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한류 소통 방식의 변화

        진달용(Jin Dalyong)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이 본 논문은 최근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하에 한류의 소통방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관한 논의이다. 특히 넷플릭스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한류생산자들이 어떻게 이에 대처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비대면 시대의 한류 소통방식 변화에 대한 담론을 전개한다. 비대면 시대 한류의 해외진출방식의 변화와 함께, 넷플릭스 시대 문화소비 양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플랫폼시대 문화의 소통은 문화의 생산·유통·소비에 있어 문화가 시청자에게 어떻게 전달되며, 변화된 미디어 생태계 속에서 대중문화가 시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어떤 방식으로 실현되는가를 집중 논의한다. This paper discusses a shift in communicative methods of the Korean Wave in the midst of a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It especially examines the ways in which cultural creators deal with the increasing role of Netflix in the Korean cultural sphere. Then, it analyzes new patterns of cultural consumption in the COVID-19 era, while investigating the change in the flows of cultural content. It investigates how cultural content can be accessed when people cannot attend public cultural events. Eventually, it discusses how cultural products flow to global audiences in the digital platform era.

      • KCI등재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진달용(Dalyong-Jin),고영준(Young-Joon K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2 언론과 사회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담론 구축 경쟁이라는 관점에서, 정부-과학계의 친 원전담론과 반핵시민계층의 반 원전담론을 다루는 TV뉴스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TV뉴스는 위험의 과학적 합리성을 주장하는 과학계와 위험의 사회적 합리성을 주장하는 하부 정치 세력의 건전한 위험소통의 채널 역할을 하고 있지 않았다. 도리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소통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폐장의 위험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고 사회적 갈등과 대립에만 주목했다. 지역주민의 위험수용 과정인 주민투표를 지자체 경쟁에만 초점을 맞춰 경마중계식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또한 방폐장 건설에 치명적인 해수유입과 연약암반과 같은 ‘위험요인’에 대한 논의를 회피하는 친 원전담론의 보도태도를 보였다. ‘불안’의 정치적 정파성에서 촉발된 위험담론의 소통의 과정을 사회적 일탈로 다룬 반면, 정부측의 폐기물 ‘포화담론’의 뉴스기사는 지속적으로 생산했다. TV뉴스는 원자력 담론을 다룸에 있어 안정성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합의’의 공공담론 형성에 실패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levision news coverage of nuclear waste storage facilities. I study two cases, those of Boo-An and Gyeong-Ju, Boo-An is a case in which local citizens opposed the placement of a facility in their city. Gyeong-Ju is a case in which there was cut-throat competition between multiple cities who wanted to host a nuclear waste facility. I have divided each of these cases into two periods, and have analyzed each of these four periods. In so doing, I was especially concerned with competing pro-and anti-nuclear discourses.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three primetime television news programs(KBS, MBC, SB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is study shows that scientific news on Television is biased, generally adopting a nuclear-friendly discourse. <br/> Television news during Period I focused on the frame of violence, neglected the frame of risk, and failed to identity the cause of the civil strife. Television news during Period Ⅱ became more conservative, and chose more nuclear-friendly key words, such as “Wonjeon Center.” Televisions news during Period Ⅲ focused on the corruption issue and cut-throat competition, and also omitted the frame of risk. During Period IV, despite the presence of severe risks related to the induction of sea water and the rise of fragile bedrock, Television news continued to present only a nuclear-friendly discourse.<br/> From the standpoint of risk communication, the news media is expected to perform the role of mediator in order to create a social consensus regarding nuclear energy policy for the sustainable progress. Unfortunately, television news is currently failing to do so.

      • KCI등재
      • KCI등재

        신한류의 문화정치

        진달용(Jin, Dal Yo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4 문화와 정치 Vol.1 No.1

        본 논문은 2008년 이후 새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는 신한류시대의 문화정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문화정치는 크게 한국 경제성장의 주요 요소였던 국가개입주의 (developmentalism)와 신자유주의 (neoliberalism) 이념을 반영하는 소규모 정부 형태 사이의 이념대립 과정에서 특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정부는 다른 비서구 국가들과 같이 신자유주의 정책을 도입해 국가의 역할을 축소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국가개입주의의 전통에 기인해 국가의 역할을 강화하는 측면도 있다. 본 논문은 신한류시대 신자유주의 이념 주창자들이 국가의 역할을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가 어떤 형태로 문화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신한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담론을 전개 하였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role of Korean state within the context of both developmentalism and neoliberalism with a focus on the politics of the Korean Wave. It investigates the reasons why the Korean state has not completely eliminated its unique role in the era of neoliberal globalization, which emphasizes a decreasing role of the nation-state. It especially maps out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state has continued its role based on developmentalism in the realm of cultural industries, which has resulted in the recent growth of New Korean Wave since 2008.

      • KCI등재

        De-convergence

        Dal Yong Jin(진달용) SBS 2009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7 No.1

        미디어 산업계는 지난 21세기 초부터 탈 융합이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고 있다. 기존의 융합을 통한 기업의 확장을 추구하기보다는 탈 융합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려는 움직임이 급격히 일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탈 융합이 미디어산업계의 새로운 경향으로 대두하게 된 배경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선진국들의 방송사들이 왜, 그리고 어떠한 방법으로 탈 융합을 추진하게 됐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논의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탈융합이 융합을 대신하는 새로운 경향으로 미디어 산업계에서 자리 잡을 수 있을지에 대해, 탈융합의 의미의 영향을 논의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탈 융합이 반 독점법과 미디어 산업 규제 등에서 보여지고 있는 여러 목적들, 예들 들어 미디어 업체간 경쟁 강화, 다양성, 그리고 민주주의 증진이라는 목표들을 달성하는 데 기여했는지에 대한 담론을 전개하고 있다. Since the early 21<SUP>st</SUP> century, several media companies, including Time-Warner, Viacom, Walt Disney, and Vivendi, have utilized de-convergence as a new business model. The emergence of de-convergence in the communication industry has raised a fundamental question, that being whether de-convergence will become one of the major business models in changing the ownership structure and system.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shifting trend and applies it in relation to digital media, including Internet, mobile, cable, and television. It analyzes why and how communication giants in Western countries, particularly the U.S. broadcasting industries, have pursued de-convergence in recent years.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practice of convergence between the early 1990s and 2007. Then, it maps out how media companies have pursued de-convergence through split-off and spin-off strategies as their new business model. Finally, the paper articulates whether the de-convergence trend has consequently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policy goals of competition, diversity, and promotion of democratic discourse that are embedded in antitrust laws and regulations relevant to mass media.

      • KCI등재

        Critical Interpretations of Digital Labor on Digital Platforms

        Dal Yong Jin(진달용) SBS 2016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4 No.2

        21세기 초에, 소셜 네트웍 사이트, 검색 엔진,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플랫폼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플랫폼을 기술철학의 전통 중 기술 비판론 입장에서 해석한다. 기술철학의 세 가지 측면, 즉 도구적 이론부터 비판적 이론까지를 설명하고, 이를 플랫폼 기술에서 어떻게 적용•확대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특히 본 논문은 플랫폼 기술을 기술비판적 입장에서 해석하는 바, 이는 기술과 인간 간의 관계, 특히 기술과 노동과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디지털 플랫폼 소유자와 기업들이 디지털 노동자를 어떻게 유용하는지를 자유노동과 렌트라는 개념을 통해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플랫폼에 의존하는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분석적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했다. In the early 21<SUP>st</SUP> century, digital platforms, such as social network sites, search engines, and smartphones and their operating systems, have rapidly grown and changed people’s daily activities. This article add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platforms from the standpoint of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the tradition of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It explic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technology, from instrumental theory to substantive theory to figure ou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ritical theory. It applies these frameworks to platform technologies, but mainly from the critical approach of technology, in order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particular digital technology and labor. Finally, it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digital platform owners and corporations appropriate digital labor and their platform in making profits through ‘the dual extraction of free labor and rent’ in order to provid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platform-driven capitalist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