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형법의 실체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 중대재해처벌법상 중대산업재해치사상죄를 중심으로 -

        주승희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論叢 Vol.30 No.3

        The overuse and abuse of criminal law in what is called the Risk Society is an unfortunate trend. Over the past 40 years, administrative criminal law has expanded significantly in size and scope, encompassing the prosecution and judgment of violations of administrative law such as financial market law, tax law, building law, fair trade law, and environmental law. It is estimated that nearly 1,000 statutes contain criminal penalties, with approximately 12,500 criminal code provisions in those statutes. A more significant problem is that many of these regulations, motivated by the aim of controlling risk rather than enhancing social justice, are often too vague or obscure. This makes it challenging to punish individuals who violate criminal offences without criminal intent or even knowledge that these offenses exist.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s a typical example of administrative criminal law containing numerous ambiguities, likely leading to considerable confusion during enforcement. This confusion results in many gray areas, sparking widespread debate throughout the business community. The new law, implemented on January 27, 2022, aims to penalize the owners and management of companies with 50 or more workers for failing to fulfill their duties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criminal laws and analyz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m, such as challenging the principle of clarity and the culpability principle required under the penal code. Moreover, it suggests that Congress should amend or repeal redundant or superfluous administrative criminal laws to avoid overcriminalization and excessive punishment. This would eliminate vague, overly broad criminal offenses, preventing arbitrary application of criminal statutes. Regarding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urgent action is needed to abolish or at least amend the law to clarify the obligations and offences for preventing practical serious accidents.

      • KCI등재

        전문법칙의 의의 및 변호인의 반대신문이 일부만 이루어진 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서울중앙지법 2016. 9. 29 선고 2015노3170 판결을 중심으로-

        주승희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法學論叢 Vol.24 No.3

        The Criminal Procedure Law of Korea has adopted both the inquisitorial and adversarial system. The nature of Korean criminal procedures (i.e., a merging of German and American criminal procedures) has often triggered disputes over the significant issues of criminal procedure like the right to counsel and the jury system. The Korean hearsay rule is one of the most strongly argued issues about its origin, nature, exceptions and its relation with the right of confrontation under its particular situation, different from the American hearsay rule, and the need to consider judge's active role in the evidence decisions and fact-finding. A recent case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2016. 9. 29, 2015 NO 3170) shows the need to examine the confrontation right and the hearsay rule in depth. This article examines the Korean hearsay rule's origin, nature and the confrontation right's role and status at the hearsay rule. Based on the point of view about the hearsay rule and the confrontation right above, it criticizes the common view about the concept of the “circumstantial guarantees of trustworthiness”, a requirement for a hearsay exception, and reviews several issues of the case mentioned above, in particular the issue of the admissibility of hearsay evidence when confrontation right is partially guaranteed. 본 논문은 최근 피고인의 반대신문권이 일부만 보장된 조서의 증거능력이 다툼이 된 판결(서울중앙지법 2016. 9. 29 선고 2015노3170 판결)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상 전문법칙 및 반대신문권의 의의를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당해 판결의 타당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전문법칙은 독일의 직접심리주의를 기초로 하여 반대신문권 보장을 중요시하는 미국의 전문법칙을 우리 형사사법실무의 현실에 맞추어 적절히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법칙의 주된 의의는 전문증거의 신용성의 결여이며, 다수학설이 주장하는 반대신문권의 보장은 전문법칙의 이론적 근거라기 보다는 전문법칙의 구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실천적 과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반대신문권은 헌법에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음에도 적법절차원칙 및 평등권으로 부터 도출될 수 있는 헌법상 기본권의 지위를 가지므로 최대한 이를 보장할 필요성이 있지만, 직권심리주의를 배격하고 오로지 당사자주의 소송구조를 취하는 미국 증거법상의 반대신문권과 그 위상에 차이가 있다고 보아야 하며, 반대신문권 행사의 범위 및 내용은 당사자주의 및 직권주의 소송구조를 혼합하고 있는 우리날 소송법 구조 및 사법현실을 고려하여 정해야 할 것이다. 대상사건에서는 변호인의 반대신문이 일부만 이루어져 반대신문권이 충분히 행사되지 못한 하자가 있는데, 그 하자를 치유할 만한 사정을 인정하기 어려워 대상판결이 제1심 제2회 공판조서중 피해자의 진술기재의 증거능력을 부정한 것이 타당하다, 다만 대상판결은 피해자에 대한 경찰 및 검찰 각 진술조서가 제314조에 의하여 증거능력이 인정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소재불명에 의한 출석불가능 요건은 충족되었으나 특신상태가 증명되지 않았다고 보아 그 증거능력을 부정하였는데, 다수설 및 판례의 특신상태 해석은 증명력문제를 증거능력단계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직권심리주의 및 자유심증주의를 취하는 현행법을 도외시하고 있고, 특별히 그 실익도 없다는 점에서 적법절차원칙의 준수 및 출석불능 요건이 충족된 경우 그 증거능력을 인정하되, 대상 사건의 경우 대상판결이 제시하고 있는 여러 정황상 그 증명력이 부족하므로 증명력 부족을 이유로 무죄판결을 내리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 KCI등재

        공정한 재판을 위한 메타버스 형사법정의 구현 가능성, 그 의의 및 한계

        주승희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4 No.3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재판제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컴퓨터 등 휴대용 통신매체의 보급과 인터넷 전산망 확대는 원격영상재판을 가능케 했고, 최근의 코비드-19 팬데믹 상황과 맞물려 민사재판뿐만 아니라 형사재판에서의 원력영상재판 범위가 대폭 확대되었다. 근래 국내외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메타버스 산업 역시 그 기술적 특징 등을 고려할 때 형사재판제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다는 예측하에, 본 논문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형사법정이 열릴 경우, 그 공정성 제고 가능성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형사법정을 개최하게 된다면, 기존의 온라인재판의 장점(사법접근성, 실체적 진실의 발견가능성, 법원업무효율성 제고)과 더불어 편견으로 인한 재판의 불공정 위험성 약화, 전관예우 관행 약화, 재판에의 집중도 향상, 공개재판원칙의 원활한 구현, 위법수집증거의 부당한 영향력 차단 등의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보인다. 다만, 그 실효성은 아바타 기술의 발전에 의존하는 측면이 있고, 메타버스 법정에서 아바타 기술을 적극 활용하더라도 이는 편견의 작동 가능성을 오프라인 재판에 비해 줄일 수 있다는 것이지 온전히 제거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그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교육이나 기타 사법자원의 효율적 배분 등 공정한 형사재판의 실현을 위한 다각도의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리라 본다. 다른 한편 아바타를 활용한 형사재판은 직접심리주의의 실현을 어렵게 하고 이는 실체적 진실의 발견이나 적법절차원칙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사재판에서 직접심리주의의 예외가 인정되고 있고, 특히 사법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플리바게닝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미국의 경우 형사재판에서 인종갈등문제를 줄이고자 메타버스형사재판제도를 도입할 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으며, 미국 재판제도가 국내외 재판제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고려하면, 경미사건이나 피고인이 동의한 사건 등 일부 사건의 경우 메타버스 형사재판의 도입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음으로 이에 대한 지속적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법여성주의 이론의 흐름과 형사법에의 투영-성매매특별법을 중심으로-

        주승희 한국법철학회 2005 법철학연구 Vol.8 No.2

        Prostitution and its regula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entious issues for feminists since the beginning of feminist movement, in 18th century. Feminism, including feminist legal theory has altered and varied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s, culture and philosophy of those days. The variety of feminism: moral, liberal, marxist, radical, socialist and postmodern feminism, show a diversity of opinion on prostitution and its regulation. Among them Radical feminism, which denounces prostitution as an institution of male oppression of women, has influenced recent prostitution legislation of Korea. And moral feminism, which assists the abolition of prostitution because of its ‘unmorality’, is supposed to be reflected in prostitution legislation, given the extraordinary nature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circumstances in Korea, where premodernis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coexist esp. in legal policy. Consequently, the current Prostitution Act criminalizes both the buying of sex and the selling of sex, but decriminalizes the selling of sex under duress. Such a strategy of prohibition, which focused on the idea of ‘forced prostitution’ and ignored different perspectives, could actually cause a harm on women. It could push prostitution into the shadows and make life worse for the women. Then prostitutes could suffer more perversity and violence on a daily basis. Furthermore, it ignored varied ‘causes’ of prostitution and varied ‘voices’ of prostitutes. Not every prostitute is poor, victimized and forced. To attain the truth of prostitution(exploitation or work?, prohibition or legalization?), we should hear, above all, the voices of prostitutes hitherto neglected and muted.

      • KCI등재

        CCTV 설치 요건 및 CCTV녹화물의 형사절차상 증거능력에 관한 독일법제 연구

        주승희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1 No.3

        This article examines the law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and the exclusionary rule on CCTV recordings in Germany and illustrates som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CTV regulations in Germany and Korea.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CTV in Germany are regulated separately by diverse laws such as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the Police law, the Data Protection Act, and the Assembly Act.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n Germany also has the evidence rule of the CCTV recordings based on section 103c in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and the Police Law. The evidential admissibility of CCTV recordings based on the other laws or by a private individual are determined by the basic system of exclusionary rules founded on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statutory provisions. Such a separated and detailed regulation system governing the CCTV and the exclusionary rules in Germany could effectively protect human rights ― such as the privacy right and self-determination right of information. The German system could therefore serve as a good model for improving the Korea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pertaining the only regulation of CCTV in Korea. 본 논문은 CCTV녹화물의 설치 요건 및 그 증거능력에 대한 독일 법규 및 판례, 학계의 입장을 살펴본 후, 관련 우리나라 법규 및 판례와 비교ㆍ검토하였다. 비교법적 검토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입법론적으로 형사소송법이나 경찰법, 집회법 등 개별 법률에서 그 취지에 맞추어 CCTV 등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요건에 관해 보다 명확하게 규율함으로써 법집행자 및 사법기관의 자의적인 판단영역을 줄이거나 개인정보보호법의 관련 규정을 보다 섬세하고 규율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 등 인권보호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더불어 CCTV녹화물의 증거능력과 관련하여 독일과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제한적으로나마 통신비밀보호법이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CCTV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해 직접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법규가 없는데, 앞으로 CCTV녹화물의 증거능력에 대한 학계의 깊은 관심과 활발한 논의가 절실함을 피력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불매운동의 의의 및 법적 허용 한계 검토

        주승희 한국경영법률학회 2009 經營法律 Vol.19 No.3

        Consumer boycotts are successfully initiated due to the Internet, as shown in the internet campaign last summer to boycott companies running advertisement in three conservative newspapers. They are critical of the candlelit vigils against American beef imports. The impact was so massive that the number of large companies' printed in those three papers dropped from 12-15 per issue to 2-4. Public prosecutors indicted campaign leaders for hampering business activities and this case is pending in court. Despite the importance and impact of the consumer boycott, relatively few legal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the issue of consumer boycott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ovide legal criteria of consumer boycotts. First, it attempts to explore the legal status of consumer protection movement in the context of co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consumer protection movement in korea(Article 124). Second, it suggests individual consumer, consumer interest, Boycott action, as three elements to be evaluated as a consumer boycott, a key consumer protection movement. Finally it provides a few standards for the judgment of legality of a consumer boycott, with an example of a boycott against Michael Jackson’s concert in 1996.

      • KCI등재

        형사절차상 구속 기간 관련 독일 제도 소개 및 시사점

        주승희 국회입법조사처 2019 입법과 정책 Vol.11 No.3

        Currently, Moon Jae-in administration seeks to reform the prosecutionso as to ensure its political neutrality and to grant more investigativepower to police. As readjusting the investigative power between theprosecution and police requires devices for th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investigation process by police officers, this article suggests to extendmaximum detention period by a judicial police officer. Furthermore, this article urges to reexamine the detention period limitby court, as the current regulations for the strict restriction of detentionperiod in Korea can be not only a handicap to investigate and judge acomplex criminal case such as corporate crime and terrorist crime butalso an obstacle to exercising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ce on occasion. To provide an example of different detention period regulations and itseffect, this article researches the arrest and detention regulations ofGermany focusing on its maximum detention period as well as itscompensation schemes for sufferers from unjustified delayed trial or longdetention. 본 논문은 경찰의 수사권 독립이 현실화될 경우, 사법경찰관의 피의자 구속기간의 연장을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과, 차제에 법원에 의한 피고인 구속기간의 연장을 함께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사안이 복잡하고 다수인이 연루된 경제범죄나 국제적인테러범죄 등에 대해서는 현행법의 엄격한 구속기간 제한으로 말미암아 부실수사나 부실재판의 위험이 있고, 특히 구속기간의 엄격한 제한은 피의자・피고인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형사실무에서 오히려 피의자・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제약을 가할여지가 있어 재고가 필요하다. 향후 관련 국내 논의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차원에서 독일의 구속 제도를 소개하였다. 독일은 우리나라와 달리 수사기관에 의한 피의자구속뿐만 아니라 법원에 의한 피고인 구속기간에도 이를 절대적으로 제한하는 규정이 없으므로, 한편으론실체적 진실의 발견이 용이하면서도 그로 인해 발생가능한 국민의 피해나 재판의 지연문제는 소송지연배상제도 등 다양한 제도를 통해 조율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