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두 단백 효소 가수분해물의 抗菌活性 펩타이드 탐색

        주정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study peptides derived from hydrolyzed soybean proteins, defatted soybean was hydrolyzed with 5 proteases and then teste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tested.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peptide, soybean protein was isolated from soybean flour, and was digested with 5 protease. Ultrafiltration(UF) was carried out with regenerated membrane filter of 10,000 3,000 and 1,000 molecular weight cut-off and each fractions were measured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strongest fraction was further purified as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using Sephadex G-25 by eluted deionized water. The fraction was luther fractiona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isolated 8 fractions. The forth peak of soybean protein hydrolysate treated with Aspergillus saitoi protease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Finally the separated antimicrobial peptide was sequenced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Among the soybean protein hydrolysates, Aspergillus saitoi protease hydrolysate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2. Aspergillus saitoi protease hydrolysate of the soybean protein were fractioned by ultrafiltration(M.W. 10,000, 3,000 and 1,000).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revealed that M.W. 1,000~3,000 fraction had the strongest. 3. The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s of the Aspergillus saitoi protease hydrolysate of the soybean protein was 0.5~0.8mg/㎖ for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microbials. 4. Aspergillus saitoi protease hydrolysate of the soybean protein was very stable for heating. 5. Two fractions(F1 and F2) obtained by GPC were searched for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F2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6. Eight fractions obtained by HPLC were collected and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mong them, peak [Ⅳ] of RT 16.0183 fraction showed prominent antimicrobial activity. 7. Sequence of the antimicrobial peptide was H_(2)N-G-P-P-G-V-V-A-T-V-V-A-A-R-COOH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to be 1,633.03.

      • 해금 실기 교수·학습 도구의 분석적 고찰 : 연습곡을 중심으로

        주정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악 연주가에게 숙련된 연주 기술의 습득은 필수적이다. 효과적인 연주 기술의 습득을 위해서는 연주자의 수준과 각 음악 양식에 적합한 교수·학습 도구 및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해금 실기 교육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도구는 교본 및 악보로써, 이들은 편찬된 맥락에 따라 전통음악 교본, 기초연습 교본, 창작음악 교본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해금 실기 교육에 사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도구를 수록된 연습곡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것들이 특히 전공자 교육의 맥락에서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어 현대 해금 창작곡의 음악어법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확장된 연주기술적 요구를 조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해금 실기 교수·학습을 위한 도구, 즉 연습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 전통음악 교본은 주로 잘 채보된 또는 객관화된 악보를 수록하는 것에 주안을 두고 있으며, 이는 연주법의 체계적이고 집약적인 습득을 위한 교수·학습 도구의 적극적인 개발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둘째, 현행 해금 기초연습 교본은 해금 입문자 및 초보자를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 도구로, 기본적인 운지법을 익혀 친숙한 악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주안을 두고 있다. 여기에 수록된 연습곡은 연주 기술의 체계적 훈련보다는 기초적인 음계를 익히기 위함으로, 이는 전문 연주가 및 기초 주법을 익힌 전공자의 학습보다는 초보 학습자에게 적합하다. 셋째, 현행 해금 창작음악 교본은 사실상 위촉곡 악보집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일부 교본에서는 각 곡 악보의 서두에 출현 음역 및 운지법 변화 양상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해당 곡을 연주하기 위한 부수적인 참고자료로 기능하며, 창작음악의 연주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수·학습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넷째, 현대 해금 창작음악 어법의 확대와 연주법의 확장에 주요하게 기여한 작곡가 총 10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해금 창작곡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20세기 중·후반, 즉 창작음악의 초창기에는 전통음악의 음계와 장단을 기반으로 한 악곡이 주를 이룬 반면, 21세기 작곡가가 대거 출현하고 다양한 음악어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에 따라, 점차 전통음악의 어법을 벗어나는 악곡들이 등장하였고 해금 주법에도 많은 확장이 일어났다. 다섯째, 대개 해금 전공자의 실기 교육에서 창작음악은 전통음악을 통해 기본적인 기량을 쌓은 후에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만, 위에서 고찰한 내용을 통해 전통음악에서 창작음악으로 단계가 전이될 때 이를 연결해주는 교수·학습적 장치가 부재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해금 전공자 및 예비 연주가들의 효과적인 현대 창작음악 연주법 습득을 위한 교수·학습 도구, 즉 연습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해금 실기 교수·학습 도구 및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창작곡 연주를 위한 최적화된 교수·학습 체계가 확립, 전공자를 위한 충분한 연습곡이 마련되어 해금 실기 교육에 발전적인 통로가 되길 기대한다.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비스대상 및 비대상 청소년의 효능감 비교를 중심으로

        주정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저소득계충인 빈곤계층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을 받을 기회와, 이들 자신에게 의미 있는 학습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한 사회의 성원으로 주체적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적 사업이다. 매년 막대한 재정 지원금이 투자되고 운영적 지원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교육복지 투자대상인 청소년들이 이 사업의 수혜로부터 얼마나 달라졌는지 등의 사업의 효과에 대한 관심은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 빈곤 계층인교육복지투자대상 청소년에게 미친 효과에 대해 파악하고, 청소년 복지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탐색하여 효과적인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청소년의 효능감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효능감은 두 차원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청소년의 개인의 내면차원인 자기 효능감으로 이는 자신감, 자기조절, 도전의식으로 조사하였다. 다른 하나는 청소년 개인의 외면차원인 사회심리적 효능감으로 이는 학교생활적응, 기초생활습관, 친사회적 행동으로 조사하였다.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의 학교에서 교육복지대상 청소년과 비대상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과 사회심리적 효능감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원변량분석에서는 청소년 개인의 내면차원인 자신감과 청소년 개인의 외면자원인 친사회적 행동에서 비대상 청소년들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타나났지만, 빈곤청소년의 특성(낮은 효능감)을 고려해서 해석을 한다면,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자기조절, 도전의식, 학교생활적응, 기초생활습관은 대상청소년과 비대상청소년의 효능감에 차이가 없다는 것이므로 교육복지서비스의 효과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청소년이 나이가 많아질수록 학교생활적응이나 기초생활습관이 안 좋아지는 것에 비해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투자대상 청소년의 서비스경험횟수(연수)를 보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은 청소년(학생)은 학교생활적응과 기초생활습관에 유의미한 통계가 나타났다. 이것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한두 번의 단기적인 교육복지서비스가 아니라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Since the mid-1990s, as the poor class had increased, poverty became a remarkable, social problem. Poverty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the family as well as economic inequality, which caused another inequality in the education. And this prevented juvenile, who would become the leading group in the future, from being offering equal opportunities for education. To prevent a succession of poverty caused by this inequality,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was urgently called for, and it was the supporting project for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that was carried out to answer this requirement. The aim of the supporting project is to support the juvenile of the poor class by helping them to develop their capability in the whole area of their lives to the fullest and by offering them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stage of their development. Although they were born in the poor family, the juvenile should be given equal opportunity for the education and be able to grow up to be independent adults through the supporting project for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The supporting project had been implemented as the first-step project for five years till 2007, including two-year pilot program from 2003 till 2004 and the second-step project has been being carried out from 2008 till 2012. Therefore,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ing project for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to analyze it and classified the effectiveness into the juvenile individual internal self-efficacy (e.g. self-confidence, autoregulation, a challenging spirit) and external social-psychological self-efficacy (e.g. adaptability to the school life, basic living habits, society-friendly act). Also,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social-psychological efficacy of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by utilizing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One-Way ANOVA, it is likely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average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internal self-confidence and external society-friendly act of the disadvantaged juvenile, b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juvenile in the poor family - a low self-efficac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lf-efficacy between the advantaged students and the disadvantaged students in the areas of autoregulation, a challenging spirit, the adaptability to the school life and basic living habits that didn't have the meaningful results. Second,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older the students were, the worse their adaptability to the school life or basic living habits became, whereas considering the number of the advantages of the supporting project to the students in the poor class, the students steadily offered the advantages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had statistically a better adaptability to the school life and basic living habits. This is the positive resul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ing project for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In conclusion, in the supporting project for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it is not short-term educational welfare but long-term sustainable support project that matters.

      •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정현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발달 및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부모와 교사의 갈등을 다루는 방법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어린이집 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부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4. 부모와 교사의 관계에 있어서 부모와의 갈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이 어떻게 분류되든지 간에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기질에 대한 연구들은 공통적인 결론을 내리고 있다. 즉, 부모가 애정적이고 수용적일 경우 자녀들은 사회적, 정서적, 지적, 발달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유아의 인성이 차이가 나는 것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각기 다르기 때문이고 유아의 모든 행동은 그가 어떻게 키워졌는냐 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인간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유아의 어린이집 생활적응에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일수록 거부적인 양육태도에 비해 유아의 문제 행동이 낮았으며, 자율적일수록 통제적인 양육태도에 비해 유아의 적응이 높았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유아 자신의 특성으로 유아의 성, 연령과 같은 것이고, 둘째는 어머니 자신의 특성으로 어머니의 연령, 학력과 같은 것이고, 셋째는 가정환경요인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의 형태, 아버지의 연령, 학력, 직업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교사가 부모와의 갈등을 이해와 노력을 통하여 해소하고 부모가 자신을 정확하게 통찰하여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행동을 하도록 돕고, 부모역할을 통하여 부모와 자녀간에 올바른 관계를 이루며 자녀와의 의사소통의 방법을 개선함으로서 자녀양육태도에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오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가 문헌연구로만 이루어져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은 점에서 한계점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literature research and the effect where the fostering attitude of the parents goes reach to the development and a life adjustment of young children's and what is the factor who effect goes reach to the fostering attitude of like this parents, is the method which treats the discord of the parents and the teacher which it examin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mpact does the parental attitude of parents have on their young children? 2. What influence does the parental attitude of parents have on their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a daycare center? 3. What are influences on the parent's attitude of child-rearing? 4. What types of conflicts are ther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ll the studies on parental attitude and child temperament made the same conclus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parental attitude. According to them, children whose parents were affectionate and recipient make a desirable soci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growth.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pended on the parental attitude of their parents, and all their action was a measure of their parental attitude. Therefore, parental attitude had a huge impact on young children. As for maternal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a daycare center, more affectionate maternal attitude served to help them cause less problems, compared to rejective one. And more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encouraged them to adjust themselves better to a daycare center than controlling one did. There are three primary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arent's attitude of child-rearing. the first, their children's own characteristics ; their age and sexuality. the second,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 thei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third, their home background - form of the family, their social position, fa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job. In addition, teachers should try to understand parents and remove conflicts with them, and help parents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o iron out their own problems, pull their weight, buil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communicate with them better. In conclusion, it's very important to change parental attitude for the better, and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is study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only without looking into what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expected from parents and parent-education programs.

      • 유아기 채소 섭취 증진을 위한 직접적 간접적 시각적 노출의 효과

        주정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식의 시각적 노출이 아동의 채소 섭취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첫째, 시각적 노출 프로그램 전후의 채소 섭취량의 변화를 확인하고, 둘째, 집단 간의 노출 프로그램의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셋째, 아동의 기존 섭취 빈도에 따라 노출 프로그램의 효과 차이가 나타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24개월에서 48개월 사이의 아동을 대상으로, 채소의 실물을 사용한 직접 노출과 사진을 사용한 간접 노출을 반복적으로 시행한 후, 두 경우의 채소 섭취량의 변화를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노출의 형태와 상관없이 직접적 및 간접적 시각적 노출의 두 집단 모두에서 노출된 채소의 실제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노출되지 않은 채소에서도 섭취량의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직접 노출 집단의 증가량이 간접 노출 및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았다. 기존의 섭취 빈도를 기준으로 노출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에는 기존 섭취 빈도가 낮은 집단에서 직접 노출 프로그램 전후의 섭취 변화가 유의미하였으나, 섭취빈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노출이 섭취 행동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며, 아동의 실제적인 섭취량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음식의 실물이 노출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고, 기존의 섭취 빈도에 따라 반복적 노출의 효과가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유교육론 연구

        주정현 서울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희랍시대 이래로 인류는 학교라는 공간에서 수학과 고전으로 대표되는 ‘자유교과’를 주된 내용으로 삼아 가르쳐 왔다. 이 일의 중요성은 나날이 강조되어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대다수의 국가에서 특정 연령에 이르기까지 의무적으로 교육받도록 제도화 되어 있다. 인류의 대부분이 세상에 태어나서 수학과 고전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자유교과를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는 반드시 배우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자유교과를 배우면 인간은 과연 행복한 삶을 살게 되는가?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인간은 반드시 자유교과를 배워야 하는가? 본 논문의 목적은 서양 자유교육의 출발점에 위치하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윤리학, 정치학)에 비추어 이 문제에 해답하는 데에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은 한 마디로 ‘행복론’이다. 그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통해 인간 삶의 목적이자, 교육의 목적인 행복이 무엇인가에 대해 탐구했다. 이 지점에서 특별히 주목해야 할 점은 행복과 교육, 양자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련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행복이 무엇인지를 규정해놓고 그에 비추어 교과를 배우는 일의 의미를 찾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교과를 배우는 일 자체로 행복을 정의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고유한 기능인 이성을 잘 발휘하는 것’을 행복으로 본다. 이성을 잘 발휘한다는 것은 끊임없이 덕을 추구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행복은 ‘덕을 따르는 정신의 활동’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이때의 덕은 도덕적인 덕과 지적인 덕 모두를 포함하지만, 가장 완전한 덕인 철학적 지혜에 따른 삶이 최상의 행복이다. 최고의 덕을 따르는 이 삶은 바로 ‘관조적 삶’이다. 즉, 관조적 삶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선의 삶이자, 최상의 행복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윤리학을 통해 인간 삶의 궁극적 목적인 행복에 대해 고찰한 후,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탐구하기 위해 정치학으로 논의를 이어간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과 정치학은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호 의존적 관계를 맺고 있다. 윤리학이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치학으로의 흐름이 필수적이며, 정치학의 논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윤리학의 논의를 토대로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에서 여가, 그리고 여가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관조를 통해 어떻게 해야 행복한 사람을 기를 수 있는가를 설명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인간은 ‘세계와 마음을 일치시키는 정신의 활동’인 관조를 통해서 행복에 이를 수 있다. 교과를 배우는 것은 여가를 향유하도록 하는 것이고, 인간은 여가를 통해 이성을 발휘시키며, 이성을 발휘하는 것이 곧 행복이기 때문에 교과를 배울 때 비로소 인간은 행복을 맛보게 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은 이성을 가진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인간다운 일이며, 동시에 최상의 행복을 누리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결국, 학교에서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자유교과를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유교육의 핵심을 관조와 여가에 두고, 이를 통해 자유교과의 성격과 가치를 설명하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이 이론은 오늘날까지 자유교육의 지표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유교육론은 덕을 도덕적인 덕과 지적인 덕으로 분리시키고, 이들이 별도의 경로를 통해 획득된다고 설명한다는 점에서 치명적 결함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인 덕과 지적인 덕을 ‘개념상의 구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지 않고 ‘사실상 분리’된 것으로 취급하고, 도덕적인 덕은 행위규칙의 습관화를 통해 획득되는 반면 지적인 덕은 지식교육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러한 생각은, 근대에 이르러 이성을 ‘도구적 이성’으로 전락시키고, 도덕교육과 지식교육은 무관하며 지식교육은 도덕성 함양에 도움이 안된다는 생각을 양산시켰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대로라면, 교과를 배움으로써 덕을 갖추게 된다는 말을 할 수 없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인 덕과 지적인 덕을 분리시킴으로써 그의 자유교육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관조를 편협하게 해석할 여지를 남겼고, 이로 말미암아 그의 자유교육론 전체가 위협받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Since the Greek Era, mankind have taught liberal studies including mathematics and classics in school.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have been emphasized continuously and these days most nations institutionalized mandatory education throughout certain ages of their people. It means that most people on earth are obligated to learn liberal studies to some extent mostly based on mathematics and classics. Do the liberal studies really guarantee a happy life for people? Must a person learn liberal studies in order to lead a happ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such questions based on the philosophy of Aristotle which is a starting point of the western liberal education. The ethics of Aristotle is epitomized by eudemonics. He delved into the concept of happiness, which is the purpose of both education and life, through Nicomachean Ethics. At this point, what needs attention here is the way Aristotle related happiness with education. He defined happiness as learning liberal studies whereas most people define what happiness is first and then they find the meaning of learning liberal studies in light of their own or arbitrary definition. That is, Aristotle thinks of happiness as 'cultivating rationality that is intrinsic to human beings'. The activity of cultivating rationality is no different from 'pursuing virtue'. Thus, happiness can be defined as 'an activity of soul in accordance with virtue'. Although the virtue in this case includes both moral and intellectual virtues, a life based on the philosophic wisdom,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virtue, brings the best happiness. A life that follows the highest virtue is also 'the contemplative life'. In other words, the contemplative life is the best life for man that brings the highest level of happiness. After looking into happiness, the final goal in life, through ethics, he continued the discourse to politic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o live a happy life. The ethics and politics for Aristotle relate to each oth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ethics, politics is indispensable and vice versa. Aristotle explains in Politics how to raise a happy person through leisure and contemplation, the essence of leisure. According to him, men can achieve happiness through contemplation or 'an activity of harmonizing the universe and the mind'. Learning liberal studies is to relish your leisure time and human beings can better exercise rationality through leisure. Cultivating rationality is also a great source of happiness which leads you to experience happiness in life through learning liberal studies. Therefore, teaching and learning liberal studies are the most humane job for a man to do as a rational being and the greatest source of happiness at the same time. In a word, to teach and learn liberal studies in school is to bring up a person to be a true man. Aristotle viewed the essence of liberal education as contemplation and leisure and through these he explained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liberal education. Those explanations have been considered as a guidance to liberal education until today. Yet, hi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has a fatal flaw in that he separated an moral virtue from an intellectual one and explained those two were obtained in different ways. Aristotle did not regar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virtue and intellectual virtue as conceptual, but empirical. And he insisted that the moral virtue could be achieved through habitualization of moral rules while the intellectual virtue could be obtained through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In the modern age, such thoughts made rationality degrade to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many people believe moral education and knowledge education have nothing to do and do not help reinforce each other. According to Aristotle, it is not possible to cultivate virtue through learning liberal studies. By separating moral virtue and intellectual virtue, Aristotle left contemplation, or the essence of his liberal education, to a limited interpretation and caused threat to his entire liberal education theory.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 및 자아탄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주정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if there is any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f ego-resilience mediates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s could suggest effective educating methods to parents who take a crucial part of vocational development of teenagers. Following study subject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e study. First, are high-school students-perceived parental support, ego-resilie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tatistically correlated each other? Second, does high-school students-perceived parental support have statistical influence on ego-resilie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does ego-resilience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Forth, does ego-resilience mediate parental support and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statistically? The research has arbitrary investigated in three different high school in Seoul and GyungGi area. Total number of samples are three hundred and eighty nine which are composed of hundred eighty three of boys (47.0%) and two hundred and six of girls (53.1%). Following are results of the study. First, parental support, ego-resilie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tatisticall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go-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very sub-variable of parental support. Parental suppor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readiness, career confidence, and, career decisiveness among sub-variable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reer goal-orientation and career independence. Ego-resilience, however,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very sub-variab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except career goal-orientation. It means that ego-resilience, not like parental support, has a statistical relationship with career independence. Second, the study shows that parental suppor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elf-resilience(&#120573;.364, p<.001). But parental support hasn't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t means that ego-resilience increase as parental support does. Third, the result that ego-resilience influenc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urns out that ego-resilience has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120573;.395, p<.001). It tells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increases as ego-resilience does. Forth, ego-resilience entirely works as mediation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t means that parent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directly influences on ego-resilienc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ego-resilience increase as parental support does and ego-resilience mediated influences on parental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implies ego-resilience, which makes teenager more flexible under stressful situation, would be escalated if parental support increases in family relation and increases career attitude maturity. Also it suggests that it needs to be developed a counseling program that increases ego-resilience as it turns out to be important to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eenager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자아탄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아탄력성이 부모지지와 진로태도성숙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모에게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청소년들의 진로교육 및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 자아탄력성, 진로태도성숙은 각각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는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아탄력성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부모지지는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3개교의 학생을 임의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표집된 연구대상은 전체 389명 중 남학생이 183명(47.0%), 여학생이 206명(53.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진로태도성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진로태도성숙과 자아탄력성은 부모지지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지지는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 중 준비성, 확신성, 결정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목적성, 독립성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자아탄력성은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 중 목적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들과 정적 상관이 있어 부모지지와는 달리 독립성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지지가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지지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120573;=.578, p<.0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진로태도성숙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아탄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120573;=.395, p<.0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간접효과(수치)를 보였으며, 부모지지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부모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고,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가족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지지수준을 높인다면 적응이 필요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성격특성인 자아탄력성을 높여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이 밝혀짐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요소를 반영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