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진 면천읍성 남문지 축성암석의 특성과 산지 연구

        진홍주,김란희,윤정현,이찬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2

        이 연구에서는 당진 면천읍성 남문지 구성석재의 동정과 분포를 규명하였으며, 축성암석과 추정산지 암석의 동질성을 검토하여 원산지를 해석하였다. 축성에는 총 15종의 상당히 다양한 암석들이 사용되었으며 화강암류 (61.0%), 규암(21.0%) 및 석영장석반암(8.7%)이 조사구간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면천읍성 주변에 분포하 는 암석을 대상으로 동질성을 검토한 결과, 산출상태, 전암대자율, 암석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였 다. 따라서 축성암석은 면천읍성을 중심으로 약 8km 이내인 성상리, 양유리, 성북리, 갈산리 및 대덕동 일대에서 수급된 것으로 해석되며, 암종보다는 조달의 편의성이 가장 큰 고려 대상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 KCI우수등재

        라오스 홍낭시다 유적 출토 갈유도기와 기와의 원료특성과 제작기술 해석

        진홍주,장성윤,김수경,이명성,문동혁,전유근 한국광물학회 2019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2 No.4

        이 연구는 12세기에 건립된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에서 출토된 크메르문명 갈유도기와 기와의물리적 특성,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을 통해 원료물질을 조사하고 제작기술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3점의 갈유도기 유약은 광물이 모두 용융되어 유리질화된 상태이며, 용융제 산화칼슘 함량이 15 % 이상인 전형적인 라임계열이다. 태토의 주구성광물은 석영과 멀라이트, 크리스토발라이트로 동정된다. 기질은 치밀하나 기질의 재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아 크리스토발라이트가 상전이로 기인한 것이 아닌화산암 생성토를 원료로 도기를 제작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멀라이트가 관찰되어 950 °C 이상에서 소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6점의 무시유 기와는 외면색상이 적갈색, 회백색, 청회색으로 구분된다. 속심 색상은 외면과 색 계열이 유사하나 청회색 기와는 속심이 적갈색인 샌드위치 구조로 완벽한 환원환경을 경험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무정형 철산화물 노듈이 다수 관찰되고 화학조성이 상당히 유사하여 동일 기반암에서 생성된 원료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성온도는 운모류, 헤르시나이트, 멀라이트 동정에 따라 900 °C 이하, 900~950 °C, 950 °C 이상의 세 유형으로 분류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interpret the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through physical, mineral and geochemical analysis of the brown-glazed stonewares and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Hong Nang Sida temple in Laos, which was built in the 12th century. The glaze of brown-glazed stoneware is a typical lime serial with CaO content of more than 15 % and they were vitrified. The body is the combination of quartz, mullite and cristobalite, but had not vitrified texture, and therefore, which is assumed to have been fired more than 950 °C. Meanwhile, The roof tiles are unglazed and its outer color is reddish brown, whitish grey and bluish grey. The bluish gray tiles has sandwich structure, which seem to experience imperfect reducing environment. The tile samples with a number of amorphous iron oxide nodule had a very similar chemical composition. In conclusion, it is assumed that the clay source was made from raw material produced from the same bedrock. The firing temperature of roof tiles were divided into less than 900 °C, 900~950 °C and greater than 950 °C according to detection of micas, hercynite and mullite.

      • KCI등재

        경주 황룡사 남쪽담장 외곽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출토 토제용범의 재료 특성과제작기술 해석

        진홍주,장성윤,김한슬,이명성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asting molds found at the Sillaurban site of Hwangnyongsa in Gyeongju to interpret manufacturing techniques of casting mold forbronze us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casting molds appear to be earthen molds forbronze-making, with a thick ceramic wall and are classified into inner and outer mold types. The moldsshow a layered structure, with a silt layer thinly applied to the earthen mold surface. This layer comesinto contact with melted metal during bronze manufacturing and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innermolds and inside of outer molds. The paste layer exhibits fine-grained texture with a bimodal structure. Thin section analysis reveals planar voids in the paste, which were made by the carbonization of ricehusks used as a temper during the firing process. The silt layer is mainly composed of very fine-grainedquartz and feldspars without clay and plant tempers. It is estimated that the casting molds were madeby mixing soil with tempers of minerals and rice husks, applying a silt layer to the surface of themolds, and experiencing temperatures below 1,000℃. Overall, the selection of different raw materialsfor each layer of the molds is connected with efficiency to ensure the permeability and thermalresistance during the casting process and easy release of the bronze object from the molds. 이 연구에서는 신라 통일기 경주 황룡사 남쪽담장 외곽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에서 출토된 토제용범의 재료 특성을 조사하고 당시 제작기술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토제용범은 청동제유물을 제작하기 위한 사형주조범으로 판단되며 두꺼운 기벽을 형성하고, 내범과 외범으로 구분된다. 용범 단면은 태토 위에 미사가 얇게 도포된 층위구조를 보이는데, 이 미사층은 주조시 청동기물과 맞닿는 면으로 외범은 내면에, 내범은 외면에 분포한다. 용범의 태토는 미정질기질에 이중모드의 입도 분포를 보이는 세립질 광물을 다량 포함한다. 또한 선형의 긴 공극이두드러지게 관찰되는데, 비짐으로 첨가된 볍씨 껍질이 소성 시 탄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미사층은 태토층과 구성광물이 유사하나 식물비짐이 없고 분급이 양호한 초세립질 석영과장석으로 구성된 미사로 확인된다. 따라서 토제용범은 토양에 볍씨 껍질과 광물을 혼합한 태토로 기형을 만든 후, 미사를 표면에 도포하여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며, 1,000℃ 이하의 열을 경험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용범은 청동 주조 시 통기성과 내열성을 확보하고, 기물을 용범에서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층위별로 재료를 다르게 선택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나주 오량동 요지 출토 토기의 기종별 재료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진홍주,장성윤,김수경,이명성,Jin, Hong Ju,Jang, Sungyoon,Kim, Su Kyoung,Lee, Myeong Seong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0 보존과학회지 Vol.36 No.6

        이 연구는 나주 오량동 요지 가마유구에서 출토된 완형토기(碗, bowl)의 원료 특성을 출토 사면별로 분석하고 개배(蓋杯, flat cup with cover), 옹관(甕棺, jar coffin)과 비교하여 기종별 제작기법을 검토하였다. 소형토기 중 가장 많이 출토되는 완형토기는 출토 사면과 관계없이 미정질 내지 은미정질 기질에 세립질 석영과 장석이 비짐으로 사용되어 상당히 유사한 원료특성을 보이며, 대체로 950~1,100℃의 소성온도를 나타냈다. 완형토기는 출토 사면과 관계없이 태토조성과 소성기법이 유사하여 정형화된 제작기법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개배는 세립질 광물을 비짐으로 첨가한 것이 완형토기와 유사하나 광물의 입자가 크고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대형옹관은 세립질 뿐만 아니라 중립질 석영, 장석, 흑운모를 포함하고 있다. 기종별 태토 특성은 태토의 화학조성을 상관도에 도시한 결과에서도 확인되는데, 소형 완형토기와 개배는 옹관과 분포영역이 구분된다. 따라서 나주 오량동 요지는 동일한 원료수급 환경 내에서도 완형토기, 개배와 같은 소형토기는 태토를 정제하였고, 옹관은 기벽 유지를 위해 중립질 광물을 첨가하였다. 또한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태토를 선별하여 준비하고 소성온도와 소성환경을 조절하여 제작한 것으로 확인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owls and compare the making techniques of flat cup with cover and jar coffin from the Oryang-dong kiln site, Naju. Bowls, the most frequently excavated small pottery have similar mater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ay surface, fine-grained texture, and small-sized tempers such as quartz and feldspar, regardless of the excavation slopes. However, the firing temperature of the bowls mostly ranges from 950 to 1,100 ℃. It is estimated that the bowls had formalized making techniques, owing to the similar material composition and firing technique regardless of the excavation slope. The flat cups with cover have similar texture and mineral phases, except their poorly sorted inclusions. However, the jar coffins contain not only fine-grained minerals but also medium-grained quartz, feldspar, and biotite, showing a relatively wide range of fir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geochemical results of pottery by type, it is assumed that chemical composi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mall pottery(bowl and falt cup with cover) and jar coffins. In conclusion, small potteries such as bowls and flat cups with cover were made by removing the heavy minerals from raw materials, whereas jar coffins were made by adding medium-grained minerals to raw materials to maintain and support their structures, despite the same source materials.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pottery making proceeded by selecting the source materials, preparing according to their use and controlling the firing temperature and environment.

      • KCI등재

        서울 석촌동 고분군 출토 기와의 소성온도와 열변형 특성 해석

        진홍주(Hong Ju Jin),장성윤(Sungyoon Jang),이명성(Myeong Seong L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1 자원환경지질 Vol.54 No.6

        이 연구에서는 서울 석촌동 고분군 연접적석총에서 출토된 기와의 물리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소성온도를 추정하고, 열변형 과정을 해석하였다. 석촌동 고분군에서는 다량의 기와가 출토되었는데, 일부 기와는 열에 의해 형태가 변하고 불균일한 소성상태를 나타냈다. 원형기와의 표면과 속심의 색조는 비교적 균일한 황갈색 계열로서 약 12% 이상의 높은 흡수율을 나타내며, 미정질 기질에 세립질 석영, 장석류, 운모, 각섬석 등을 포함한다. 또한 미세조직 관찰 결과, 느슨한 기질과 운모의 층상구조가 확인되어 900℃ 이하의 산화환경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열에 변형된 기와는 주로 적갈색과 청회색의 불균일한 표면 색조를 보이며, 단면은 치밀한 적갈색 표면과 다공성의 자회색 내부기질이 함께 나타나는 샌드위치 구조를 나타낸다. 흡수율은 0.8~11%이며, 멀라이트, 헤르시나이트가 동정되어 소성온도가 1,000℃ 이상으로 추정된다. 일부 시료에서는 과소성에 의한 블로우팅 포어(bloating pore)가 관찰되었고, 1,200℃ 이상의 고온을 경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원형기와를 800~1,200℃ 사이에서 온도별로 재소성하여 물리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1,000℃ 부근에서 흡수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고온광물이 생성되기 시작했다. 또한 점차 온도가 올라갈수록 기질이 부분 용융되고 재결정화되어 변형기와의 열변형 특성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석촌동 고분군 기와는 불균일한 소성상태와 1,000~1,200℃에 달하는 2차 고온을 경험하여 형태 변형, 광물 상전이 등의 열변형 특성이 발생하였고, 이는 백제시대 화장의례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iring temperature and thermal deformation process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connected stone-mound tomb in Seokchon-dong, Seoul, based on minera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 large number of roof tiles were excavated from the tomb site and some roof tiles were deformed by heat and were fired in uneven conditions. The colors of original roof tiles and their cores are mostly yellowish-brown, with high water absorption over 12%, containing fine-grained textures and some minerals such as quartz, feldspars, amphibole, and mica. It is estimated that the original roof tiles were fired below 900oC in oxidation condition, showing loose matrices and mica layer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owever, deformed roof tiles have the uneven surface color of reddish-brown and bluish-gray, and those cross-sections have sandwich structures in which dense reddish-brown surface and porous grey core coexist. They contained mullite and hercynite, so it was estimated to have been fired over 1,000oC, with 0.81~11% water absorption. In some samples, bloating pores by overfiring were observed, which means that they were fired at more than 1,200oC. In addition, the refirng experiments that the original roof tile was fired between 800oC and 1,200oC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roof tiles compared to deformed ones. As a result, the water absorption decreased rapidly and the mineral phase started to change over 1,000oC. As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the matrices are partially melted and recrystallized, resulting in similar thermal characteristics of deformed roof tiles. Therefore, the roof tiles from ancient tombs in Seokchon-dong seem to experience the secondary high temperature of 1,000 to 1,200oC under uneven firing conditions, resulting in deform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hape transformation and mineral phase transition.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related to cremation rituals at the tombs of Seockchon-dong during the Baekje period.

      • KCI등재

        황룡사 광장배수로 출토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 및 산지 해석

        진홍주(Jin Hong-ju),이명성(Lee Myeong-seong),장성윤(Jang Sung-yoon)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1 고문화 Vol.98 No.-

        이 연구에서는 황룡사 남쪽광장 배수로에서 출토된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산지를해석하고자 하였다. 문무왕대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儀鳳四年皆土’, ‘習部’, ‘漢/漢只’ 등 문자기와는 습비부, 한기부 등 신라 육부와의 연관성이 추정된다. 이 기와들은 월성, 동궁과 월지 등 왕경 범위 내 유적에서 출토된 바 있는데, 최근에는 황룡사 남쪽광장 배수로에서 대량 출토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황룡사 남쪽광장 배수로에서 출토된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을 명문 속성별로 살펴보았으며, 선행연구에서 산지로 언급된 다경 및 망성리와요지 수습품과 비교하여 산지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儀鳳四年皆土’명과 방곽복합문 기와는 광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이 상당히 유사하고 1,000℃ 이하의 낮은소성도를 보여 동일한 제작집단이나 공방지에서 기와를 공급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망성리와요지 수습품과 재료적 특성이 일치하여 망성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漢/漢只’명 기와는 다른 기와들과는 달리 소성온도가 1,000~1,100℃로 비교적 높고, 태토의 재료적 특성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 채토와기와 제작과정이 동일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習部’명 계열, 방곽문, 다중호선문은 동일한 명문 내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재료적 특성이 나타나 채토지점 혹은 태토수비가 달랐던 것으로 생각되며, 다경와요지 수습 기와와는 일부만 유사하여 향후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정리하면, 문무왕대에 대규모건축사업이 진행되면서 많은 기와가 필요했고, 이들 기와는 망성리를 비롯한 여러 와요지에서 공급된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와들은 형태적 제작기법은 유사하지만 채토, 태토수비, 소성작업 등은 다소 다른제작집단에 의해 제작되어 공급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scientific analysis on the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excavated from the drainage channel of the southern square of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was carried out to interpret provenance of raw materials. These types of roof tiles were excavated from Donggung, Wolji, and Wolseong site of Gyeongju, which were known to be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王) of Silla. It is presumed that these inscriptions on roof tiles are related to the Silla six divisions(六部), such as the Seupbibu(習比部) and Hangibu(韓祇部).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roof til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inscriptions and compared with other roof tiles from kiln site of Mangseong-ri and Dagyeong.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nscribed roof tiles with Uibongsanyeongaeto(儀鳳四年皆土) and complex fringed pattern have similar mineral compositions, geochemical distribution, and firing temperature below 1,000℃.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made in Mangseong-ri kiln because their shap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with those of Mangseong-ri site. Meanwhile, roof tiles with inscription of Han/Hanji(漢/漢只) have firing temperature of 1,000~1,100℃ and same properties of raw materials unlike other roof tiles. It means that they were made by controlled process in selecting raw materials, preparing paste, and firing. In addition, other roof tiles including inscription of Seupbu(習部) and various beating patterns showed different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distributions. It means that they had different source materials or manufacturing methods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terpret their making-supply system. Consequently, as a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many tiles were probably supplied from various kiln sites including Mangseong-ri. It is estimated that these inscribed roof tiles were manufactured and supplied by various workshops because they had diff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despite their similar shape and surface patterns.

      • ARM Pointer Authentication을 활용한 Data Pointer Integrity 보호 기법

        진홍주(Hongjoo Jin),이지원(Jiwon Lee),김선권(Seon Kwon Kim),이동훈(Dong Hoon Le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시스템에 악영향을 끼치는 공격자는 메모리 취약점을 악의적으로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조작하는 공격을 수행한다. 프로그램의 제어권을 탈취한 공격자는 ROP 공격과 같은 공격을 수행하여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는 코드를 실행한다. ROP 공격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보호하기 위한 기법은 주로 Return Address 및 Function Pointer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기법들이 연구되었으나, 메모리에 많이 상주하며 자주 사용되는 Data Pointer에 대한 보호 기법 연구는 미비하다. Data Pointer는 다른 포인터 객체보다 비교적 많이 선언되고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무결성 검증을 위한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논문에서는 Data Pointer 보호에 대한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면서 성능 영향을 대폭 줄이기 위해 하드웨어 지원 기능을 활용한다. ARM 아키텍처에서 제공하는 Pointer Authentication 기능은 하드웨어 기반 Keyed MAC 생성 및 검증 명령어를 제공하며, 이를 활용하면 포인터에 대한 무결성 검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컴파일 과정에서 Data Pointer의 선언 및 사용 부분을 분석하여 ARM PA 명령어를 삽입하고, 적절한 Context 값으로 MAC 값을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을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Data Pointer의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 KCI등재

        소스 코드 난독화 기법에 의한 Clang 정적 분석 도구의 성능 영향 분석

        진홍주(Hongjoo Jin),박문찬(Moon Chan Park),이동훈(Dong Hoon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8 No.3

        사물 인터넷 시장 규모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인 C/C++ 언어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C/C++ 언어의 코드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발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 전반부에서 수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검증기법인 정적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많은 프로그램들이 정적 분석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으며 많은 정적 분석 도구들이 사용 및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lang 정적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검증된 시험 코드에 대한 보안 약점 검출 성능을 확인한다. 또한 소스 코드 난독화 기법인 구획 난독화, 데이터 난독화, 제어 흐름 난독화 기법이 각각 적용된 시험 코드에 대한 정적 분석 결과와 원본 시험 코드에 대한 정적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소스 코드 난독화 기법에 따른 Clang 정적 분석 도구의 성능 영향을 분석한다.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of Things market, the use of the C/C++ language,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language in embedded systems, is also increas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code in the C/C++ language and reduce development costs, it is better to use static analysis, a software verification technique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first half of the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Many programs use static analysis to verify software safety and many static analysis tools are being used and studied. In this paper, we use Clang static analysis tool to check security weakness detection performance of verified test code. In addition, we compared the static analysis results of the test codes applied with the source obfuscation techniques, layout obfuscation, data obfuscation, and control flow obfuscation techniques, and the static analysis results of the original test codes, Analyze the detection ability impact of the Clang static analysis tool.

      • KCI등재

        백자 철화 인물형 명기의 염 손상 메커니즘 연구

        이선명,진홍주,윤지현,권오영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0 보존과학회지 Vol.36 No.5

        It was confirmed that a white porcelain figurine in underglaze iron was damaged after exhib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salt damage on the artifact and identifi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its deterioration by examining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artifact and exhibition environment. The analysis will thus assist in preparing a conservation scheme for artifacts. The crystallized carbonate on the surface of the white porcelain figurine is a water-soluble alkali salt with high hygroscopicity and high solubility in water. This solubility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백자 철화 인물형 명기는 전시 후 철수하는 과정에서 염 손상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유물의 보존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염 손상 상태를 분석하고 재질 특성과 전시환경을 검토하여 손상 메커니즘을 파악하였다. 명기 표면에 결정화된 탄산염(Na 2CO 3)은 수용성 알칼리염으로 흡습성이 높고 물에 잘 용해되며 온도가 상승할수록 용해도가 증가한다. 재질 분석 결과, 명기는 1000℃ 부근에서 소성된 저화도 백자로 연유(鉛釉)가 시유되었고 유약 면에는 빙렬이 있어 표면 물성이 취약한 상태였다. 전시환경 분석 결과, 공조기 가동에 따라 환경제어가 되는 전시실에 비해 진열장 내부는 온⋅습도가 높은 환경에 노출되면서 결로 등 수분환경 조성이 예측되었다. 또한 공조기 가동과 중단에 따른 급격한 온⋅습도 변화에 노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명기 내 잔류한 수용성 염이 온도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위인 유약층 표면 쪽으로 이동하고, 건조환경에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염의 결정화 압력 작용하여 표면 손상이 가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반도 중서부 출토 일부 고대 세라믹 유물의 제작기술 해석 : 예비 연구

        이찬희,진홍주,최지수,나건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보존과학회지 Vol.32 No.2

        차령산맥 남북의 7개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부터 조선시대 백자까지 시대적으로 일부 시료를 선별하여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정량분석을 통해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대상 선사시대 토기는 연질에 테쌓기한 흔적이 나타나며, 삼국시대 토기는 연질과 경질이 공존하나 자비와 저장용기는 모두 테쌓기한 반면 배식기는 물레성형하였다. 태토의 정선도가 높은 삼국시대 이후 토기와 달리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토기는 사질태토에 높은 광물 함량을 보이며, 태토보다 큰 비짐이 다량 확인된다. 청자와 백자 기질에서는 일차광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고온생성 광물의 함량이 높게 동정되었다. 분석시료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유적에 따라 주성분 및 미량원소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지구화학적 거동특성도 거의 동일하여 태토의 기본적 성질은 유사한 것을 지시한다. 작열감량은 0.01∼12.59wt.% 범위를 보여 편차가 크나,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로 가며 급격히 감소한다. 이들은 소성에 따른 중량감소율과 관련이 있으며, 태토의 소성도와 고온생성 광물의 검출 함량에 따라 5그룹의 추정 소성온도로 분류된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토기는 모두 750∼850℃ 그룹에 속하고, 삼국시대 토기는 750∼1,100℃의 소성온도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며, 청자와 백자는 1,150~1,250℃의 고온에서 소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시기에 따른 태토의 정선도와 소성온도 차이는 제작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원료수급과 소성방식이 변화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도 제작방법에 차이를 보이기도 하여, 단순히 한 방향으로 진화된 발전보다는 사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활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Some ceramic artifacts representing time-wise from comb pattern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to white porcelain in Joseon Dynasty were selected from 7 sites in the north and south area of Charyeong Mountain Range in order to making techniques interpret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ancient ceramics through physicochemical and mineralogical quantitative analysis. Studied pottery samples in the Prehistoric times showed trace of ring piling in soft-type, and pottery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had both soft and hard-type but kettle-ware and storage-ware were made with ring piling, but table-ware was made by wheel spinning. Different from pottery after the Three KingdomPeriod when refinement of source clay was high,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and in the Bronze Age exhibited highly mineral content in sandy source clay, which showed a lot of larger temper than source clay. Groundmass of celadon and white porcelain almost did not reveal primary minerals but had high content of minerals by high temperature firing. Ceramic samples showed some different in major and minor elements according to sites irrespective of times. Geochemical behaviors are very similar indicating similar basic characteristics of source clay. However, loss-on-ignition showed 0.01 to 12.59wt.% range with a large deviation but it rapidly decreased moving from the Prehistoric times to the Three Kingdom Period. They have correlation with the weight loss due to firings, according to burning degree of source clay and detection of high temperature minerals, estimated firing temperatures are classified into 5 groups.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and in the Bronze Age belongs from 750 to 850℃ group; pottery in the Three Kingdom Period are variously found in 750 to 1,100℃ range of firing temperature; and it is believed celadon and white porcelain were baked in high temperature of 1,150 to 1,250℃. It seems difference between refinement of source clay and firing temperature based on production times resulted from change in raw material supply and firing method pursuant to development of production skill.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production methods even at the same period and it is thought that they were utilized according to use purpose and needs instead of evolved development simply to one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