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와 이중문화 적응,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의 관계

        윤향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와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 이중문화 수용태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와 같은 요인들이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에 어떠한 설명력을 갖는지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 이중문화 수용태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보고 종속변수인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와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이중문화 수용태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와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이중문화 수용태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 설명을 갖는가? 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9~13세 까지의 다문화가족 아동 114명이었으며, 남학생 39명, 여학생 75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친구관계의 질 척도,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 척도, 이중문화 수용태도 척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이며, 연구대상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상관제곱과 표준화회귀계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변인의 설명력을 알아보았다. 분석프로그램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와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낮은 부적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이중문화 수용태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는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둘째,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 이중문화 수용태도,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지지 중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의 긍정적 특성과 전반적 만족감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였으며, 부정적 특성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는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였으나 그 설명력이 높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다문화가족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연구대상의 수가 제한적이며, 일반 아동과의 비교가 되지 않은 등의 제한점이 존재하나, 다문화가족 아동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교우관계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地域社會文化와 地域社會 正體性 形成關係 硏究

        이세훈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First of all, about the motive and method for question to be presented, in 21C, the age of local decentratization of authority comes to our nation. It means that age which we have independently to lead the local self-govering culture of local society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age, we need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culture of community. Here, writer wants to study about the points, what kind of shaped culture is it, and what kind of senses on the foundation is it in which we live. Also, the identity which local society has been endured the changes of histor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tradition, folk-ways and tale of local society have traditional senses and the oriental ideal system. There are traditional folk-ways such like Ge( from the accient time, mutual cooperative group which come down in our nation), Doore( local cooperative group ), or Hyang-Do( good custom in local area) and local music. In such kinds of culture of local society have improtant communality in them as inhabitants' joint senses. The communality had a role prescribing the closing and openness of local society so that about the point which kinds of direction was desirable is ultimate result of this thesis and object to study. Second of all, this is about the lif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culture. All the cultures begin from the area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hey prescribe our practical mode of living. The human which Aristotle had declared was just" the social creature." The social creature means, sometimes, that they give and take each other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solve. Sharing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solution, they need mutual communication, and in which their communication has been effected reasonably is formed conscious structure prescribing their culture. Third, it is abou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concious structure. Our traditional cultured is confucian culture. The confucian culture is oriental culture and ideal system formed through interchange without ceasing with china. On these foundation, in our local culture, such a chinese culture or metaphsical conscious structure is implied. For example, Yulkok the great confucianist in our country saw that all the space, nature and human being existed being linked with reason and vitality in mystery. So to speak, he said, "reason and vitality cannot be seperated existentially. Of course, such a thinking tradition appears in the area of spirit and material unification in Tangun myth, as distinctive quality of korean idea, and Wonhyo's idea of peace and argument. Forth, about the desirable communality of local culture, the culture of local society is facing crisis by means of whole global economic flow in the name of worldlization. This become critical senses, if we don't follow the flow of worldwide culture, which can be lost the life as culture. But national joint senses is based on our traditional culture as our history and tradition showed. Such a common senses resisted against the flow of undesirable alien influence, and had the united senses. In such standpoint, what we make to revive communality which the culture of local society had is just shortcut which secure our cultural independency. After all, as writer belives what we promote various cultures and events of local society, and support systematically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positive participation, would make the way to go to 21C. Ideal society should become the society which is thinking highly of local quality, and recognizing diversity of culture. Then, forming desirable communality, we can need possessing of feeling sympathy together with local residents' common concious structure. Therefore, such a activity of creative culture never can be seperated from historical back ground and tradition which local society had. In transmitting valuable cultur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ew formation of communality is possible as we bring conscious structure into relief, which can be showed modernly in times' situations.

      • 부모자녀관계와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 : 공동체의식과 배려의 매개효과

        추보경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이미 다문화사회의 진입단계를 지나 본격적인 이주민의 유입이 시작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 속에서 이주민의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며 사회의 질적 양적 수준의 향상을 위한 다문화수용성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요인 중 부모자녀관계의 직접적인 영향 및 공동체의식과 배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교육청 주관하에 2016년부터 2022년 7년을 고정 패널에 대한 시계열적 추적 조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구축한 부산교육종단연구 (BELS)자료 중 제5차년도(2020年)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한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모자녀관계를 외생변수, 공동체의식과 배려를 매개변수, 다문화수용성을 종속변수로 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한 후 개별 매개효과와 전체 매개효과 및 전체효과에 대한 각각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측정이 이루어진 5차년도(2020年) 연구대상은 남학생 1,616명(53%) 여학생 1,433명(47%) 총 3,049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는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는 배려를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관계가 공동체의식, 배려를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전체 매개효과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자녀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전체효과 또한 유의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에게 부모자녀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공동체의식과 배려에 상관성이 있음을 밝히고, 자아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에 다문화를 접하게 되는 고등학생들에게 공존과 통합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함양시키기 위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다양한 연령, 지역 및 종단적 분석을 통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proposal to minimize social conflicts that might arise from the increase of migrants in Korea. It is mainly comprised of two parts. One is to identify the direct impact of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on the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receptivity which is one of the key factors for improving a society both qualit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other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nsideration on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In this study, establish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here it is assummed that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is regarded as exogenous variable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nsideration as mediating parameter, and multicultural receptivity as dependent variable, the each goodness of fit corresponding to the three different effects such as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 the total mediating effect, and the overall effet has been evaluated using the panel data of the 2nd year high school students obtained from the fifth year (2020)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result organized by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or seven years from 2016 to 2022. In the fifth year (2020), when the study was made, the object group consisted of 1,616 male students (53%), 1,433 female students (47%), with a total of 3,04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had a static effect on multicultural receptivity through community consciousness. Seco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had a static effect on multicultural receptivity through consideration. Third, the overall mediating effect of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on multicultural receptivity through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nsideration was found to be statically significa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effect of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on multicultural receptivity was also significant. Accordingly, this study revealed that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ffects multicultural receptivity correlating with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nsideration. And It implicated parents' role in fostering social values of coexistence and integr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at a time when self-identity is formed. In addition, it is suggeted that follow-up studies through various age, region, and longitudinal analysis be performed.

      • 기업 메세나로서의 공연장 운영 연구

        최인숙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 twenty-first century is ‘the century of culture.’ The century of culture is an era of emotion when the importance of public is emphasized and a choice is more important than a decis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society of multiple choices where Homo Ludens dominat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of the times, culture marketing which values emotion marketing is a rising topic as a corporate marketing strategy. Commonly known "Mecenat", corporate supports on art and culture, is also a part of culture marketing. Up until now, corporate supports on art and culture were social contribution in the mean of charity acts. Since art and culture became the keywords for marketing and the positive corporate image promoted by social contribution is proved to deliver actual profits, for the greater profits, a corporate has actively initiated investment by approaching supports on art and culture through partnership for marketing. Since emotion marketing conjugating art and culture has taken a big role in a long-term corporate image promotion, it eats into consumer’s daily life in various ways. Then, how general consumers recognize these cases of culture marketing? We are going to find out through a survey. According to the survey, more than 50% of general consumers found corporate supports on art and culture effective for culture marketing, and among various culture marketing and art and culture support policies, consumers showed their most of awareness on corporate ran arts center and furthermore, in respond to ‘If a corporate initiates Mecenat for the culture marketing, which sector will contribute most to the society development,’ the majority of 55% voted for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ultural facilities such as arts center, theatres etc.’ Among various cases of corporate culture marketing, consumers have a favorable impression on art and culture supports and showed a great awareness especially on arts center among a corporate or an institution ran cultural facilities. Other than direct awareness of consumers, in case of corporate ran arts center, through the particular arts center and staged arts, a corporate has a merit to add ‘culture’ on images of a corporate and manufactured goods for the long-term. First are public unity, local image building etc those a role and a proper function arts center already possesses, second is the semi-permanent corporate publicity where the arts center is located. And for more, it serves a role to absorb the local image of an area where the arts center is as the corporate image. Also lately, there is a method, without direct establishment or operation of arts center, to bring naming marketing effect through supporting arts center. In this case, a corporate can achieve marketing outcome while it is free of direct obligation regarding arts center operation, and arts center, itself, can serve its best interest as art and culture infrastructure under professional management. It is true that corporate ran arts center is still few. Increasing high priced seats for better profits, negative cognition due to undisclosed fund management, dependency on large enterprise resulting heavy concentration o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t being free from corporate financial status are homework we have to deal with. But, under the premise of Mecenat is the most effective corporate art and culture marketing tool and the social obligation of corporate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 and society, corporate and/or institution ran arts center does not only hold values for culture marketing achievement, but also for social contribution.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라고 한다. 문화의 세기는 대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판단보다 선택이 중요해지는 감성시대임과 동시에, 호모루덴스(유희의 인간)가 지배하는 다중선택의 사회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변화에 맞추어 기업의 마케팅전략도 감성마케팅을 중시하는 문화마케팅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흔히 ‘메세나’로 통칭되는 기업의 문화예술지원 역시 문화마케팅의 한 부분이다. 지금까지 기업의 문화예술지원이 자선관점의 사회환원인 메세나였던 것에 반해 문화예술이 마케팅의 핵심 키워드가 되고, 사회공헌을 통한 이미지 제고가 실익 창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지자 기업은 궁극적인 경영이익을 위해 문화예술지원을 마케팅을 위한 파트너쉽으로 접근,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한 것이다. 문화예술을 활용한 감성마케팅은 기업의 장기적인 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무수히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자들의 일상을 파고들고 있다. 그렇다면 일반 소비자들은 이러한 문화마케팅의 사례들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알아보았다. 본 조사에 따르면 일반 소비자들의 50% 이상이 기업의 문화예술지원이 문화마케팅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기업의 다양한 문화마케팅과 문화예술지원정책 중에서 소비자는 기업의 공연공간 운영에 관해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였으며 나아가 기업이 문화마케팅을 위해 메세나를 실시한다면 어떤 분야가 사회발전에 가장 효과적으로 공헌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공연장 등 문화시설의 건립 운영’부분에 55%의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 소비자들은 기업의 다양한 문화마케팅의 사례 중에서도 문화예술지원에 많은 호감을 갖고 있고, 기업 혹은 기업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문화시설, 특히 공연장 운영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직접적 인지 외에도 기업이 직접 공연장을 운영하는 경우, 그 공연장과 무대에 올리는 공연물들로 인하여 기업의 이미지와 생산해내는 제품들의 이미지에 장기적으로 ‘문화’를 덧입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하나는 시민통합과 지역 이미지 형성 등 공연장이 자체적으로 지니고 있는 역할과 순기능이며, 두 번째는 공연장 운영을 통한 기업이미지의 반영구적인 홍보효과로 나타난다. 그리고 공연장이 위치한 지역의 이미지를 기업의 이미지로 흡수하는 역할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업이 직접 공연장을 설립·운영하지 않고 공연장에 대한 후원을 통해 네이밍 마케팅 효과를 획득하는 방법도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기업은 공연장 운영에 대한 직접적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운 가운데 마케팅 효과를 취할 수 있으며 공연장 또한 전문가에 의한 운영으로 문화예술 기반시설로서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기업의 공연장 운영은 아직 매우 미비한 수준이며, 수익을 위해 고가 좌석의 수를 늘리거나, 자금운영의 미공개로 인한 부정적 인식의 형성, 지나친 대기업 중심으로 수도권에 편중됨과 더불어 기업 경영상태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 등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을 안고 있다. 그러나 메세나가 기업 문화마케팅으로서 가장 효과적이며, 지역사회와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전제했을 때, 기업과 기업재단의 공연장 운영은 문화마케팅으로서 효과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 참여라는 측면에서도 큰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농촌 교육정책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87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은 도시 교육의 팽창을 가져 온 반면 농촌교육을 피폐화 시켜 왔다. 교육의 중요성은 농촌보다는 산업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도시에서 상대적으로 더 강조되어 왔다. 따라서 도시에서의 교육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 대상이었으나 농촌에서의 교육은 주변적 위치에 머물러 있었다. 농촌 교육은 이제 도시에서의 교육과 비교하여 교육적 불평등을 현저하게 드러내는 한 영역으로써 논의되고 있다. 정부는 현재의 농촌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에 대응하고 도시와 농촌의 균형 발전을 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일관성을 보이지 못했으며 오히려 농촌 주민들의 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농촌 교육에 대한 대응 또한 다양하고 지역의 특수성에 맞는 지원 및 개선측면에서 보다는 획일적인 기준의 적용이나 일시적인 정책으로 일관해 왔다. 학교에서의 학업성취 결과가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실을 고려할 때, 결국 지역별 교육 격차가 사회적 불평등으로 연결되는 고리를 형성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처럼 교육비 부담에 있어 수익자부담원칙이 적용되는 경우 격차는 더욱 심화된다. 농촌 학교교육의 효과성이 뒤떨어지는 근본적 원인은 산업구조의 변화, 노동시장에서의 인력수급구조 변화, 농업정책의 비일관성, 농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과 같은 교육외적인 사회구조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도시와 농촌간에 발생하는 교육의 격차는 교육 내적인 요인에 의하여 설명이 가능하다. 교육 내적인 요인은 변화 가능한 변인들이라는 점에서 이에 의한 교육격차는 우리의 노력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교육 내적인 요인을 분석하는 작업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사회구조적 요인으로써 농촌교육 정책이 표방한 목표와 그 구현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지향해온 것과 실천에서의 괴리가 갖는 문제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육내적 요인으로써 농촌교육의 현황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농촌 교육구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역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농촌 교육 체제의 개선 과제 추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농촌 교육을 전망하고 교육 여건을 혁신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연구는 자원의 분배 및 활용에서 지역적 교육격차의 문제를 제시하고, 농촌교육 현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역 인적 자원 개발측면에서 농촌교육 정책이 나아갈 방향과 지원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문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학교교육 관련 정책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둘째, 학교교육체제별 농촌지역 교육과 도시지역 교육의 격차는 무엇인가? 셋째, 농촌지역 교육의 문제점과 특수성은 무엇인가? 넷째, 지역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농촌 교육체제의 개선과제는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정책과 농촌 교육정책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하고 정책이 보고되거나 발표된 신문 및 잡지의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농촌 교육의 변인이 변화해 온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관련되는 농업, 경제, 인구, 교육분야의 통계조사 자료를 참고로 한다. 산업화와 함께 재편된 산업구조는 도시로의 이농을 심화시켰고, 농촌은 황폐화되었다. 전체인구에서 농가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1960년 58.20%에서, 2001년 8.3%로 줄어들었다. 농가당 인구도 1960년 6.20명에서 1999년 3.05명으로 줄어들었다. 농가 인구의 급감은 결과적으로 농촌의 학교 수와 학생수의 급감을 초래했다. 2000년 현재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를 보면, 전국 평균은 35.8명이고 읍면지역은 24.9명이다. 2000년 현재 초등학교 교원당 학생수를 보면, 전국 평균은 28.7명이고 읍면지역은 18.5명이다. 이 통계를 살펴보면 읍면단위 지역의 교육조건은 외관상 전국 평균보다 훨씬 좋은 상태인 것처럼 보이나 내부적으로는 농촌 인구 감소로 인하여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정부는 1982부터 교육과정 정상운영이 어렵다는 교육 본질적인 문제 이외에도 교육재정 및 인력의 효율성 문제를 제기하면서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학생 수 감소는 분교장 격하와 폐교의 악순환을 낳고 있으며 이것은 또다시 농촌의 쇠퇴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농가의 교육 재정 측면을 살펴보면, 농가평균 가계비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가, 2002년에는 3.2% 부적 성장을 하였다. 가처분 소득 중 가계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 소비 성향도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가 2002년에는 4.3% 부적 성장을 하였다. 가계비에서 소비지출 중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가 2001년부터 급격히 감소추세에 있으며, 2002년에는 9.2% 부적 성장을 했다. 농가의 교육비는 1980년대 이후 국가의 사교육비 의존적인 교육재정구조가 정착됨에 따라 더욱 증가될 수밖에 없었으며, 90년대에는 더욱 증가하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국가 경제가 어려워짐에 따라 교육비는 가계비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촌은 산업화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하거나 부적인 성장을 하면서 황폐화되어가고 있다. 농가의 경제는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도시 가구의 70%선에 머물러 있다. 농가는 도시 가구보다 수입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1975년 산업화가 가속화된 이후부터 급격하게 더 많은 교육비를 지출하는 추세에 있다. 농가의 교육비 부담률은 도시가구의 교육비지출보다 2%가량 더 많다. 농가의 교육비 지출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출은 도시가계의 그것과의 불평등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현상적으로 볼 때, 농촌의 교육여건은 도시의 그것보다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농가의 교육비지출이 도시의 그것보다 높은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농촌지역 학생들의 진학률 증가가 가계의 교육비지출을 가중시키고 있다 둘째, 교육시설이라는 물리적 환경이 농촌에 불리하게 도시에 편중되어 있어 지역적 여건에 따른 이촌 취학 등 통학 방법이 교육비지출 증가의 주요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한마디로, 교육분배의 불평등이 농촌지역 가계로 하여금 교육비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었다. 고등교육수요자를 고등학생과 학부모로 나누어 진학희망대학의 소재지를 조사해 본 결과, 고등학생은 73.2%, 학부모는 80.8%가 수도권 대학 진학을 원하고 있는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농촌 지역학부모의 유학비 부담은 큰 것을 예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농간 가계의 교육비 부담요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도시 근로자가구는 교육비 중 과외 활동비가, 농촌가계는 도시지역 유학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과외교육비는 상급학교 입시비용 지향적 비용으로 전환되어서 학력의 충실도를 다지지만, 유학비는 교육접근 기회비용으로 순수 소비지출액이다. 따라서 교육비 부담요인의 격차는 도·농간 학생들의 교육격차를 유발하고 최종적으로는 교육기회의 전반적인 불평등배분에 기여할 뿐이다. 한마디로, 교육기회의 평등이란 관점에서 볼 때 도시 근로자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든 농가는 피해자였다. 결론적으로 교육비의 수익자 부담원칙으로 인하여 교육기회의 불평등 접근이 불가피해 진다. 즉, 교육비 부담은 주로 개인이 책임져야 하므로 개인의 경제력에 따라 교육기회 접근 가능성이 달라져, 교육기회균등의 원칙이란 이념일 뿐 실제로는 차별적으로 적용된다. 한마디로, 교육비 수준이 가계소득에 비해 과중한 저소득층 학생들은 교육비 부담능력의 차이로 상급학교의 교육을 표기하거나 열악한 여건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농촌의 자녀교육에 대해 별도의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지난 40 여 년간 교육재원의 증대와 더불어, 교육 평등을 위한 관계 법률 및 교육정책에 힘입어 평등성은 교육재정 수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준거가 되어왔다(최은수, 1992: 147). 농촌에 관한 정책이 표방하고 있는 내용을 보더라도 교육기회의 평등은 중점 과제이다. 그러나 정책을 결정할 때 예산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정책대안들간의 비용-효과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즉 효율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 정책은 정부가 표방하는 교육기회의 평등성 보다는 경제적 효율성이 우선하는 정책으로 볼 수 있다. 정부의 정책이 실제적 차원에서 실행될 때 표방하는 바와 괴리되는 문제점을 드러낸 것이다. 농업에 관한 정책, 농촌의 경제와 농가경제 등 교육외적인 사회구조적 문제는 교육내적인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즉 농가 경제의 쇠퇴는 농촌 지역의 학생들의 교육기회를 박탈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농촌지역 학교의 소규모화로 인하여 교육투자의 측면에서 농촌의 1인당 공교육비의 상승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농촌의 주민들은 가까운 거리에 원하는 학교가 없어 더 큰 지역사회나 도시로 자녀들을 보내 교육을 시키게 되고 농가의 교육비 부담이 더욱 가중되어 가고 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농촌 교육은 인구 및 학생수의 감소 그리고 그로 인한 소규모학교의 통폐합, 복식학급의 증가, 교육의 질 저하, 지역주민들의 자녀교육 불만족, 자녀의 도시전학, 원거리 통학과 교육비 부담증가 등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있다. 이 문제는 점 점 더 농어촌의 교육여건을 어렵게 만들고, 그것이 지역주민들의 마음을 지역사회 학교에서 멀어지게 만들며, 이농의 원인을 제공하는 형태로 악순환 되고 있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촌교육을 지역사회의 활력요소 재건이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개발과 활성화는 교육 정책적 처방만으로는 어려우며 지역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분야가 동시에 총체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 농촌 학교의 지역 교육·문화·복지 종합센터화를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농촌 소규모 학교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참여와 공동운영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지양하며, 지역 종합교육기관으로 활용해야 한다. 소규모 학교의 운영비를 지역사회와 공동부담하고, 정부의 재정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농·어업교육, 부녀교육 등 지역사회학교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농촌 종합교육시설 내에 노인시설, 주민체육시설, 보건의료시설, 도서관, 박물관 등 기존의 구역 내 문화·복지시설을 함께 설비한 지역교육·문화·복지 종합센터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공동 운영체계를 위한 지역 교육·문화·복지의 종합센터 구축은 지방 자치단체와 관련 부처 담당관으로 구성된 협의기구의 결정에 따라 지역실정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농촌 학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농촌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교과 프로그램 확충, 복식학급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렇게 많은 아이디어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농촌 교육지원을 위한 특별 예산관리체계 수립이 요구된다. 우선 각 부처 소관의 농어촌 교육·문화·체육 등 복지 종합센터 설립 및 운영을 위한 공동출연 예산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둘째, 기존의 시설 종합정비와 운영은 관련부처가 별도의 예산을 확보하도록 하고 이를 공동 출연하여 운영하는 독립예산과 회계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A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solve difference in quality increasing educational discriminatory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as analyzing rural educational policy and educational condition Korean rural education, Comparing with that of urban area, is considered as the territory having considerable inequality. Government has been driving various policies to limit these problems and contributes well-balanced development for equity education reducing the inequalities. But polices driven by the government is fragmentary and unconnected as studying analysis of rural economy, society and culture condition. It is in the face of dangerous reality falling in the effectiveness that policies for development of rural education have been driven uniformly and disconnectedly than assisted and improved considering regional peculiarity. Namely, rural schooling education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factor of social structure lik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fragmentary agricultural polices and negative recognition of agriculture. Meanwhile, differences of rural and urban education, presenting educational condition, came out arising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expanse, desertification of rural economy and decreasing rural populations. And those occurred rural exodus and merger and abolition of small scale school by educational opportunity inequality following principle that beneficiaries should pay for part of education. It is possible to explain this phenomenon by inner and Exterior factors of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inner educational program and external program as two ways to solve current education problems showing up rural economy, society, culture's condition and analysis about condition of rural education. Inner educational programs as follows; (1) Rural educational community have to increase the zealous teachers with good abilities and investigate the ways of assisting those (2)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must consider educational standard like the rights of parents requiring their children's entering the senior school, school's role in region community and development contents of educational activity of school (3) Expans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development of efficient programs to make educational convention center synthesizing regional educational culture, public welfare are strongly demanded Exterior factors draws out more active role of rural schools like the centering in regional society and showing the vision for rebuilding of regional community. To be concluded, school have to be as the synthetic center with facilities for old men/women, residents gymnastics, public health institution, and function as residents welfare institution for education, culture, health.

      • 지역사회관, 학교적응, 해외활동경험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

        이은선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관, 학교적응, 해외활동경험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지역사회관, 학교적응, 해외활동경험의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지역사회관, 학교적응, 해외활동경험의 효과는 남·녀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고찰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작성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중학교 1학년 패널의 2차 연도(2011년)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연구대상은 남학생 1.176명(50%), 여학생 1.175명(50%) 총 2.35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상관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관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세부적으로 본다면, 지역사회인식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지역사회관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교적응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세부적으로 본다면,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가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학습활동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관, 학교적응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해외경험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세부적으로 본다면, 해외방문 및 연수경험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중요한 변인으로는 지역사회관, 학교적응, 해외활동경험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지역사회관을 키우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나 개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등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해외경험 또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향후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유념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usability of youth through community view, adapted school, and overseas activities.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relevance of each variable affecting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usability among teenagers to find out how multicultural usability of youth of teenagers is formed. The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community view, adapted school, and experience in overseas activities for teenager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effects of community view, adapted school, and experience in overseas activities for teenagers? In order to find out these research problems,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was prepar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KCYPS 2010).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from the 2nd year (2011) data of the 1st grade pane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targets used in the analysis were 1.176 males (50%) and 1.175 females (50%) total 2.351 females. Data analysis used reliability,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recovery analysis as the SPSS statistic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ty view on the multicultural usability of teenagers was significant. In detail, the higher the community awareness, the higher the community awareness,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usability rate for teenagers. Second, the effect of adapted school on multicultural usability of youths was significant while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view was controlled. In detail, the higher the school rules, friend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the higher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usabil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effect of learning Third, the effect of overseas experience on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usability among youths was significant while controlling the impact of community view and school adaptation. In detail, the higher the overseas visits and train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acceptance rate of multicultural usability among teenagers. Thus,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t variables for youth acceptance of multicultural usability are community view, adapted school, and overseas activities.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elped young people adapt to the school and verified the need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or collective counseling programs to foster community views in order to improve multicultural usability. In addition, overseas experiences also affect multicultural usability,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programs to improve future multicultural usability.

      • 사회적경제를 위한 문화예술분야 장애인 인식현황 연구 :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사업 테미오래를 중심으로

        박지영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In recent, social economy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culture and arts fields is increasing.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share of such social economy, the reality is that participation or awareness of the disabled is still not reflected. In that sense, this study classified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into three types as a method to help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by scientific analysis of the subjective structure of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nsidering individual individuality. The research period is from September 1st to November 15th, 2020, and the research method is the Q-methodology that star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oer, measures human subjectivity in depth and can objectify it. After confirming the 23 Q-statements on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a survey was conducted on 15 people including experts and non-experts. This was derived into three types of subjectivity for recognition of the disabled using the STATA q-factor program. The first type is the encouragement type of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y have a negative internal factors of recognition and a positive external factors. There are many complaints and demands toward society, and they are also weak in the will to overcome. The second type is the recommended type of participation for the vulnerable, including the disabl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y have a negative trend for the internal factors of recognition and a positive trend for the external factors. On the surface,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act to participate in an objectively legitimate direction, but anxiety about the type of perception directly related to them indicates a distorted rejection of disability. They has social implications for self-regulation along with inner efforts to overcome disables because of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first, it can understand the disabled by discovering three types of recognition. Second,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participat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presented a framework of reference for welfare promotion through social implications with member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social econom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intend to propose and contribute valuable research results by revealing the subjective aspects of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in our society through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 Temiorae project, a one of the Daeje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solidarity with social economy organization. We hope that the basic and essential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elated to Temiora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Daejeon, can be identified and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in each field by mutually linking them to theory and practice. 최근 도시재생사업과 문화예술사업 분야에 대한 사회적경제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경제의 사업 비중이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참여나 인식은 여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장애인 인식의 주관적 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개개인에게 내재 된 장애인 인식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개별성이 고려된 도시재생사업에서 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가치 창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20년 9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행위자의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인간의 주관성에 대한 심층적인 측정으로 이를 객관화 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장애인 인식에 대한 23개의 Q진술문을 확정한 후 전문가와 마을주민 등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은 STATA qfacto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장애인 인식 실태에 대한 주관성은 세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유형은 도시재생사업에서 장애인 참여 권장유형이다. 이들은 내적 인식요인에 대해서는 부정적 성향, 외적 인식요인에서는 긍정적인 경향성을 띠고 있었다. 사회에 대한 불만과 요구사항이 많았으며 극복 의지 측면에서도 약한 유형에 속한다. 제2유형은 도시재생사업에서 장애인을 포함한 취약계층 참여 권장유형이다. 이들은 내적 인식요인에서는 부정적인 경향성, 외적 인식요인에서는 긍정적인 경향성을 띠고 있다. 외적인 장애인을 도시재생사업에 참여시켜 객관적으로 정당한 방향으로 참여시키기 위해 행동하지만 직접 자신과 관계되는 인식에 대한 불안감에서는 장애인의 왜곡된 장애에 대한 거부 감을 나타낸다. 제3유형은 도시재생사업에서 장애인 및 취약계층, 지역주민의 참여 권장유형이다. 도시재생사업과 관련한 외적 인식요인과 내적 인식 모두 긍정적 경향을 띠고 있다. 이 유형은 도시재생사업 참여로 장애 극복을 위한 내적인 노력과 함께 스스로 자신을 조절하려는 사회적 함의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사업에 장애인 참여의 세 가지의 인식유형을 발견하여 장애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이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하여 사회적경제 안에서 사회적경제 조직 구성원들과 함께 사회적 합의를 통해 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인 테미오래 사업의 사회적 함의와 사회적경제 조직들과의 연대를 통한 이론에서 한국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주관적 측면을 규명하고 의미 있는 정책적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사업(테미오래)에서 장애인 참여에 대한 기본 인식과 필수적인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이론과 실무에 적용하여 각 분야에서 정책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생활문화예술을 통한 베이비붐세대 사회적 활동 재활성화 방안 연구

        송경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iverse needs of baby boomers who have to spend a long period of retirement after retirement can be me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rough culture and arts in their daily lives. At present, the nation is undergoing changes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due to the rapid aging phenomenon. In particular, with the entry of the super-aged society just around the corner, culture and arts are drawing attention as a healing and emotional alternative for them, and the government is urged to come up with policies for them. In addition, the key to their remaining lives is how they will use their leisure time, which has increased sharply compared to the past, due to an increase in average life expectancy and early retirement. For this reason, it was decided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life culture and arts could be presented as an emotional alternative to social welfare and retirement measures, economic life instability, and healthy life in preparation for the early aging society that will soon arrive. In response, the study developed and planned the living culture and arts program <My Cultural Heritage, Blindingly게, and conducted monitoring and interviews with senior citizens aged 55 to 65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direction and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policies. Based on this, the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perceptions of living culture and art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policy for the ag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government is working on various measures to support their successful post-retirement lives, but most of the policies and systems have been found to be implemented uniformly without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That is wh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achieved. The baby boom generation, which currently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nation's elderly,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ly high educational background and a strong desire to participate in society compared to the existing elderly. In addition, for those who had long free time after retirement due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they wanted to suggest living culture and arts as an alternative to social problems caused by aging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three shapes of life beyond simple hobbies and welfare. First, retirement in the labor marke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s life, but for retirees in our country, the satisfaction level after retirement is very low. One of the reasons is that most senior citizens are facing retirement without sufficient funding to lead long-term plans and lives after retirement. Accordingly, comprehensive measures for retirement management and the elderly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overall management of retirement problems are needed. Second, therefore, living culture and arts can reveal and express their hidden selves,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help the creativity content based on sensibility and originality. I would like to suggest living culture and arts as an alternative so that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with their daily lives can enjoy culture and arts without discrimination, and that middle-aged people who start a second life can expand into new values in their lives. Most of the living culture and arts that we have seen in the current research process are carried out in a uniform genre focused on practical skills such as drawing and making.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is notion and expand the concept and category of looking at everything enjoyed in everyday life as a living culture and art. Third, the nation's baby boomers are in a situation where their retirement assets alone are not enough to maintain their living expenses for retirement and they have to continue their income activities even after retirement. If hobby and leisure life, not just income activities of labor, are linked to economic activities, accumulated capital can be recycled and recreated to pave the way for their third life. Therefore, 1)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New Year resource center that can share diverse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tion of new middle-aged people and continuously educate and manage them to set specific directions, 2) develop and open an empty space in the area where culture and arts can be realized in daily life to gain independent participation and 3) establish a practical and active support policy process so that the accumulated capital of new middle-aged people can be recycled in various areas. 본 연구는 은퇴 후 장기간 노후를 보내야 하는 베이비붐세대의 다양한 욕구를 생활 속 문화예술을 통해 양적으로, 질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초 고령사회의 진입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화예술은 이들을 위한 치유와 정서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의 증가와 이른 은퇴로 인해 이들이 과거에 비해 급격히 증가 된 여가생활의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가 이들의 남은 생의 관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머지않아 도래할 초 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사회적 복지마련과 노후 대책, 경제적 삶의 불안정성 해결과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서적 대안으로 생활문화예술을 통한 향후 지향점에 대해서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문화예술 프로그램 <나의 문화유산, 눈이 부시게>를 개발·기획하여 55-65세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모니터링과 인터뷰, 문화예술정책 방향과 현황 실태조사를 하였다. 이를 토대로 생활문화예술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현대 사회의 고령화와 베이비붐세대를 위한 문화예술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부에서는 이들의 성공적인 은퇴 후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 마련에 힘을 쓰고 있지만 대부분의 정책과 제도는 이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파악이 부족한 상태에서 획일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발적 참여와 만족할만한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베이비붐세대는 기존의 고령자에 비해 특히 학력이 높고 사회 참여 욕구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더불어 기대수명의 증가로 은퇴 후 장시간 자유 시간을 보내게 된 이들에게 단순 취미, 복지를 넘어 인생의 3모작을 설계할 수 있는 기반 마련과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생활문화예술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첫째, 노동시장에서의 은퇴는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지만 우리나라 은퇴자의 경우 은퇴 후의 만족도가 매우 저조하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은퇴 후의 장기적 계획과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충분한 재원을 마련하지 못한 채 은퇴를 맞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은퇴관리와 고령자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과 은퇴자 문제를 총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이에 따라 생활문화예술은 감춰둔 자신을 드러내고 표현할 수 있으며, 감수성, 독창성을 기반으로 창의성 함량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이 일상성을 가지고 모든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차별 없이 문화예술을 향유하며,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신중년들이 자신의 삶 속에 새로운 가치로 확장할 수 있도록 생활문화예술을 대안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현재 연구과정 속에서 살펴본 대부분의 생활문화예술은 그리기, 만들기와 같은 실기 위주의 획일적인 장르 안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관념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에서 향유하는 모든 것을 생활문화예술로 바라보는 개념과 범주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의 베이비붐세대들은 은퇴 후 노후를 위한 생활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은퇴시점의 자산만으로는 부족하며 은퇴 후에도 소득활동을 계속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단순 노동의 소득활동이 아닌 취미여가생활이 경제활동으로 연결 된다면 축적자본을 재활용하여 재창조하여 그들의 제 3의 인생의 발판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1) 신중년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이들을 지속적으로 교육・관리할 수 있는 신중년 자원 센터를 설립하여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2)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실현할 수 있는 지역의 빈 공간을 개발, 개방하여 일상 속으로 접근하여 주체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3) 지역은 신중년의 축적자본이 다양한 영역에서 재활용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정책 프로세스를 구축할 것을 제언한다.

      • 공공미술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김태련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87

        미술은 인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로 오랜 세월 인간의 역사와 함께 꾸준리 발전되어 왔다. 아마도 공공미술이라는 개념은 인류의 탄생과 더불어 생겨난 개념이라 생각한다. 모두가 사용하는 동굴이라는 공간에 그림을 그림으로써 다 같이 사용하는 공간임을 표시하는 것에서 공공미술의 개념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미술사에서 20세기 이전의 미술은 특정층만을 위한 미술이라면 오늘날의 미술은 대중과 함께 공유하고 즐기는 개념으로서 공공미술이 등장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의 중심인 공공미술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 공공미술이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문화예술은 이제 예술적 가치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사회문화적 효과를 수반한다. 잘 조성된 공공미술은 문화산업과 문화시설 등을 통해 산업 경제적 효과인 투자 유인, 고용창출, 관광산업 증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로 입증된다. 그리고 이와함께 공공미술은 보다 본질적인 사회문화적 가치를 포함한다. 이는 문화공간으로 인한 지역 주민의 문화향수 제고 효과, 지역이미지 창출 및 개선효과, 그리고 사회교육 기능이 된다.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 대한 논의들은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시설이 지역 활성화를 위한 핵심시설로 활용될 수 있음이 포함된다. 그리고 다양한 참여 주체의 참여와 협력하에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계획들이 진행이 되고, 그 결과 지역의 경제적 가치가 창출됨과 동시에 사회문화 발전의 효과가 나타난 해외 성공사례가 있다. 이는 미술문화 공간이 지역의 렌드마크적 역할을 하며 지역 경제 강화를 위한 핵심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지역’의 역할이 강조되는 현상이 더해저 지역 경제력과 정체성 강화를 위해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지역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국내의 문화미술 공간 확충과 운영활성화를 위한 각종 제도적 뒷받침이 되고 다양화, 복합화, 전문화되면서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저와 그것들이 관광산업으로 연계되어 지역 활성화로 이여 지는 사례가 종종있다. 그러나 획일적인 정책으로 인하여 정체성 없이 마을마다 똑 같은 내용으로 인해 초기 투자에 비하여 효과가 미흡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공공미술이 예술마을 프로젝트에 한정이 되고 한번 설치되어 업그레이드 없는 프로젝트는 미술활성화에는 큰 도움은 되지 않고 사장되기 일수다. 해마다 많은 인원 신규 미술학도들이 배출이 되나 전시 공간 확보, 판로 지원, 일자리 창출 등 기초적인 뒷받침이 없이는 미술발전을 기대하지 어렵다. 또한, 미술인의 창작 공간 확보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 공공미술 공간을 활용한 전시 공간 확보 및 공공차원에서의 판로 지원, 눈높이와 맞는 손쉬운 작품구입 등의 선결과제 해결이 미술활성화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 결과적으로 미술문화공간이 단순한 문화예술 향유공간의 의미를 넘어 사회발전을 이끄는 거점으로 활용이 되기 위해서는 내부 제도 개선, 다양한 참여주체의 협력을 전제로 한 발전적인 방향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미술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역문화예술회관의 운영과 활성화 방안 연구 : 연기, 오산, 옥천, 보령, 청양을 중심으로

        김창수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 지방문화예술회관의 취약한 환경은 전근대적인 열악성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문민정부시대가 도래하면서 지방자치제가 실시되었고, 이에 따라 민선시장이 등장한 이후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문화적 혜택과 인식은 아직도 요원한 상태이고, 문화적 시설과 운영 면에 있어서도 후진성과 관료주의적 잔재가 남아있음은 부인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중소도시(또는 읍단위 이하)의 문화예술회관의 공연활성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연기, 오산, 옥천, 보령, 청양문화예술회관을 샘플 모델링하여 각각의 운영방안과 극장활동에 따른 전반적인 면을 비교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