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전공 학생들의 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진성희,김재희,Jin, Sung-Hee,Kim, Jae H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convergence competence of under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and analyze its educational effect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ing students, 13 experts in engineering education field surveyed the need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nd 829 students from four engineering colleg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rea and Honam area were assessed for the level of convergence competency.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needs analysis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four major themes: convergence lecture, convergence competence, convergence practice, and convergence vision.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the two expert validation tests. A total of 4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election of 10 students from each of the four universities. As a result of pre-post comparison of students' convergence competencies, the average of all competencies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vergence mindset, differentiation mind, commitment, communication, and social value competenc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programs and convergence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력이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Sung-Hee, Jin),김균희(Gyun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입학 초 대학생활적응력 검사결과가 그들의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H대학 신입생 중 대학생활적응력 진단검사에 참여한 1002명의 대학생들이다. 이 연구에서 는 신입생들의 대학적응력수준이 입학당해년도, 1년 후, 2년 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2년 후 중도탈락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및 이 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입학 첫 학기와 이후의 학업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은 학문적 통합성, 학업시간 충분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통합성은 대학생의 첫 학기 학업성취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나, 1년 후, 2년 후 학업성취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교육 만족도는 입학 첫 학기, 1년 후 학업성취수준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2년 후 중도탈락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적응력진단도구의 일부 변인이 입학 당해 및 이후의 학업성취수준과 중도탈락여부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적응력 진단도구의 전체를 활용하기 보다는 일부 결과를 활용해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 results of freshmen’s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affect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Participants were 1002 freshmen from H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the adaptability test to university lif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shmen s college adaptability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year, one year, and two years after admission. The binary 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reshmen s college adaptability on drop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semester and beyond of college students were academic integration and learning time. Second, social integr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the first semester, but it does no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level after one year and two years. Thir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education affects negatively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the first semester and one year after admission, and it is a factor to decide whether to drop out after two years. Fourth,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adaptation test at the beginning of admission showed a low degree of predic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dropout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some variables of the scales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dropout. The results of the adaptability test of university life were used to discuss ways to help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 KCI등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진성희(Jin S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온라인 토론활동은 교육적 효과가 있는 교수학습활동이지만, 가상의 공간에서 비동시적으로 음성이 아닌 문자로 의견을 주고받아야 하기 때문에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온라인 토론학습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토론활동과정에서 학습자들의 토론참여에 대한 정량적 피드백은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제공하고 토론의견에 대한 정성적 피드백은 교수자와 동료가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온라인 토론활동지원 피드백 시스템의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2회에 걸친 전문가 타당화 검사를 통해 수정·보완된 설계안에 따라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위한 연구참여자는 H대학교의 31명의 대학생들이고 효과 평가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K대학교 44명의 대학생들이다. 두 대학교의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개발된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에서 2회 동안 온라인 토론활동을 수행하였고 필요에 따라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성 측면의 하위 네 개의 변인에 대해 학습자들은 모두 상당수준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개방형 질문에 대한 학습자들의 응답을 통해 시스템과 대시보드의 기능적 효과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개발된 시스템에서의 온라인 토론활동을 통해서 온라인 토론학습에 대한 태도 및 온라인 쓰기 효능감에 있어 통계적인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시스템의 기능별 만족도 및 대시보드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은 사용성 및 효과 평가를 통해 대학교육환경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의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r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at have an educational effect, but there are technical limitations because opinions must be exchanged asynchronously in a virtual space by text rather than v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provide quantitative feedback on learners participation in discussions, and qualitative feedback on discussion opinions to be provided by instructors and colleagues, and to evaluate its usability. The design of the feedback system was prepar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previous studies. The system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system design plan through two expert validation tests.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usability test of the developed system were 31 university students at H University, and 44 university students at K University were participating in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Research participants conducted two rounds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developed system and conducted pre- and post-tests as needed. Studies have shown that all four variables related to usability were positively evaluated at a significant level, and the functional effects of the system and dashboard were confirmed through learners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s. In addition, through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developed system,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online discussion learning and online writing efficacy, as well as on the functional satisfaction of the system and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the dashboar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feedback system to suppor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cable to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s through usability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discussed.

      • KCI등재

        방 안의 코끼리와 만저우리의 코끼리 : 영화 <大象席地而坐>가 그리는 중국의 오늘

        陳性希(Jin, Sung-Hee)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1 No.-

        본 연구는 후보의 영화 <코끼리는 그곳에 있어>가 중국의 오늘과 인간의 삶을 향한 서사를 어떻게 구축하였는지 그 재현의 미학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며, 이러한 <코끼리>의 서사가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던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논한 것이다. <코끼리>는 비전형적인 극영화 플롯 구성 방식 중 하나인 다중시점과 탈프레임 시퀀스, 트래블링 카메라 워킹으로 현실을 재구축하고, 이로써 국가와 사회 시스템의 구조적인 배제 하에서 발생되는 개인에 대한 폭력과 공동체를 위한 법과 제도에 의해 소외당하는 중국 민초들의 불행의 악순환에 대해 고발한 영화다. <코끼리> 속 인물들은 가족과 사회 공동체의 진정한 일원으로 존재하고 싶었지만 배제당하며 만저우리 동물원이라는 토포필리아를 찾아 이동한다. 그들은 우리 속에 앉아 있는 코끼리를 사회 속에서 최소한의 안정이라도 취할 수 있는 주체로 바라보았다. 어느 곳에서나 상실감을 얻은 인물들은 동물원의 코끼리처럼 구속될 것을 바라며 그것을 구원의 한 양상으로 인식하는데, 후보는 이와 같은 묘사를 통해 중국의 현실을 비판하는 것이다. 또한 후보는 소외당한 인물들이 코끼리를 보기 위해 함께 하는 여정에서 자신과 유사한 처지에 있는 이들에게 다가서는 동시대인으로서의 모습도 그리고 있다. 이에 우리는 <코끼리>를 통해 사회의 내부에 늘 존재하지만 쉽게 망각하고 살아가는 문제들에 대해 의식해야 한다는 것을 환기할 수 있으며, 호모 사케르가 양산되는 이 시대에 동시대인으로 서는 것이 인간 사이의 작은 연대라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considered how An Elephant Sitting Still, a film directed by Hubo, established the narrative about China of today and human life, around the aesthetic of reproduction and discussed what suggestions such a narrative of An Elephant Sitting Still provides to us. An Elephant Sitting Still established the narrative with multi-views, post-frame sequences and traveling camera walking, which are some of atypical plot composition methods of film dramas. It, therefore, exposes daily violence occurring under the structural exclusion by national and social systems and the vicious cycle of tragedy and misery, experienced by Chinese grass roots alienated by laws and institutions for the community. Although characters appearing in An Elephant Sitting Still hope to be true members of families and the social community, they are thrown away and excluded, so they move toward the Manzhouli zoo, Topophilia. They viewed an elephant sitting in a cage as the subject who can take a minimal rest in the society. All characters feeling deprived anywhere desire to be constrained, like elephants in zoos, while recognizing such constraint as a mode of salvation. By using such a description, Hubo criticizes the Chinese reality. He also, however, describes the ‘small solidarity’ in which alienated characters approach others who are placed in a similar situation, in the journey together to find out elephants. We may feel that it is necessary to be conscious of a problem which has always existed in our ‘inside’, but of which we have been forgetful, and can take a glance at how to exist as ‘contemporaries’ in the era in which Homo Sacar is continued to be massively produced.

      • KCI등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에서 대시보드 유형과 학습자 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은 면대면 활동에 비해 많은 교육적 강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이라는 자율적·독립적인 학습환경에서 비동시적으로 토론이 이루어지다 보니 학습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해 주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대시보드 관련 선행연구들은 개발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 교육적 효과를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가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토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2018학년도 2학기 H대학교의 ‘평생교육과 창의성’ 두 분반에 수강한 54명의 학습자들이었다. 독립변인은 대시보드 유형과 사회비교동기, 온라인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인식, 자기성찰수준이었고 종속변인으로는 참여도, 상호작용, 학습성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이었다. 28명의 A집단에게는 참여도 대시보드를 제공하였고 26명으로 구성된 B집단에게는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하였다. 사전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이 확인되었고 2회에 걸친 온라인 토론활동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토론에서는 두 집단 간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차 토론에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 받은 B집단이 실제 온라인 토론에 더 많이 참여하고 상호작용 빈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시보드 유형별 학습자들의 온라인 토론학습에 대한 학습성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모두 제공받은 집단이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된 상호작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성찰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성과와 인지된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대시보드유형과 학습자 특성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대시보드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synchronous discussions take place in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learning environment, so learners need more engagement and effort. As a wa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to suppor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provide a dashboard form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Research on dashboards for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focuses mostly on development, and there were few studies that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 to learn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s o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er's discussion activities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were 54 learne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dashboard type, social comparison motivation, perception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and self-reflec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participation, interaction, learning outcome,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Group A with 28 learners provided a participatory dashboard and group B of 26 learners provided a participation and an interaction dashboards.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pre-test,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rough two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post-test result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irst discussion, but the group B receiving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 in the second discussion, participated more in the actual online discussion, it was also found to have a lot of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both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 of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 - reflection level perceived more positively about learning outcomes and perceived interactions with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han the low group.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dashboard type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use of dashboards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팀기반 온라인 토론의 내용분석을 지원하는 대시보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진성희 ( Sung-hee Jin ),유미나 ( Mina Yoo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학습자의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론활동에서 산출되는 학습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시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시보드 개발 관련 선행 연구에서는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 및 상호작용 중심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에게 토론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제한점이 있어 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토론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가 토론내용에 대한 성찰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토론내용분석을 지원하는 대시보드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사용자의 경험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대시보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산출물 및 도구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설계·개발 연구 방법의 유형 1을 적용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시각화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토론활동의 내용분석을 지원하는 ‘중심단어 대시보드’와 ‘메시지유형 대시보드’를 개발하였고, 대시보드의 주요 사용자인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및 사용자 경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심단어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만족감 항목에 가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참신성’ 항목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자는 교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존성’ 항목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균 점수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메시지유형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학습자는 만족감, 유용성, 학습용이성, 사용용이성 순으로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교수자는 학습용이성, 사용용이성, 만족감, 유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효율성’, ‘자극성’ 항목의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학습자는 ‘매력성’, ‘명확성’, ‘의존성’ 항목에 대해 평균 점수가 낮게 도출되었다. 두 대시보드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온라인 토론 내용분석을 지원하는 대시보드의 활용 가능성과 토론 내용 대시보드의 교수설계 관련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ies of analyzing the learning data generated from discussion activities that can enhance the learners’ higher order thinking abilities and visualizing the results of learning analysis are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ashboard development have been limited in providing feedback on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because they are focused on discussion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this study, we adopted Rickey & Klein(2007)’s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type 1 and developed two types1) keyword, 2) message typesof dashboard to support the analysis of the discussion contents so that the learners can reflect on the discussion contents in the online discussion learning environment. Also we evaluated user experience by conducting the usability test and the user experience evaluation. As a result of usability test for keyword dashboard, both learners and instructors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user experience evaluation, both the learners and the instructors showed the highest score on the ‘novelty’ and the learners’ user experience score on the ‘dependability’ item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instructors. As a result of usability test for message types dashboard, learners showed higher average score in order of satisfaction, usability, ease of learning, and ease of use. Instructors showed higher average score in ease of learning, ease of use, satisfaction, and usability. As a result of the user experience evaluation, both the learners’ and the instructors’ ‘efficiency’ and ‘stimulation’ showed high scores and relatively, the learners had low scores on ‘attractiveness’, ‘perspicuity’, and ‘depend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two dashboards, the possibility of using dashboard to support online discussion contents analysis and implications if instructional design of discussion activities.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서비스에 대한 학교교육 이해관계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진성희 ( Sung-hee Jin ),유미나 ( Mina Yoo ),서경원 ( Kyoungwon Seo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Generative AI technology holds transformative potential for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s in public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 needs of school stakeholders regard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To explore these needs, a survey involving 127 teachers, 225 students, and 127 parents in Seoul was conducted. The analysis of perceptions regard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upport revealed that teachers were comparatively more positive than students and parents in perceiving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such services.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 scenarios among the three group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higher effectiveness than students and parents. When prioritiz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all three groups expressed a common need for support in basic academic skills and recommend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However, teachers and parents exhibited a higher demand for student learning history management, while students emphasized a greater need for career guidance. Regarding support for realizing personalized education based on AI, high needs were identified for edutech devices, training on their usage, and reducing administrative work. Basing on the study results, we discuss pertinent issu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I-based education services.

      • KCI등재

        남북한 ICT 리터러시 교육 비교 연구

        진성희(Sung-hee Jin) 한국통일전략학회 2006 통일전략 Vol.6 No.2

        주요선진국들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ICT 리터러시를 현대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이라고 인식하고 각 국민의 ICT 리터러시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남한 또한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정보화 촉진 방안 및 교육 정보화 정책에 따라 정보 인프라 측면뿐만 아니라 국민의 정보화 수준 또한 세계에서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비해 북한은 하드웨어 분야와 함께 정보화 수준에서 비교적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남북한 간의 정보 격차(digital divide)는 막대한 통일비용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통일 전부터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문제이다. 남북한 간의 정보격차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한 분야로서 남북한 ICT 리터러시 교육 목표 및 교육현황을 교육과정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한의 경우 교육과정 상에 초·중등 단계에서 ICT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북한의 경우 초등은 아예 다루고 있지도 않고 있으며 중등에서도 컴퓨터 이해 및 조작 기능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한 ICT 리터러시 교육 수준 간에는 상당한 격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북한 간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남한에서 무조건 지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남북한 모두 win-win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모색해야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정보격차 해소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남북한 ICT 리터러시 교육이 같은 방향을 지향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남한의 북한 ICT 리터러시교육 전문가를 양성하여 이들이 북한의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 및 여건을 조성하도록 한다. 셋째, 일본, 러시아,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동포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북한이 정보화에 대한 마인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Most countries of the world including main developed countries consider ICT literacy as the basic competence of people today and make an effort to execute ICT literacy education. South Korea has an excellent reputation for ICT infrastructure established and the level of people' s information literacy promoted by Informatization Promotion Plan and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that was launched at the late of 1980. Whereases, North Korea lags behind South Korea both in hardware and informatization. Digital divid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ould be possible to make to pay a big amount of unification cost, so that is a problem to try to be solved before unification. ICT literacy education goals and status of North and South Korea were analyzed in order to check exactly the digital divid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all the difference in ICT literacy edu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South Korea, the curriculum related to ICT literacy contained all component of ICT literacy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ages. In North Korea, there was no the curriculum related to ICT literacy in primary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had some contents related to computer understanding and operating. Win-win strategies have to accepted to solve the digital divide. Therefore, the following three solutions of digital divide were suggested: First, ICT literacy edu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have to perform toward the same goals. Second, experts about ICT literacy education of Noth Korea have to be trained in South Korea. They can establish the system or environment to support to ICT education of North Korea. Lastly, the opportunities to be able to be changed Informatizational thoughts of North Korea have to be set with Korean residents in Japan, China, Russia.

      • KCI등재

        프로그램 교육목표 개선을 위한 수행문제분석 및 추진전략 수립

        진성희(Sung-Hee Jin),이명규(Myongkyu Lee),유미나(Mina Yoo),연혜선(Haeseon Y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1 공학교육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formance problems in establishing and improving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PEO) and to set up action strategies for the civil engineering program at the A university. To fulfill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typical needs analysis model, research problems were defined, current conditions and desired conditions were identified, discrepancies and their reasons were examined, and action strategies were derived. Current conditions and desired condition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A civil engineering program s self study report,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with constituents. After the discrepancies and the reasons were examined, performance problems and field for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draw short term and long term action strategies to improve PEO. Short term action strategies were to announce PEO to current students, to hold faculty seminars to establish and to improve PEO, to renew the list of constituents regularly, to composite an annual milestone, to define roles of the committees, and to enforce educational opportunity toward industrial advisory board members. For the long term strategies, improvement and documentation of PEO assessment system, collection and analysis of constituents suggestions, establishment of effective accreditation support system, and arrangement of compensation system for the faculties who are in charge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responsibility.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성찰 및 강화방안

        진성희 ( Sung Hee Ji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교사에게 기대하는 다양한 역할 중 핵심은 교과를 전문가답게 가르치는 활동이다. 최근 들어 교사의 성공적인 교수활동을 밝히고자 ‘교수역량’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성찰 및 강화방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 준비교육에 시사점을 얻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 4학년 78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교수역량 강화방안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의견이 분석되었다. 교수역량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 결과, 대체적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은 평균 수준 이상의 교수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스스로 평가하고 있었다. 영역별로는 심리적 특성, 학습촉진, 교수안내, 특질, 교수설계 및 개발, 지식, 평가 순으로 평가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평가관련 교수역량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 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심리적 특성 영역에 대해서만 남자에 비해 여자 예비교사의 자기평가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예비교사들은 교수역량 강화방안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강좌 운영 내실화, 교육실습 운영 개선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한 의견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어 교수역량 강화방안이 제안되었다. The key activity of teachers is a teaching activity among various roles. A number of research related to ``teaching competencies`` have been performed for exploring effective teaching performance. Teaching competencies mean what teachers take to perform teaching successfull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78 seniors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ir self-examinations on teaching competencies was taken and the plans to enhance teaching competencies in terms of pre-teachers`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They reported that they could perform most of teaching competencies at the average level and above, expecially teaching competencies belonging to categori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uidance. On the other hand, they estimated the teaching competencies related to ``evaluation`` deficient respectively. And female pre-teachers estimated their teaching competencies belonging to category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igher than male pre-teachers. The plans to enhance teaching competencies that pre-teachers` reported were categorized into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dvancement of lectures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eaching practicum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