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수학교육을 위한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 개발

        진영석(Young-Seok Jin),이재무(JaeMu Lee)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6 No.1

        수학과는 위계성이 강한 단계형 교과로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을 고려한 수준벌 학습이 필요한 교과이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다인수 학급 및 보충지도 시간 부족 등으로 인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는 개별적인 수준별 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준별 개별화 학습을 지원하여 올바른 수와 연산개념의 형성을 위한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본 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학습 진척도와 성취도를 체크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단계를 자동으로 조절해 준다. 그리고 학습 중에도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힌트와 구체물 조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 기능을 제공한다.

      • KCI등재

        교육과정 연구의 대안적 관점: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

        진영석 ( Young Seok Ji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3

        Bobbitt와 Tyler로 대표되는 교육과정 분야의 초창기 학자들은 ``교육과정 개발``을 교육과정 연구의 핵심적 관심사로 간주하였으며, 그들의 접근방식은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에 관한 사고에 크나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가 기초로 하고 있는, 수단-목적 관계에 입각한 사고방식에서는 교육과정의 중심에 해당하는 교과와 마음을 그 외적 기능에 의하여 규정하며, 그 결과 교과와 마음의 내적 의미는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만다. 이에 비하여 Bruner의 이론, 그리고 Peters와 Hirst의 이론은 각각 교과의 내면화 문제, 교과의 정당화 문제에 초점을 두고 교과와 마음의 의미를 드러내면서 교과와 마음에는 수단-목적관계에 입각한 사고방식이 적용될 수 없다는 점을 일깨워주고 있다. 그렇기는 해도 이들 이론에는 불충분한면이 있으며, 보다 충분한 설명은 성리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교과공부를 통한 심성함양``으로 요약되는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은 한편으로 교과를 대면하고 있는 경험적 마음과 또 한편으로 그 이면에 들어 있는 형이상학적 마음 사이의 ``순환``에 의하여 교과의 내면화 문제와 교과의 정당화 문제를 설명하면서 그 두 설명을 한체계 안에 포괄하고 있다. 결국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은 Bruner의 이론, Peters와 Hirst의 이론을 한 체계안에서 보완하는 동시에 Bobbitt와 Tyler의 사고방식에 대한 보다 충분한 대안을 보여주고 있다. In the works of Bobbitt and Tyler, whic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mergence of the curriculum field and still have a great influence in these days, curriculum development is assumed as a typical case of curriculum study. However, they have not paid due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subjects and to the mind which are cultivated by learning the subjects, which results from their approach based on means-ends connecti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it is suggested in Bruner`s curriculum theory which raises the problem of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matter, and in the theories of Peters and Hirst which provide an argument for the justification of curriculum, although these theories require a complement to be more satisfactory ones. Neo-Confucianism, when interpreted as a curriculum theory, turns out to make up for their defects. It presents a theoretical system centering around ``the cultivation of the Mind-Heart(unmanifested or primordial mind) through learning the school subjects.`` In Neo-Confucianist curriculum theory,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matter and the worthwhileness of school subjects are explained in the light of the ``circular movement`` between the empirical mind and the Mind-Heart, and these two explanations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Thus, we could find in it a viable alternative to an approach based on means-ends connec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와 가치

        진영석 ( Young Seok Ji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3

        교육과정 통합은 적어도 인식론적 측면과 윤리학적 측면의 두 측면에서 검토될 수있다. 전자의 측면에서 보면, 엄밀한 의미의 교육과정 통합은, 허스트의 논의에 잘 나타나 있듯이, 인식론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허스트가 그의 논의에서 형이상학적 실재를 배제한 데에서 초래된 결과이다. 성리학에서처럼 그것을 인정한다면, 교육과정 통합은 경험적 수준에서는 성립할 수 없지만, 형이상학적 수준에서는 문자 그대로의 엄밀한 의미로 성립한다고 말할 수 있다. 후자의 측면에서 보면, 교육과정 통합이 지향하는 가치는, 듀이의 논의에 잘 나타나 있듯이, 흔히 실제적 문제해결에 의하여 규정된다. 그러나 그러한 규정에서는 교육 본래의 가치에 해당하는 ``훌륭한 사람``이 충분히 존중되지 않는다. 성리학에서 말하는 ``교과공부를 통한 심성함양``은 그 점을 교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 결국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에는 두측면에서의 올바른 설명이 불가분의 관련을 맺으면서 한꺼번에 들어 있다. 교육과정 통합의 기원이 듀이의 이론에 있다면,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은 그 좋은 대안이 된다고 보아야 한다. Curriculum integration requires a close examination from at least two aspects. One is the epistemological aspect, and the other is the ethical one. From the former aspect, it seems that curriculum integration, understood in its strict sense, is a something unintelligible, as is undoubtedly suggested in Hirst`s thesis concerning the forms of knowledge. However, it is made intelligible in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While Hirst rejects the metaphysical reality and inevitably leads to the thesis of the irreduciblility of different forms of knowledge,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offers the view that the unity of all knowledge is realized in the Mind-Heart, that is, ``the unmanifested or primordial mind``, which is cultivated through learning the school subjects. From the latter aspect, curriculum integration is often valued by its practical utility in everyday life, as is evident from Dewey`s theory of curriculum. In this view, knowledge is not valued for its own sake and little attention is paid to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However,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clearly shows that the pursuit of knowledge leads us to the sagehood which might be said to be the proper state of educated person. In brief, the explanations of curriculum integration from the two aspects find their true forms in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and in it they constitute an integrated whole. And if the idea of curriculum integration originates from Dewey`s theory of curriculum,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could be said to present a viable alternative to it.

      • KCI등재

        심성함양의 매체에 관한 플라톤의 사상: 「법률」과 「국가론」의 분석

        진영석 ( Young Seok Ji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1

        플라톤의 대표적 저작인 「국가론」과 「법률」은 정치 문제나 종교 문제도 논의하고 있지만, 이들 논의는 어디까지나 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성리학의 용어로 말하자면, 이두 대화편은 정치나 종교의 초점이 ‘심성함양’에 맞춰져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물론, 정치나 종교가 심성함양에 기여하는 방식은 교육이 그것에 기여하는 방식과 동일하지 않다. ‘매체 이론’에 의하면, 경험적 마음을 형이상학적 마음인 ‘심성’으로 이끄는 매체, 즉 심성함양의 매체는 ‘개념’, ‘비언어적 상징’, ‘언어적 상징’의 세 가지로 분류되며, 이 각각을 활용하는 전형적인 활동은 교육, 정치, 종교이다. 이 점은 「국가론」과 「법률」에 있어서도 대체로 성립하지만, 「법률」에 부각되어 있는 종교는 주로 ‘언어적 상징’보다는 ‘비언어적 상징’을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은 「국가론」의 ‘최선의 국가’ 또는 ‘이상 국가’와 「법률」의 ‘차선의 국가’ 또는 ‘현실적인 국가’ 사이의 차이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전자의 ‘철학자·군주’가 예시하는 것과 같은, ‘개념’을 통한 심성함양은 후자의 일반 시민이 예시하는 것과 같은, ‘비언어적 상징’을 통한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논리적 조건이 된다는 것이다. 결국 엄밀한 의미의 심성함양은 ‘개념’을 통하여 일어난다고 보아야 하며, 이때의 ‘개념’은 후기 교육에서 다루어지는 것과 같은 이론적 교과에 들어 있다. 그리하여 「국가론」과 「법률」에 나타나 있는 플라톤의 견해는 이론적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일로서의 교육이 우리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Contrary to the prevailing view, Plato’s Republic and Laws, which are representatives of his works, have education as their main theme. They contain many subjects including politics and religion, but these subjects are discussed with the focus placed on education. In his view, education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conversion of the soul from the sensible world to reality, which is equivalent to the Mind-Nature cultivation in Neo-Confucianist theory of education. Thus, just like education, politics and religion are seen to contribute to the Mind-Nature cultivation, although their ways of contribu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is a theory which argues that those three activities are typical ones which use ‘concept’, ‘non-verbal symbol’, and ‘verbal symbol’ respectively as their own media of Mind-Nature cultivation. This theory is applicable to those two dialogues of Plato, except that ‘non-verbal symbol’ is mainly used as a medium in religious activities which are of vital importance in the Laws. Anyway, the theory casts light on the question of 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st state of the Republic and a second-best state of the Laws should be understood. The Mind-Nature cultivation through ‘concept’ is logically prior to the Mind-Nature cultivation through ‘non-verbal symbol’, and the latter could be realized only when the former is realized to some degree. While the ‘philosopher-king’ of the Republic exemplifies the former, the ordinary citizens of the Laws exemplify the latter. In a word, the exemplar of the Mind-Nature cultivation can be found in the Mind-Nature cultivation through ‘concept’. This conclusion calls for renewed attention to the school subjects, particularly to the theoretical ones in which ‘concept’ is contained.

      • KCI등재후보

        지식교육을 통한 심성함양: 도덕교육적 함의

        진영석 ( Young Seok Ji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일반적으로 도덕교육은 지식이 아니라 행동에 그 초점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그 점에서 지식교육과는 별개의 것으로 여겨지지만, 여기에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피터즈에 의하여 제시된 ‘도덕교육의 파라독스’, 즉 습관과 이성 사이의 파라독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에 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서, 도덕교육에서 지식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답하는 과정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천적 지혜’ 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면서도 이론적 지식의 의미는 부정하지만, 피터즈는 도덕교육에서 이론적 지식이 의미 있게 취급될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그러나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이론적 지식이 지니는 본격적인 의미는 성리학의 논의에 잘 나타나 있다. 성리학의 교육이론에 의하면 도덕적 지식을 포함한 여러 이론적 지식은 ‘심성’을 함양하는 결정적 통로이며, 그’심성’을 함양하는 것이 도덕적 행동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길이다. 지식교육은 ‘심성’을 매개로 하여 도덕교육과 불가분의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다. 성리학의 사고방식이 옳다면, 도덕교육의 온당한 방안은 도덕적 행동을 하게 하거나 그것과 관련된 정서, 의지 등을 길러주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교과를 잘 가르치는 데에 있다. It is often assumed that moral education is primarily concerned with action rather than with knowledge. However, as is evident from the ``paradox of moral education``, which has its origin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nd was first formulated by R. S. Peters, emphasis should also be placed upon ``knowledge``. Aristotle emphasizes the role of practical wisdom(phronesis) in cultivating the moral virtues, but he excludes theoretical knowledge from the domain of moral education. Unlike him, Peters suggests that the promotion of theoretical activities may be included in moral education in its broad sense, although he does not go further to take seriously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can lead us to a moral person. On the other hand, Neo-Confucianist theory of education clearly shows that various kinds of theoretical knowledge are of critical importance in cultivating the ``unmanifested or primordial mind`` from which our moral actions naturally flow. In this view, the most promising way of becoming a moral person lies in the cultivation of the Mind-Nature through learning the school subjects most of which are theoretical ones. If this view is valid, the prevalent view of moral education, which emphasizes cultivating the emotions or strengthening the will as a way to moral action, could be said to distract us both from the significance of the school subjects and from the proper meaning of moral education, and therefore should be reexamined in a fundamental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