향, 좌방향, 상방향, 우방향, 전방향 순이었고, 출현빈도가 높은 손가락기저 방향은 전방향, 상방향, 우방향, 좌방향, 좌상방향 순이었다. 사선방향이면서 손목이 접혀야 표현되는 단어는 출현율이 낮았다. 셋째, 한국수화언어 수향소의 음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향 차이로 인한 최소대립쌍과 자유변이가 모두 발견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향이 구문 측면에서 기능하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추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ypes, appearance frequencies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orientations in KSL(Korean Sign Language).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 types of KSL orientation, palm base orientations were 18 of dominant hand and 16 of nondominant hand and finger base orientations were 15 of dominant hand and 14 of nondominant hand. And the types of dominant hand and nondominant hand and the types of palm base orientation and finger base orientation were different each other. Second, palm base orientations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were back, down, left, up, right and front orientation orderly and finger base orientations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were front, up, right, left and left-up orientation in order. Words expressed by diagonal direction and folded wrist showed low appearance frequency. Third, there were minimal pairs and free variants in the orientation of KSL.

      • KCI등재

        지적장애학교와 시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분석

        홍보람 ( Hong Bo-ram ),최상배 ( Choi Sangb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유형별 특수교육대상학생 간의 언어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하고, 결과를 장애 유형별로 비교하여 특수교사가 수업에서 어떠한 언어상호작용을 구현해야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분석법을 사용하여 시각장애학교와 지적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수업을 각 7편씩 총 14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landers 언어상호작용분석 항목별 빈도를 살펴본 결과 시각장애학교와 지적장애학교의 수업은 공통적으로 학생의 발언에 비해 교사의 발언이 높은 지시적인 경향의 수업이며, 교사의 질문이 적었다. 비언어적 상황이 수업 항목 중 두 번째로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대부분 수업과 관련된 행동으로 이루어 졌다. 두 장애유형 수업의 차이점은 지적장애학교의 수업에 비해 시각장애학교의 수업이 교사의 지시적 발언이 적고, 학생의 주도적 발언비율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둘째, 수업의 형태를 살펴본 결과 두 장애의 수업이 모두 강의→ 비언어적 상황 → 강의의 수업 흐름을 보였다. 지적장애학교의 수업은 주형태와 부형태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시각장애학교의 수업은 부형태에서 교사질문 → 학생 답변 → 학생의 아이디어를 수용 또는 사용의 흐름이 나타났다. 셋째, 지수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두 장애의 수업에서 비지시비와 교사 질문비가 Flanders가 제시한 기준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공통점을 보였다. 두 장애유형의 수업에서 나타난 지수별 특성의 차이점은 시각장애학교의 수업이 지적장애학교에 비해 학생의 발언비와 학생질문 및 넓은 답변비가 높게 나타난 점이다. 결론: 시각장애학교의 학생과 지적장애학교의 학생은 장애의 정도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교사들은 수업에서 다른 언어상호작용 형태를 가지기 위해 자신의 수업을 반성하고 성찰하는 기회를 가져 더 나은 수업을 계획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compare the results by types of disability, and provide implications on verbal interaction in classes for special teachers. Method: The study referred to Flanders’ verbal interaction analysis technique and analyzed total 14 classes of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in two schools, one for visual impairment, and the other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even classes each. Results: First, the study looked into the frequency of each category of the technique, this study found out that classes at both schools were more instructive classes where teachers speak more than students and ask fewer questions. What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different disorders was that classes at the school for visual impairment had less instructive and more utterance of students, compared to classes at the school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when studying types of class, all the classes in two schools showed the following pattern: lecture; non-verbal activity, and; lecture. Third,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index, the ratios of non-direction and questions of teachers were far lower than the standard suggested by Flanders during the classes at both schools. Conclusion: Sinc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ave different level of disability from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achers should take a moment to self-reflect and introspect their classes and design better classes so that they can have different verbal interactions.

      • KCI등재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지원을 위한 창조적 소수의 도전

        이한나 ( Hanna Lee ),최상배 ( Sangbae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두 농학생의 일반학교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사람들의 경험을 기술함으로써 청각 장애교육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농학생의 농부모 2명, 수화통역사 3명, 사회복지사 1명, 특수교사 1명, 통합학급 담임교사 1명과 면담을 실시하여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농부모는 과거 농학교의 부정적 경험으로 일반학교를 선택하였고, 농자녀가 일반학교에서 겪게 될 고립감을 해결하기 위해 동반입 학을 결정하였다. 둘째, 동반입학과정에서 수화통역사 배치의 어려움 및 근무 여건의 열악함, 구화와 수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 향후 동반입학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수화통역사의 제도화와 농학생의 교육에서 수화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화를 통한 농학생과 일반학생의 상호작용이 형성되고 있어서 이를 촉진할 수 있는 협력교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셋째,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반에 걸쳐 제기되는 낮은 학업성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기 이중언어환경 구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제도는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낮은 수준과 통합교육 상황에서 교육 주체의 소외감을 해결할수 있는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실천적 모델로써 적용 가능성이 있다. This research describes the experience of those that supported the co-enrollment of two deaf children into general school. Through the research, it identifies the motivation behind the parents in enrolling their deaf-children into the general school,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on successful settling process, and what they suggest on the deaf education as a whole.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parents of deaf children chose general school due to negative experience at their past deaf school and decided to co-enroll in general school with another deaf child to resolve the possible feeling of isolation. Second, issues such as assigning sign language interpreter, improving the interpreter``s work conditions, as well as accommodating sign language were brought up to support successful co-enrollment. Last, the need to build sign-bilingual education was mentioned to help deaf children achieve academic success. The specific topic of this research is on the co-enrollment of deaf children but implications apply to the deaf education as a whole.

      •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 지원센터 업무담당자가 경험하는 운영상의 어려움과 요구

        정은지(Eun-ji Jeong),최상배(Sangbae Choi)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담당자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를 알아보고, 청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상의 개선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전국 16개 시·도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6개 시·도에 근무하는 업무담당자 7명과 근무한 경험이 있는 업무 경험자 1명이 목적표집을 통해 선정되어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후 전사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6개의 상위범주, 15개의 하위범주, 41개의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먼저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담당자들이 겪는 운영상의 공통적인 어려움은 근무환경의 어려움, 보조공학기기 및 관련서비스 지원의 어려움, 학교생활 적응 및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의 어려움으로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담당자들이 느끼는 운영상의 공통적인 요구는 전문 인력 배치와 전문성 신장, 행·재정적 지원, 인식개선과 소통의 요구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담당자가 실제로 겪는 어려움과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청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전국의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