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샛별 유치원’의 교사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열린 의사소통의 의미

        조혜선(Jo Hye Seon),김정원(Kim Jung Wo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개인 심충면담과 그룹 포커스면담 방법을 통해 ‘샛별 유치원’의 교사들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소통을 고찰하였다. 같은 유치원에 재직하는 교사들의 의사소통 방법을 자신들만의 언어로 재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면담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샛별 유치원의 교사들은 첫째, 열린 의사소통의 근본 의미로 유치원의 분위기를 꼽았는데, 잔잔한 물이 깊은 것처럼 유치원의 전통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신뢰감이 바탕이라고 하였다. 둘째, 도깨비도 수풀이 있어야 모인다고 했듯이 샛별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실에 특별한 의미를 두고 있었다. 그들에게 교사실은 열린 공간으로서 의사소통을 돕는 장소로 거듭나고 있었으며, 교사실이라는 공간 자체가 열린 의사소통으로 해석될 수 있는 주요 의미였다. 셋째, 길을 알면 앞서가듯이 모범을 보이는 태도로 교사들 사이에서는 보여주는 열린 의사소통을 하고 있었다. 서로에게 몸으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다. 넷째, 교사들의 대화방식은 가는 말이 고우니 오는 말도 곱다고 했듯이 서로 배려하고 타인의 입장에서 열린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샛별 유치원에서의 유아교사의 삶은 직접적으로 유아들에게 영향을 미치기에, 교사들 사이에서의 열린 의사소통에 대한 의미를 되짚어 보는 것은 진정한 유아교육을 이룰 수 있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동시에 샛별 유치원 교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열린 의사소통의 의미를 드러내는 작업은 교사들 사이의 공동 학습체 형성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e teachers at Sat-byul Kindergarten. which is analyzed by several in-depth personal interviews and a focus group interview.(For this the results of several in-depth personal interview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ere analyzed. During the interviews interviewees, the teachers, reinterpreted and gave definitions to the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e teachers at their kindergartens by their own w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for the first, the atmosphere of Sat-byul Kindergarten is stable and well-balanced on the basis of its tradition. This is the fundamental meaning of open communication. The second result demonstrated that for teachers at Sat-byul Kindergarten a teachers’room is an open place that helps their harmonious mutual understanding and has a sense of openness by itself. The third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teachers have had open communication, which sets a good example. Being aware of the right way, they had been going in advance. The fourth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teachers’ way of conversation is alike with the saying,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They are considerate of other teachers’ feelings and put themselves in another’s place when they communicate Considering the meaning of open communication would be the first step to establish true preschool education, since character and personality of preschool teachers at Sat-byul Kindergarten affect the child immediately and directly. Simultaneously, the task of researching the meaning of open communication among the teachers at Sat-byul Kindergarten would be the foundation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 실천

        조혜선(Hye-Seon J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수도권 4년제 S대학교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 실천 과정에서 드러난 예비유아교사의 학생 행위 주체성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56명과 연구자 자신교수 1명으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유아교육과정 이론 강의, 현장 연계 탐방 수업, TBL(Team Based Learning)로 유아교육 프로그램 발표 및 토론을 병행 교차 실행하고 수업 반성을 실천하였다. 연구 자료는 유치원 현장 탐방 보고서, 연구 참여자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발표 PPT와 핵심요약본, 학습 포트폴리오, 수업 개선 성찰지, 연구자의 연구 노트 등이다.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 분석을 통해 특정 개념 중심으로 범주화하고 연구 문제 중심으로 재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S대학교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과정’ 수업 개선 실천은 설렘과 낯섦의 조우가 혼재하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설렘은 주로 학생 행위 주체성 실행과 유치원 현장 탐방으로 나타났고, 낯섦은 TBL에 의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발표 및 토론 수업과 학습 포트폴리오 경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정’ 수업 개선 후 반성과 실천의 교차점에서 학생 행위 주체성을 형성한 학습자 자신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한다. TBL을 통한 이론 발표 및 질의 토론 학습법은 나침반과 같은 자율성을 찾게 도왔으며, 유치원 현장 연계 탐방 수업을 통해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의 연계 이해가 부족했던 학습자에서 알찬 알맹이와 같은 유치원교사로 성장하게 될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수업 개선에 대한 실천 방법과 ‘만들어가는 수업’ 실현 가능성 및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유치원 현장의 협력을 기본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질 높은 예비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이론 수업개선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의 체제적 전환점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student agency change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ubject at S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56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University and one professor who is the researcher oneself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clas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ory lectures, on-site field classes, and TBL(Team Based Learning) were used to provide education to children. Research materials include kindergarten visit reports, research participants' PP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presentation and key summaries, learning portfolios, class improvement reflection sheets, and researchers' research notes.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was categorized based on specific concepts and reclassifi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Excitement was mainly showed when the exercise of student agency was executed and field visit to kindergartens, and unfamiliarity was expressed through TBL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presentations and discussion classes and learning portfolio experiences. Second, after improv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class, it is said that students came to recognize themselves as learners who formed student agency at the intersection of reflection and practice. I found autonomy like a compass through TBL, and through kindergarten field-related classes, they found themselves as a valuable resource as a early childhood teacher who lacked understand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become a systematic turning point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theoretical classes to train high-qualit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비언어 의사소통 유형에 고나한 질적 사례 연구

        조혜선(Jo Hye S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06 육아지원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샛별반(만 4세) 자유선택활동 중에 유아-교사 간에 이루어지는 비언어 의사소통에 대한 유형들을 살펴보고자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는 유아의 놀이지원 및 갈등중재를 위해 다양한 비언어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샛별반 김교사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말없이 안아주기, 눈 마주치기, 쓰다듬기와 토닥이기와 같은 몸짓언어를 주로 의미있게 사용하였다. 이 외 유아-교사 간에 미리 약속된 비언어에는 대상언어라 할 수 있는 방석이 달린 교사의자와 공간분리 개념인 교사와 함께 교실 밖으로 나가기가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 범위를 비언어인 부분까지 확장시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시작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 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 중에 좀 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 및 방법들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유아-교사 간 비언어 의사소통을 좀 더 자세히 연구하여 유치원 교사들만이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관한 심도 있는 이해와 교사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ethnographic study was conducted at 4 years old kindergarten class in ‘free-choice-activity’ time to examin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particularly, non-verbal communication from teachers.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was various roles at free-choice-activity in a Kindergarten. In the study, teachers used hug of silence and eye contact to support children’s play and also used pat on the back to arbitrate conflicts between children. In additions to these non-verbal communications, teacher’s chair with a cushion and walking out of classroom with teacher were used as an object language and separation, respectively. Kindergarten teachers use various efforts and methods in order to communicate better with children and use non-verbal communications to be more effective on them. The findings of this behavior of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and in-depth understanding on non-verbal communication on children and followed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자기-수업영상 분석을 통한 음악 수업반성의 의미 탐색: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 수업활동을 중심으로

        장은주 ( Eun Ju Chang ),조혜선 ( Hye Seon J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4 예술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현직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원 수업인 유아음악교육에서 자기-수업영상 분석을 활용하여 동료와 함께 한 수업반성의 의미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 10명은 2013년 2학기 동안 수업을 들으며, 음악적 개념을 가르치기 위한 유아음악 수업활동을 고안하고 수업계획, 실제 수업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동영상으로 녹화하였다. 각 단계마다 연구저널을 작성하였고, 자기-수업영상에 대한 수업반성을 동료 교사들과 함께 실행하였다. 연구 수집 자료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육 수업계획안, 실제 수업활동 및 동료평가 영상, 자기-수업영상에 대한 수업반성 평가서,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사진 및 실제 자료, 반성적 연구저널과 연구자 노트 및 현장약기 등이다. 자료 분석은 개방코딩을 통한 심층코딩을 하는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와 함께하는 수업반성을 통해 교사로서 유아음악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즐김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둘째, 자기-수업영상 분석에 대한 동료평가를 통해 음악적 개념이 유아음악 수업활동의 실제에 잘 통합되었는지 확인할수 있었다. 셋째, 동료 교사의 조언은 연구 참여자의 유아음악 교수법 개선에 있어 주요 동인이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find the meaning of self-reflection on teaching and peer review of the teachers using the self-lesson video analysis in the musical education course for young children, as a part of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argeting the current kindergarten teachers. While taking the musical education course for two semesters in 2013, 10 researchers designed the music class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to teach the musical concepts, planned the class and practically undertook the class activities. All of their activities were recorded. At each step, the researchers wrote their journals, reflected and analyzed their lesson videos and conducted peer review at the end of the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includes the syllabus of the music class designed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class activities and peer review videos, evaluation sheets of self-reflection of the lesson videos, photos and practical data o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flective research journals, researchers’ notes and musical instruments used for the clas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for in-depth coding through open co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nfidence and enjoying the musical classes for young children as a teacher after conducting the self-reflection on their teaching with peers. Second, the researchers identified whether the musical concepts were well incorporated into the kids music class activities through the peer review on self-lesson video analysis. Third, the advice by peer teachers served as a key driver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f research participants for mu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주는 의미 탐색

        장은주(Eun-Ju Chang),조혜선(Hye-Seon J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의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를 수강한 S대학교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수업 탐색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 29명은 2017-1학기 영유아교수법 과목에서 모의수업을 시연하였고 유아교과교재 및 연구법 과목에서는 수업시연을 위한 교과교재 제작을 하였으며, 연구자들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스터디 그룹별 학습과정 저널과 개인 수업 포트폴리오,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의 교육적 효과로 균형 잡힌 두 교과목의 연계로 효율적인 수업 집중이 가능함을 장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의 교육적 효과로 시행착오를 통한 교구 제작과 수업 준비로 연계지식을 구성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깨달음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수업의 중요성을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 중에 인식한 것이다. 넷째,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깨달음은 연계한 그룹 조원들과의 상호 유대감 증진의 소중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과정에서 전공교과 연계형 수업 경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lectures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S" university who took the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nd examine its in-depth meaning. The 29 study participants demonstrated a mock class du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 course and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for demonstration du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ing Material and Teaching Method cours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7. The researchers analyzed group-based learning journal, teaching portfolio and focus-group interview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und that the balanced linkage of two subjects enabled them to effectively concentrate on the course. Second, they were able to organize linked-knowledge by creating teaching materials and preparing for the course after learning from their mistakes. Third, the teachers became abl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of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urth, they also got to understand the value of special bonds among group members. To summariz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 their education course.

      • KCI등재

        생애주기별 성역할 발달 및 갈등

        곽삼근(Kwak Samgeun),조혜선(Jo Hye-seon),윤혜경(Yoon Hye-kyoung)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이 유아ㆍ아동ㆍ청년ㆍ성인ㆍ노년기를 거쳐 살아가는 동안 일상 속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경험하는 성역할 발달 및 갈등 체험을 학문적으로 드러나게 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생애주기별 일반인들과 심층면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좀 더 객관적으로 사회에서의 성역할 발달 및 갈등 체험의 문제를 진단하고자,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information-rich cases) 면접자로 주기별 교육전문가를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후 생애주기별 성역할 갈등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여 생애 주기별로 규칙성 또는 상이한 논점이 보이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는 성 고정관념을 무비판적 수용하는 시기이므로 성인모델에 의한 이분법적 성역할을 습득하기 쉬우며, 부모와 교사의 태도가 가장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기이다. 둘째, 아동기는 가정과 학교 간 이중적 성역할을 체험하는 시기인 동시에 전통적 성역할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시기이다. 셋째, 청년기에는 남녀간에 성 평등의식 수준에 있어서 격차가 발생하기 시작하고, 성별분업의 현실에서 진로선택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넷째, 성인기는 부부간에 가사분담으로 인한 갈등을 체험하게 되고, 여성의 경우 결혼,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한 직업단절의 위기를 맞게 된다. 다섯째, 노년기는 은퇴로 인하여 사회와 가정에서의 새로운 성역할에 적응해야 하는 한편 한 가정의 어른으로서 전통적 성역할과 남아 선호사상을 후손들에게 강조함으로써 양성불평등을 고착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gender role people experience, how people recognize it, and what kind of conflict people undergo at each life stage. It is important to expose academically the gender role conflicts and experiences related to the life-cycle as early childhood, childhood, adolescence, adulthood, and senescence. It is also important to see the gender role at each life cycle. The samples chosen are 28 persons by gender and life-cycle. We conducted personal interviews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nd feelings. We analyse the interviews based on the theory of gender-role conflict by the life-cycle to trace the pattern and unlikeness of the gender role at each life-cyc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early childhood, children accepted the gender stereotype uncritically. It was possible for them to accept the dichotomous gender stereotype accumulated by adults.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s and teachers were the critical persons to them at this period teaching and bringing up directly. Second, in childhood, children experienced different gender role between home and school. At the same time, children started to arise questions about the traditional gender role. Third, in adolescence, there was a gap in consciousness of gender equity between boys and girls. They considered their career related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enders. Through the interview, we found that women college students at the graduating class felt they were discriminated by recruit system, and they thought this is the heart of the gender discriminative issue. Fourth, in adulthood, married couple experienced the conflict with managing the household duties. Women had to quit their career because of marriage, delivery, and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interviews with women showed there were lots of women who had to quit their career because of rearing or who had to endure the double burden of career and family chores. Fifth, in senescence, married couple had to deal with new gender roles after retire. At the same time the seniors in Korea had emphasized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generation succession by son. Therefore, they could be the most influential persons in perpetuating the gender discrimin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유치원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장은주 ( Chang Eun-ju ),조혜선 ( Jo Hye-se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과 연계하여 모의수업을 개발하고 실행한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연구자는 S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34명과 함께 수업전문성 증진을 목적으로 유치원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을 실행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과 수업동영상, 수업계획안과 교구, 유치원 현장 교사의 인터뷰, 연구자의 연구 노트 등을 수집하여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의 실행과정은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 계획 단계로서 기존 모의수업에 대한 반성과 수정 과정, 그리고 현장과의 기초 협의가 이루어졌다. 둘째,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 준비 단계로 하루일과 모의수업 준비, 모의수업 및 촬영, 동료평가 및 교수 피드백, 실행 된 모의수업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제 현장 연계수업 계획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 숙고와 반영 단계로 현장 탐방 및 수업 관찰, 현장 교사 협의에 의한 수업계획안 수정 및 현장수업, 현장교사의 피드백, 현장수업 재반성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 준비과정은 예비유아교사와 현직 교사들에게 수업 전문성 증진의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연구자에게는 이번 연구를 토대로 현장 연계형 수업을 계획, 발전시켜 질 높은 예비유아교사 양성 수업 전문가로 성장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intended to explore the process and results of developing and executing simulated instructions connected with kindergarten fields. The researcher executed kindergarten field-related simulated instruction with 34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nder S Universit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also collected reflective journals, class videos, and lesson plans and instruments from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views with kindergarten in-service teachers, research note of the researcher, etc. and conducted an inductive analysis. The execution process of field-related simulated instruction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was field-related instructional planning, which involved the reflection and correction of existing simulated instructions and fundamental consultation with the field. The second stage was preparations for field-related instruction, including preparation for microteaching of daily lessons at kindergarten, microteaching and photographing, peer review and professor feedback, and field-related instructional planning based on one of the executed simulated instructions. The third stage was the consideration and reflection of field-related instruction, and consisted of field trip and class observation, correction of lesson plans and field practice under the guidance of in-service teachers, feedback of in-service teachers, and re-reflection of field pract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eparation process for field-related instruction was found to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promo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laid a foundation to enable the researcher to grow into a teaching professional who specializes in training high-qualit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planning and developing field-related instruct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s.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전공 연계형 반성적 모의수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탐색

        장은주 ( Chang Eunju ),조혜선 ( Jo Hye-se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수도권의 S대학교 3학년 예비유아교사 58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전공 연계형 마이크로티칭 반성적 모의수업에 대한 생각과 의미 탐색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전공 연계형 반성적 모의수업 실행 과정은 전공 연계형 강의에 대한 기초 이해와 각 전공의 이론 수업, 교구교재를 연결 제작하여 모의수업 실행,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모의수업평가 및 분석, 재수업 실행 및 촬영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모의수업 교육계획안과 교구교재 제작서, 모의수업 및 재수업 녹화와 평가 분석 영상자료, 수업포트폴리오,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수반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되고 연구문제 중심축으로 하여 재분류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전공 연계형 반성적 모의수업에 경험에 대한 의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연계형 마이크로티칭 통해 자신의 모의수업을 되돌아보는 경험은 등잔 밑을 스스로 밝히는 것과 같은 새로운 경험이었다고 한다. 둘째, 전공 연계형으로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재수업 몰입 과정은 칠수록 고와지는 가루처럼 소중하고 정교해지는 경험이었다고 하였다. 셋째, 전공 연계형 강의로 교재교구를 제작하여 반성적인 마이크로티칭 모의수업을 하는 것은 도랑 치고 가재 잡는 격인 매우 효율적인 경험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based on 58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their third year at S University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and intended to explore the thoughts and meanings of a major-linked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based on their microteaching experiences. The process of a major-linked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through microteaching consisted of major theory instruction, simulated instruction through production of relevant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evaluation and analysis of simulated instruction through microteaching, and implementation of re-teaching and analysis using video recordings. Research materials included a protocol of simulated instruction and production manual for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videos of simulated instruction and re-teaching and visual materials of evaluation and analysis, portfolio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by contents analysis and reclassified as the research problem center axis.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meanings of a major-linked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based on microteaching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back on their simulated instruction through microteaching based on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as an entirely new approach. Second, the re-teaching process utilizing microteaching through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comparable to the process of exquisitely grinding and polishing a jewel. Third, the experience of carrying out a reflective simulated microteaching instruction by producing relevant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based on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n efficient experience, which can be explained as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

      • KCI등재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교사-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김정원 ( Jung Won Kim ),조혜선 ( Hye Seon J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들의 교사 신념과 정체성 형성을 돕기 위해, 보육실습 전·후에 예비보육교사들의 교사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교사-자화상과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 보육실습 전·후에 도출된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첫째, 보육실습 전에는 주로 교사로서의 자신의 모습에만 집중하였으나, 실습 후에는 영유아와 교사가 함께 있는 모습을 그리며 영유아를 먼저 생각하는 교사로 변화하는 경향이 보였다. 둘째, 보육실습 전에는 영유아들과의 친밀감을 중시하였으나, 실습 후에는 자기계발을 먼저 생각하는 교사 이미지로 변화하였다. 셋째, 보육실습 전에는 교사 주도적인 수업을 중시하는 모습이었으나, 실습 후에는 영유아와 긍정적인 경험을 함께하는 교사 모습을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실습 전 후 교사 이미지에 대한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들에게 보육실습은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교사 이미지를 재인식하고 공고히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in the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er-image after their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um at 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s. In-depth interview method and participants` self-portrait drawing analysis method were adopted to measure the chang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image as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the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er images changes, 10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chosen for self-portrait drawing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1) Some participants had put emphasis on themselves as teachers before the practicum, but after the practicum, they tended to put the emphasis on children first. 2) Some participants had thought bonding with children was more important at first, but after the practicum, they thought their development as teachers was more important. 3) Some participants had thought teacher-initiated class structure was more important before the practicum, but after the practicum, they thought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more important. 4) Some participants` identity as teachers have not changed, but they were nonetheless able to re-evaluate their identity as teachers through the practic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