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양교사 교직에 대한 전문성 신장방안 연구 : 연수의 형태 및 내용 분석

        최명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양교사가 교수활동을 담당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지 않는 것에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직 전문성 인식도와 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양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학교에서 영양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이 여러 가지 배경변인에 따 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영양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도는 어떠한가? 3. 영양교사의 전문적인 자질 향상을 위한 연수의 형태 및 내용 요구도는 어떠한가? This study is analyzed about the cause that despite the institutional plans were prepared for nutrition education, it doesn't vitality. And find the factor in inner part that expertise's awareness of teaching profession, in outside part that nonexistent for training and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this research that have purpose that developing for the nutrition teachers' training program and then offer base data for the improving of nutrition teachers' expertise. The subjects of study are 175 nutri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Yeongseo, Gangwon-do. The research tool is based on the nutrition teachers' system and the necessity of nutrition teachers' education. And there aren't current nutrition teachers' awareness for teaching profession expertise or preceding research for training, so it is based on general teachers' current training theory background and priority study that accord with the study goal and is drew up.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ies are like that. First, the present condition of nutrition education execution is may put in operation by principals but sometimes it isn't put in operation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that 62.6% of respondents didn't enforce the nutrition education. And if they try the nutrition education, they are faced with practical difficulties about learning methods or choice of tools. Second, nutrition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expertise is average 3.856 that is higher than the middle point (M=3.00) and intellectual capacity is high degree at the low rank. Third, the methodology about the ask for of training is that they want to accept an offer training that supervis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once or twice three years periodical and the details can meet with results that they prefer juvenile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effective interaction about teacher and student, teaching method, teachers' healthy life, communication and decision. Through these results, it grasps the point that teaching activity is the expertise increasing to nutrition teachers and they want the expertise increasing by the training or the education. Thus variety and differentiation training is offered that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nutri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Key word : nutrition education, expertise increase, training program

      • 노인의 여가문화와 삶의 질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최명옥 한영신학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급격한 사회변화와 더불어 긴 노년기를 맞는 노인의 절대다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다양한 배경과 욕구를 가진 노인층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노인의 여가문화활동 참여에 대한 우리사회 전반의 관심과 지원은 미미한 측면이 있다. 전반적으로 노인의 여가문화활동 참여수준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고 미국과 비교해서도 부족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급증하는 노인인구를 여가문화활동에 참여하도록 정책적 ‧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곧 고령사회를 해결해 나가는 하나의 방법이고 성공적 노년기를 보내는 열쇠가 될 수 있다. 노인들 스스로 노화과정과 연관된 생물, 심리, 사회적 손실에 적응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이 우선적으로 요구되지만 고령화로 인해 다양한 욕구와 문제를 가진 노인들이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서 노인인력과 그들의 여가문화활동 참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활성화하고자 하는 것은 당면한 사회적 과제이다. 최근에는 우리 사회의 저출산 현상의 심화와 급속한 고령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자는 취지로 제정된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에서도 노인의 사회참여를 존중하고 사회참여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성공적 노화의 3대 요소인 노인의 질병예방과 관리, 기능유지와 재활, 적극적 여가문화활동은 따로 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상호작용 하는 것이므로 바람직한 보건복지활동 연계모델 개발과 적용의 필요성은 노인의 경우에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사회의 노인들은 오랜 기간 사회와 후손을 위해 헌신해 왔고 앞으로 오랜 기간 다른 세대들과 부대끼며 더불어 살아갈 존재이기도 하다. 노인들이 건강하게 여가문화활동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자원과 경험을 활용하여 사회에 이바지하고 스스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일은 노인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다른 세대에 대한 배려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노인들이 건강하게 여가문화참여를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이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무라 하겠다. With dramatic social changes, an absolute majority of the elderly who has a long remaining years ,various backgrounds and desires has rapidly increased in reality. but our overall society lacks concerns and supports about participation of the older's leisure cultural activity. Generally,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elderly's leisure cultural activity is lower than comparing to America as well as the other ages Preparing political and institutional plan for the increasing the old ages to participate leisure cultural activity is one of the way to solve aged society and it could be a key to spend successful old age, The elderly themselves should make an effort to adapt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loss but renewing the recognition and revitalizing the participation of their leisure cultural activity is a facing social task as the elderly has rapidly increased ,who has various desire and problem. Recently, 'low-birthrate-aged-social-fundamental law' which is aimed at preparing phenomenon of low birthrate and rapid aging systematically is instituted for respecting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emphasizing activation social participation.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functional maintain and revitalization , positive leisure cultural activity of the elderly are not separated but interacted as three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sirable public health welfare activity connected model is specially needed for the elderly. Our social elderly have been committed to their social and descendents for ages and are being to live with other generation Helping the elderly to participate positively leisure cultural activity with their resource and experience for serving social is not only for themselves but the other generation. So, it is our responsibility to make atmosphere for the elderly to participate leisure cultural activity in good condition and prepare positive supporting plan.

      • 한국 중등 종립(宗立)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태 비교 연구 : 천주교계, 불교계, 기독교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명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는 정서적으로 동요의 시기이며 정신적으로 불안의 시기이므로 마음의 안식처로서 종교에 관심을 가지려고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부모나 성인에 의존하고 있던 수동적 태도에서 차츰 독립하려고 하며 한편으로는 자신의 종교를 지각하고 비판 및 수용하며 명확한 종교적 신념과 태도를 확립하려고 한다. 때문에 이 시기에 있어서 종교가 청소년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바른 종교성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특별히 우리나라의 교육 구조를 생각해 볼 때 청소년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에 대한 의미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나친 입시위주의 교육 정책과 무시험 추천에 의한 학교배정으로 인하여 일반 중등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그동안 선교와 함께 개화의 선구자 역할을 했던 각계 종립(宗立)학교의 종교교육 역시 그 명맥을 유지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종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청소년기에 있어서의 종교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밝히고, 현행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나은 청소년 종교교육의 정체성과 교육내용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서론인 I 장에서는 청소년기의 종교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현황 및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목적인 종립학교에서의 새로운 종교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도 함께 기술하였다. II 장에서는 종교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청소년기의 종교적 특성 및 종교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과거 각계의 종립학교가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어떻게 종교교육을 시행하여 왔는지를 살펴보고 현행 종립학교에 있어서의 종교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서술하였다. III 장에서는 현행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에 대한 실태와 평가를 위해 특별히 임의로 선정된 천주교계 8개교, 불교계 5개교, 기독교계 7개교를 중심으로 하여 현재의 종교교육에 대한 진단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IV 장에서는 현행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의 실태와 그로 인해 발견되어진 문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종교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그 구체적 대안을 보면 첫째, 현행 종립학교의 정체성의 재정립이 필요하며 둘째, 종교교육 내용의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여야 하며 셋째, 종교집회 및 종교수업의 다양성 시도와 넷째, 종교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이다. V 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보다 종립학교에서의 보다 성숙한 종교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였다. Juvenile period is period of emotional instability and juveniles try to find their peace of mind through their interest in religion. Accordingly they are trying to establish firm conviction and attitude toward religion by being more conscious of religion, either more accommodating or critical through a process of gradually becoming more independent by changing their formely passive attitude of relying on their parents or elders. Therefore during such a period influence of religion upon forming sense of identity by juveniles is considerable.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educate juveniles to have religious propensity during the juvenile period. In particular in view of our educational structure here great portion of available time of juveniles being spent at schools significance of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 is enormous indeed. However currently due to educational policy centered to preparation of entrance examination and assigning schools through lottery without test religious education at ordinary secondary schools is close to nil. Furthermore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which played a role of a pioneer for enlightenment together with Christian mission is experiencing too much difficulty for maintaining its tradition. In this treatise this writer attempted to address the topic of identity and content of religious education for juveniles through identifying the need of religious education during juvenile period theoretically and on the basis of analysis of religious education at contempor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In Chapter 1, the foreword part of this treatise, this writer treated the topic on the need of religious education during juvenile period and status and problems in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Also new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which is purpose of this treatise is presented and also methodology and limitations are included too. In Chapter 2, topic of religious education is studied theoretically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the need for religious education during juvenile period are described. This writer addressed the issue of how religious subjects were taught at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in the past and also described current, problems with religions education at such schools. In Chapter 3, for the purpose of studying status and evaluating religious education at contemporary schools status and evaluating religious education at contempor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diagnosis on contemporary religious education and analysis of problems are performed on 8 schools of Catholic, 5 Buddhistic and 7 protestants affiliation schools. In Chapter 4, on the basis of current status and problems with religious education at contempor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in future is presented. As specific alternatives first, re-establishing sense of identity for contempor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is required. Second, there should be search for change in curricula of religious education. Third, more diversity in religious assemblies and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attempted. Fourth,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people in charge of religious education. In Chapter 5, content of this treatise is summarized and a number of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more mature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in the future.

      • 초등학교 교사의 평생교육 인식과 만족도 분석

        최명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학교 평생교육의 시작이자 중요한 플랫홈이 되는 초등학교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평생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지니고 있으며,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경험은 어떠한지, 평생교육기관 선호도 및 요구와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수집된 데이터를 성별, 교육 경력별 및 대학원 재학이나 이수 여부에 따라 t-검증, f-검증,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각 집단별 평생교육 인식을 비교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을 알게 되는 가장 강력한 경로는 인터넷 및 매스컴이고 대학원 재학 중인 응답자는 기타의 경로를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응답자의 경우 인터넷이나 매스컴이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평생교육에 대해 알게 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평생교육의 중요 영역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것은 취미, 오락, 여가에 대한 평생교육이었고,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방 자치 단체의 노력 정도 인식에서는 대학원 재학 및 이수한 모든 응답자들은 지방자치단체가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는 정도를 그저 그렇다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로는 평생교육 강좌나 연수 경험이 없는 경우가 더 많았고,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로는 대부분 2회 미만 참여하였고, 참여 프로그램은 일반 교양강좌나 인간관계, 취미 및 여가 교육이 많았다. 참여 목적은 교사로서의 능력 개발과 전문성 함양을 위해 다음으로 해당분야에 관심과 흥미가 있어서의 응답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선호도 및 요구와 만족도에서는 건강, 보건 관련 프로그램과 기초 및 교양강좌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고 가장 덜 선호하는 프로그램으로는 노인 관련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봉사 프로그램이었으며 프로그램의 기간은 2~3개월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의 운영시간대는 평일 오후시간대였다. 프로그램 참여 비용으로는 2~3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1회 교육시간은 2시간에 가장 선호하였다. 평생교육 참여 결정 요인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그 방법으로 나타났고 평생교육장소 만족도 조사에서는 남자의 경우엔 대학이 가장 많았으나 여자의 경우엔 대학과 문화센터가 가장 많았다. 5년 미만의 문화센터경력이 5년에서 20년 사이인 응답자들은 학교에서 받았던 경험이 가장 많았다. 대학원을 수료한 응답자의 경우엔 대학교에서, 대학원에 다닌 적 없는 응답자의 경우엔 학교 및 학교 유관기관에서 가장 많이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원에 다녔는가의 여부에 따라 각 응답자들이 참여하는 평생교육의 실시 장소가 다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평생교육에 참여하게 된 경로로는 교육청이나 학교에서의 공문을 통한 평생교육 참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체로 초등학교 교사는 교육청이나 학교에서 발행하는 공문을 통해 평생교육에 참여함을 알 수 있다.

      • 척수장애 남성의 미술치료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최명옥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M. A. Thesis An inquiry into the narrative of a man with spinal disorder who experienced art therapy Choi, Myeong-Ok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Sun-Nam Abstract In this study the life of a man, who was physically healthy before his vertebrae was damaged in an unexpected accident, was explored. The accident resulted in a functional loss on his lower neck area. After the accident, the man, participant of this study developed a mid level spinal disorder. Through art therapy activities,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 talked about each other's life. The participant accepted his life as a disabled and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art therapy to him.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ticipant's life being revealed as it was, so an exploring and comprehensive study could be possible on his life. The participant received 11 sessions of art therapy from February, 2014 to May, 2014, once a week. Each session lasted 90 minutes. The focus was on existential and qualitative change in his life by looking 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they were.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so the prejudice, which had dominated the therapist's life could be simplified. The therapist tried to listen to the participant's story and to see her life and the participant's life as they were.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the main methodology. Visual artwork, interviews, field records, and the verbatim of treatment process were produced to express the meaning of experiences that emerged in this research. These field texts were produced based on the social meaning and importance through artwork, interview process, the recording process and analysis process.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during art therapy were expressed in the following remarks:'I need someone to communicate with', 'I am afraid of expressing myself', 'a sense of guilt that it was because of me', and 'now, I can reveal my mind'. The participant at the beginning inquired about his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him, whereby realizing his distorted ideas and learning that he should love himself. Eventually, he was able to express his feelings one by one though he was clumsy with it to some degree. In addition, the participant showed change in him through art therapy by saying the following: 'a future that I never imagined, but I may have a future'. The meanings revealed to the participant through art therapy were as follows. First, He could draw although he could not use his hands freely before taking art therapy. Second, it was still hard for him to express himself. Third, he had pleasure through expression. Fourth, a connection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was possible. Lastly, he accepted himself living his life as it is'. The researcher started this study with contemplation and self-reflection, which helped the researcher to gain insight in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both to understand their life experiences vividly and comprehensively. Keywords: Narrative inquiry, man with spinal disorder, art therapy activity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사회인으로 살아가던 한 남성이 불의의 사고로 척추 손상을 입고 목 아래 부분이 기능적으로 손실을 입은 중도 척수 장애 남성의 삶을 탐구한 것이다.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인 척수장애 남성이 자신의 삶에 대해 무엇을 이야기하며, 장애인 자신의 삶을 수용하는 가운데 미술치료가 주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의 삶을 ‘있는 그대로 ’들여다 봄으로써 척수장애 남성의 삶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탐색적이고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2월부터 5월까지 4개월간 일주일에 한번 씩, 1회기는 90분씩 총 11회기 진행하였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것은 참여자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봄으로써 실존적이고 질적인 변화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치료자의 삶을 지배해온 선입관을 명료화하기 위하여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여 연구자인 나의 삶과 참여자의 삶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경청하고 ‘있는 그대로’ 보려고 노력하였다. 분석방법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집대성한 내러티브 탐구를 주된 방법론으로 선정하여 활용하였고, 연구에서 일어나는 경험의 의미를 시각적인 미술 작품, 면접, 현장 기록, 치료과정 녹취록 등의 현장텍스트를 생성하였다. 이들 현장텍스트는 사회적 의미와 중요성에 기반하여 미술활동의 작품과 면접과정, 기록과정과 분석과정에 의해 도출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경험한 내용은 ‘소통의 대상이 필요해’, ‘나를 표현하기에는 두려워요’, ‘나 때문이라는 죄책감’ ‘ 이젠 내 마음을 드러낼 수 있어’ 와 같이 처음에는 참여자와 관계 맺고 있는 주변인들을 탐색하였고 부정적이고 왜곡된 생각들을 지각하면서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 함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표현하는데 서투름이 많았으나 하나 하나씩 표현하게 되었다. 또한 마지막으로 ‘생각도 할 수 없었던 미래, 나에게도 찾아 올 것 같아...’처럼 참여자가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참여자에게 드러난 미술치료 활동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통해 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었던 내가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 둘째, 자신을 표현한다는 것은 여전히 어려웠으며, 셋째,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에게 표현이 가져다 주는 기쁨을 느꼈고, 넷째, 미술치료를 통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할 수 있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있는 그대로’의 살아가는 자신을 수용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성찰과 자기반성에서 시작함으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깊이 들여다 볼 수 있었으며, 그들의 삶의 경험을 생생하고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었다.

      • TV드라마에 나타난 남자배우들의 헤어스타일 디자인 분석에관한 연구

        최명옥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odern men realized that clothes and hair styles are important in expressing their desired appearances upon taking interest in fashion trend at the exposure of numerous mass media, the need for searching for their own unique hair styles is increasing, and in the recent men's hair style designs are becoming diverse to allow them to express their own individualities and emotions. In modern times, men are obtaining information through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and improving appearance is becoming another competitive advantage at work and it is an area that is receiving most attention when explaining the lifestyle that is becoming a trend in our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hair styles, according to the hair design elements of shape, texture and color, of 150 leading actors and 240 supporting actors in the total of 390 actors who are in their 20s to 40s who appeared in 150 trendy TV dramas among the TV dramas that were ranked in the top 10 annual program ratings, except for historic dramas, that were produced by the three major broadcasting systems in our country (KBS, MBC, SBS) from 2006 to 2010, and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the classification of shape according to point, line & surface, it showed the shape of line the most and surface the least, in the order of line > point > surface. Second, in the classification of texture according to permanent wave, iron wave & straight hair, it showed the texture of iron wave the most and permanent wave the least, in the order of iron wave > straight hair > permanent wave. Third, in the classification of color according to dark color as one's hair color, brown color, light brown color and red brown color, it showed the color of dark color the most and light brown color the least, in the order of dark color > brown color > red brown color > light brown color. Fourth, as for the hair style that male actors prefer the most, it is line shape style with iron wave volume and they prefer natural wave, and it was found that they most prefer the soft texture of shaggy cut with dark color and medium style hair length. In the case of short length hair, they preferred the Mohegan style that emphasized top point with short side hair. Fifth,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men's recent hair styles, the two block dandy cut is a trend. The style that creates a masculine and elite image on top of the image of clean, natural and strong men, and the style that significantly changes the image and feel depending on how styling products are used, and the hair style with soft wave and red brown color on top of rough texture that can highlight one's individuality are being highly favored by many young men. Modern hair designs are changing in their shapes and images in a more drastic and innovative way, and irregular mix and innovative design will be in trend all the more in hair designs that are receiving countless items. In addition, mass media will achieve extensive and multilateral advancement in future along which trend will propose various hairs and form the popularization of hair.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hair industry will advance through popular trend. 현대 남성들은 수많은 대중매체에 노출되면서 패션 트렌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그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외모를 개성 있게 표현하는데 의상과 헤어스타일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의상만으로 표현하기 부족하다는 인식이 많아지면서 나만의 개성을 나타내는 헤어스타일을 찾는 요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최근 남성들의 헤어스타일은 그들의 개성과 감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이 다양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남성들이 정보를 얻고, 외모 가꾸기가 또 다른 직장 내 경쟁력이 되고 있고, 우리사회에 불고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설명할 때 가장 주목받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방송 3사(KBS, MBC, SBS)의 TV 드라마 중 매년 평균시청률 1위에서 10위중에서 사극을 제외한 트렌디 드라마 150편을 남자 주연배우 150명 조연배우240명 총 390명, 연령대 20~40대 배우들에게 나타난 남자 헤어스타일을 헤어디자인요소인 형태, 질감, 컬러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 같다. 첫째: 형태에서는 점, 선, 면을 분류 하였을때 선> 점> 면 으로 선의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면의 형태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질감에서는 퍼머넌트 웨이브, 아이론 웨이브, 직모로 분류 하였을때 아이론 웨이브> 직모> 퍼머넌트 웨이브 순으로 아이론 웨이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퍼머넌트 웨이브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컬러에서는 자신의 모발 색을 어두운색으로 보고 브라운색, 밝은 브라운색, 레드브라운으로 분류 하였을때 어두운색> 브라운색> 레드 브라운색> 밝은 브라운색 순으로 어두운색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밝은 브라운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넷째: 남자배우들이 가장 선호하는 헤어스타일은 선의 형태을 지니고 있는 스타일로 아이론 웨이브로 볼륨감이 있으며 자연스러운 웨이브를 선호하며 샤기 커트의 부드러운 질감에 어두운색 컬러를 가지고 있는 머리길이가 미디움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머리길이가 쇼트의 경우는 옆머리는 짧고 탑에 포인트를 강조한 모히간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최근 남성들의 헤어스타일의 특성은 투 블록 댄디 커트가 유행하고 있다. 깔끔함 그리고 내추럴한 강한 남자 이미지에 남자답고 엘리트한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스타일, 스타일링 제품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이미지와 느낌이 많이 달라지는 스타일, 개성을 마음껏 살려 줄 수 있는 거친 질감에 부드러운 웨이브 그리고 레드브라운 컬러가 들어간 헤어스타일이 많은 젊은 남성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현대의 헤어디자인은 형태와 이미지가 더욱 획기적이고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무수한 아이템을 받아들이고 있는 헤어디자인에 있어서 불규칙적인 혼합과 혁신적인 디자인이 더욱 유행할 것이며, 대중매체는 앞으로 폭넓고 다각적인 발전을 이룩해 나갈 것이며 이와 함께 트렌드는 다양한 헤어를 제한하고 헤어의 대중화를 형성하며 더불어 대중적 유행을 통해 헤어산업은 발전할 것을 기대한다.

      • 스마트미디어를 과다사용하는 기혼여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명옥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마트미디어를 과다사용하는 기혼여성들의 삶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자전적 삶의 경험에서 출발하여 기혼여성이 성장과정 시 어떠한 삶 속에서 미디어를 과다사용하게 되었고,결혼 후 부부관계 및 자녀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를 과다사용하는 경험이 어떻게 구성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막내아이를 기준으로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결혼 10년 차 이내 20~30대 기혼여성 3명이며, 결혼 전과 결혼 후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 경험이 있는 여성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6월까지이며,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고, 연구 텍스트를 작성할 때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지점에 위치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만난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희정]은 성장하면서 부모님의 잦은 갈등으로 불안감이 높았다. 어머니는 미디어 속 가정의 모습에 비추어 아버지를 비교하였고, 이로인해 부모님의 부부 싸움은 브레이크가 고장 난 듯 계속되었다. TV와 비디오는 공포스런 집안 분위기에서 탈출할 수 있는 ‘안전한 피난처’였으며,‘만약 결혼한다면 꼭 행복하게 살 거야’라는 소망을 갖게 되었다. 결혼 후 현모양처와 지적인 아내를 원하는 남편에게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녀는 매일 실시간 인터넷 검색어에 뜨는 다양한 기사를 읽으면서 ‘남편에게 존중받으며 소통이 잘 되는 아내’이기를 열망했다. 어린 시절 부모님께 애교와 끈질긴 설득으로 원하는 물건을 소유할 수 있었던 [구희정]은 자녀가 원하는 것을 ‘알아서 척척 해주는 엄마’이고 싶었다. ‘여자는 예뻐야 한다’는 신념으로 딸이 예쁘게 꾸미고 다닐 수 있도록 모바일 쇼핑으로 옷이 나 물건을 ‘최상품, 최저가로’ 구매하려고 장시간 쇼핑몰 댓글과 가격을 비교했다. 그녀는 딸이 스마트미디어를 장시간 시청할 때 제지하거나 훈육하지 않고 허용하거나 모르는 척 하였다. 스마트미디어가 훌륭한 교육용 매체라고 생각했고, 딸과 갈등하지 않는 좋은 엄마이기를 원했기 때문이다.[김사랑]은 초등학교 때부터 미디어를 통해 접한 남자아이돌 그룹에 관심이 많았으며, 친구들보다 연예인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습득했다. 부모 님이 농사일로 바쁘셨기에 정서적으로 방임된 상태에서 미디어는 설레임과 우월감을 주는 ‘환상의 섬’이었다. 사춘기 때 ‘남자아이돌처럼 잘생긴 사람과 결혼하고 싶다’는 열망을 가졌으며, 미니홈피 속 자신을 최대한 예쁘게 꾸미는 것으로 신체 열등감을 보상했다. 대학생 때 게임을 좋아하는 취미가 비슷한 남자친구와 가까워졌고, 혼전 임신으로 급속히 결혼하였다. 결혼 후 [김사랑]은 시어머니와 남편의 밀착된 관계로 늘 소외되었고, 이로 인하여 남편과 별거하기도 했으며, 질병으로 고통 받았다. 이 과정에서 위로와 생존의 돌파구가 된 것은 SNS를 통한 사이버 활동이었다. 남자아이돌 그룹의 카페 활동과 콘서트 방문으로 남편의 정서적 빈자리를 보상했다. 그녀에게 세 아이 엄마 역할은 너무 힘들었다. 잠시라도 육아탈퇴를 할 수 있는 순간은 자녀들에게 스마트폰을 허용하는 시간뿐이었다. 모바일 쇼핑을 통해 구입한 선물로 자녀들에 대한 죄책감을 보상했고, 주말에 자 녀와 떠나는 일일 여행 시 스마트미디어를 제한 없이 허용함으로 결핍을 채워주었다. [이가희]는 손가락과 발가락 장애로 인해 친구들과 친척들로부터 놀림 당하는 일이 자주 있었다. 그때마다 어머니는 그녀가 의지할 수 있는 보호자가 되어주었다. 중학교 때 갑자기 쓰러지신 어머니는 고등학교 때 하늘나라로 가셨다. 가족들은 모두 침울했으며, 모래알처럼 흩어져 각자 일에 몰두했다. 그녀는 집에서 혼자 긴 밤을 지낼 때가 잦았고, 잠기지 않는 현관 자물쇠는 불안감을 급증시켰다. 이때 TV 소리는 “집에 사람이 있어요”라는 신호였으며, 잠시라도 잠들 수 있게 한 보호자였다. 그때마다 ‘내가 안전하게 잠들 수 있도록 팔베개가 되어줄 수 있는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는 소망이 있었지만 외모에 자신감이 없었기 때문에 연애를 시도해 본 경험이 없었다. [이가희]는 연하의 남자에게 끌리었고 처음으로 성관계를 했으며, ‘이 남자가 나를 버릴 것 같다’는 두려움과 ‘내 눈 앞에 둬야 한다’는 강한 집착으로 결혼을 강행했다. 결혼 후 남편은 퇴근하고 돌아오면 자신의 방문을 잠근 채 게임에 집중했다. 그때마다 그녀의 우울함은 증폭되었고, 스마트미디어만이 동무가 되었다. 딸은 온종일 방영되는 스마트 TV를 통해 한글 단어나 영어 노래 등을 자유롭게 읊조렸고 그녀는 이를 흐뭇하게 바라보았다. 한편으로, 딸의 미디어 사용이 과다함을 인식하고 이를 조절해줘야겠다고 결심하지만 우두커니 앉아 있는 딸이 외롭게 느껴져 다시 스마트미디어 사용권을 주었다. 그때마다 “엄마, 너무 행복해”라는 말을 들으며 자신이 딸의 안전한 보호자가 된 것에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들려준 삶의 이야기를 통하여 찾아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미디어는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없는 환경에서 만난 감정의 피난처였다. [구희정]은 부모님이 다투실 때마다 느끼는 불안감을 TV 볼륨을 높인 채 판타지 애니메이션에 집중함으로서, [이가희]는 홀로 밤을 지새울 때마다 엄습해오는 불안감을 TV 소리를 켜 놓음으로서, [김사랑]은 남자아이돌 그룹의 노래를 들으면서 다양한 감정을 회피하는 피난처로 활용하였다. 둘째, 스마트미디어는 결혼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이 좌절되었을 때 이 좌절감을 수용해주는 항아리였다. [구희정]은 ‘결혼하면 행복해야 해’ 라는 신념을, [김사랑]은 ‘말하지 않아도 마음을 알거야’라는 믿음을, [이가희]는 ‘팔베개가 되어줄 거야’라는 기대를 가졌지만 좌절을 경험하면서 한없이 수용해주는 미디어에 함몰되었다. 셋째, 스마트미디어는 좋은 엄마이기를 열망하지만 늘 부족하다고 자책함으로 결핍감을 보상해주는 통로였다. [김사랑]과 [구희정]은 모바일 쇼핑을 통해 구입한 선물과 미디어 무한 사용으로, [이가희]는 음식과 미디어 사용권을 쥐어줌으로서 결핍감을 보상해주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디어 교육을 과신했고, 그로 인해 교육적 방임과 아버지 역할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들이 알려주지 않은 노래나 새로운 단어를 얘기할 때 미디어가 교육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녀교육을 위해 남편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요청하지 않았으며, 포기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디어를 통하여 제공되는 이상적인 신체적 이미지로 자신을 비교하고, 주변 사람들의 부정적 이야기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게 되었으며, 회피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김사랑]은 기혼 여성으로 평가받지 않은 외모를 꿈꾸며, 지속적으로 다이어트에 매진하면서 미스인 친구들과의 만남을 회피했다. [이가희]는 청소년기 때부터 어깨를 움츠리고 걸으면서, 타인의 눈을 똑바로 직시하지 못했고, 외출을 꺼려했다. [구희정]은 ‘외모가 받쳐 준다’고 생각하므로 자신의 필요를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가족뿐만 아니라 주요 타자들에게 인정받으며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 욕구가 높았고, 이러한 욕구는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으로 나타났다. [구희정]은 살림을 잘하는 우아한 여성으로, [김사랑]은 정보 공유를 잘하는 센스 있는 여성으로, [이가희]는 ‘공감과 소통을 잘하는 존중받는 여성’으로 인정을 받고 싶어 한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스마트미디어를 과다사용하는 기혼여성의 삶의 경험을 결혼 전, 결혼 후 부부관계 및 자녀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떠한 삶의 이야기로 살아내는지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가 스마트 미디어를 과다사용하는 기혼여성들을 위한 개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 기혼여성, 내러티브 탐구

      •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의 유아 감성계발을 위한 교육활동 개발

        최명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사회, 국가, 종교, 성, 인종의 벽이 무너지고 인간다움을 갖춘 사람만이 인정받는 세계화 시대의 상황에서, 감정을 조절하고 다른 사람과 정서를 나누며 협력할 수 있는 감성은 EQ라는 이름으로도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감성교육은 접근 방법의 차이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홀리스틱 교육은 인간이라는 존재가 지식이나 기술만이 아니라,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라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감성 또한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요소로서 드러나지 않은 매우 중요한 차원의 것이며 사람을 이해하고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가장 원초적인 에너지이며 동기이므로 감성계발은 홀리스틱 관점에서의 접근이 효과가 크다고 본다. 본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의 유아 감성계발을 위한 교육활동 개발에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논문에서 택한 방법은 문헌연구이다. 먼저, 홀리스틱 교육과 감성계발에 관련된 서적이나 논문, 학술지, 방송자료 등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문헌연구를 통해 관련된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추출하였다. 문헌을 분석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교육활동 개발을 위해 첫째, 홀리스틱 교육 관점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감성계발의 유형을 구안하였고, 둘째, 정해진 감성계발 유형을 따라 이론적 배경에서 분석한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영역과 내용을 연계 시켰으며, 셋째, 홀리스틱 교육관점에서 개발한 유아 감성계발을 위한 교육활동을 각 유형에 따라 명상, 전달(Transmisiion), 교류(Transaction), 변용(Transformation), 직관, 연계 등의 홀리스틱 교수·학습 원리와 방법, 또는 틀을 활용하여 교육활동을 구안하였다. 위의 연구 내용에 따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의 감성계발을 위한 교육활동 개발은 ‘세계다움’ 아닌 ‘자기다움’과, 존재의 깊이를 보는 영성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개발하고 또 실제의 경험을 거치면서 유아들이 ‘존재를 들어 올리는 힘’을 키워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따라 정해진 감성 계발 내용 유형을 이론적 배경에서 분석한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시킴으로써 유아에게 알맞은 교육활동을 개발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의 유아 감성 계발을 위한 교육 활동 개발의 적용은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중 해당 되는 주제와 연관시켜 활동함으로써 유아들이 유치원 수업시간에 홀리스틱 교육 관점의 감성계발 활동을 무리 없이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연과 지구의 모든 생명체에 대한 전연관적인 사고와 나와 타인은 물론 지구상의 모든 것들이 소중하다는 인식 또 그것을 유아들이 감성으로 느끼게 하는데 아주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론에 기초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의 유아 감성계발을 위한 교육 활동 개발은 첫째, 특별한 공간, 특별한 사람, 또는 특별한 체험만이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일상생활에서, 또는 교육과정 운영상에서 홀리스틱적 안목으로 상황을 보고 그것을 교육대상에게 그대로 펼치는 노력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물론 실질적인 교사양성의 가치를 높이 사야 되겠지만, 홀리스틱적 소양의 교사상은 ‘완벽한 교사상’의 의미가 아니다. 인간 존재에 있어 결국 교사도 깨달은 자가 아닌, 되어 가는 사람의 입장이다. 이는 계속해서 성장해 가는 개체라는 개념에서 지원과 기회를 주어 그로 인한 전문가적이고 인격적인 개발을 이룬다고 보는 입장으로 홀리스틱 교육에서 충분히 가능한 가능성인 것이다. 둘째, 홀리스틱 교육에 대한 부모교육과 홍보이다. 우선 눈에 띄는 기능이나, 내면보다 외현으로 나타나는 순위 등을 중요시하는 학부모들이나 주변의 시선들에게 유아의 인간적인 성장이 경제적 성장보다 우선돼야 함을 인식시켜야 하며, 유아들 모두가 제각각 그 누구와도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하고 독특하며 존엄한 존재이라는 것을 알려야 한다. 셋째,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의 유아 감성계발을 위한 교육 활동 개발은 가르치기 위한 방법이나 교재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과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민감한 감성을 기르는 교육활동으로, 일상생활이 그냥 시간 속에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가 살아 있는 경험이 되도록, 세계가 얼마나 신비하고 놀람에 차 있는지 그것들과 만날 수 있도록 ‘생명’의 세계에서 체득한 것들을 전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여기에 대한 교사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In 21st Century, there is no barrier such as a society, nation, religion, race, and gender. Only the persons with humanity are recogniz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Emotion enables one to share emotions with other people, and its importance is reflected in the word, EQ (emotional quotient). Holistic education understands that a human pursues not only knowledge or technologies, but also meanings. Emotion enriches human life, and belongs to a very important level which is not revealed. Emotion is the primary energy and motive that move people's heart. Therefore, holistic approach brings a great effect on emotional development.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educational activities for infants' emotional development in holistic educational approach.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e research goal. Firstly, papers, scholarly journals, broadcast materials, etc related to holistic education were analyzed and, kindergarten curriculum was analyzed and sort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Firstly, to develop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oretical back ground analyzed from literature, types of emotional development were made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olistic educational approach. Secondly, life sector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contents of kindergarten curriculum are connected according to selected types of emotional development. Thirdly, I designed educational activities for infants' emotional development for each type according to holistic principle, method, and form for teaching and learning; meditation, transmission, transaction, transformation, intuition, and connection. The conclusion from the research mentioned earlier is like the following. Firstly, educational activity development for educational development in holistic education put emphasis on self-like not world like. Also, it puts emphasis on the spirituality that sees the depth of a existence. I could observe that infants develop the strength to raise the existence. Secondly,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developing educational activities appropriate for infants by connecting the types of emotional development from holistic educational approach and kindergarten curriculum that are analyzed in theoretical background. Thirdly, educational activity development were applied along with the theme that comes out during kindergarten curriculum management, so that kindergarteners could do emo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uring classes without overstraining themselves. These activities were effective that infants could have a thinking that nature and every living thing on earth is connected and a recognition that everything on earth including myself and others is important. Also it was effective that infants could feel the thinking and recognition in their emotions. Revitalization plans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se conclusions. In holistic educational approach, developing educational activities for infants' emotional development does not just include special space, special people or special experience. Teachers can view circumstances in holistic view during daily lives or curriculum management, and try to transfer the view to the subject of educa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practical teacher training should be valued. However, in holistic approach, perfection is not the feature of a teacher. As a human being, a teacher is not the one who already became enlightened, but the one who is growing to be enlightened. Holistic education views that teachers are the ones who keep growing, and achieve professional and humanity development with support and opportunities. It is a possibility that is much available in holistic educational approach. Secondly, parents education and public activities for holistic education are needed. Parents and other neighbors often think that visible function and ranking that is shown externally are important. However, we should tell parents and their neighbors that infants' humanity growth comes before economic growth, and every infant who are valuable than anything else has one's own value, uniqueness, and dignity. Thirdly, in holistic educational approach, educational activity development for infants' emotional development does not require certain methods or teaching materials. Education should teach sensitive emotion which exactly recognizes a task, make daily life not a routine but a living experience, transfer the experience from the world of life, and let infants meet mysteries and surprises of the world. Teachers' consistent interest and continuing effort are required for this kind of education.

      • 경력단절여성의 자기성장주도성, 진로장벽인식, 진로계획 관계탐색

        최명옥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growth initiatives, career-barrier and career planning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t evaluated the mediated effect of recognition of career-barrier by setting personal growth initiativ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career planning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recognition of career-barrier as the mediate variable, looked into career-barrier and career planning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concretely through open-ended questions and investigated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helps them and the programs in need. The quantitative survey carried out the measurement of personal growth, recognition of career-barrier and career-planning targeting the females (their ages ranging from 20’s to 60’s) who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in Female Development Center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Career planning of career-interrupted women, helping factors and supporting items and motive of particip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open-end questionnaire survey. The female attendees of New Employment Center and vocational training who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their ages ranging from 20’s to 50’s)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and the open-en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total 100 persons for a week in November,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the followings. First,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barrier recognition was meaningful in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growth and career planning. It was found out that personal growth influenced on career planning but it also influenced on career planning after recognition of career-barrier. It appeared that personal growth influenced on career planning positively, it influenced on recognition of career-barrier negatively and recognition of career-barrier influenced on career planning negatively. Second, as the results of looking into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growth and career planning, the preparation for change, planning ability, application of resources and intentional behavior that are the subordinate factors of personal growth influenced on career planning positively. As the results of looking into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growth and career-barrier recognition concretely, the preparation for change and intentional behavior influenced on recognition of career-barrier negatively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personal growth. As the results of looking into the detailed relation between career-barrier recognition and career planning, low self-esteem and difficulty in decision making influenced on career planning in negative way meaningfully.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pen-end questions, it appeared that career-interrupted women planned to acquire the license, change jobs and unretire in most cases and the support from their families and friends, education and employment program helped them to plan their career the most. Fourth, it appeared that expense support and provision of program information were required the most in case of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career planning and the majority preferred the programs of IT, education of counsel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ifth, the most majority of answerers said that infant care, housework and psychological limit were the most difficult factors to perform the career planning and it appeared that lack of time, burden of expenses, delivery of baby and infant care were the barrier factors in case of participating in career planning. Sixth, it appeared that most majority participated in IT field whe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career planning and next majority participated in juveniles, counselling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fter that. The unretirement turned out to be the first as the motive of participation and self-development, entering the school, curiosity and interest after that. Lastly, they answered that IT field, juveniles, counselling, horticulture and flower decoration were helpful amo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y participated in and they also answered the preparation for license, shar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recovery of confidence as the causes for that.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al lessons, policies for career-interrupted women and actual lesson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growth, recognition of career-barrier and career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