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방향 탐색

        최규리 ( Kyou Lee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들과 학부모, 영재 담당 교사들이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 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 영재들을 위한 창의 인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영재교육원과 교육청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과 그 학부모, 영재담당 교사들을 대 상으로 그룹 또는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타인에 대한 배려와 봉사로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인성, 과학적으로 뛰어난 역량과 사고 능력으로서의 창의성, 추진력과 설득력을 통한 리더십, 그리고 일관성 있는 행동과 실천력으로서의 도덕성을 미래 사회에 필요한 과학영재의 자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영재교육과정 속에서 과학에 대해 마음껏 탐구하고 배우며, 리더로서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친구들과의 협동을 통해 새로운 산출물을 완성해내는 성취감을 얻을 수 있길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은 다양한 과학적 체험과 탐구가 개별적 이 아닌 협력적으로 이루어져 완성됨으로써 상호관계 속에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자질을 키우고 과학영재로서의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by perception in the gifted education field.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teachers, 10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dividually or in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character, creativity, leadership and morality as the important capabilities to have in the future society. Also, they wanted to explore science as much as they wished, form values as a leader,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a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The study suggested that it needed to construct coope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scientific investigation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 KCI등재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정혜영 ( Hye Young Chung ),최규리 ( Kyou Lee Cho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을 경험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및 예비 교사교육의 방향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창의성은 과정이 중요시되고 교육이 가능하며 교사의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였으며,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 있었으나 분명하게 알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추후 연수나 워크숍 참여를 희망하였다. 교육실습의 경험을 통해 창의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창의성 교육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변화를 보였다. 또한 창의성 교육은 창의성 자체 혹은 창의성 기법에 초점을 둔 교과외 활동을 통해 시도 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교육실습학교에서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창의성 교육은 과정 중심·교과내용 중심으로 시도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교육과 교사교육의 내용 및 방향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n aspect of creativity education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with practicum experiences. The questionnaire and follow-up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focused on a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an output resulted from learning; they showed an interest in creativity education, however, they did not know what it is and how to facilitate so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and/or workshops about it in the future. Having the practicum experiences, the preservice teachers had not been changed their perceptions on creativity but represented some changes on creativity education. They perceived the practicum experiences made them a positive change on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the methods for creativity education toward student-centered, process-oriented, content-focused. The results suggest on what would be and how could be for better creativity education for preservice and in-sevice teachers.

      • KCI등재

        학생들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수업 맥락에서의 상호작용 특성

        조연순 ( Youn Soon Cho ),정혜영 ( Hye Young Chung ),최규리 ( Kyou Lee Choi ),백은주 ( Eun Joo Baek ),정지은 ( Ji Eun J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본 논문은 학생들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학교수엽 맥락에서 나타나는 교실 상호작용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고자 세 초등학교에서 교사 13명의 14학급 수엽을 4개월에 걸쳐 관찰·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창의성이 발현되는 수업장면은 교사주도와 학생주도의 상호작용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창의성 촉진 상호작용 형태는 교사주도였으며, 사고의 정교화를 촉진하는 질의응답과 점진적 이해를 촉진하는 설명을 통해 학생 창의성이 발현되게 하였다. 학생주도 상호작용의 경우에는 학생 간 토론을 통해 비판적 사고가 발현되었고, 모둠별 의사소통을 통해 협동적 산출물을 생성함으로서 학생 창의성이 발현되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어떤 특정 시간이나 특별한 교육방법이 필요하다기 보다는 일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 창의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일반 수업에서 창의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tudents` interac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where creativity emerges. For the research, 3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and the 14 classes of the recommended 13 teachers of the sit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with the us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interaction which creativity emer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was teacher`s open-ended question and student`s response followed by the teacher`s sustained feedback. And the interaction could be categorized as two types: teacher-initiated and student-initiated. In the teacher-initiated interaction, teachers promoted students` divergent thinking and facilitated students` progressive understanding through teacher-guided questions and students` responses. In the student-initiated interaction, students experienced critical thinking processes through group discussion with classmates, and created collaborative products and/ or outputs while having active communication in group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how both types of the interactions could facilitate students` creativity was required prior to apply special programs, methods or techniques in school classroom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조연순,최규리,최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 교육 관련자들이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초등학교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의 교육 관리자, 교사,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룹 또는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학부모들의 경우에는 창의적 특성을 보이는 아동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들은 대체로 창의성을 ‘독창성’ 등의 사고 특성으로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창의적 아동들의 특성 역시 주로 ‘인지적 측면의 특성’으로 인식하는 편이었다. 또,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창의성 교육을 교과 수업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라기보다는 교과 외 특별 활동의 형태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 관련자들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and expect creativity and creative education, and how creative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parents of creative children were conducted individually as well as in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y perceived creativity in terms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originality, flexibility, etc., and traits of creative children were perceived as cognitive factors. Also, the study found that they tended to think of creative education as extra curricular activities rather than within curricular activities. As a result, it suggests a change in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