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내재화 문제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

        좌현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6 학교사회복지 Vol.0 No.36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관련 변인 중 보호요인에 대해 수행된 연구결과들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실시하였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청소년 내재화 문제 보호요인 연구 가운데 63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보호요인의 전체 효과크기를 추정하였고, 개인요인, 가족요인, 또래 및 학교요인, 지역사회요인별 보호요인의 효과크기를 추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의 전체 상관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하위범주별 효과크기를 보면, 개인요인, 가족요인, 또래 및 학교요인, 지역사회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요인에서는 귀인성향, 가족요인에서는 부모애착, 또래 및 학교요인에서는 대인관계, 지역사회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의 범주에 따른 분석 결과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가장 큰 변인은 우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남자의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여자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판연도가 내재화 문제와 보호요인 간 효과크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최근에 출판된 연구물일수록 효과크기가 다소 커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출판편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previou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and protective factors through meta-analysis. Studies from 2001 to 2015 in korea were collected, of these studies 63 eligible studies were finally analyzed. Under a random-effects model, overall effect size, and each effect size according to individual facotrs, family factors, peer and school factors, and environment factors were estimated. To analyze heterogenic effect sizes, study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internalizing problem type, publication year were used as moderator and publication bias was tested.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in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protective factors was -0.238, which was medium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by sub category individual factors were the largest, next family factors, and environment factors were samll effect size. The result of moderator analysi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nalizing problem, the effect size was different. Effect size of depression was the largest and male was larger than female. Also, as recent studies had large effect size. No publication bias was fou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ie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좌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구축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 패널 조사대상자 3,449명의 1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종단적 변화양상을 확인한 결과 학년이 올라가면서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은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자아존중감, 자아통제, 자기신뢰였고, 가족관련요인은 부모감독, 부모애착, 부부갈등, 자녀학대, 빈곤, 가족구조로 나타났다. 학교관련 요인에서는 학교친구애착과 교사애착이 학교적응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적응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자기신뢰, 성별, 부모감독, 가족구조 등이 확인되었다.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양상 및 예측요인을 규명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income class and low income class in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Data were drawn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 longitudinal panel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Sample consists of 3,449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YPS. Latent Growth Curve Model was used to analyze intraindividual changes in school adjustment and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these changes. AMOS 19.0 and SPSS 15.0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chool adjustment has increased and there are notabl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final outcome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Self-esteem, self-control, self-relience, parents monitoring, attachment to parents, marital conflict, child abuse, family structure, poverty, attachment to teacher, attachment to peers wer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school adjustment. Self-esteem, self-relience, adolescent gender, parents monitoring, family structure were associate with the rate of chang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내재화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발달-맥락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좌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내재화 문제행동의 발달궤적을 확인하고 발달궤적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패널조사 중2 패널의 2-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발달-맥락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개인수준, 가족수준, 또래·교사·학교수준, 지역사회수준으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상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발달궤적을 보였다.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을 높이는 위험요인으로는 부정적 자아개념과 부부갈등이 확인되었고, 내재화 문제 초기값을 낮추는 보호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지역사회 감독 등이 확인되었다. 내재화 문제의 변화율과 관련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 부정적 자아개념, 부모애착, 부모감독, 학교적응, 성별 등이었다.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자료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 내재화 문제 예방과 개입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 of adolescents. In addition, the effect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might account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and in the rate change were examined. Data were drawn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 longitudinal panel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Sample consists of 3,188 adolescents who particiipated in the KYPS. Latent Growth Curve Model(LGM) was used to analyze intraindividual changes in internalizing problem and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these changes. And AMOS 7.0 and SPSS 15.0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 of adolescents has increased. And there are notabl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were negative self-concept, merital conflict and the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were self esteem, attachment to parents, community monitoring. And negative self-concopt, parents motoring, school adjust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의 전환과정에서 내재화 문제의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좌현숙,변귀연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0 학교사회복지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 from late childhood to early adolecenc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problems. Five-wave data were drawn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 longitudinal panel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graders. The Sample consisted of 2,844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YPS. Latent Growth Curve Model(LGM) was used to analyze intraindividual changes in internalizing problem and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these changes. And AMOS 7.0 and SPSS 15.0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 of adolescents has increased. And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Self-esteem, negative self-concept, child abuse, marital conflict, attachment to peers, school adjust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And negative self-concept were associate with the rate of chang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환되는 시기동안 내재화 문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발달궤적을 규명하고 이러한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발달적 맥락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개인요인, 부모 및 가족요인, 친구 및 학교요인, 지역사회요인으로 예측요인을 상정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1-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이행되는 5년 동안 내재화 문제는 점차 증가하는 발달궤적을 보였다. 내재화 문제 초기값과 변화율의 상관은 부적관계를 보여, 최초 측정시점에서 내재화 문제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동은 최초 측정시점에서 내재화 문제가 낮은 아동에 비해 시간이 지날수록 내재화 문제가 더 느린 속도로 증가했다.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은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개념, 부모 및 가족요인으로는 부부갈등, 자녀학대가 확인되었으며, 친구 및 학교요인과 지역사회요인에서는 또래애착, 학교적응이 확인되었다. 이 밖에 통제변인인 성별도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재화 문제의 변화율에는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과 부정적 자아개념, 성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후기에서 청소년 초기에 이르는 동안 내재화 문제의 발달궤적을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내재화 문제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공격성, 유해매체몰입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좌현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4 학교사회복지 Vol.- No.2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공격성, 그리고 유해매체몰입간 관계를 규명하고, 부모의 학대가 유해매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공격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함으로써 유해매체관련 문제행동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구축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KCYPS 2010)의 중학교 1학년 패널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학대는 중학생 자녀의 공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쳐 부모로부터 학대를 많이 받을수록 공격성 수준은 높아졌다. 공격성도 유해매체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쳐 공격성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해매체몰입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대는 중학생 자녀의 유해매체몰입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마지막으로, 공격성은 부모의 학대와 유해매체몰입간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의 유해매체몰입 관련 부적응 문제를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abuse, aggression and harmful media overuse,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between child abuse and juvenile delinquenc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wave 2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and analyzed data of 2,277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us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Second, child abus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rmful media overuse. Third, aggress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rmful media overuse. Fourth, aggression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child abuse and harmful media overuse.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행동: 성차와 연령차를 중심으로

        좌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c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The results showed there were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cts internalizing problem. In elementary school, parents monitoring, warmth, neglect and abuse were commom facotrs. Over-involvement was a gender specific factor in a male group. In middle school, parents monitoring was a commom factor, warmth and over-involvement were gender specific factors. In high school, parents monitoring, over-involvement,abuse were common factors, and warmth and inconsistnecy were significant in a famale group, rational explain was significant in a male group. Secon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externalizing problem. In elementary students, parents monitoring, warmth, and abuse were commom facotrs. Rational explai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male group. In middle school, parents monitoring, over-expectation were significant in male group. In high school, abuse and over-involvement were commom factor, parents monitoring and rational explain were gender specific factor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행동이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남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1패널과 초4패널, 그리고 중1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행동은 성별과 초․중․고 학교급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 감독과 애정은 내재화 문제에 대한 공통적 보호요인이며, 방임과 학대는 공통적 위험요인, 과잉간섭은 남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한 성별특수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집단에서 감독은 공통요인, 애정은 여학생 집단에서만, 과잉간섭과 방임은 남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했다. 고등학생의 경우, 감독, 과잉간섭, 학대가 공통요인이며, 애정과 비일관성은 여학생 집단의, 합리적 설명은 남학생 집단의 성별특수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집단에서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변수는 감독, 애정, 학대이며, 합리적 설명은 남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했다. 중학생의 경우, 남학생 집단에서는 감독과 과잉기대, 과잉간섭이 유의했다. 고등학생 집단에서 공통요인은 학대와 과잉간섭, 감독과 합리적 설명은 각각 여학생 집단과 남학생 집단의 성별특수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의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과목을 중심으로

        좌현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in team based project learning. For this purpose,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and focus group interviews contents written by students who took the children's welfare class, which was established at H University's social welfare department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ology. In detail, we analyzed what experiences learners have in each stages of team-based project classes, what they have achieved through the team based project learning and what differences are from traditional teacher-centered lecture, and how team-based classes helped to understand social welf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rist, learners had both anxiety and anticipation of new experiences at the beginning of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class, but while attending the class, they experienced an experience that crossed my limits and boundaries, and a qualitative change from group to team. Through these changes, learners were able to grow academically, understanding of social welfare and children's welfare was improved. Also, they could have the broader perspective on social welfare and feel that they were connected with social welfare.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y on time distribu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and the lack of cooperation in the community proved to be a barrier to performing the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eam based project learning to child welfare class and other social welfare class were discussed.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2019년 1학기 H 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개설된 아동복지론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와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질적연구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시작되는 초기단계부터 수업이 진행되는 각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 수업을 통해 얻은 성과는 무엇인지, 기존 강의중심형 수업과는 어떤 점에서 다른지, 사회복지 및 아동복지의 전반적 이해에 어떤 도움을 주었으며 수업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팀기반 프로젝트 수업 초반 ‘새로운 경험에 대한 불안과 기대감’을 동시에 가졌으며, 수업과정에서 ‘나의 한계 및 경계를 넘어서는 경험’, ‘집단에서 팀으로의 질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경험을 통한 성장’을 할 수 있었으며, 사회복지와 아동복지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으로써 ‘사회복지에 대한 폭넓은 조망과 나와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었다. 반면, ‘유기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팀’은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 장애요인 및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팀기반 프로젝트 수업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사회복지전공교육 및 아동복지론 과목에 팀기반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