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 시장화가 초래하는 정책혁신과 굿거버넌스(good governance): 사구(社區, Shequ) 건설과 행정삼분제(行政三分制)를 중심으로

        차창훈 ( Chang Hoon Cha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0 시민사회와 NGO Vol.8 No.2

        이 글의 목적은 위와 같은 굿거버넌스와 정책혁신의 사례를 중국에서 찾아 적용하는 것이다. 정책혁신과 굿거버넌스의 이론적 개념과 관련하여, 특히 이 글이 주요한 분석개념으로 설정하고 있는 정치적 책임성, 효과적인 정부 및 부패의 통제(투명성) 등의 개념은 민주주의 국가의 정치체제 운용과정에서 정책혁신이 불러일으키는 제도적 적용(adaptation)을 포괄하고 있다. 1990년대 중 후반부터 중국정부가 건설하였던 ``사구``건설은 국가의 시장경제 도입이 초래했던 ``단위``체제(종전의 사회주의 경제 생산-생활의 중심)의 해체를 다른 형태로 복구하려는 시도였다. 자치확대는 주민들의 참여확대를 초래했고, 주택시장과 함께 성장했던 재산권 소유의식은 재산권보호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부정책의 법제화(사구와 관련된)가 이루어졌고, 중앙정부-구정부-가도판공처의 3자관계에 존재하는 제도적 관행이 개선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었다. 결과적으로 도시주민의 참여의 확대는 정부능력의 효율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전개된 셈이다. 2001년 11월부터 2년 4개월 동안 실험적으로 시행된 중국 선전시의 행정삼분제 정책개혁안은 민주주의 국가의 3권 분립체제 발상에 근거하여, 정책의 작성, 집행, 감독을 구분하여 부서간의 견제와 조정 및 합의를 이룬다는 내용이었다. 행정삼분제는 정부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부패를 통제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되었지만, 중국의 현행 법률체제와의 부조화, 중앙정부의 정책의지 실종, 관료들의 저항 등의 이유로 그 실시가 유보되었다. 행정삼분제의 실패는 심화된 행정개혁은 결국 광범위하고 근원적인 정치개혁과 연관되어 있으며, 시민의 능동적인 참여(voice and accountability)를 수반하지 못하면 실현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To evaluate good governance in China, the elements of good governance investigated in this article - voice accountability, government effectiveness and transparency - are related to the institutions of national political systems, and institutional adaptations to the requirements of policy innovations coming from transitionary market economy. The development of Shequ that began in the 1990s was designed to resolve the issues of the community through self-government by the urban citizens. The expansion of self-government, ironically led to increased public awareness of the residents and to a social movement to protect private property.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 instituted the legal framework for the management of Shequ, and the previous institutional set up of central government-district(qu) government-sub-street office faced a new momentum for change. In the end,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he urban residents actually led to improved effectiveness of government capacity. Of course, such change has only begun in the urban areas of China. The Xingzheng sanfenzhi was based on the concept of separation of powers in a democratic state; the 3 areas of policy making, policy execution and policy evaluation would be separated, and check and balance among the departments through coordination and consensus would ensure policy efficiency. This study points to conflicts with the existing administrative system, lack of policy will by the political leadership, and resistance from public officials as the causes of failure. The failure of Xingzheng sanfenzhi, however,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a dministration in China. A deepening of administrative reform is invariably linked to broad and fundamental political reforms, and impossible without meaningful political participation by the peopl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국의 대(對)한반도정책: 책임대국과 시진핑의 대북정책 딜레마

        차창훈 ( Chang Hoon Cha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3 한국과 국제정치 Vol.29 No.1

        2012년 11월 개최된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향후 10년을 이끌어갈 중국의 신지도부가 구성되었다. 제5세대 지도부는 향후 집권 10년 동안 중국의 강대국으로의 부상을 완전히 실현해야 하는 중차대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으며, 자신만의 정책노선은 임기 2기를 맞이하는 2017년 제19차 전당대회 전후로 구체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 이전까지는 기존 노선의 충실한 집행 속에서 권력기반을 다지는 데 치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큰 틀에서 보면, 시진핑도 다른 앞선 지도자들처럼 미국 국력의 우위하에 미국에 대한 직접적 도전과 본격적인 군사력 경쟁을 자제하면서, 장기적인 경제발전에 집중하는 대전략을 유지할 것이다. 이에 따라 한반도 지역 내 평화와 안정을 최상의 정책목표로 지속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은, 미중관계의 협력적 기조유지, 남북한 등거리 정책 지속 즉 한중관계 발전과 북중 경제협력 강화 및 북한체제 지원, 북핵문제와 6자회담, 해양 영토분쟁과 민족주의 분출의 수위 조절 등의 기조를 나타낼 것이다. 한국은 중국과 공조하여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행위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화하는 한편, 북핵문제의 외교적 해결을 위해 포괄적 협상 방안과 구상에 대한 이니셔티브를 쥐고 미국, 중국과의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 China`s new leadership takes the first step toward ten years` tenure at the 18th Communist Party Congress in November 2012. The fifth generation leadership takes great responsibility of leading China as a global rising power and its own feature of policy will be substantiated at the second five-year term which will start from the 19th Party Congress in 2017. Before then, Xi Jinping as a new leader inherits the legacy of policies successively while consolidating his political power. Like his predecessors, Xi will concentrate his efforts on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guided by grand strategy abstaining from military competition with the U.S. In parallel with it, China`s current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sustained to foster peace and stability in a foreseeable future. Concretely, China`s Korea Policy will be embodied through such the specific purposes as maintaining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U.S., distant policy toward two Koreas, further development of Sino-South Korea relationship, supporting North Korea`s regime by strengthening of Sino-North Korea economic relationship, keeping six party talks for resolving North Korea`s nuclear issues, and control of maritime territorial disputes and nationalism. When North Korea would not give up nuclear weapons and worsen the crisis, China might rethink strategic value of North Korea as a burden. As for the implication for South Korea, strategic cooperation with China will be more indispensably needed to contain North Korea`s brinkmanship and resolve North Korea`s nuclear issues and its regime itself.

      • KCI등재

        Social Construction of Chinese Nationalism in the 21stCentury

        차창훈(Cha Chang Hoon) 21세기정치학회 2011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1 No.1

        If one hypothesize the existence of nationalism and then classify it as an ideology, Chinese nationalism could decide the trajectory of China’s growing national power direction, which gets more and more concern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rise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The constructivist argument provides some meaningful points fo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Chinese nationalism. As nationalism is imagined under certain conditions, as Anderson argues, Chinese nationalism has been socially constructed in international arena. Like all forms of identity, national identity does not arise in isolation, but develops and changes in encounters with other groups. Thus, Chinese nationalism cannot be comprehended in isolation. Instead, it must be understood as constantly evolving as Chinese interaction with other nationalities. It means the future trajectory of Chinese nationalism in great part depends upon its interaction with outside powers, especially regional powers and great powers. During this process, the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through multilateral cooperation with other states, especially with regional neighbors like Korea and Japan, would greatly contribute to China’s soft landing on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thers’ identity would lead to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If not, the world of the 21th century would face a significant challenge that will be posed by a rise of China.

      • KCI우수등재

        중국외교정책 연구에 대한 이론적 평가

        차창훈(Chang-Hoon Cha)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1

        중국의 외교정책에 대한 연구는 외적ㆍ체제적 접근방법, 내적ㆍ사회적 접근방법 및 내외적 연계방법의 방식으로 발전하여 왔다. 최근 연구의 동향은 중국위협론의 등장과 함께 국제체제와 중국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는 연구들로 진행되고 있다. 1970년대 후반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은 국제사회와 접촉에 지평을 열었으며, 필연적으로 국제기구와의 상호 접촉의 증진을 가져왔다. 이것은 중국을 국제 레짐이나 국제 기구의 다양한 영역의 세계적 이슈에 노출시켰으며, 중국은 국제기준이나 규범에 맞게 그들의 정책을 발전시켜 왔다. 중국의 부상(浮上)과 국제체제에의 편입과정은 중국과 국제사회에게는 새로운 도전이며, 중국외교정책 연구에도 보다 복잡한 양상을 제공하고 있다. 내외적인 연계방법은 종전의 단선적인 접근방법보다 변화하는 중국의 외교정책과 국제레짐 및 국제제도들내 편입과정의 실체를 드러낼 수 있으며, 다소 정치적인 목적으로 논쟁되었던 중국위협론을 대체하는 보다 실증적인 성과물을 제시할 것이다. 이 접근방법은 막연하고 과장되게 포장되었던 중국의 위협정도를 보다 실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중국의 국제기구 참여를 다루는 문헌들에 대한 분석은 중국의 국제협력을 평가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부상과 국제체제 편입을 분석함에 있어서 보다 포괄적인 이론이 필요하며, 그것은 대외적이고 국내적인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상호 구성하는 과정을 포괄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중국의 국제체제 편입과정은 탈냉전시대의 주요한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Existing literature on Chinese foreign policy can be categorized into external/systemic, internal/societal, and domestic/external linkage approaches. Recent research, such as the "China threat debate," has been concerned with the issue of China's involvement in the international system. Since the late 1970s, China's economic modernization drive has opened a window of intercourse with international society and inescapably has led to a wide range of global issues under the pressure of international regimes and organizations. China's participation in those has grown greatly. China has been compelled to develop more suitable and concrete policy responses to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ules. The rising China and the process of its engagement in the international system provide the complicated and challenging problems of management and adjustment. The factors that influence Chinese foreign policy behavior no longer fall neatly into the dichotomous categories of external/systemic and internal/societal variables. The domestic/external linkage approach can disclos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engagement in international regimes and institutions. It also produces more substantive consequences than the China threat debates, which has not been free from political purposes. It can provide a basic yardstick to judge the degree of China's threat and cooperation. Thus, we need a comprehensive theory that embraces interactive and co-constitutive processes of external and domestic factors for the "phenomenon of emerging and engaging Chin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국의 에너지 외교정책과 국제정치적 함의

        차창훈(Cha Chang Hoon) 21세기정치학회 2008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8 No.2

        Energy security is becoming critical factor in Chinese foreign policy. Chinese leaders realize that energy is an important strategic issue concerning China's economic growth, social stability and national security. The overwhelming attention and efforts of Chinese policy makers have been on ensuring an adequate and reliable domestic supply of energy. The strategy of energy security is encourging China's oil companies to pursue access to overseas oil and gas exploration and production, oil diplomacy for ensuring it, and construction of pipelines and strategic reserve. China's efforts toward greater energy security through multilateral organization are also discussed. Energy demands have accelerated China's rise to global prominence and appear to raise conflictual aspects not only for the prospect of cooperation between United States and China but also geostrategic milieu in East Asia.

      • KCI등재

        중국 공공외교의 등장과 강화

        양명(Yang Ming),차창훈(Cha Chang Hoon) 21세기정치학회 2014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4 No.1

        The public diplomacy has been recently emerged as the new focus of Chinese foreign policy. Chinese government has started not only to enhance the structure and mechanism of public diplomacy, but also to carry out various practical activities. In order to reveal how Chinese government responds to challenges from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and the changing status in international stage with its rising power, this study analyzes the enhancement of Chinese public diplomacy system on two different but interrelating aspects: One is the policy structure under central committee of Chinese communist party and state council. The other one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sub-organs such as cultural diplomacy and media diplomacy. Through this research, three strategic diplomatic targets are found: the improvement of national image, the acquisition of ruling legitimacy and winning power of discourse. All the three target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and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Chinese public diplomacy would be further enhanced through the strong leading of Chinese government. Also, the limitation for the effectiveness of Chinese public diplomacy is caused by strong state power and weak civil society.

      • KCI등재

        SDGs 측면에서 본 남북한의 이행실태 비교연구

        김기섭(Gi Sub Kim),김지현(Ji Hyun Kim),박지윤(Ji Yoon Park),차창훈(Chang Hoon Cha),김영재(Young Jae Kim),김태균(Tae Kyoon Kim),송영훈(Young Hoon Song)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0 국제정치연구 Vol.23 No.1

        유엔과 국제사회는 범지구촌과 다음 세대가 다 함께 살아가기 위한 키워드로서 지속가능발전을 제시하였고, 1992년 리우회의의 아젠다 21, 2000년 유엔 개발정상회의의 새천년 개발목표(MDGs), 그리고 2015년 제70차 유엔총회와 지속가능개발 정상회의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로 계속 진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30여년 간 국가 및 지역적 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요구에 대응해 왔으나 분단 이후 남북한의 사회, 경제, 환경여건은 적잖은 간극이 벌어져 왔고 교류협력을 위한 노력 대비 성과는 한정적이었다. 따라서 SDGs을 통한 남북한의 실태와 그 이행과정은 그간의 남북관계에 대한 중요한 지향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공동목표를 지향하는 남북한, 즉 한반도 SDGs의 이행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SDGs의 경쟁력과 갈등관리방안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The United Nations are international society have set a global goal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s for a keyword in living together for all and next generation. It has been evolutionary, going through the Agenda 21 in 1992, 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 2000, the 70th Sess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and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2015. Our country has also dealt with sustainable developments nationally and regionally for last three decades. However, after Division of Korea,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isparities in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resulting in limited achievements compared to the efforts involved.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carrying out both koreas’ situations and their progress will be a cruci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in both Koreas to aim for a common goal, and based on the data, it anaylizes the competitiveness and conflict managem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