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사친가>의 자료적 실상과 특징적 면모

        최규수 ( Kyu Soo Choi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한국고전연구 Vol.0 No.25

        이 글의 문제의식은 규방가사의 자료적 실상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시작된다.<사친가>에 대한 기왕의 연구사적 성과가 소략한 대신, <사친가> 논의에 포함될수 있는 대상자료들은 의외로 양적 비중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사친가>라는 제목으로 포괄되는 일련의 작품들을 분류하여 대상자료의 자료적 실상을 검토한 후(2장의 작업), <사친가>의 특징적 면모를 좀더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3장의 작업). <사친가>의 자료적 실상을 검토한 결과, 동일제목임에도 ``자탄형``과 ``월령형``이라는 두 유형을 기준으로 다수의 작품이 존재하였으며, 변이의 자장 안에서 異形態의 작품들도 존재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친가>의 특징적 면모를 살핀 결과, <사친가>는 기왕의 규방가사 작품에서 부수적으로 다루어왔던 ``사친`` 주제를 본격화하여, 유형별로 차별화된 특징적인 형상화 방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同名異作``의 형태로 <사친가>가 필사/향수되면서 각기 지속적인 향수의 기반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보았다. The critical mind of this writing has arisen from the interest on the actual material conditions of Kyubang Gasa. While past research-historical results on <Sa Chin Ga> are rough, I realized there are plenty of materials that can be included in discussion. So, in this writing I assorted a series of material covered as <Sa Chin Ga> for titles, reviewed the object materials (works in Chapter 2), and then studied by subdividing the distinctive aspect of <Sa Chin Ga> (works in Chapter 3). Through examining the material condition of <Sa Chin Ga>, I found there were many products in two types as ``self-grief type`` and ``monthly description type`` and also existed products in the variation of this ki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I reviewed the distinctive aspect of <Sa Chin Ga>. <Sa Chin Ga> regularizes the theme of ``missing parents`` that has been treated attendantly, and shows distinctive embodiment method that is differentiated by types. It is meanful from the standpoint that the <Sa Chin Ga> is enjoyed as a type of ``same title-different products`` based on continuous homesick and each products intensify the base of continuous homesick.

      • KCI등재
      • KCI등재

        〈부녀가〉에 나타난 ‘딸로 살아가기’의 문제의식과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의미

        최규수(Choi, Kyu-soo)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2

        〈부녀가〉는 본사의 전반부가 딸로 태어난 문제의식을 다루면서 신세 한탄을 아우르고 있다면 후반부는 딸을 키우는 문제의식을 다루면서 ‘부녀/부모’들을 향한 교훈경계를 제시하고 있는 작품으로, 작품 전모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무엇보다 〈여자자탄가〉의 유형분류 작업에서는 제외되었는데, 이는 대동소이한 외관에도 작품마다 특징적인 개별화가 가능해지는 규방가사의 특질을 보여주는 지점이라는점에서 오히려 연구자의 섬세한 독해작업이 필요한 작품이라 생각하였다. 규방가사에서 ‘자탄’의 지향성이 혼인을 계기로 촉발되는 신세한탄의 내용을 대변하고 ‘계녀’의 지향성이 출가하는 딸에게 주어지는 교훈경계의 내용을 대변한다면, 〈부녀가〉는 이를 모두 다루고 있어 탄식가와 계녀가의 접점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접점이규방가사의 작품세계에서 ‘여자신세’를 다루는 글쓰기의 변주양상이 아닐까 주목하였는바, 문제제기에서 드러나는 자기성찰의 편린들을 세세하게 따져보고, 〈부녀가〉에서 모녀관계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게 만드는 특징적 국면이 이른바 ‘딸 키우기’ 담론의 형성 토대와 연계됨을 주목하였다 Thought 〈Boo Nyeo Ga〉 has not been highlighted generally, it deals with the awareness of a daughter’s lamentation in the first half, and gives lessons to daughter-raising parents in the second half. It has been excluded from the 〈women self-deploring〉 type classification, and it rather needs the researcher’s delicate comprehension because i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women’s lyric’ that characteristic individualization is possible despite similar appearance. The directivity of ‘self-deploring’ in ‘women’s lyric’ speaks for the lamentation of misfortune started by wedding and the directivity of ‘admonition of a daughter’ speaks for the lesson for the marrying daughter, 〈Boo Nyeo Ga〉 covers both and shows the contact point between ‘self-deploring’ and ‘admonition of a daughter’. I doubted whether it is the variation of writing which deals with ‘woman circumstance’ in the women’s lyric, and reviewed the pieces of self-reflection in the bringing questions, and focused that the characteristic phase which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daughter connecting the connection of ‘raising daughters’ discussion in 〈Boo Nyeo Ga〉.

      • KCI등재

        『남훈태평가』 소재 시조에 나타난 여성 인물상의 특징적 경향과 의미

        최규수(Choi Kyu soo)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2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if there is any cause of change in affectional theme which is told as feature of Sijo in <Nam Hun Tae Pyong Ka> especially in figuration of love. The tendency of popularization of Sijo may have affected figuration of characters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existing results of discussion that is looking for the value as data of <Nam Hun > ……from 'Bang Kak Bon/ Sijo Chang Kajip. To discuss the character, it is also important to focus on majority and widespread influence and cognition. Of course, by the feature of <Nam Hun ……>that registers neither editors nor writers,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of characters lies on presupposing both faced song of Sijo in <Nam Hun ……>which is (Sijo) literature and (Sijo) song as well. To Sum up the result of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 examined the basis of new formation of the characters by observing the trend of adaption from existing works. The appearance of new formula phrase which accompanies changes as colloquial closing words is the foundation of formation of the character which aims toward the equality of relationship and refuses closed absorption in love. And this is connected with sympathetic foundation of devotees of Sijo in <Nam Hun ……>who are the demanders of this kind of wording. Next, as a result of observing distinctive aspect of formation of female characters, it appears that female characters is rising to the surface through slight change. Besides, describing female characters as a little tough in Sijo of <Nam Hun ……>and highlighting the character of timid man are meaningful points separately from reality problem on the respect that they break the standard and the ideal of the last period. This is also an aspect in the history of 19 Century's Sijo that appears from popularization supported by the spread of 'Bang Kak Bon' and the simplicity of Sijo Chang. 이 글은 남태 소재 시조의 특징으로 거론되는 주정적 주제화, 특히 사랑의 형상화에 있어 어떠한 변인이 있는지를 인물의 측면에서 살핀 논의이다. 남태의 자료적 가치를 방각본/시조창 가집에서 찾는 기왕의 논의 성과를 주목할 때, 시조 대중화의 경향성은 인물상의 형상화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캐릭터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소수가 아닌 多衆의 향수를 주목하고 저작권만큼이나 廣布의 영향력과 인지도를 살피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물론, 編者도 作家도 記名되지 않은 남태의 특성상, 인물상 논의의 출발점은 남태 소재 시조 역시 (시조)문학이면서 (시조)노래인 양면성을 전제하는 데 있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 작품의 개작 방향을 살펴 새로운 인물상 형성의 토대를 짚어보았다. 구어체 종결어로의 변화를 수반한 새로운 공식구의 등장은 관계의 대등성을 지향하며 사랑에 대한 폐쇄적 몰입을 거부하는 인물상 형성의 기본 토대를 말해주는 것이며, 이는 이러한 어법의 수요자인 남태 소재 시조 향수층의 공감대적 토대와 연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여성 인물상 형성의 특징적 양상을 주목한 결과, 지칭의 변화와 같은 사소한 변이를 통해 일상적 여성 인물상의 표면적 부상에 성공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나아가 남태 소재 시조에서 아녀자의 인물상이 다소 우악스럽게까지 형상화된 것과, 소심한 소장부의 인물상이 부각되는 면모는 전대 시조의 규범과 이상형을 깨고 있다는 점에서, 리얼리티의 문제와는 별개로 유의미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19세기 시조사에서 방각본가집의 보급과 시조창법의 간편성이 뒷받침되어 나타난 대중화의 한 양상이기도 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이서’의 범주를 확인하는 기준에 관한 문제

        최규수(Choi Kyu-soo)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2

        이 글의 논의의 초점은 ‘이서’와 ‘서’에 대한 앞선 연구의 다양한 주장들을 뒷받침하는 기준을 정리하고, 그 기준에 따라 그 주장들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 논의에서 검토의 기준은 격조사와 보조조사, 그리고 주격조사와 부사격조사, 파생접사의 분포와 기능, 체계이다. 이러한 기준에 의거하여 ‘이서’와 ‘서’에 대한 견해들을 검토했는데,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이서’를 ‘이’와 ‘서’라는 두 형태소로 분리하는 논의는 그 근거가 충분치 않다. ‘이서’를 주격조사나 보조조사로 보는 견해와, ‘이’를 파생접사나 주격조사로 보는 견해와, ‘서’를 주격조사나 보조조사로 보는 견해는 모두 ‘매우 특이한 분포를 가진’ 파생접사나 주격조사, 보조조사를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서/서’의 범주와 기능을 다음과 같이 본다. ‘이서’와 ‘서’는 형태소 {이서}의 음성적 변이형태이며, ‘이서/서’의 범주는 부사격조사이다. 주어 위치에 사용된 ‘이서/서’ 성분은 ‘비주격 주어’로 볼 수 있다.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e category and function of ‘iseo’(이서) and ‘seo’(서). The criteria of discussion are the distribution, function, and system of the postpositions of case and delimitation, the derivational affix. In the arguments that ‘iseo’ is a postposition of nominative case or delimitation, I have pointed out that there is a problem which must set a postposition of nominative case or delimitation, with ‘very specific distribution.’ In the studies separating ‘i’ and ‘seo’, we discussed that there is not enough reason to separate ‘iseo’ into two morphemes. And I looked at the views of ‘i’ as a derivative affix or postposition of nominative case, and the views of ‘seo’ as a postposition of nominative case or delimitation., these claims include the same kind of problems as the previous claims. In this paper, it is confirmed that ‘iseo’ and ‘seo’ are phonetic variations, and ‘iseo/seo’ is a postposition of adverbial case, and the component with ‘iseo/seo’ used in the subject position is a ‘non-nomicative’ subject.

      • KCI등재

        ‘-답/이/같/하다’ 구성의 어휘주의적 분석

        최규수(Choi Kyu-Soo)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9 No.-

        이 글에서는 먼저, 어휘(단어형)을 통사소를 분석하는 어휘주의적 관점에 기초하여, 명사구와 통합하는 ‘답다, 이다, 같다, 하다’를 의존용언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살폈다. 이렇게 보면, 의존용언은 동사구나 절을 논항으로 취하는 것과 ‘답다’ 부류와 같이 명사구를 논항으로 취하는 것의 두 종류로 분류된다. 두 종류의 의존용언은 부정 부사 ‘안’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그것들의 논항인 구를 삭제하면 비문이 되거나, 본래 가진 의미에서 꽤 멀어지게 되며, ‘V-기는 {V-다, 하다}’ 구성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N+답다’ 부류의 구성은 ‘답다’ 부류가 가진 [+의존]의 속성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접어화’로 설명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dap/i/gatt/ha- as dependent verbs, based on the lexicalism which regards vocabulary (word form) as a mimimum syntactic unit. If so, dependent verbs are classified into two kinds, those which take verb phrases or clauses as arguments, and those which take noun phrasea as arguments. We observed that two kinds of dependent verbs have the same appearance in the following grammatical phenomena. (ⅰ) Adverb ani cannot modify them, and (ii) If the phrases as their arguments are deleted in the sentences, the sentences are either ungrammatical, or far from the original meaning, and (iii) they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V-ginun {V-da, hada}.’ And the constructions formed by -dap/i/gatt/ha-‘ are dependent verb constructions in which the dependent verbs take noun phrases as argumens, and the constructions such as N+-dap/i/gatt/ha- are clitic constructions, and they are formed by cliticization due to the attribute [+dependent] of ‘-dap/i/gatt/h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