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무현의 당정분리론과 비판에 대한 이론적 논의

        채진원(Jin Won Cha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4 OUGHTOPIA Vol.29 No.1

        본 글의 목적은 노무현 대통령이 재임시절 이전부터 퇴임이후까지 자신의 정치철학으로 일관되게 주장한 ‘당정분리론’의 취지와 내용 그리고 당정분리론을 ‘정당약화론’이라고 비판하고 있는 대표적 학자들의 논거를 비교함으로써 당정분리론의 이론적 쟁점을 밝히고, 그것의 적절성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다. 즉 〈노무현 사료관〉에 보관중인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록에 드러난 당정분리론을 통해 그가 왜 그것을 강조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배경과 주요 골자를 살펴보는 한편 당정분리론을 비판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자인 최장집, 박찬표, 강원택의 논의를 비교함으로써 그 정책의 이론적 적절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당정분리론을 ‘정당약화론’이라고 비판되고 있는 것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직으로서의 정당’의 비중이 큰 대중정당모델(계급정당, 이념정당)을 정당이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표준모델로 삼는다면, 당정분리론에 따른 ‘정당조직의 약화’가 문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시대착오적인 ‘조직으로서의 정당’을 약화시키는 대신 ‘정부 내 정당’기능과 ‘유권자 속의 정당’기능의 네트워크를 강조하는 ‘원내정당모델’ 또는 ‘유권자정당모델’ 그리고 ‘의원-유권자네트워크정당’모델에서는 더 이상 정당의 약화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In this paper, the author discusses comparing the arguments between Roh Moo-hyun’s ‘Secessionism of the Party-Government’ and ‘Weakening Political Party Thesis’ made of Roh’s ‘Secessionism’ by scholars in criticism. and this article discusses these theoretical issues by comparing of Roh’s ‘Secessionism’ and correctly evaluate the adequacy of its. this article highlights the background and the main gist of reasons why he might emphasize Roh’s ‘Secessionism’ has been revealed through President Roh Moo-hyun’s speech recordings of being kept 〈Roh History Museum〉. and this paper discusses theoretical relevance of criticism criticized ‘Weakening Political Party Thesis’ made of Roh’s ‘Secessionism’ by a representative scholar Choi jang-jip, Park chan-pyo, Kang won-taek. this discussion has a chance to reconsider ‘Weakening Political Party Thesis’ made of Roh’s ‘Secessionism’. key claim is as follows. If the standard model of an ideal was assumed mass party model(class parties, ideological parties) such the proportion of large as ‘party as organization’, ‘Weakening Political Party Thesis’ made of Roh’s ‘Secessionism’ will be a problem. but if the alternative model was assumed ‘network party model’(‘parliamentary party model’, ‘the electorate party model’) highlighting the network of between ‘party in government’ and ‘party in the electorate’ rather than weakening ‘party as organization’, then further weakened the party never will be a problem.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의 개정방안 논의: 인성 - 시민성의 연계모델을 중심으로

        채진원 ( Chae Jin-won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18 분쟁해결연구 Vol.16 No.1

        인성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 것일까? 인성교육이냐 민주시민교육이냐의 프레임 갈등을 해소할 수는 없는 것일까? 물론 「인성교육진흥법안」과 「민주시민교육지원법안」을 따로 추진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따로 추진되었을 경우, 입법갈등과 국민혼란 및 예산낭비가 예상된다. 그에 따른 국민들의 정치권 불신은 극에 달해 결국 국회와 국회의원의 부담으로 돌아갈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진흥법안」과 「민주시민교육지원법안」에서 각각 개념화하고 있는 ‘인성’과 ‘민주시민의식’을 통합하는 절충적 시각을 통해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성교육과 민주시민교육, 「인성교육진흥법안」과 「민주시민교육지원법」 중 서로가 지적하고 있는 문제점과 오해를 피할 수 있는 연계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것의 핵심은 「인성교육진흥법안」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여 즉, 인성의 중요한 내용으로 시민성을 포함시켜 인성과 시민성 교육의 연계모델을 구체화하고, 그 연계모델을 작동시킬 교육전담기구의 성격과 명칭 및 조직도를 국가주도형이 아닌 민관협력형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ity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not it possible to solve the frame conflict of personality education or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of course,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Support Act” may be separately promoted. However, if it is promoted separately, legislative conflict, national confusion, and waste of budget will be used inefficiently. as a result, people’s political discontent reaches a peak,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return to the burde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rational alternatives through an eclectic view that integrates ‘personality’ and ‘democratic citizen consciousness’, which are conceptualized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Support Bill」.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present a linkage model that can avoid the problems and misunderstandings between humanity education,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bill and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support law. the core of it is to revise the conten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so as to include citizenship as an important content of personality, to shape the linkage model of personality and civic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personality, name, and organizational chart as a public-private cooperation type rather than a state-centered type.

      • KCI등재

        남남갈등에서의 정치적 양극화와 중도정치

        채진원(Chae, Jin W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69 No.-

        우리 사회의 이념무드가 중도로 수렴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진보진영과 보수진영간의 남남갈등이 심화되는 현상을 어떻게 봐야 할까? 본 논문의 목적은 ‘정치적 양극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 남남갈등의 원인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해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즉, 논문은 첫째, 정치엘리트들이 이념적인 편향성을 동원(mobilization of bias)하여 국민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에 영향을 받은 국민이 보수와 진보로 편을 갈라서 이념적 · 정파적으로 싸우게 됨으로써 남남갈등이 초래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경험적으로 논의한다. 둘째, 그러한 원인진단에 따라 바람직한 남남갈등의 해법을 탐색한다. 이러한 접근은 그동안 남남갈등의 원인이 진영간의 적대적인 불인정과 소통부족이고, ‘진영간의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대안으로 제시했던 것에 대한 반성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남갈등의 실체는 결국 국민수준과 무관하게 정파적 · 이념적 편향성을 동원하는 정치엘리트 수준의 정치적 양극화에 따른 갈등이다. 남남갈등의 원인이 정치엘리트 차원의 ‘집단 극단화’에 따른 이념적 편향성의 동원이라는 ‘정치적 양극화’때문이라면, 그 해법은 ‘집단 극단화’와 ‘정치적 양극화’에 따른 극단정치에 대한 경계이며, 평균적인 국민수준의 정서와 이념적인 성향에 초점을 맞추면서 극단을 견제하고 균형을 추구하는 중간지대가 활성화되는 ‘중도정치’가 바람직하다. Though the trend that we have ideological mood of society converge to Moderate, decide how the phenomenon of intensifying South-South conflict between liberals and conservatives loo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the cause of South-South conflict through discussion of "political polarization" and navigate to the desired solution. in other words, paper, first, the political elite ideological mobilized bias affects the national level by the National influenced it divided into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ideological, partisan to the fight being strangers in theory empirically that the conflict has caused It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paper searches for the solution of the preferred according to the South-South conflict cause such diagnosis. these approaches, which have been the cause of South-South and disregarde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hostile sides of the conflict, therefore, is a reflection of what was presented the "Reaso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camp" 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the reality of South-South conflict is a conflict of the political polarization of the political elite,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end mobilize the national level, partisan, ideological bias. If, because the cause of South-South conflict political elite dimensional "political polarization" of the mobilization of bias based on ideological excess, the solution is the refrain of the extreme politics of the political polarization, the average national level of the emotion and focus on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aligning it would be desirable that "Moderate politics to counterbalance the extremist and seek balance.

      • KCI등재

        민주공화국과 법치주의의 부합성: 불일치 사례와 해법

        채진원 ( Jin-won Ch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4 인문사회 21 Vol.5 No.2

        최근 세월호 참사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압축적으로 성공한 한국이 성숙한 시민성에 따른 법치주의가 확립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으며, 이것이 얼마나 끔찍한 재앙과 불행을 불러오는지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최고의 국가정체인혼합정과 법치주의간에 부합성이 크다고 한 시사점을 수용하여, 진정한 법치주의는 혼합정의 현대적 버전인 민주공화국 정체와 부합될 때 실질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문제로 제기하고, 둘 간의 불일치 사례를 통해 해법의 실마리를 찾는데 있다(제Ⅰ장).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인 차원에서 문명화와 법치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법치주의와 민주주의 사이의 갈등과 조화의 문제를 다루며, 법치주의의 쟁점사항을 다룬다(제Ⅱ장). 둘째,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법치주의의 왜곡과 잘못된 관행들을 살펴본다. 특히, 세월호참사에서 드러난 법치주의와의 불일치 사례 그리고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는 일명 김영란법의 내용과 의미를 살펴본다(제Ⅲ장, 제Ⅳ장). 결론적으로 민주공화국과 헌정주의(constitutionalism)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성숙된 시민성과 법치주의를 활성화할 필요성을 제기한다(제Ⅴ장). Recently, Sewol of ferry disaster is showed that Korea being successful compresse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did not establish the rule of law according to mature civility. in addition, the lack of rule of law and civility showed how did have causes of terrible disaster and much un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accept Aristotle`` thesis, correspondence is large between the Democratic Republic(new modern version of mixed government) and the Rule of Law, so is that raises the issue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conform to when meeting betwee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true rule of law. and is that find the clues of solution through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cases (ch.Ⅰ).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ization and the rule of law in the theoretical dimension to it. also reviewed to find harmony and balance between the two through the dedicated care that can bring a harmonious balance of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national sentiment method, which is proposed as a core value of protecting the legal representation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stitutionalism(ch.Ⅱ). second, we examine the distortion of the rule of law and wrong practices in Korea are facing society. in particular, look at the case of disagreement with the rule of law revealed in Sewol of ferry disaster time and the contents and meaning the Act of Kim, Young - Ran in being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ch.Ⅲ, Ⅳ). in conclusion, this paper raises the need to activate the maturation attention devoted to internalize the civility and the rule of law of Democratic Republic and Constitutionalism(ch.Ⅴ).

      • KCI등재

        평화 · 통일교육의 이론적 기초 논의: 새로운 정체성의 구성과 방법

        채진원 ( Jin-won Chae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1 韓國 政治 硏究 Vol.30 No.3

        2018년 8월 통일부는 종전의 ‘통일교육지침서’를 대신하여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을 제시하였다. 남북관계의 진전에 따라 정부의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론도 달라지는 것은 자연스럽다. 국민들이 한반도를 둘러싼 남북미 관계의 변화와 진전 및 한계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평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평화통일의식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 교육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평화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을 이해하고 협력적인 남북관계를 지향하면서 평화로운 통일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글의 목적은 ‘정전체제’에서 ‘평화체제’로의 이행에 부응하기 위한 평화·통일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실험적 시도로서, 남북한의 적대적 정체성을 새로운 정체성으로 재구성하는 관점과 방법론을 찾기 위한 실마리로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시각에서 관련 대안 담론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론에서는 구성주의적 시각을 구체화하기 위한 대안 담론으로서 통일전쟁론과 분리 독립전쟁론, 독일 통일의 기초인 ‘자석이론’, 응보적 정의론과 회복적 정의론에 대해 살펴본다. In August 2018, the Ministry of Unification presented <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rection and Perspective > in place of the previous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it is natural that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vary according to the progress and tension in inter-Korean rel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task of education is to enable the people to form a consensus on peace and cultivate a sense of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progress, and limitations of inter-Korean rela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North Korea based on a sense of peace and develop the capabilities necessary to realize peaceful unification while pursuing cooperative inter-Korean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s an experimental attempt to establish a new theoretical found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to respond to the transition from the ‘armistice system’ to the ‘peace system’. it aims to discuss related alternative discours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ructivist paradigm as a clue to find. in this paper, as alternative discourses to materialize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e theory of the unification war and the separation and independence war theory, the ‘magnet theory’ that is the basis of German unification, the theory of retribution and the theory of restorative justice are examined.

      • 임시의정원 · 임시정부의 정치적 권위가 제9차 헌법개정에 남긴 유산 고찰

        채진원 ( Chae Jin Won ) 한국정치평론학회 2021 정치와 평론 Vol.29 No.-

        본 글의 목적은, 1987년 제9차 헌법의 탄생을 통해 작동되고 있는 임시의정원과 임시헌장이 미친 ‘헌법제정권력의 권위’라는 정치적 유산을 찾고 그것의 확산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련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뢰벤슈타인의 헌법분류론과 마키아벨리의 정체순환론을 이론적으로 검토한다(제Ⅱ장). 둘째, 이러한 이론적 관점에서 1987년 제9차 헌법개정에 따른 제6공화국의 등장 의미를 1919년 3·1 운동의 헌법제정권력에 의해 탄생한 임시의정원·임시정부의 민주공화국의 정신계승과 연계하여 설명한다(제Ⅲ장). 셋째, 민주화 이후 민주공화국의 정신계승과 관련한 1919년 임시의정원·임시정부의 정치적 유산의 확산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제Ⅳ장). 넷째, 전체를 요약하고 글의 의의와 한계를 논한다(제Ⅴ장).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the political legacy of the ‘authority of constitutional enactment power’ that the Provisional Diet and the Provisional Charter, which has been in operation since the birth of the 9th Constitution in 1987, came up with the direction and tasks for its expansion. To this end, we will look at the following related matters. First, Löbenstein’s constitutional taxonomy and Machiavelli’s stasis cycle theory are reviewed theoretically (Chapter II). Second, from this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of the 6th Republic following the 9th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87 is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the spiritual succession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created by the constitution-making power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Chapter III). Third, the direction Assembly and tasks of spreading the political legacy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1919 related to the spiritual succession of the democratic republic after democratization are discussed (Chapter IV). Fourth, the author summarizes the whole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text (Chapter V).

      • 제20대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의 승리배경: 이재명 후보의 포퓰리즘과 네거티브 캠페인 전략의 실패

        채진원 ( Chae Jin Won ) 한국정치평론학회 2022 정치와 평론 Vol.31 No.-

        본 글의 목적은 1위와 2위의 순위가 0.73%포인트 격차로 승패가 결정이 난제20대 대선결과의 의미를 윤석열 후보의 승리가 아닌 이재명 후보의 패배에 따른 결과로 보면서, 그 패배의 원인을 숙의투표에 반하는 이재명 후보의 포퓰리즘과 네거티브 캠페인으로 설명하여 반성적 성찰을 촉구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숙의투표와 이에 반하는 포퓰리즘과 네거티브 캠페인의 악영향에 대해 살펴본다(제Ⅱ장). 둘째, 여론조사기관의 20대 대선 사후조사와 방송3사의 출구조사에서 드러난 유권자의식과 투표행태를 통해 각 후보의 승패원인을 추론한다(제Ⅲ장). 셋째, 민주당 당내경선시기와 본선 경쟁시기에서 드러난 이재명의 포퓰리즘과 네거티브 캠페인의 사례를 살펴본다(제Ⅳ장). 넷째, 결론에서 전체를 요약한다(제Ⅴ장).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view the meaning of the results of the 20<sup>th</sup> presidential election, in which the winners and losers were decided by a 0.73 percentage poi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ce rankings, as the result of the defeat of candidate Jae-Myung Lee rather than the victory of candidate Seok-Yeol Yoon. The goal is to call for reflective reflection by explaining candidate Jae-Myung Lee’s populism and negative campaign against deliberation voting. To achieve this objective, firs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we examine the adverse effects of deliberation voting and opposing populism and negative campaigns(Chapter Ⅱ). Second, the causes of victory and defeat of each candidate are inferred through the voter consciousness and voting behavior revealed in the post-election survey of the 20<sup>th</sup> presidential election by the opinion polling agency and the exit survey of the three broadcasting companies(Chapter Ⅲ). Third, we look at the cases of Jae-Myung Lee’s populism and negative campaigns revealed during the primary and final competition period within the Democratic Party(Chapter Ⅳ). Fourth, the whole is summarized in the conclusion(Chapter Ⅴ).

      • KCI등재
      • KCI등재

        포퓰리즘의 이해와 이재명 현상에 대한 시론적 논의

        채진원 ( Jin Won Cha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論集 Vol.50 No.1

        포퓰리즘과 포퓰리스트들의 대두와 득세는 글로벌 현상이다. 제도권 정치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정치혐오, 좌우 복지포퓰리즘 공약의 남발, 최순실-박근혜 게이트 정국에서 대선후보들간 강경노선 경쟁 등을 볼 때, 우리나라에서 포퓰리즘 등장 가능성은 매우 크다. 포퓰리즘과 포퓰리스트들의 급부상 가능성은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과 성숙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민심의 향방을 가늠하는 이후 선거의 정치구도와 공약경쟁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하지만 현실정치에서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포퓰리스트와 민주주의자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본고의 목적은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포퓰리스트와 민주주의자의 차이를 이론적 논의를 통해 엄밀하게 구분하고자 하며, 이러한 이론적 구분논의에 맞춰 최근 언론에서 포퓰리스트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대권주자로서 이재명의 정치행태와 급부상 원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이재명의 주요한 정치적 행태가 1)적과 우리의 이분법으로서 법 위의 사회주의 성향의 급진정책을 추구해왔다는 점, 2)대의정치와 정당보다는 국민직접정치와 SNS 매개로 인민호소를 추구해왔다는 점, 3)숙의와 토론보다는 선동을 통한 단순화를 추구해왔다는 점, 4)주류정치에 반대해온 아웃사이더 기질과 카리스마적 성향이 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좌파 포퓰리스트로 분석하고 있다. The rise and fall of populism and populists is a global phenomenon.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populism and populist in Korea is very high when we look at the distrust of the people and the political loathing on the institutional politics, the stigma of the pledge of welfare populism in the left and right, and the hard line competition between presidential candidates appearing in the politics of Choi Soon-sil-Park Geun-hye Corrupt scandal. the prospect of populism and populist emergence not only threatens the development and maturity of Korean democracy, but it also has a great possibility of adversely affecting the politics and competition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but in real politics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populism, democracy, populists and democra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populism, democracy, populist and democracy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in accordance with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paper will specifically analyze the causes of Lee Jae-myung's political behavior and the emergence of rapid emigration that have caused populist controversy in recent media.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Lee Jae-myung's major political behaviors have pursued a radical policy of socialist tendency toward law as the dichotomy between the enemy and our dichotomy, and 2)pursued popular appeal through popular politics and SNS rather than political and political parties, 3)the pursuit of simplification through agitation rather than deliberation and discussion, and 4)the presence of outsider temperament and charismatic opposition to mainstream politics as a left popul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