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옹(邵雍)의 선천역학(先天易學)과 공간

        주광호 ( Joo Kwang H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연구 Vol.0 No.56

        이 글은 소옹의 <선천역학>을 신화적 사유에서의 상징형식으로서의 `공간`으로 분석했다. 이렇게 읽을 때 소옹의 <선천역학>은 더 이상 『주역』 64괘 발생의 과정과 방위에 관한 담론에 머무르지 않고 존재하는 모든 것을 전체 속에 배치하고 규정하는 존재론이 되고, `일분위이`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전체 속에 배치하는 미분의 법칙이 된다. 태극이 양의가 되고 양의는 다시 사상이 되는 분화와 확장의 과정에서 기존의 연구자들은 `생성`을 읽어냈다. 우주든 인간이든 `생성`은 당연히 시간적 계기의 운동이다. 그러나 소옹은 태극·음양·사상 등을 발생의 단계나 구체적인 실체가 아닌 존재의 속성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하고 있다. `마음이 곧 태극`이라고 하는 그의 소위 `심학`에서 `마음` 역시 심리적 정서적 의미보다는 기하학적 균형의 의미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법칙적 세계에 대한 소옹의 믿음과 요청은 주자의 `엄정한 체계로서의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주자 이기론의 리는 정이보다 소옹에게서 더욱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의 체계와 예학의 정립 그리고 사회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주자 철학에서 보이는 `체계성`은 소옹과 깊은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d Shaoyong(邵雍)`s < Xiantianyixue(先天易學) > as `space` as a symbolic form in mythical thinking. By reading in this way, Shaoyong`s < Xiantianyixue > is no longer a discourse on the process and direction of Guayao(卦爻) in Book of changes, but becomes an ontology that arranges and prescribes everything that exists in the whole. `Yifenweier(一分爲二)` becomes the law of differentiation that places everything that exists in the whole.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where Taiji(太極) becomes Liangyi(兩儀) and Liangyi becomes Sixiang(四象), the researchers read `Creation`. Whether Universe or human, `creation` is a movement of temporal instants. However, Shaoyong used the Taiji, Yin-Yang, and Sixiang as symbols representing the attributes of existence, not the stage of occurrence or concrete reality. He said, `The heart is the Taiji.` In this `psychology`, mind is also close to the meaning of geometrical balance rather than psychological emotional meaning. Syaoyong`s beliefs and requests to the rule world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Zhuxi(朱熹)`s philosophy as a strict system. On the ontology of Zhuxi, Li(理) was more influenced by Shaoyong than Chengyi(程?). In addition, in Zhuxi`s philosophy,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system and manners system and the social apparatus are both expressions of `systematicity` influenced by Syaoyong.

      • KCI등재

        상징형식으로 본 소옹(邵雍)의 원회운세(元會運世)

        주광호 ( Joo Kwang H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연구 Vol.0 No.55

        소옹의 철학은 `보편적 법칙`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과 시간과 수라고 하는 `보편적 존재 형식`을 확보한 것이다. 그러나 소옹의 시간과 공간은 데카르트·라이프니츠식의 기하학적 성질만을 갖는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가치적 배치와 평가 그리고 이웃한 개체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가치적 불평등이 존재한다. 이런 의미에서 소옹의 시간·공간은 수와 더불어서 카시러가 말한 신화적 사유에서의 상징형식에 해당한다. 소옹의 철학을 시간·공간·수라고 하는 상징형식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그의 철학을 역학(易學)이나 역학(曆學)이라고 하는 사유의 `내용`으로서가 아니라 보편적 법칙의 도출을 위한 사유의 `형식`으로서 주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의 철학은 과도한 범주화라는 비판을 피해가면서 동시에 각 영역 간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확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주자 철학에 있어서 소옹의 철학이 단순히 `역학(易學)`이 아닌 이기론(理氣論) 즉 `보편적 존재 형식`에 관한 사유의 완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philosophy of Shao-Yong has secured Space Time and Number as the Universal existence form to find universal laws. But the time and space of Shao-Yong is not only the geometrical nature of the Descartes-Leibniz style. But also there is a value inequality that comes from value placement, evaluation, and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entities. In this sense, Shao-Yong`s time and space corresponds to the symbolic form in mythical thinking of Cassirer.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Shao-Yong as a symbolic form of time, space, and number is that see his philosophy as a `form` of thought, not as a `content` of thought as the Theory of the calendar or the Thought of the Zhouyi. By doing so, his philosophy avoids the criticism of excessive catego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secures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each area of his philosoph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hilosophy of Sha-Yong had greatly influenced to Zhu-xi`s philosophy. It was not simply the Thought of the Zhouyi, but his whole ontology system.

      • 筮法에서 宇宙論으로

        주광호(Joo Kwang-h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8 동아한학연구 Vol.- No.4

        「계사」에서 말하는 태극ㆍ음양 개념은 원래 서법(점치는 법)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속에는 초보적인 단계에서의 우주론적 함의도 들어있다. 비록 『역전』에서 乾坤을 음양의 氣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역에는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를 낳는다”는 구절의 우주론적 함의는 漢代역학가들의 해석이 있은 뒤이다. 한대 역학가들은 도가 우주론과 음양 오행가의 일련의 범주의 영향 하에 정식으로 태극과 음양을 최초 우주의 발생과 전개의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우주와 세계의 구조와 전개를 더욱더 이성적으로 법칙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성화의 태도는 宋代 周敦?와 邵雍의 해석을 거쳐 朱熹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Tai-ji, Yin-yang concept set forth in Xici was, in original, for divining method. But, it contains even an universal implication in the an initial stage. Although, in Yizhuan, Qiankun is explanied as Qi of Yin-yang, the universal implication of the phrase "Because Yi includes Tai-ji, it bears Liang-yi" appeared after the explanation of divination scientists of Chinese Han Dynasty Era. Divination scientists of Chinese Han Dynasty Era, under the influence of Taoist cosmology and Yin-yang Wu-xing jia, formally explained Tai-ji and Yin-yang as a process of the generation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Such a change was to explain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and the world more reasonably and lawfully. Such an attitude of rationalization, after being interpreted by Zhoudunyi and Shaoyong of Chinese Song Dynasty Period, had a great effect on Zhu-xi.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은(林隱) 정복심(程復心)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태극설(太極說) 비교 연구

        朱光鎬 ( Joo Kwang Ho ) 퇴계학연구원 2013 退溪學報 Vol.134 No.-

        林隱 程復心(1257~1341)의 『四書章圖』는 퇴계를 비롯한 조선 유학자들의 저작에서 중요하게 언급되었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그간 자세히 알 수 없었다. 퇴계는 자신의 대표적 저작인 『聖學十圖』에서 <西銘圖>와 <心統性情圖>의 제1도, 그리고 <心學圖>가 임은의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성학십도』 내에서도 임은의 사상적 체계와 그 성격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아, 그것이 퇴계를 비롯한 조선의 유학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추적할 수 없었다. 다행히 최근에 임은 정복심의 『사서장도』가 이승환 교수에 의해 발견되었다. 『사서장도은괄총요』의 첫 부분에 출현하는 <太極圖>는 周敦이의 原圖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 확장하면서 태극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드러내고 있다. 또 임은은 스스로 주자의 학맥을 계승했다고 주장하면서도 태극을 理와 氣 모두로 표현함으로써 주자의 관점과는 일정정도 차이를 드러낸다. 임은은 黃勉齋 - 董夢程 - 沈毅齋 - 程若庸등 계열의 영향 하에 태극 등 다양한 성리학적 개념을 理와 氣 중 어느 하나에 국한하지 않고 둘을 겸하는 것으로 그리고 있다. 퇴계는 「天命圖說後敍」에서 <천명도>를 작성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한 이후, 客과의 문답이라는 형식을 통해 자신의 <천명도>가 주돈이의 <태극도>와 어떻게 다른지 자세히 설명한다. 그 중 임은의 태극 설과 비교될 수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퇴계의 <천명도>는 임은의 태극설에서 <주자태극도>의 두 번째 “以在人者言”에 해당하는 “단계적 설명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천명도>의 원형적 구조에 대한 근거는 <하도낙서>나 <태극원도> 혹은 <선천방위> 등 원형적 구조를 지니는 다른 도식과의 연관 혹은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로 볼 때 <천명도>는 <태극원도>와 <태극도>의 중간적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오행의 목화금수를 사방에 배속시킨 것은 정확하게 <태극원도>의 내용과 일치한다. 그리고 <태극도>에는 없던 元亨利貞과 誠이 추가된다. 그런데 『통서』를 <태극도>와 연결시킨 것은 임은의「論周子太極圖與周子通書表裏相合」을 연상시킨다. 넷째, 천도로부터 인도를 끌어내어 실천의 문제를 부각한 것은 퇴계와 임은의 가장 큰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程復心(1257~1341《四書章圖》的主要內容是對朱熹《四書集注》的詳細圖解。其中,首次提到的就是"太極"槪念。這意味着太極念乃是要理解朱子學及《四書集注》時首要理解的最重要的槪念。這種想法完全相同于《朱子語類》、《近思錄》等文獻的布置循序。不過,《四書》中未嘗出現太極槪念。朱熹對《四書》的一切注釋中也沒出現過太極槪念。其實,《太極圖說》所依据的文獻是《周易》,因而那樣的現象幷不奇怪。那마,朱子和程復心爲何這마勉强主張太極槪念乃爲要理解《四書》時首要理解的核心槪念니? 如何理解他們的主張? 這就是意味着《四書》和《周易》的結合。不過,程復心的太極觀幷不同于朱熹的觀点。他旣然接受朱熹的以太極爲理的觀点,而又不反對以太極的爲氣的觀点。最后,他的太極觀可歸納爲以理氣雙層解釋的態度。筆者認爲程復心幷不糊塗朱熹的太極理氣觀。不過,他在某種的影響之下把太極從理氣雙層方面來解釋,却他更重視的是《周易》和《四書》的連接旣天道和人道的連接,而不是對朱子學里面某種槪念的詳細解釋。退溪旣然《聖學十圖》中收納程復心的《西銘圖》、《心統性情圖》、《心學圖》,而對太極的解釋中一言未及他的看法。却《天命新圖》與程復心太極說之間相同之處有如下。退溪主張《天命新圖》乃是《太極圖》的人道層次版本。這與程復心《周子太極圖》第二“以在人者言”的層次完全同一。故這說明退溪也同意把周敦이《太極圖》的階段式的理解。《太極圖》本來要說明天地万物所産生的系統,故此圖不得不成形爲垂直方式。却《天命新圖》則要說明在時空條件之下個體具備的本質狀態,故此圖自然而然地成形爲園形。其實,《天命新圖》旣然成形爲園形,而其里面再有?從天命到個體本性之垂直方式。故《天命新圖》乃是《河圖》、《太極園圖》和《太極圖》的中間形態。《天命圖》旣有木火金水的方位,也有《太極圖》中本來沒有的元亨利貞和誠。可把《通書》連接到《太極圖》的乃是程復心的《論周子太極圖與周子通書表里相合》。那마,好像退溪的《天命新圖》不能脫開근程復心的干系。退溪主張《太極圖》乃是表明天命和造化運行的過程,却《天命新圖》表明其天命傳到個體之后實踐的階段。他重視的所謂“修爲之事”就是體層次上的實踐意義。這與程復心把《河圖》-《周易》-《太極圖》的系統歸于《通書》的想法是完全相同。重視從天道轉注人道的特征乃是程復心和退溪之間的最明顯的共同点。

      • KCI등재

        朱陸 經典觀 비교 연구

        주광호(Joo, Kwang-ho)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9 No.-

        이 글의 목적은 유가 경전에 대한 朱子와 象山陸九淵의 관점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두 사람의 공부론에서 경전이 갖는 역할과 위상을 구명하는 데에 있다. 송대 도학자들이 생각하는 공부의 목적은 성인이 되는 것이었으며, 성인은 경전 속에서만 만날 수 있다. 때문에 참된 공부에 대한 이해는 누구라도 경전의 범위를 넘어설 수 없다. 주자와 상산의 평소 관점을 통해 보면 공부의 목적 및 방법에 대한 이해에서 실제 둘의 차이는 거의 도드라지지 않는다. 다만 주체 내면의 이치가 구현되는 과정에서 주자는 경전의 권위에 보다 더 의존한다. 주자에게 있어서 유가의 경전은 계발성・객관성・구체성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반면 상산은 경전이나 성인에 대해서도 그 최종적 판단자는 자기 자신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두 사람의 관점이 충돌하는 지점은 경전 주석 작업에 대한 생각이다. 도덕적 본성을 확인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그것을 일상에서 구현하기 위해 주자는 경전의 구체적 내용을 해설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상산의 주요 관심은 경전 너머의 보편적 이치였기에 경전 주석을 불필요하거나 위험한 것으로 여겼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ole and status of scriptures in the study theory of Zhuxi (朱熹) and Lujiuyuan (陸九淵) by comparing their views on Confucian scriptures. Song dynasty scholars thought that the purpose of study that was to become a sage, and this can only be met in scriptures. Therefore, no one can have a true understanding of studying beyond the scope of scriptures. From Zhuxi"s and Lujiuyuan"s usual perspectives,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and method of study. However, Zhuxi relies more on the authority of scriptur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nner morality of subject. For Zhuxi, Confucian scriptures are essential in terms of development, objectivity, and specificity. However, Lujiuyuan argues that for scriptures or sagacity, the ultimate judge should be the subject himself. In particular, Zhuxi"s and Lujiuyuan"s views differ from their thoughts on scripture annotations. In order to implement it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just confirming its moral nature, it was important for Zhuxi to comment on the details of the scripture, but Lujiuyuan"s main interest was the universal moral nature beyond the scripture, so he considered it unnecessary or dangerous.

      • KCI등재

        <하도·낙서>와 劉牧의 易數學

        주광호(JOO KWANG HO)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6

        주자의 <하도·낙서>에 관한 관점은 주로 유목의 영향 하에 형성되었다. 유목은 ‘易數’ 즉 ‘수리의 보편타당성’이 <하도·낙서>의 본질이라고 보았으며, 이는 주자에게 그대로 계승·발전된다. 유목의 河洛學은 『주역』 경전에 대한 해석의 차원을 넘어 『주역』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탐색이었으며, 따라서 종래의 ‘경전 해석’이나 ‘괘기론적 역학’과는 달리 세계의 본원과 본질에 대한 물음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그가 본 세계의 본원과 본질은 數理였으며 이는 세계에 대한 모사요 상징인 象보다 우선하는 것이었다. 주자는 유목의 數理를 다시 ‘理’로 일반화 하여, 이 세계의 균형과 질서를 설명하는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만약 유목과 주자의 하락학을 <하도·낙서>의 수적 조합으로부터 『주역』과 홍범 이 도출되는 과정으로 읽는다면 ‘과도한 해석’이라고 밖에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거꾸로, 세계의 균형과 질서를 수리의 보편타당성으로 치환하고 그것을 <하도·낙서>라는 도상으로 구현해 낸 것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해석은 의도와 의미의 차원에서 충분한 가독성을 지닌다고 하겠다. The point of view of Zhu-xi’s Hetu-Luoshu was mainly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Liu-mu. Liu-mu sees ‘universal validity of mathematics’ as the essence of Hetu-Luoshu, which is inherited and developed by Zhu-xi. Liumu s Mathematical Theories of Zhou-yi was a search for where the origin of Zhou-yi was beyond the interpretation of Zhou-yi.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Zhou-yi or the Guoqi theory of Zhou-yi of the past, it was a question of the origin and the nature of the world. The nature of the world he saw was mathematical logic, and this was a precedent over Xiang, a similitude symbol for the world. Zhu-xi generalizes the mathematical logic of Liu-mu to ‘Li’, so as to provide a basis for explaining the balance and order of this world. If we read it as the process of deriving Zhou-yi and Hengfan from the numerical combination of Liu-mu and Zhu-xi s Mathematical Theories of Zhou-yi, then we can only say that is a excessive interpretation . However, on the contrary, if we read it as the process of the balance and order of the world are replaced by universal validity, and it is embodied in the image of Hetu-Luoshu, then this interpretation has sufficient readability in terms of intention and mea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